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880A -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880A
KR20040069880A KR1020030006434A KR20030006434A KR20040069880A KR 20040069880 A KR20040069880 A KR 20040069880A KR 1020030006434 A KR1020030006434 A KR 1020030006434A KR 20030006434 A KR20030006434 A KR 20030006434A KR 20040069880 A KR20040069880 A KR 20040069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words
unicode
input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258B1 (ko
Inventor
최은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6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2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용 소스 파일에 사용되는 단어나 문자를 파일 단위로도 유니코드 변환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은 언어의 고유 코드와 영문 주석으로 작성된 입력 파일을 열고, 단어 혹은 문장 단위로 내용을 복사한 후 이를 단어/문장 유니코드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변환하여 얻은 유니코드를 새로운 파일에 복사해 넣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이후 단말기 프로젝트에 사용할 파일을 생성하는 수작업이므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고, 오류 발생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 생성을 위해 영문 주석 없이 고유 코드 단어 및 문장을 유니코드로 변환하는 방법과 아울러 입력 파일을 지정하고 해당 파일에서 변환할 고유 코드 단어들과 영문 단어들을 입력하는 것으로 유니코드 출력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유니코드로 변환된 결과 파일을 얻을 수 있고, 오류를 줄이며 오류 발생에 따른 분석 자료들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UNICODE CONVER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SOURCE FIL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용 소스 파일에 사용되는 단어나 문자를 파일 단위로도 유니코드 변환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각국의 휴대 단말기를 보급하는 제조사는 전세계 여러 나라에 분포할 수 있다. 이렇게 단말기 제조사들은 각 나라에 대한 수출용 단말기를 생산하기 위해서, 사용 언어 코드에 따른 새로운 설계 변경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각 언어별로 중복하여 사용되는 코드를 표준화 하고자 유니코드를 사용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GSM 단말기 내부의 모든 단어 및 문장은 유니코드로 변환되어 작동한다. 유니코드는 폰트가 구비되면 다국어가 지원될 수 있는 확장 언어 코드로서, 여기서는 현재 사용되는 유니코드(UTF-16, Unicode 2.0)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나라가 서로 동일한 혹은 비슷한 의미의 문자를 저마다 다른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료 및 프로그램의 호환성 및 확장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관계로 이를 하나의 문자 세트로 통합시켜 표현함으로써 해결하자는 취지에서 전세계 주요 컴퓨터회사들이 업계표준으로 규정한 만국공통 문자코드를 '유니코드'라 한다. 즉, 유니코드는 세계 각 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제안된 국제적인 코드 규약의 이름을 말한다.
미국에서 개발되어진 컴퓨터는 그 구조가 영어를 바탕으로 정의되어 있기에 26자의 영문 알파벳트와 몇 가지 특수 문자를 표현하기에는 1바이트로 충분하였기 때문에 모든 정보가 1바이트를 단위로 표현되고 있었으나 동양 3국의 언어 표현인 한글, 한자 또는 일어 등과 같은 문자는 그 구조가 영어와 달라서 1 바이트로는 표현이 불가능하기에 2바이트로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는 컴퓨터의 구조적 문제점을 바탕으로 만들어 졌다. 즉, 지금까지 각국에서 사용되는 코드는 동일한 코드 영역에 상이한 폰트가 존재했다. 예를 들어 동일한 2바이트 문자를 이용하더라도 한글 텍스트는 일본 컴퓨터 환경에서는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유니코드에서는 16비트를 사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고 있다. 유니코드 2.0에는 모두 65536자(OXOOOO~OXFFFF)의 코드영역이 있는데 이 가운데 38885자는 주요 국가언어 구현용으로 이미 할당돼있고 6400자는 사용자 정의 영역(Private Use Area)으로, 202049자는 향후 새로 추가될 언어영역(Future Use Area)으로 각각 비워두고 있다.
현재할당된 주요 언어는 아스키(미국표준정보교환코드), 그리스어, 라틴어, 시릴문자, 히브리어, 타이어, 기호문자(Symbols), 함수문자(Punctuation), 아랍어.일어 가나, 한글 자모(Hangul Jamo), CJK(중.일.한 공통한자)영역, 표의문자(한자), 현대 한글(HangulSyllables), 대용문자(Surrogates) 등이다.
