KR200400722Y1 -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2Y1
KR200400722Y1 KR20-2005-0025018U KR20050025018U KR200400722Y1 KR 200400722 Y1 KR200400722 Y1 KR 200400722Y1 KR 20050025018 U KR20050025018 U KR 20050025018U KR 200400722 Y1 KR200400722 Y1 KR 200400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peaker
amplified
portabl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영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임근영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영, 김경수 filed Critical 임근영
Priority to KR20-2005-0025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외부 음성출력단자에 연결을 위한 커넥터와 휴대폰의 외부출력 단자에서 나오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단과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기 위한 음향출력 수단과 증폭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며, 핸드폰과의 간단히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핸즈프리 기능구현을 위한 마이크와 통화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증폭 스피커에 의하면, 휴대폰의 기종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휴대폰에서 재생되는 모든 오디오 신호를 간단하게 증폭하여 좀더 높은 품질의 음질로 즐길 수 있으며,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폰의 고리에 액세서리로 장착이 쉽게 되므로 휴대가 간단하며, 소형 마이크로폰과 통화스위치를 구비하여 휴대폰을 열지 않고 멀티미디어 사운드를 유지하며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Potable amplification loudspeaker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회로와 스피커로 통해 출력할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에 내장된 스피커는 리시버 기능으로써 통화를 하기위하여 귀에 직접대고 사용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일반 오디오에 있는 스피커와는 출력의 크기나 품질면에서 많이 뒤지게 된다. 또한 최근의 휴대폰들은 mp3, DMB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추가되면서 사운드 출력기능이 많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기존의 폰들에서도 좀 더 고출력의 사운드를 즐기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었다.
이러한 욕구에 맞추어 증폭스피커들이 소개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20-0386671에서는 휴대폰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폰 거치대를 소개하고 있다. 이는 휴대폰 거치대 기능을 주로하며 외부 전원과 증폭스피커를 구비하여 거치대 및 사운드 증폭기능을 가지게 한 것이다. 또한 휴대도 가능하여 휴대폰의 전원을 이용하여 증폭스피커를 구동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휴대하기에는 부피가 너무 큰 단점이 있다. 핸드폰은 소형화 되고 초박형으로 개발, 판매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또한 휴대시에는 휴대폰에서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다기능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핸드폰에서 오히려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더 단축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여러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휴대의 편리성, 증폭회로를 구비하여 고품질의 음질을 제공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증폭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공급장치를 내장하여 휴대폰 전원을 포함한 외부전원의 공급이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증폭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내장된 스피커와 소형 마이크를 구비하여 별도의 장비없이도 사운드 재생중 통화가 가능한 핸즈프리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소형화로 액세서리의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휴대폰의 외부 사운드 출력단자에 연결을 위한 커넥터로 구성된 입력부와 그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과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 수단인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증폭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을 위하여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서 핸즈프리기능은 소형 마이크와 통화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와 휴대폰의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는 크게 휴대폰(100)의 사운드 출력단자(101)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02)와 본체(300)로 나눠진다.
본체(300)는 휴대폰(100)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수단(301)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내장할 수 있도록 함체형을 이룬다.
본체(300)는 휴대폰과의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연결수단은 크기와 기종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100)에 연결 가능하도록 천, 합성수지, 또는 기타 금속류로 만든 고리형태가 안착될수 있는 연결부(302)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300)에는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할수 있도록 통화스위치(304)와 소형 마이크(305)가 구비된다.
본체(300)는 좌측 또는 우측의 한편에 휴대폰의 사운드 출력을 입력받기위한 커넥터를 가지는 입력부를 구비한다. 이는 크기와 기종에 상관없이 다양한 휴대폰(100)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이어마이크 잭 형태를 맨 끝쪽에 구비하는 전선(와이어)형태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 커넥터(102)를 이용하여 핸드폰의 음성출력단자에 상응하는 휴대폰의 관통 홀 형태(101)에 끼워 입력을 받게 된다.
또한 본체(3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핸드폰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홈(302)을 구비한다. 이 홈을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로 고리를 만들어 휴대폰에 안착함으로써 액세서리로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휴대폰을 소지하는 동안 장소를 불문하고 한몸처럼 가지고 있게 되므로 언제든지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상기에 전술한 입력부(102)를 휴대폰의 내장 관통홀에 삽입, 고정하여 고품질의 사운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의 블록도이다.
일단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는 내부의 증폭부(351)를 거치게 된다. 이는 본체 내부에 PCB형태로 제작된다. 휴대폰의 오디오 잭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는 이어폰으로 들을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신호이므로 이를 외부 스피커를 울려줄 정도의 큰 신호로 바꿔줘야 한다. 본 고안에서는 저전압 증폭소자(low voltage OP-amp)를 이용하여 4-6V의 내부 전원과 연결된 IC 칩에서 증폭이 이뤄지게 되며 증폭회로의 중간에는 노이즈제거와 중저음을 보강하여 고품질의 출력을 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최소한의 부품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소형화와 저가격인 동시에 고품을 이루게 된다.
증폭회로를 거친 오디오 신호는 수십 mW급의 신호에서 수 W급의 신호로 변형되게 되며 이를 음향출력수단인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를 즐길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1-2W급의 스피커를 본체(300) 내부에 구비하게 된다. 통상의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353)는 1W급 이하가 되며 저음에서 고음영역까지 골고루 출력이 나오지 않아 고출력으로 음을 재생하였을 경우나 다양한 음역대가 섞여 있는 멀티미디어 음을 출력하였을 경우 본래의 음이 나오지 못하고 찢어지는 듯한 왜곡된 음을 출력함으로써 사람에게 오히려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는 중저음을 보강한 loud-speaker(353)를 채용하여 보다 풍부한 음을 전할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300)는 증폭회로에 전원이 공급가능하도록 배터리(352)를 구비한다. 증폭회로를 구성하는 중요수단인 저전압증폭소자는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며 내장 배터리가 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일부 제품에서 보여지듯 휴대폰의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기기 위한 장시간 휴대폰 사용과 대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휴대폰 사용과 전혀 무관하게 별도의 내장 배터리(352)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본체(300)에는 뒷면에 분리가 가능한 볼트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분리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가 소모되면 교환하여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300) 전면 하단부에는 통화스위치(304)와 소형 마이크로폰(305)이 구비된다. 멀티미디어 재생시에도 휴대전화는 통화대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음을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 간단히 통화스위치를 누름으로써 핸즈프리 기능이 수행되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살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에 의하면, 휴대폰에 내장된 오디오 연결 잭을 이용하여 외형에 상관없이 다양한 휴대폰과 연결하여 휴대폰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를 고품질의 음질로 즐길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외부전원없이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하게 되므로 휴대폰의 사용시간등과 무관하게 작동하게 되어 장시간의 사용이 요구되는 휴대폰의 전원사용량에 전혀 무리를 주지 않는다.
또한, 증폭부와 음향출력부를 포함한 전체 크기가 작아 액세서리 수준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휴대성이 극대화 된다.
또한, 마이크로폰과 통화 스위치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중 언제라도 증폭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한 핸즈프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소형화 저가격화로 휴대폰의 액세서리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와 휴대폰의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폰
101 휴대폰의 사운드 출력단자
300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본체
302 휴대폰 연결 고리용 홀
304 통화스위치
305 소형 마이크로폰

