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218A - 관절형 주출구를 구비한 음료 캔 뚜껑 - Google Patents

관절형 주출구를 구비한 음료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218A
KR20040071218A KR10-2004-7009487A KR20047009487A KR20040071218A KR 20040071218 A KR20040071218 A KR 20040071218A KR 20047009487 A KR20047009487 A KR 20047009487A KR 20040071218 A KR20040071218 A KR 2004007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pout
cavity
beverag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뽈
Original Assignee
송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BE2001/0820A external-priority patent/BE1014545A5/fr
Application filed by 송뽈 filed Critical 송뽈
Publication of KR2004007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2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6Hinged, foldable or pivoted nozzles or spouts
    • B65D25/465Hinged, foldable or pivoted nozzles or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65D47/0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7Separate closure devices for reclosing opened cans or tins, e.g. beer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51Dome-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09C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형 주출구(15)를 구비한 평탄한 뚜껑(10)에 관한 것으로, 폐쇄 덮개(13)를 부분적으로 분리한 후에 상기 주출구를 상승시켜 캔 내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고 그 후 캔 내에 남은 음료를 나중에 소비하기 위하여 상기 주출구와 상기 덮개를 접어서 밀봉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뚜껑을 사용하면, 상기 주출구 및 캔내의 음료를 적절한 식품 위생 상태로 영구히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형 주출구를 구비한 음료 캔 뚜껑{BEVERAGE CAN LID WITH ARTICULATED NECK}
소비자들이 폐쇄 덮개를 제거한 후에 캔으로부터 음료수를 직접 마시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입술을 캔의 외면에 접촉시켜야만 한다. 캔의 외면은 통상, 캔의 포장, 수송 및 보관 중에 용기를 저장하고 취급하는 과정에 기인하는 많은 종류의 먼지와 오물에 의해 오염된다.
유통 과정에 있어서도, 캔은 여러 사람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취급된다. 예를 들면, 슈퍼마켓의 냉장고 내의 캔들도 많은 사람들이 냉장 상태를 확인하고자 만져본다. 또한, 용기들은 종종 지면에 놓여지기도 하고, 따라서 동물들에 노출되거나 화학 물질, 쓰레기, 그리스, 기름 등에 접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들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음료 캔의 위생 상태가 양호하지도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 특히 어린이가 캔으로부터 직접 음료를 마실 경우에, 입술이나 혀를 다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여러 종류의 먼지나 오물에 의해 캔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비자가 위생적인 상태에서 캔으로부터 직접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덮개가 뚜껑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플립 방식으로 돌출하는 주출구 부재가 구비된 캔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공보 US-A-407425호에는, 분리 가능한 덮개의 아래에 접혀져 있는 관형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뚜껑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관형 부재는 덮개가 뚜껑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플립 방식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뚜껑의 구성으로는, 캔을 개방한 후에 캔을 다시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음료 용기 또는 캔에 있어서, 폐쇄 덮개가 뚜껑으로부터 분리될 때에 플립 방식으로 돌출하는 주출구를 구비할지라도, 용기의 내용물을 한 번에 모두 마시지 않는 경우에, 용기를 밀봉하여 폐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출구를 통해 음료의 유동이 항상 양호한 것은 아니며, 따라서 용기를 완전히 비우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주출구를 캔의 외측으로 돌출시킬 때에, 캔의 상면 또는 캔 뚜껑에 통상 존재하는 가장자리로 음료의 일부를 흘리는 경우도 많다
국제공개특허공보 제WO-0059795호에는,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배열된 분리 가능형 주출구 및 캔이 개방된 후에 덮개를 다시 덮을 수 있도록 하는 폐쇄 덮개를 구비한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뚜껑에 구비된 주출구는 뚜껑의 기부에 고정되어야 하고 따라서 별도로 제조되어야만 한다. 주출구를 뚜껑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뚜껑의 기부와 함께 몰딩 성형되어야 하고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힌지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제조 공차로 인하여, 주출구가 한두 번 상승 위치로 움직인 후에는 완전한 고정이 항상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주출구와 뚜껑의 접합부에서의 견고성도 최적이 아니라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그와 같은 뚜껑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조립되어야 할 3개의 부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폐쇄 덮개와 주출구(注出口)를 구비한 음료 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와 같은 음료 캔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덮개가 덮여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캔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폐쇄 덮개가 상승 위치에 있는 도 1의 뚜껑의 사시도.
도 3은 주출구가 상승 위치에 있는 도 2의 뚜껑의 사시도.
