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137A - 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 Google Patents

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137A
KR20040069137A KR1020030005591A KR20030005591A KR20040069137A KR 20040069137 A KR20040069137 A KR 20040069137A KR 1020030005591 A KR1020030005591 A KR 1020030005591A KR 20030005591 A KR20030005591 A KR 20030005591A KR 20040069137 A KR20040069137 A KR 2004006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zzer
power
volum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88613B1 (en
Inventor
손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613B1/en
Publication of KR2004006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1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613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volume adjusting apparatus of a buzzer is provided to reduce additional cost and time and the layout of the entire circuit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buzzer conveniently with modifying the circuit simply without additional circuits. CONSTITUTION: A volume adjusting apparatus of a buzzer is composed of a power applying unit(30) applying power to the buzzer; a power varying unit(40) deciding application of power from the power applying unit to the buzzer, and adjusting the volume of the buzzer by varying driving power to the buzzer; and a driving control unit(50) connecting to the buzzer, and driving the buzzer with the specific frequency by turning on and off the buzzer according to the pulse signal with the predetermined duty. The power applying unit has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end of the buzzer and the power applying unit in series and in parallel, and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sistor in series.

Description

부저의 음량 조절 장치{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본 발명은 부저 음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의 작동 상태 및 불량 발생 여부 등이 사용자에게 소리를 통해 통보되도록 하는 부저의 음량을 별도의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저 음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zzer volume control device, and in particular, a buzzer volume control to easily adjust the volume of the buzzer to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and whether there is a defect, without adding a separate circuit.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터브 내로 급수된 물과 세제의 작용을 이용하여 드럼 내에 수용된 의복, 침구 등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을 통해 세탁물을 세정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washing laundry through a process of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ng to remove contamination from clothes, bedding, and the like accommodated in the drum by using the water and detergent supplied into the tub.

이러한 세탁기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작동 상태 및 불량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부저가 설치되어 있다.In such a washing machine, a plurality of buzzers are installed in order to enable a user to easily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and whether or not a defect occurs.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저(2)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전원(4)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전원(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부저(2)로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10)와, 상기 부저(2)가 일정한 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도록 설정된 듀티(duty)를 가지는 펄스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buzz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nected to a driving power source 4 for driving the buzzer 2 so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driving power source 4 is supplied to the buzzer. And a transistor (Q3) turned on and off by a pulse signal having a duty set so that the buzzer 2 can be driven at a constant frequency.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drive control part 20 which consists of.

여기서, 상기 전원 인가부(10)는 상기 부저(2)를 구동시킬 경우 그에 따른구동 신호가 출력되는 구동 신호단(P1)과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동시에 에미터가 상기 구동 전원(4)에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와 상기 부저(2)의 일단(A) 사이에 직렬 및 병렬 연결되는 저항(R5, R6)과, 상기 부저(2)의 일단(A)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저항(R6)에 직렬 연결되는 캐패시터(C1)와, 상기 부저(2)의 양단(A, A')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7)과,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 Q2)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저항(R1~R4)로 구성된다.Here, the power supply unit 10 is a first transistor (Q1) and the base connected to the drive signal terminal (P1) outputs a drive signal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buzzer (2), the first transistor ( The second transistor Q2, to which the collector and base of Q1) are connected and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ower source 4, the collector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one end A of the buzzer 2, respectively. 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resistors R5 and R6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and a resistor R6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one end A of the buzzer 2 and the collector of the second transistor Q2 ( C1), a resistor R7 connected between the both ends A and A 'of the buzzer 2, and a plurality of resistors R1 to R4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Q1 and Q2. It is composed of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20)는 상기 부저(2)의 타단(A')에 컬렉터가 연결되는 동시에 베이스가 상기 펄스 신호가 출력되는 펄스 신호단(P2)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3) 및 다수개의 저항(R8, R9)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ler 20 may include a transistor Q3 and a plurality of transistors having a collec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A ′ of the buzzer 2 and a base connected to a pulse signal terminal P2 for outputting the pulse signal. It consists of resistors R8 and R9.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저 구동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buzzer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저 구동 회로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신호단(P1)에서 구동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 Q2)가 순차적으로 온되어 상기 구동 전원(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부저(2)로 인가된다.In the buzzer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a driv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driving signal terminal P1,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Q1 and Q2 are sequentially turned on to drive the driving signal.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4 is applied to the buzzer 2.

여기서, 상기 구동 전원(4)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와 부저(2)의 일단(A)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를 충전시키게 된다.Here, the power applied from the driving power source 4 charges the capacitor C1 connected between the collector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one end A of the buzzer 2.

