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501A - 화상형성장치의 가압 롤러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가압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501A
KR20040069501A KR1020030005922A KR20030005922A KR20040069501A KR 20040069501 A KR20040069501 A KR 20040069501A KR 1020030005922 A KR1020030005922 A KR 1020030005922A KR 20030005922 A KR20030005922 A KR 20030005922A KR 20040069501 A KR20040069501 A KR 2004006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oller
elastic body
roller
shaf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542B1 (ko
Inventor
김동우
크라에브발레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5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Structural details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sure elements and lay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유니트에 있어서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을 사용하지 않는 속이 빈 쉘 타입(Hollow shell type)의 가압 롤러(pressing roller)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롤러는 속이 빈 쉘 타입의 원통형상 탄성체; 원통형상 탄성체의 회전을 위한 샤프트; 샤프트를 원통형상 탄성체의 회전축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원통형상 탄성체 양 끝단 개구부의 제 1 소정 구간에서 샤프트와 원통형상 탄성체 내면 사이에 설치된 좌우 베어링을 포함하고, 좌우 베어링은 상호 독립적인 것이다.
이에 따라 저가의 가압 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가압 롤러{Pressing roller in the image-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착 유니트(fixing un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정착 유니트에 있어서 정착 롤러(fixing roller)와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정착 롤러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pressing roller)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예로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를 들 수 있다.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정착 롤러와 가압 롤러로 구성된 정착 유니트를 갖는다. 상기 정착 유니트는 인쇄 매체에 전사된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융착시킨다.
도 1은 기존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정착 유니트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착 유니트(100)는 자체 또는 별도의 열원에 연결되어 인쇄지(P)에 형성된 토너 화상(T)에 열을 가하는 정착 롤러(10)와 상기 정착 롤러(10)와 대항되게 설치되어 정착 롤러(10)를 가압하여 일정한 접촉면(nip)을 형성하고, 접촉면을 통과하는 인쇄지(P)에 형성된 토너 화상(T)을 융착시키는 가압롤러(20)로 구성된다.
가압 롤러(20)는 샤프트(21)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압 부재(23)와 가압 부재(23)의 표면을 덮은 이형층(22)이 마련되어 있다. 이형층(22)은 테프론(Teflon) 등으로 코팅(coating)되거나 또는 튜브(tube) 형상이 씌워져 형성되는 것이다. 이 이형층(22)은 인쇄지(P)에 형성된 토너 형상(T)이 가압롤러(20)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가압 롤러(20)의 양측 샤프트(21) 하단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가압 수단(24)에 의해 가압 롤러(20)는 정착 롤러(10)쪽으로 가압된다. 가압롤러(20)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이므로, 화상 정착력과 인쇄지 이송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정착 롤러(10)에 접촉되어 가압되면, 정착 롤러(10)의 표면과 인쇄지(P)와의 접촉면(nip)을 넓게 하면서 탄성이 변형된다. 가압 수단(24)은 가압 롤러(20)와 정착 롤러(10)간에 일정한 접촉압을 유지시켜 준다.
즉, 정착 롤러(10)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압 롤러(20)는 정착 롤러(10)와 접촉하면서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정착 롤러(10)와 가압 롤러(20)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한 접촉면(nip)에 토너 화상(T)이 형성된 인쇄지(P)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토너 화상(T)은 정착 롤러(10)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가압 롤러(20)로부터 압력(D)을 받아 인쇄지(P)에 융착된다.