Claims (5)

  1. 휴대폰의 오디오출력을 연결하기위한 연결부;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포함한 음향출력부;
    증폭부와 음향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내장 배터리;
    마이크로폰과 통화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오디오 잭과 전선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형상과 크기에 상관없이 휴대폰에 내장된 오디오 연결단자와 연결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성부를 하나의 본체안에 형성하며, 본체의 전체 크기가 휴대폰과 동일하거나 작게 제작되어 휴대폰과 고리등으로 연결하여 액세서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과 통화스위치로 증폭스피커를 통해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증폭작용과 스피커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을 내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할수 있게하여 외부 전원없이 작동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KR20-2005-0025018U 2005-08-30 2005-08-30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KR200400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018U KR200400722Y1 (ko) 2005-08-30 2005-08-30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018U KR200400722Y1 (ko) 2005-08-30 2005-08-30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2Y1 true KR200400722Y1 (ko) 2005-11-08

Family

ID=4370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018U KR200400722Y1 (ko) 2005-08-30 2005-08-30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413B2 (en) Remote controller having echo function
US20070127747A1 (en) Conversation switch for stereo headphones
US7616760B2 (en) Headset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and/or multimedia device
JP2007336511A (ja) 携帯用電磁機器用外装型スピーカーシステム及びこのための無線受信パック
USRE43872E1 (en) Headset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and/or multimedia device
TW201441926A (zh) 具播音及收音之電子裝置
KR200400722Y1 (ko) 휴대폰용 휴대용 증폭스피커
CN201153311Y (zh) 带有扩音电路的手机
KR100754625B1 (ko) 외부 스피커를 통해서 스테레오 사운드를 출력하는휴대단말기
CN209748761U (zh) 一种立体声无线k歌蓝牙耳机
CN202750145U (zh) 一种手机设备的迷你k歌装置
KR200399023Y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KR100632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02084347A (ja) 携帯電話機用イヤホーンマイク
CN211266914U (zh) 一种便携式手机支架扩音器
CN212752565U (zh) 一种支持主动适配与音质处理的无线麦克风
CN215298848U (zh) 一种便于携带的集成式移动k歌播音系统
CN210381235U (zh) 一种带蓝牙功能的便携式直播k歌装置
KR100684519B1 (ko) 카오디오용 음성 인식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카오디오
CN210016518U (zh) 一种具有k歌功能的手机
KR200300096Y1 (ko) 이동형 음향기기 및 휴대전화 공용 이어폰 세트
KR200330458Y1 (ko) 휴대전화의 노래방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 가능한이어폰형 핸즈프리
KR200317845Y1 (ko) 휴대폰용 무선마이크
KR200262904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
KR200252624Y1 (ko)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로폰과 음향기기의 리모콘에연결하여 동시 또는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착탈분리형 만능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