도 4는, 폐쇄 덮개가 접혀 내려가고 주출구는 상승 위치에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본 발명은, 플립 상승(flip-up) 방식의 주출구를 구비한 공지의 뚜껑의 단점을 개량하고, 그와 동시에 뚜껑 및 음료를 담기 위한 캔과 뚜껑의 조립체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하고 평탄한 음료 캔 뚜껑으로서, 캔 외측으로 플립 방식으로 이동하는 관절형 주출구를 구비하여 캔 내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해 주고, 그 후에 주출구가 플립 방식으로 하강될 수 있어 남은 음료를 나중에 마시기 위하여 캔을 밀봉 폐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음표 캔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쇄 덮개와 캔의 외측으로 플립 방식으로 이동하는 주출구를 구비하여 캔을 비울 수 있도록 해 주고, 덮개가 뚜껑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었을 때에 액체를 흘리거나 액체가 튀기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 음료 캔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절형 주출구와 폐쇄 덮개를 구비하여 개방 후에 다시 폐쇄될 수 있고,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산업 라인에서 제조하기가 용이한 음료 캔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캔 뚜껑은 중앙부에 형성된 공동(cavity)을 구비하는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대략 직사각형이고 저부에 관통 개구부를 구비한다. 평탄부에는 폐쇄 덮개가 힌지 부재에 의하여 공동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강성의 주출구가 공동 내측의 하강 위치와 평탄부의 외측으로 향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공동의 측벽에 부착되어 있다. 공동의 저부를 관통하는 개구부의 주변 부분 및 공동의 측벽에 부착되지 않은 주출구의 주변 부분이 유연성 밀봉 막에 의하여 연결된다. 주출구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에 주출구의 말단부가 공동의 측벽에 접촉하는데, 주출구의 하강 위치에서 주출구의 내부 채널이 캔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도록 주출구가 공동의 측벽에 연결된다. 반면에, 주출구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에, 유연성 밀봉 막에 의해 자유로워진 자유 통로를 통하여 주출구의 내부 채널이 캔의 내부와 연통하고, 그로 인하여 소비자는 주출구의 자유 단부에 입술을 대어 캔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구성에 의하면, 주출구가 상승 위치로 배치되어 캔의 내용물이 소비된 후에, 주출구가 접힐 수 있고 덮개가 다시 덮일 수 있다. 캔의 내용물이 한 번에 모두 소비되지 않았을 때에는, 캔은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벌레 또는 온갖 종류의 오물이 캔 내 및 음료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주출구를 통해 액체가 양호하게 배출되고 캔이 만족스럽게 비워질 수 있기 위해서는, 뚜껑이 공기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은 완전 평탄형이므로, 일반적인 캔의 통상의 외측 치수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캔들은 통상의 자동 판매기 내에서도 보관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캔 뚜껑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뚜껑(10)은 일반적으로, 뚜껑을 캔(미도시)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링(12A)과 일체형인 주변 가장자리(12)를 구비한 평탄부(11)를 포함한다. 평탄부(11)는 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링(15)은 알루미늄 또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와 같은 소정 재료로 제조된다. 뚜껑은, 예를 들면 크림핑(crimping) 공정에 의하여 캔에 고정된다.
평탄부(11)는 대략 직사각형인 폐쇄 덮개(13)를 포함하며, 폐쇄 덮개는 세 방향의 측부를 따라 분리될 수 있고 제4 측부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승 위치로 상승될 수 있다. 폐쇄 덮개는 제4 측부에 의하여 평탄부(11)에 부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4 측부의 힌지 부재(14)(도 2 참조)에 의하여 부착된다. 평탄부(11)에 형성된 리세스(31)는, 덮개(13)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상승 위치로 상승시킬 수있도록 해 준다. 덮개(13)가 상승 위치에 있으면, 평탄부(11)의 중앙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인 공동(20)이 노출되고, 공동(20) 내에는 공동(20)의 측벽 및 평탄부에 연결된 주출구(15)가 수용되어 있다.
덮개의 내면에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밀착 스트립(17)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착 스트립은 평탄부(11) 상에 공동(20)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돌출 가장자리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그에 따라 덮개가 상승된 후에 다시 접힐 때에 완전한 밀착이 확보된다. 주출구(13)가 부착된 공동(20)의 말단부에 위치한 측벽과 하강 위치에서의 주출구(15)의 자유 단부 사이에서, 공동의 저부에는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상에는, 공기 또는 가스를 캔 내로 유입시키는 구멍(27)이 천공되어 있는 2개의 어깨부(25)들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구멍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덮개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에, 공기 구멍은 덮개에 의하여 밀봉되는데, 예를 들면 덮개(13)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18)에 의해 밀봉된다. 완전한 밀착부가 확보되도록, 어깨부(25) 및/또는 돌출부(18)는 엘라스토머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가 상승 위치에 있으면, 공기 구멍(27)이 열려서 공기가 캔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는, 캔 내에 수용된 액체가 대기압하에 있도록 하여 캔이 용이하게 비워질 수 있도록 해 준다.