이와 같이 정착 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가압 롤러(20)의 가압 부재(23)는 탄성력을 가진 실리콘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리콘은 가격이 상당히 비싸, 화상형성장치의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유니트에 있어서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를 사용하지 않는 속이 빈 쉘 타입(Hollow shell type)의 가압 부재로 이루어진 가압 롤러(pressing roller)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유니트에 있어서 탄성과 내열성을 갖는 플라스틱체를 이용한 쉘(shell)타입의 가압 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유니트에 있어서 회전축에서 스프링 력(spring force)을 발생시켜 정착 롤러와의 접촉면에 대항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탄성력과 내열성을 갖는 쉘 타입의 플라스틱체로 구성된 가압 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유니트에 구비된 가압 롤러는, 속이 빈 쉘 타입의 원통형상 탄성체;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회전을 위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회전축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 양 끝단 개구부의 제 1 소정 구간에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 내면 사이에 설치된 좌우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베어링은 상호 독립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상의 탄성체는 열적으로 안정된 플라스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상의 탄성체는 이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베어링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상기 정착롤러와 대항하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 면중 상기 좌우 베어링과 접촉되어 있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면과 함께 압력 방향에 따라 경사진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정착 롤러에 대항하여 상기 가압 롤러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상기 좌우 베어링이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중심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상기 탄성체 양 끝단 개구부의 제 2 소정 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양 끝단의 제 2 소정 구간에 설치된 샤프트는 상호 독립적인 형태를 갖고, 스틸계열인 것이 바람직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양 끝단 밖으로 돌출된 샤프트를 각각 지지하는 좌우 지지부재, 상기 좌우 지지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좌우 가압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정착 롤러를 가압할 수 있는 압력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원통형상의 스틸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베어링과 접촉되는 면의 일부가 평평한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서로 대항하는 측면이 평평한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지의 두께에 관계없이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간의 접촉면에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좌우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모바일 베어링을 더 설치하고, 상기 모바일 베어링을 상기 샤프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베어링은 상기 용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샤프트의 중심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인쇄지의 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샤프트의 끝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탄성력을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좌우 베어링으로 지지되지 않는 상기 원통형상의 탄성체 내부 구간에 존재하는 샤프트에 끼워진 탄성체와 상기 모바일 베어링이 연동하여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탄성력을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는 양 끝단에 상기 모바일 베어링이 샤프트 끝단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지지대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양 끝단 밖으로 돌출된 샤프트를 각각 지지하는 좌우 지지부재, 상기 좌우 지지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좌우 가압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정착 롤러를 가압할 수 있는 압력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지의 두께에 관계없이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간의 접촉면에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좌우 베어링중 한쪽은 고정시키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한쪽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모바일 베어링을 더 설치하고, 상기 모바일 베어링을 상기 샤프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는 이형성을 위하여 테프론계에 의해 표면이 코팅되거나 튜빙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기존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정착 유니트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압 롤러와 정착 롤러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압 롤러와 정착 롤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압 롤러와 정착 롤러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압 롤러와 정착 롤러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압 롤러와 정착 롤러에 대한 정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압 롤러와 정착 롤러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가압 롤러(210)는 정착 롤러(201)와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정착 롤러(201)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롤러(210)는 속이 빈 쉘 타입(hollow shell type) 원통형상 플라스틱체(211), 상기 원통형상 플라스틱체(211)의 양 끝단의 개구부의 일부 구간에 상호 독립적으로 설치된 좌우 샤프트(213, 213'), 상기 좌우 샤프트(213, 213')를 상기 가압 롤러(210)의 회전축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상 플라스틱체(211)와 좌 샤프트(213)사이 및 원통형상 플라스틱체(211)와 우 샤프트(213')사이에 각각 좌우 베어링(212, 2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 롤러(210)는 정착 롤러(201)와 접촉하여 회전할 때 가압 롤러(21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좌우 샤프트(213, 213') 하단과 좌우 측면을 감싼 형태로 설치된 좌우 지지부재(214, 214') 및 가압 롤러(210)가 회전할 때, 하측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롤러(210)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 지지부재(214, 214')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좌우 가압 스프링(215, 215')에 의해 장착 롤러(201)를 가압할 수 있는 압력이 발생된다.
상기 원통형상 플라스틱체(211)는 열적으로 안정되고(thermostable)(또는 내열성)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체로서, 표면은 토너 화상이 붙는 것을 방지하는 이형성을 갖는다. 또는 상기 원통형상의 플라스틱체(211)는 상기 이형성을 위하여 테프론으로 코딩되거나 튜브형상이 표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샤프트(213, 2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구조의 짧은스틸을 이용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좌우 베어링(212, 212')은 실리콘(silicon)으로 이루어져, 열적으로 안정되고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따라서, 가압 롤러(210)가 정착 롤러(201)와 접촉되어 회전할 때, 상기 좌우 베어링(212, 212')의 상부측(216)은 원통형상 플라스틱체(211)의 해당 면과 함께 압력방향에 따라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하여 가압 롤러(210)로 압력이 가해질 때, 좌우 베어링(212, 212')과 좌우 샤프트(213, 213')가 가압 롤러(210)의 중심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측(216)은 상기 정착 롤러(201)와 대항하는 원통형상 플라스틱체(211) 면중에서 상기 좌우 베어링(212, 212')과 접촉되어 있는 원통형상 플라스틱체 면에 접촉되어 있는 좌우 베어링이다.