코드할당비율을 보면 한자가 39.89%(20902자)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한글 17.04%(11172자), 아스키 및 기호문자 10.39%(6811자) 등의 순이다.
유니코드 2.0의 설계원리는 16비트코드를 기본으로 모든 언어의 완전코드화와 코드체계 단일화, 코드의 등가성, 코드간 호환성 등이다. 즉, 다른 기존 코드들과의 호환성을 위해 내부적으로 기존의 코드들을 수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점을 통해 다른 코드들간의 전환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코드들 간 전환을 위해 N×N개의 테이블이 필요했다면 유니코드들 위해서는 2×N개의 테이블만 있으면 된다. 따라서, 유니코드가 아닌 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는 것은 소정의 변환 테이블만으로 가능하며, 이를 다시 소정의 코드로 변환하는 것 역시 용이하다.
종래 GSM 단말기에 사용될 단어 및 문장을 유니코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모든 단어와 문장이 영문 주석과 함께 표시된 파일을 받아, 해당 파일을 개인용 컴퓨터(PC) 상에서 단어 혹은 문장 단위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용도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자바(java) 언어로 작성된 것으로, [입력1], [입력2]라는 입력창(column)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1]에는 변환하고자 하는 단어의 영어단어를 입력하고, [입력2]에는 변환하고자 하는 단어의 언어코드(텍스트로 이루어진 코드)를 입력한 후, 변환을 실시하면 [결과]창에 변환하고자 하는 유니코드가 표시된다. 이는 유니코드의 바이너리 상태가 출력되는 것이 아니고, 유니코드의 코드값이 텍스트문자로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를 제조하고자 하는 나라의 언어 코드와, 해당 언어코드에 대응하는 영문 주석이 나열된 입력 파일을 단어나 문장별로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변환하여 해당 단어의 코드를 얻어내고, 이를 새로운 파일에 붙여나가는 수동 작업을 반복하여 단말기용 소스파일(*.h)을 얻어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입력 파일은 목적 언어 고유코드와 영문 주석으로 작성된 파일을 의미하고, 출력 파일은 목적 언어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한 파일을 의미한다. 상기 출력 파일은 단말기용 소스파일(*.h)이 된다.
도 1은 종래 유니코드 변환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어 혹은 문장을 입력받아 해당 유니코드를 출력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유니코드로 변환할 언어 코드 및 대응되는 영문 주석을 입력한다. 이 경우, 단어 혹은 문장 단위로 입력할 수 있는데, 입력 파일에서 소정 부분을 복사하여 유니코드 변환 프로그램의 입력창에 붙이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변환할 언어의 고유 코드와, 해당 코드로 이루어진 단어 혹은 문장에 대응하는 영문 단어 혹은 문장을 입력창들에 입력하고, 소정의 버튼을 눌러 변환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변환을 실시하면, 유니코드 변환 프로그램은 입력창의 내용들을 문자열로 변환하고, 이들로부터 각각 단어수를 파악한다.
상기 파악한 고유 코드로 기록된 단어의 수와 영문 주석 단어의 수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입력 오류이므로 다시 입력창으로부터 입력을 대기하거나 오류 메세지를 출력하면서 멈추고, 일치하면 공지된 유니코드 변환 알고리즘에 의해 각 단어의 유니코드를 변환한 후, 이를 결과창에 유니코드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유니코드(실질적으로는 텍스트문자로 이루어진 코드값)를 복사하여 결과파일에 수작업으로 붙인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실시하는 것으로 입력 파일의 모든 고유 언어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여 이를 출력파일(단말기를 위한 프로젝트에 사용될 유니코드 헤더)로 저장한다.