주출구(15)는 납작한 강성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호한 액체 유출 및 뚜껑이 배치될 캔의 완전한 배액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튜브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출구(15)의 일단부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힌지 부재(16)에 의하여, 주출구의 주변을 따라 공동의 측벽(21)에 부착된다. 힌지 부재(16)에 의하여주출구가 하강 위치(도 2)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으며, 상승 위치에서는 주출구가 평탄부(11)(도 3)로부터 직립한다.
도면에 예시한 실시예에서, 주출구(15)를 평탄부(11)에 연결시키는 힌지 부재(16)가 위치한 공동의 말단부와 대향하는 말단부에 힌지 부재(14)가 배치된다. 공동(20)의 저부 내의 리세스(32)는, 주출구를 상승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주출구의 자유 단부로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해 준다.
도 4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출구(15)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덮개는 소정의 유연성에 의하여 접힐 수 있도록 배치되고, 캔의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주출구의 배출구를 입에 댈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만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하강 위치에 있을 때에, 주출구(15)는 공동(20)의 측벽(21)에 접촉하는 위치에 내측 단부를 구비한다(도 5). 주출구는, 주출구의 하부 단부와 함께 협동하도록 공동의 측벽(21)에 형성된 스터드(26)에 의하여 상기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출구의 하부 단부에 밀봉 이음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패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출구의 하강 위치에서, 내측 채널은 뚜껑이 고정될 캔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으며, 캔 내의 액체가 주출구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주출구가 상승 위치로 선회되었을 때에 액체가 튀기거나 흘러나오는 현상이 방지된다.
유연성 밀봉 막(28)이, 공동(20)의 측벽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주출구(15)의 주변 부분을, 공동의 저부(22)를 관통하는 개구부(24)의 주변 부분에 연결시킨다.주출구가 하강 위치로 이동하면, 유연성 밀봉 막(28)은 스스로 접히며 주출구(15)를 따라 액체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뚜껑이 부착될 캔의 완전한 밀봉이 확보된다.
반면에, 주출구가 상승 위치에 있으면, 주출구의 하부 단부는 공동의 측벽(21)으로부터 분리되고, 유연성 밀봉 막(28)은 공동(20)의 저부를 관통하는 개구부(24)를 개방하며, 따라서 공동(20) 내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된 자유 통로(29)를 캔의 내부와 주출구(15)의 내부 채널 사이에 형성한다.
소비자가 주출구의 자유 단부에 입술을 대고 캔을 기울여 캔의 내용물을 마실 때에, 뚜껑의 상면에 액체를 흘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깔때기 형상의 자유 통로의 단면은 캔의 완전한 배액을 용이하도록 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상면은 완전히 평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음료 캔 충전기에서의 뚜껑의 안정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완전히 평탄한 뚜껑의 상면은 캔들이 서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해준다. 반면에, 상승 위치에 있을 때에, 덮개(13)는 힌지 부재(14)에 의하여 뚜껑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고 캔의 주변으로부터 돌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현재 차량 내에 이러한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체 상에 캔이 놓일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캔을 손으로 쥐었을 때 및 캔의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주출구의 배출구에 입을 대었을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덮개가 접혀서 하강할 수 있다.
주출구(15)는 덮개가 개방될 때까지 덮개 아래에서 보호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식품 안전 규격에 부합되고 따라서 소비자는 오염에 대한 위험성에 대한 걱정없이 주출구(15)에 입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합성 재료로 제조된 주출구는 소비자의 손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
소비자가 한 번에 캔의 내용물을 모두 마시지 않았을 경우에, 주출구를 하강 위치로 이동시켜 덮개를 다시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캔은 다시 밀봉되므로, 벌레, 담배꽁초, 먼지, 입자 또는 기타 오염물이 캔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캔의 주출구와 내용물은 외부 오염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은 몰딩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뚜껑을 캔에 고정하기 위하여 금속 링이 사용될 경우, 합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은, 예를 들면 복제 몰딩 성형 즉 오버몰딩 성형에 의하여 링과 조립될 수 있다. 뚜껑은, 캔 본체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근방을 크림핑 처리함으로써 캔에 고정된다.
도면에 예시하고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실시예의 이러한 예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Claims (10)

  1. 폐쇄 덮개(13)와 강성 주출구(15)를 구비하고,
    상기 강성 주출구(15)는, 내부 채널이 캔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는 하강 위치와 내부 채널이 캔의 내부와 연통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음료 캔 뚜껑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공동(20)을 구비하는 평탄부(11)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형상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고, 관통 개구부(24)를 구비하는 저부(22)와 측벽(21)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덮개(13)는 공동(20)의 말단부에서 힌지 부재(14)에 의해 상기 평탄부(11)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강성 주출구(15)는, 힌지 부재에 의해 공동(20)의 측벽(21)에 부착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제2 단부가 공동(20)의 측벽(21)과 접촉하는 하강 위치와 평탄부(11)의 외측을 향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24)의 주변 부분과 공동(20)의 측벽에 부착되지 않은 주출구(15)의 주변 부분이 유연성 밀봉 막(28)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음료 캔 뚜껑은 일체형으로 몰딩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뚜껑.