상기 좌우 지지부재(214, 2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샤프트(214, 214')의 하면에만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압 롤러와 정착 롤러의 정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압 롤러와 정착 롤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압 롤러(410)는 속이 빈 쉘 타입(hollow shell type)의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 상기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의 중심 회전축으로 설치되는 원통 구조의 샤프트(4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 롤러(410)는 상기 샤프트(412)를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의 중심 축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의양 끝단의 개구부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샤프트(412)와 상기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 사이에 끼워진 좌우 베어링(413, 413'), 좌측 베어링(413)과 샤프트(412) 사이 및 우측 베어링(413')과 샤프트(412)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가압 롤러(410)를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압 롤러(410)가 접촉면(nip)에 대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410)는 상기 좌우 베어링(413. 413')이 지지하지 않는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 내부 구간에 존재하는 상기 샤프트(412)에 끼워져 상기 모바일 베어링(414, 414')과 연동하여 스프링 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416) 및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좌우 지지대(418, 41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가압 롤러(410)가 장착 롤러(401)와 접촉하여 회전할 때 가압 롤러(41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좌우로 돌출된 샤프트(412)의 하단에 설치된 좌우 지지부재(419, 419'), 좌우로 돌출된 샤프트(412)의 하측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롤러(410)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 지지부재(419, 419')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좌우 가압 스프링(420, 420')에 의해 가압 롤러(410)는 장착 롤러(401)를 가압할 수 있는 압력이 발생된다.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는 도 2에 도시된 가압 롤러(210)의 원통형상 플라스틱체(211)와 같은 특성을 갖는다.
샤프트(412)는 원통형 구조의 하나의 스틸로 이루어지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베어링(413, 413')이 지지하는 부분은 양 측면이 평평한면(flat spot)(415)을 갖는다. 상기 양 측면은 서로 대항하는 측면이다. 이는 가압 롤러(410)의 회전으로 샤프트(412)와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 및 좌우 베어링(413, 413')이 동시에 회전할 때, 샤프트(412),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 및 좌우 베어링(413, 413')이 헛돌지 않도록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좌우 베어링(413, 413')은 도 2에 도시된 좌우 베어링(212, 212')과 같이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열적으로 안정되고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따라서 가압 롤러(410)와 정착 롤러(401)가 회전할 때, 상기 좌우 베어링(412, 412')의 상부측(417)은 접촉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플라스틱체(411) 면과 함께 압력방향에 따라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부측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로 인하여 가압 롤러(410)로 압력이 가해질 때, 좌우 베어링(412, 412')이 가압 롤러(210)의 중심방향(또는 샤프트(412)의 중심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높은 윤활성 및 높은 강도를 갖는 수지계열 또는 테프론 계열로 이루어진다.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은 정착 롤러(401)와 가압 롤러(410) 사이 접속면(nip)를 통과하는 인쇄지(P)의 두께에 따라 샤프트(412)의 중심쪽으로 이동하거나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인쇄지(P)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은 샤프트(412)의 중심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인쇄지(P)의 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은 샤프트(412)의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416)은 압축되거나 팽창되어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에 대한 스프링 력이 발생된다. 이 스프링 력에 의해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의 탄성이 변형되면서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가 정착 롤러(401)와의 접촉면(nip)에 대해 균일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 때,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412)의 바깥쪽으로 이동할 때,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의 양 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대(418, 418')에 의해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상기 스프링(416)은 일정한 탄성력을 가진 것으로, 좌우 베어링(413, 413')이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의 중심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가압 롤러(410)는 속이 빈 쉘 타입의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 내부에 존재하는 스프링(416)과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에 의해 발생되는 스프링 력과 좌우 가압 스프링(419, 419')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pressure)에 대해 벡터 값을 갖는 탄성력(Felast)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다. 상기 탄성력에 의해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의 탄성이 변형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는 어떠한 두께의 인쇄지(P)가 인쇄되어도 정착 롤러(401)와의 접촉면(nip)에 대한 원통형상 플라스틱체(411)의 압력(P)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좌우 지지부재(419, 419')는 좌우로 돌출된 샤프트(412)의 끝단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지지부재(214)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 상기 좌우로 돌출된 샤프트(412)는 평평한 면(flat spot)이 존재하지 않는 원통 구조를 갖는다.