즉, 입력 파일의 문장들을 일일이 수동으로 변환하여 출력 파일을 작성해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기본적으로 1바이트로 이루어지는 고유 언어코드를 2바이트 유니코드로 변환하므로 출력 파일의 행을 맞추기 어렵다. 또한,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반복, 누락, 오기등) 발생 확률이 높아지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입력 파일을 파일 단위로 유니코드 변환하여 출력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은 언어의 고유 코드와 영문 주석으로 작성된 입력 파일을 열고, 단어 혹은 문장 단위로내용을 복사한 후 이를 단어/문장 유니코드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변환하여 얻은 유니코드를 새로운 파일에 복사해 넣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이후 단말기 프로젝트에 사용할 파일을 생성하는 수작업이므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고, 오류 발생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 생성을 위해 영문 주석 없이 고유 코드를 단어 및 문장을 유니코드로 변환하는 방법과 아울러 입력 파일을 지정하고, 해당 파일에서 변환할 고유 코드 단어들과 영문 단어들을 입력하는 것으로 유니코드 출력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변환 시간 및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유니코드 변환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2는 본 발명 유니코드 변환 방법을 보인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유니코드 소스 파일 생성을 위한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에 있어서, 영문 주석과 함께 고유 언어코드로 기록된 입력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파일을 지정하고, 출력 파일을 지정하는 단계와; 변환할 고유 코드 단어들 및 영문 주석 단어들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고유 코드 단어들 및 영문 주석 단어들의 수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입력된 고유 코드 단어들 및 영문 주석 단어들을 단어별로 분류하여 버퍼에 저장하고, 임시 파일을 생성하여 고유 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여 영문 주석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파일에서 기록된 영문 주석에 해당하는 유니 코드로 입력 파일의 동일 영문 주석이 있는 고유 코드를 대체하는 동작을 임시 파일에 기록된 모든 단어들에 대해 반복 실시하면서 출력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파일을 준비한 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단어/문장 단위 변환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영문 주석을 제외한 변환 하고자 하는 고유 코드 단어/문장을 입력창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단어들을 단어별로 구분하여 버퍼에 저장하고, 대응하는 출력창에 유니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단어/문장 단위 변환과 파일 단위 변환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단어/문장 단위 변환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종래 방법과 유사하지만, 영문 주석이 요구되지 않는 상이점이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언어의 고유 코드와, 그에 대한 영문 주석이 같이 기록된 입력 파일을 준비한다. 이는 단말기용 프로젝트 파일에서 소스 파일(*.h)을 생성하기위한 자료이며, 본 발명을 사용할 사용자는 이렇게 작성된 파일을 가지고 유니코드 변환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입력 파일을 준비하고, 해당 파일의 내용을 보면, 텍스트 문자로 기록된 고유 코드값과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영문 주석의 목록을 볼 수 있다. 이제, 이들 중 고유 코드값들을 복사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유니코드 변환 프로그램의 입력창에 붙여넣는다. 이와 같이 단어/문장 변환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실시예는 자바(java)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언어들(Visual C++, Visual Basic, Delphi 등 )로 작성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복수행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에 대응하는 출력창, 그리고 변환 명령을 위한 버튼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고유 코드 단어/문장은 행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버퍼에 문자열(스트링)로 저장된다.
변환을 시작하라는 사용자의 명령(버튼 누름 등)에 의해 상기 입력된 고유 코드 단어/문장을 유니코드로 변환하여 출력창에 출력하는데, 입력창과 동일한 행에 변환된 대응 유니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영문 주석을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사용 언어에 따라 고유 코드의 길이(예를 들어, 유럽 지역의 언어는 1바이트, 아시아 지역 언어는 2바이트)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단어별로 유니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버퍼에 저장된 모든 문자열에 대해 반복 실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출력된 유니코드를 복사하여 정리하면 출력 파일(유니코드 헤더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방법을 보다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파일 단위 변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선택은 본 발명을 적용한 변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파일단위 변환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입력 파일 선택을 위한 부분, 변환 단어들을 입력하기위한 목적 단어 입력창, 해당 영문 주석 입력창, 그리고 변환 시작을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먼저, 변환 프로그램에 입력 파일의 위치를 인지 시키는데, 이는 파일 검색 버튼을 이용하거나 직접 입력하는 등의 여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환 대상이 되는 입력 파일을 지정하면, 이후 생성할 임시 파일 및 출력 파일은 기본적으로 입력 파일명과 동일한 파일명을 가지며, 확장자만 tmp, new 등으로 바뀌게 된다. 당연히, 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원하는 파일명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 파일을 선택한 후, 변환을 실시할 단어들의 고유 코드값들과 그에 해당하는 영문 주석이 동일한 행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입력창에 모두 나열한다. 변환하고자 하는 고유코드 단어들을 모두 나열해야 하며, 대응하는 영문 주석들을 동일한 행에 같은 수로 나열하는 것으로 상호 연관성을 가지게 한다. 주의할 점은 상이한 고유코드값은 상이한 주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주석은 파일단위 유니코드 변환에서 일종의 인식표(인덱스) 역할을 하게 된다.