  3.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15)가 부착되어 있는 공동(20)의 벽은, 주출구가 하강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벽상에 형성되어 주출구(15)의 제2 단부와 함께 작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뚜껑.
  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20)의 저부(22)는, 덮개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에 캔의 내용물을 대기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공기 구멍(27)이 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깨부(25)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구멍은, 덮개(13)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에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뚜껑.
  5.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3)는 그 내면에, 평탄부(11)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 가장자리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밀봉 수단(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뚜껑.
  6.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또는 평탄부는, 주출구(15)가 상승 위치에 있는 동안에 만곡형 하강 위치에 덮개(13)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뚜껑.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상기 평탄부는, 주출구(15)가 상승 위치에 있는 동안에 만곡형 하강 위치에 덮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뚜껑.
  8.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11)는, 뚜껑을 음료용 캔에 고정하기 위한 링(12a)과 일체형인 주변 가장자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뚜껑.
  9. 폐쇄 덮개(13)와 강성 주출구(15)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구(15)는, 내부 채널이 캔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는 하강 위치와 내부 채널이 캔의 내부와 연통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음료 캔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공동(20)을 구비하는 평탄부(11)를 포함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형상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고, 관통 개구부(24)를 구비하는 저부(22)와 측벽(21)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덮개(13)는 단부에서 힌지 부재(14)에 의해 상기 평탄부(11)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강성 주출구(15)는, 힌지 부재에 의해 공동(20)의 측벽(21)에 부착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제2 단부가 공동(20)의 측벽(21)과 접촉하여 위치하는 하강 위치와 평탄부(11)의 외측을 향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24)의 주변 부분과 공동(20)의 측벽에 부착되지 않은 주출구(15)의 주변 부분이 유연성 밀봉 막(28)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2항 내지 제8항에 따른 특징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캔.
KR10-2004-7009487A 2001-12-17 2002-12-13 관절형 주출구를 구비한 음료 캔 뚜껑 KR20040071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01/0820A BE1014545A5 (fr) 2001-12-17 2001-12-17 Canette de boisson avec goulot extractible et couvercle pour une telle canette.
BE2001/0820 2001-12-17
PCT/BE2002/000190 WO2003051733A1 (fr) 2001-12-17 2002-12-13 Couvercle de canette de boisson avec goulot art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218A true KR20040071218A (ko) 2004-08-11

Family

ID=4169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487A KR20040071218A (ko) 2001-12-17 2002-12-13 관절형 주출구를 구비한 음료 캔 뚜껑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20040071218A (ko)
CO (1) CO5590945A2 (ko)
IL (1) IL162473A (ko)
PT (1) PT1456093E (ko)
TN (1) TNSN04109A1 (ko)
ZA (1) ZA200404689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NSN04109A1 (en) 2006-06-01
IL162473A (en) 2008-08-07
PT1456093E (pt) 2009-03-18
ZA200404689B (en) 2005-06-29
CO5590945A2 (es) 200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490B2 (en) Beverage can lid with articulated neck
US8474646B2 (en) Closure having a drip minimizing lid
US6783019B2 (en) Container lid with selectable opening
US6688487B2 (en) Locking cup and lid with negative draft sealing surfaces
US8602252B2 (en) Liquid dispensing cover for container
US9586732B2 (en) Drink can lid comprising an articulated neck
MXPA00012256A (es) Cierre con elemento de articulacion doble.
BRPI0617284A2 (pt) dispositivo de fechamento para recipiente de bebida e outros lìquidos e recipiente de bebida e outros lìquidos
JPS6042106B2 (ja) 液体容器
EP1182147A3 (en) Beverage container cap body
AP941A (en) Drink or other liquid container with unfolding spout.
JP2003231544A (ja) 小出し用閉鎖体及びこれを含むパッケージ
US10940979B1 (en) Disposable beverage lid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KR20040071218A (ko) 관절형 주출구를 구비한 음료 캔 뚜껑
US20040169045A1 (en) Application and assembly suited for use as a disposable leak proof child drinking cup
JP3904788B2 (ja) 飲料容器
US20230040658A1 (en) Water Bottle
WO2005097612A1 (en) Drinking cup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0129032Y1 (ko) 유아용 컵
MXPA99006359A (en) Drink or other liquid container with unfolding sp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