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802A -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802A
KR20040071802A KR1020030007676A KR20030007676A KR20040071802A KR 20040071802 A KR20040071802 A KR 20040071802A KR 1020030007676 A KR1020030007676 A KR 1020030007676A KR 20030007676 A KR20030007676 A KR 20030007676A KR 20040071802 A KR20040071802 A KR 20040071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data
line
signal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Priority to KR102003000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1802A/ko
Publication of KR2004007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80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가 인가되는 시간과 데이터 라인과 스캔라인에 제공되는 전압차에 의해 흐르는 전류의 양을 파악하여 전류량의 최대값에 상응하는 역전압을 스캔라인을 통해 제공하고, 또한 데이터값이 없을 때에는 스캔라인을 통한 역전압 제공을 생략하도록 변조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이면서 동시에 화면의 에러발생 요인을 줄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환하는 스캔변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라인의 데이터를 차례로 받아들이는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 입력된 한 라인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중 가장 큰 값을 알아내는 최대값 판별부와; 데이터인가를 시작하는 발광시작 발생부와 발광기준 클럭 발생기의 입력을 이용하여 최대값 판별부에서 제공된 최대값에 대항하는 일정구간의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인가구간 판별기와; 상기 데이터 인가구간 판별기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을 일정 전위로 묶어두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 발생기와; 상기 구간 발생기를 통해 출력된 신호와 타이밍 콘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 드라이브가 동작하는 동안에 스캔 드라이브를 일정전위로 묶어두는 스캔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및 방법{Scan Mask Which Controls the Scan Waveform Using Data St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가 인가되는 시간과 데이터 라인과 스캔라인에 제공되는 전압차에 의해 흐르는 전류의 양을 파악하여 전류량의 최대값에 상응하는 역전압을 스캔라인을 통해 제공하고 또한 데이터값이 없을 때에는 스캔라인을 통한 역전압 제공을 생략하도록 변조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이면서 동시에 화면의 에러발생요인을 줄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환하는 스캔변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의 전압차에 따라 발생하는 일정한 전위차에 따라 계조가 표현된다.
따라서, 데이터가 인가되는 시간과 흐르는 전류의 양이 곧 계조의 표현과 연결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과의 관계를 간단하게 모델링한 것으로, 데이터 라인은 ITO로서 양극으로 표현될 수 있고, 스캔라인으로 음극으로 표현될 수 있는바, 일정문턱 전압에 따라 발광하므로 다이오드 집합체라고 볼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데이터 라인과 스캔라인의 전압이 일정 문턱 전압을 넘으면 발광하고 전위차가 문턱전압보다 낮을 경우 발광하지 않게 되며, 또한 문턱전압을 넘을 경우 흐르는 전류의 양과 시간에 의해 발광하는 빛의 양이 조정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구동하는 방식의 일례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도 3의 경우 전체 데이터와 스캔이 동시에 변화하며 동일한 전위를 가지는 파형을 표시하고 있으며, 도 4의 경우 도 2를 개선하여 발광부위의 스캔라인만 변동하도록 설계되어진 파형이다.
도 3 및 도 4의 경우 데이터와 스캔에 대해 발광부분에 대해서는 선택된 라인을 제외하고 다른 라인들이 데이터에 대해 역바이어스를 가지게 된다.
이 경우 패널의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결함이 발생한 픽셀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도 5는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패널의 결함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일반적인 회로 구성시 선택라인(발광중인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라인에서 역바이어스가 걸리는 전류경로를 나타내었는 바, 이때 패널이 결함이 발생한 경우 데이터와 스캔이 쇼트된 경우에는 역전위가 거린 경로로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Low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N+1번째 스캔의 하이 신호로 인해 전류가 흘러 들어가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함이 생긴 픽셀을 중심으로 수직(데이터)측으로 줄이 나타나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데이터가 인가되는 시간과 데이터 라인과 스캔라인에 제공되는 전압차에 의해 흐르는 전류의 양을 파악하여 전류량의 최대값에 상응하는 역전압을 스캔라인을 통해 제공하고 또한 데이터값이 없을 때에는 스캔라인을 통한 역전압 제공을 생략하도록 변조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이면서 동시에 화면의 에러발생 요인을 줄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한 라인의 데이터를 차례로 받아들이는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 입력된 한 라인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중 가장 큰 값을 알아내는 최대값 판별부와; 데이터인가를 시작하는 발광시작 발생부와 발광기준 클럭 발생기의 입력을 이용하여 최대값 판별부에서 제공된 최대값에 대항하는 일정구간의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인가구간 판별기와; 상기 데이터 인가구간 판별기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을 일정 전위로 묶어두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 발생기와; 상기 구간 발생기를 통해 출력된 신호와 타이밍 콘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 드라이브가 동작하는 동안에 스캔 드라이브를 일정전위로 묶어두는 스캔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도 1은 기본적인 매트릭스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도.