사용자가 변환을 지시하면, 상기 목적 단어 입력창(고유 코드값들이 나열된 입력창)의 단어 수와 영문 주석 입력창의 단어수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오류 메세지를 출력하고 종료하거나 재 입력을 요구한다. 만일 단어수가 일치하면, 상기 고유 코드값들과 영문 주석들을 모두 버퍼에 저장한 후 단어 및 문장 단위로 구분하고, 고유 코드값들을 유니코드값으로 변환하여 영문 주석과 함께 임시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임시 파일은 출력 파일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변환 내용을 담고 있는 변환표의 역할을 하게되어 오류 발생 시 분석의 기본 자료가 된다.
상기 임시 파일 생성이 끝나면, 임시 파일에서 영어 단어를 하나씩 읽어서입력 파일에서 동일한 주석이 있는 부분을 검색하고, 임시 파일에 해당 영어 단어에 대응하는 유니코드를 추출하여 입력 파일에서 해당 영어 단어에 대응하는 고유 코드값을 대체하여 삽입한다. 이러한 과정을 임시 파일의 모든 영어 단어에 대해 실행하는 것으로 출력 파일을 생성한다.
추가로, 상기 출력 파일의 생성이 끝나면 유니코드 변환을 시도한 총 단어수, 성공한 단어수, 실패한 단어 목록등과 같은 분석 내용을 메세지 혹은 또다른 파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결과를 확인함과 동시에 오류 발생 여부를 즉시 알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반복적인 수작업 대신 변환하고자 하는 단어들을 한번씩 나열하는 것으로 해당 단어가 포함된 입력 파일을 자동으로 변환하여 고유 코드값들이 유니코드로 변환된 결과 파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임시 파일과 결과 메세지 같은 오류 발생에 따른 분석 자료들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은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 생성을 위해 영문 주석 없이 고유 코드 단어 및 문장을 유니코드로 변환하는 방법과 아울러 입력 파일을 지정하고 해당 파일에서 변환할 고유 코드 단어들과 영문 단어들을 입력하는 것으로 유니코드 출력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유니코드로 변환된 결과 파일을 얻을 수 있고, 오류를 줄이며 오류 발생에 따른 분석 자료들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 단말기용 유니코드 소스 파일 생성을 위한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에 있어서, 영문 주석과 함께 고유 언어코드로 기록된 입력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파일을 지정하고, 출력 파일을 지정하는 단계와; 변환할 고유 코드 단어들 및 영문 주석 단어들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고유 코드 단어들 및 영문 주석 단어들의 수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입력된 고유 코드 단어들 및 영문 주석 단어들을 단어별로 분류하여 버퍼에 저장하고, 임시 파일을 생성하여 고유 코드를 유니코드로 변환하여 영문 주석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파일에서 기록된 영문 주석에 해당하는 유니 코드로 입력 파일의 동일 영문 주석이 있는 고유 코드를 대체하는 동작을 임시 파일에 기록된 모든 단어들에 대해 반복 실시하면서 출력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이 완료되면, 유니코드 변환을 시도한 총 단어 수, 성공한 단어수, 실패한 단어의 목록을 메세지 혹은 파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파일을 준비한 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단어/문장 단위 변환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영문 주석을 제외한 변환 하고자 하는 고유코드 단어/문장을 입력창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단어들을 단어별로 구분하여 버퍼에 저장하고, 대응하는 출력창에 유니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에 입력하는 고유 코드 단어/문장 중 하나의 단어 및 문장은 입력창의 행에 따라 구분하고, 상기 변환은 버퍼에 저장된 모든 문자열에 대해 반복 실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KR1020030006434A 2003-01-30 2003-01-30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KR100923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434A KR100923258B1 (ko) 2003-01-30 2003-01-30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434A KR100923258B1 (ko) 2003-01-30 2003-01-30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880A true KR20040069880A (ko) 2004-08-06
KR100923258B1 KR100923258B1 (ko) 2009-10-23

Family

ID=3735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434A KR100923258B1 (ko) 2003-01-30 2003-01-30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2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6274A (zh) * 2008-09-22 2010-03-3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联系人查找系统及方法