도 4 및 도 5는 좌우 베어링(413, 413')에 좌우 모바일 베어링(414, 414')을 각각 설치하여 양쪽으로 속이 빈 쉘 타입의 원통형상의 플라스틱체(411)를 양쪽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모바일 베어링을 좌측 또는 우측에만 설치하고, 다른 한쪽은 고정시켜 한쪽만 샤프트방향의 스프링 력이 발생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장치에 구비되는 가압 롤러를 실리콘 러버(rubber)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과 내열성을 갖는 플라스틱체를 이용한 쉘 타입 원통형상으로 제작하고, 원통 형상의 플라스틱체의 양 끝단 개구부의 일부 구간에 회전용 샤프트와 실리콘 베어링을 설치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저가의 가압 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압 부재로 인한 재료비를 절감한 가압 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속이 빈 쉘 타입의 원통형상의 플라스틱체의 회전축에서 스프링력이 발생되도록 구현하여 인쇄지의 두께와 관계없이 장착 롤러와의 접촉면에서 항상 균일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롤러를 구현함으로써, 저가이면서 원활하게 회전되는 가압 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

Claims (20)

  1. 정착 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정착 롤러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에 있어서,
    속이 빈 쉘 타입의 원통형상 탄성체;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회전을 위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회전축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 양 끝단 개구부의 제 1 소정 구간에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 내면 사이에 설치된 좌우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베어링은 상호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의 탄성체는 플라스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의 탄성체는 열적으로 안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의 탄성체는 이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베어링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상기 정착롤러와 대항하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 면중 상기 좌우 베어링과 접촉되어 있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면과 함께 압력 방향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정착 롤러에 대항하여 상기 가압 롤러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상기 좌우 베어링이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중심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베어링과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면은 경사진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탄성체 양 끝단 개구부의 제 2 소정 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양 끝단의 제 2 소정 구간에 설치된 샤프트는 상호 독립적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스틸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양 끝단 밖으로 돌출된 샤프트를 각각 지지하는 좌우 지지부재, 상기 좌우 지지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좌우 가압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정착 롤러를 가압할 수 있는 압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원통형상의 스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좌우 베어링과 접촉되는 면의 일부가 평평한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서로 대항하는 측면이 평평한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지의 두께에 관계없이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간의 접촉면에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좌우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모바일 베어링을 더 설치하고, 상기 모바일 베어링을 상기 샤프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베어링은 상기 용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샤프트의 중심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인쇄지의 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샤프트의 끝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탄성력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좌우 베어링으로 지지되지 않는 상기 원통형상의 탄성체 내부 구간에 존재하는 샤프트에 끼워진 탄성체와 상기 모바일 베어링이 연동하여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탄성력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는 양 끝단에 상기 모바일 베어링이 샤프트 끝단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지지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의 양 끝단 밖으로 돌출된 샤프트를 각각 지지하는 좌우 지지부재, 상기 좌우 지지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좌우 가압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정착 롤러를 가압할 수 있는 압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지의 두께에 관계없이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정착 롤러간의 접촉면에서의 압력을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좌우 베어링중 한쪽은 고정시키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한쪽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모바일 베어링을 더 설치하고, 상기 모바일 베어링을 상기 샤프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탄성체는 이형성을 위하여 테프론계에 의해 표면이 코팅되거나 튜빙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KR10-2003-0005922A 2003-01-29 2003-01-29 화상형성장치의 가압 롤러 KR10045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922A KR100457542B1 (ko) 2003-01-29 2003-01-29 화상형성장치의 가압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922A KR100457542B1 (ko) 2003-01-29 2003-01-29 화상형성장치의 가압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501A true KR20040069501A (ko) 2004-08-06
KR100457542B1 KR100457542B1 (ko) 2004-11-17

Family

ID=3735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922A KR100457542B1 (ko) 2003-01-29 2003-01-29 화상형성장치의 가압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5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542B1 (ko)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5726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US4984027A (en) Fusing apparatus with solid elastomeric fuser roller
US8526870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4905050A (en) Fusing apparatus having axially unsupported fuser roller
JP2009258336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78505A (ja) 画像形成装置
US20110052235A1 (en) Apparatuses useful in printing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surfaces in apparatuses useful in printing
US20070122215A1 (en) Fix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8489006B2 (en) Externally heated fuser device with extended nip width
US7583923B2 (en) Bearing structure and fu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bearing structure
JP2021096402A (ja) 定着装置
KR100457542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가압 롤러
CN110809676A (zh) 弹性辊
US5655202A (en) Fixing apparatus and fixing method using the same
US7657216B2 (en) Fix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5809389A (en) Fix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device
US5486908A (en) Fixing unit having heating roller and pressure roller
JP2006225130A (ja) 無端ベルト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定着装置
JP4463736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1005323A (ja) 画像形成装置に使用されるオイル塗布ローラ
KR100727941B1 (ko) 정착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H0224687A (ja) 定着装置
US6839538B1 (en) Fuser rolle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KR100694129B1 (ko) 정착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01356628A (ja) 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