도 2는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파형도.
도 4는 발광부위의 스캔라인만 변동하도록 설계되어진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형 파형도.
도 5는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였을 때의 에러표시 상황도.
도 6은 일반적인 역바이어스가 걸려서 발생되는 전류 형성도.
도 7은 역바이어스가 걸린 상태에서 에러상황이 발생하는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라인 데이터 입력부 20: 최대값 판별부
30: 발광시작 발생부 40: 발광기준 클럭기
50: 데이터 인가구간 판별기 60: 구간 발생기
70: 타이밍 컨트롤러 80: 스캔 조정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념도로써, 본 발명은 스캔라인을 통한 역전압 인가시 램프단의 쇼트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발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데이터가 인가되는 경우 스캔 파형을 항상 일정하게 걸어주므로 원치 않는 전류의 소모 및 에러화면표시를 없애기 위해 도 8과 같이 스캔라인을 데이터에 의해 가변되도록 변조하였다.
즉, 도 8에서는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스캔라인을 통한 역전압의 제공이 생략되도록 한 것으로, 이런 식으로 제어하게 되면 전류의 소모가 없게 되며, 화면표시에 대한 에러가 없게 되는 것이다.
도 8에서는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는 구간을 예시하였으나, 데이터가 제공되더라도 그 최대값을 산출하여 그 값에 해당하는 전류 값만을 역전압으로 걸어주게 되면 램프의 쇼트에 의한 화면에러요인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필요한 역전압만을 걸어주게 되므로 전류의 소모를 그만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써,
한 라인의 데이터를 차례로 받아들이는 라인 데이터 입력부(10)와;
입력된 한 라인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중 가장 큰 값을 알아내는 최대값 판별부(20)와;
데이터인가를 시작하는 발광시작 발생부(30)와 발광기준 클럭 발생기(40)의 입력을 이용하여 최대값 판별부(20)에서 제공된 최대값에 대항하는 일정구간의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인가구간 판별기(50)와;
상기 데이터 인가구간 판별기(50)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을 일정 전위로 묶어두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 발생기(60)와;
상기 구간 발생기(60)를 통해 출력된 신호와 타이밍 콘트롤러(7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 드라이브가 동작하는 동안에 스캔 드라이브를 일정전위로 묶어두는 스캔 조정부(8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도 9는 데이터 입력을 이용하여 스캔을 인가하는 구간을 판별하고, 그 외의 구간에 대해서는 스캔 라인을 데이터와 동전위(여기서는 GND)로 만들어 줌으로써 스캔 라인을 변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먼저, 라인 데이터 입력부(10)에서는 한 라인의 데이터를 차례로 받아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최대값 판별부(20)에서는 입력된 한 라인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중 가장 큰 값을 알아내며, 얻어진 최대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인가를 시작하는 발광 시작 발생부(3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발광기준클럭기(40)로부터 제공되는 발광기준클럭을 이용해 최대값에 해당하는 일정 구간의 신호를 데이터 인가 구간 판별기(50)를 통해 생성한다.
생성된 신호는 구간 발생기(60)를 통해 스캔을 일정 전위로 묶어두기 위한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 조정부(80)에서 스캔 드라이브를 동작시키는 동안에 스캔 드라이브를 일정전위(여기서는 GND)로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스캔 구간을 적절히 변조하여 에러가 발생된 발광수단이 존재할지라도 전체적으로 최소한의 전류가 공급됨으로 에러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계조를 충분히 낮출 수 있게 되고 데이터값이 아예 없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화면에는 아무 표시도 나타나지 않게 되어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첫째, 항상 일정한 스캔 파형을 인가하지 않으므로 데이터의 인가된 값에 따라 역전위가 걸리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최대값이 적으면 적을수록 스트레스는 작게 된다. 가장 스트레스가 적은 경우는 영상 데이터가 없을 때로 이 경우 구동 파형은 동작하지 않는다.