KR101293149B1 (ko) * 2006-05-26 2013-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멀티바이트 코드 스트림을유니코드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방법
KR101298637B1 (ko) * 2006-05-30 201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멀티바이트 코드 형식의 텍스트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WO2017128101A1 (zh) * 2016-01-27 2017-08-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名称列表展示、处理方法及客户端、服务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495B1 (ko) * 2000-04-26 2003-09-26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소스 스트링의 타겟 스트링으로의 변환 방법, 이의 컴퓨터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
KR100426010B1 (ko) * 2000-06-24 2004-04-03 한국전자북 주식회사 전자출판 문서를 엑스엠엘 문서로 변환하는 방법
KR20010088529A (ko) * 2001-08-02 2001-09-28 정회경 전자문서 편집/변환처리장치와 그 방법
KR100418349B1 (ko) * 2001-09-05 2004-02-11 (주) 한국인프라 데이터 압축 및 복원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49B1 (ko) * 2006-05-26 2013-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멀티바이트 코드 스트림을유니코드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방법
KR101298637B1 (ko) * 2006-05-30 201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멀티바이트 코드 형식의 텍스트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CN101686274A (zh) * 2008-09-22 2010-03-3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联系人查找系统及方法
CN101686274B (zh) * 2008-09-22 2013-10-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联系人查找系统及方法
WO2017128101A1 (zh) * 2016-01-27 2017-08-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名称列表展示、处理方法及客户端、服务器
CN108702407A (zh) * 2016-01-27 2018-10-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名称列表展示、处理方法及客户端、服务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258B1 (ko) 200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6286B1 (en) Text input transliteration system
US7251667B2 (en) Unicode input method editor
US7512533B2 (en)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and using chinese language data and user-corrected data
JPS63316231A (ja) コンピユーター・ソーテイングを容易にする方法
US20050010391A1 (en) Chinese character / Pin Yin / English translator
JPH02253369A (ja) 電子辞書
US20050027547A1 (en) Chinese / Pin Yin / english dictionary
KR100923258B1 (ko) 휴대 단말기 소스 파일의 유니코드 변환 방법
Kuhn UTF-8 and Unicode FAQ for Unix/Linux
JP2010262325A (ja) 文字列変換方法、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CN101464875B (zh) 使用xml表示电子字典数据的方法
JPS5971536A (ja) 日本語文作成装置
JP4263627B2 (ja) 通信端末装置、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0390783C (zh) 进行格变换的方法和系统
EP1522027B1 (en)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and using chinese language data and user-corrected data
JPH0630107B2 (ja) 文書処理装置
Mudawwar Multicode: a truly multilingual approach to text encoding
CN110328984A (zh) 一种新型两分笔画码汉语字典或字典页面
Davis et al. Creating global software: Text handling and localization in Taligent's CommonPoint application system
KR20070064900A (ko) 한글의 유니코드 변환장치
US11170182B2 (en) Braille editing method using error output function,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same,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same
EP1691298B1 (en)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and using Chinese language data and user-corrected data
JPS59135533A (ja) 校正方式
KR20030008254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17068307A (ja) 情報検索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検索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