둘째, 패널의 디펙이 발생한 경우 일정하게 스캔 파형을 인가할 경우 디펙이 발생한 곳을 통해 전류가 흘러 원하지 않는 전류 소모를 가져오게 된다. 이 경우 전류의 량을 스캔의 구간을 변조해 줌으로써 작게 할 수 있다.
셋째, 패널의 디펙 발생시 스캔 파형을 일정하게 인가할 경우 수직(데이터)측으로 발광이 발생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스캔 라인을 통해 주입되는 전류의 량을 제한 할 수 있으므로 발광의 정도를 적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한 라인의 데이터를 차례로 받아들이는 라인 데이터 입력부(10)와;
    입력된 한 라인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중 가장 큰 값을 알아내는 최대값 판별부(20)와;
    데이터인가를 시작하는 발광시작 발생부(30)와 발광기준 클럭 발생기(40)의 입력을 이용하여 최대값 판별부(20)에서 제공된 최대값에 대항하는 일정구간의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인가구간 판별기(50)와;
    상기 데이터 인가구간 판별기(50)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을 일정 전위로 묶어두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 발생기(60)와;
    상기 구간 발생기(60)를 통해 출력된 신호와 타이밍 콘트롤러(7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 드라이브가 동작하는 동안에 스캔 드라이브를 일정전위로 묶어두는 스캔 조정부(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2. 데이터 입력을 이용하여 스캔을 인가하는 구간을 판별하고, 그 외의 구간에 대해서는 스캔 라인을 데이터와 동전위로 만들어 스캔 라인을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방법.
KR1020030007676A 2003-02-07 2003-02-07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및방법 KR20040071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676A KR20040071802A (ko) 2003-02-07 2003-02-07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676A KR20040071802A (ko) 2003-02-07 2003-02-07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802A true KR20040071802A (ko) 2004-08-16

Family

ID=3735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676A KR20040071802A (ko) 2003-02-07 2003-02-07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18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6931C (zh) * 2005-08-01 2009-04-08 三星Sdi株式会社 数据驱动电路和具有其的有机发光显示器的驱动方法
CN100481181C (zh) * 2005-08-01 2009-04-22 三星Sdi株式会社 数据驱动电路、发光显示器及驱动该发光显示器的方法
CN100492474C (zh) * 2005-08-01 2009-05-27 三星Sdi株式会社 有机发光显示器的数据驱动电路和驱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6931C (zh) * 2005-08-01 2009-04-08 三星Sdi株式会社 数据驱动电路和具有其的有机发光显示器的驱动方法
CN100481181C (zh) * 2005-08-01 2009-04-22 三星Sdi株式会社 数据驱动电路、发光显示器及驱动该发光显示器的方法
CN100492474C (zh) * 2005-08-01 2009-05-27 三星Sdi株式会社 有机发光显示器的数据驱动电路和驱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050B1 (ko) 광원 로컬 디밍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90095135A (ko) 광원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10098788A (ko) 변조 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와 변조 방법
US20170006679A1 (en) Signal generating method and circuit for controlling dimming of led
KR20150078503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7537477A (ja) 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用の走査バックライト
JP4898857B2 (ja) 背面照明システムの色制御
CN101950532B (zh) 自发光显示设备和用于驱动自发光显示设备的方法
KR20100119023A (ko) 디밍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11710446B2 (en) LED driving device and LED driving method
CN105453164A (zh) 显示器的亮度偏差补偿设备以及补偿方法
CN106548739B (zh) 显示驱动装置、显示设备和显示驱动方法
KR20120092790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2016023283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backlight thereof
CN110534054B (zh) 显示驱动方法及装置、显示装置、存储介质、芯片
KR970030113A (ko) 전계방출 표시기의 셀 구동장치
KR102199942B1 (ko) 휘도 선형성을 유지하면서 플리커 현상을 저감시키는 pmo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pmoled 디스플레이 방법
KR20040071802A (ko) 스캔구간을 데이터에 따라 변화하는 스캔 변조장치 및방법
KR20070108655A (ko) 유기 이엘 디스플레이 패널의 피더블류엠과 피에이엠 혼합 계조 표현을 위한 유기 이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KR100674256B1 (ko) 디밍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시스템
KR20120110257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120089010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CN110944424B (zh) 具有亮度控制的发光二极管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
JP2009229865A (ja) 画像表示装置の階調制御方法
KR102534473B1 (ko) 디스플레이 영상의 높은 해상도와 작은 소모 전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