이때, 상기 구동 신호단(P1)에서 구동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펄스 신호단(P2)에서 설정된 듀티를 가지는 펄스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펄스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 제어부(20)의 트랜지스터(Q3)가 주기적으로 온/오프되어 상기 부저(2)가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며 구동되도록 한다.At this time, a pulse signal having a duty set at the pulse signal terminal P2 is output while the drive signal is output at the driving signal terminal P1, and the transistor Q3 of the driving controller 20 is output by the pulse signal. Is periodically turned on / off to allow the buzzer 2 to be driven at a constant frequency.

한편, 상기 구동 신호단(P1)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설정 시간(t1) 경과후 제거될 경우 상기 펄스 신호단(P2)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소정 시간(t2)이 지연된 후 오프되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패시터(C1)가 방전을 시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부저(2)가 부드러운 음을 가지며 음량이 점차 작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drive signal stage P1 is removed after the set time t1 has elapsed, if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signal stage P2 is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t2 is delayed, FIG. As shown in FIG. 3, the capacitor C1 starts to discharge, and accordingly, the buzzer 2 has a soft sound and the volume gradually decreas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저 구동 회로는 상기 전원 인가부(10)에 포함된 캐패시터(C1)를 통하여 상기 부저(2)가 부드러운 음을 가지며 음량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는 것은 가능한 반면, 상기 부저(2)의 음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uzzer driving circui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for the buzzer 2 to have a soft sound and gradually decrease in volume through the capacitor C1 included in the power applying unit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2) cannot be adjusted.

또한, 상기 부저(2)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회로가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circuit must be added to adjust the volume of the buzzer 2,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is increas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저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 간단한 회로 변경을 통하여 상기 부저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되는 회로로 인해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감소될 수 있는 부저의 음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which is added to enable the volume of the buzzer to be adjusted through a simple circuit change without adding a separate circuit to adjust the volume of the buzzer It is to provide a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buzzer that can reduce the cost and time required by the circuit.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저 구동 회로가 도시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buzzer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도 1 의 구동 신호단 및 펄스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도시된 도면,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waveforms of signals output from the driving signal stage and the pulse signal stage of FIG. 1;

도 3 은 도 1 의 전압 인가부에 포함된 캐패시터의 충,방전 상태가 도시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 of a capacitor included in the voltage applying unit of FIG. 1;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저의 음량 조절 장치가 도시된 도면,4 is a view showing a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buz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 는 도 4 의 구동 신호단 및 펄스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도시된 도면,5A and 5B illustrate waveforms of signals output from the driving signal stage and the pulse signal stage of FIG. 4;

도 6 은 도 4 의 전압 인가부에 포함된 캐패시터의 충,방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 of a capacitor included in the voltage applying unit of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6: 부저 8: 구동 전원6: buzzer 8: driving power

30: 전원 인가부 40: 전원 가변부30: power supply unit 40: power supply variable unit

50: 구동 제어부 P1': 구동 신호단50: drive control unit P1 ': drive signal stage

P2': 펄스 신호단P2 ': pulse signal stag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저의 음량 조절 장치는 부부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상기 부저로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와, 상기 전원 인가부의 전원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동시에 상기 부저로 인가되는 전원을 가변시켜 상기 부저의 음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전원 가변부와, 상기 부저와 연결되며 일정한 듀티를 가지는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부저가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부저가 일정한 주파수로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buz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the power for driving the coupler to the buzzer,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is applied to the buzzer at the same time A variable power to adjust the volume of the buzzer to adjust the volume of the buzzer and the buzzer to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 pulse signal connected to the buzzer and having a constant duty to drive the buzzer at a constant frequenc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부저의 음량 조절 장치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저(6)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상기 부저(6)로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30)와, 상기 부저(6)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는 구동 전원(8)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 인가부(30)를 통해 부저(6)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부저(6)로 인가되는 전원을 가변시켜 상기 부저(6)의 음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전원 가변부(40)와, 상기 부저(6)가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며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부저(6)와 연결되면 설정된 듀티를 가지는 펄스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트랜지스터(Q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buz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30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buzzer 6 to the buzzer 6, and the buzzer 6. The buzzer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power source 8 to which power for driving is supplied to allow power to be applied to the buzzer 6 through the power applying unit 30 and to change the power applied to the buzzer 6. 6 is turned on / off by the power variable unit 40 to adjust the volume of the control unit and a pulse signal having a set duty when the buzzer 6 is connected to the buzzer 6 so that the buzzer 6 can be driven with a constant frequency. The drive control unit 40 including the transistor Q6 is included.

여기서, 상기 전원 가변부(40)는 양단(B, B')에 저항(R16)이 연결된 상기 부저(6) 구동시 그에 따른 구동 신호가 출력되는 구동 신호단(P1')과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동시에 에미터가 상기 구동 전원(8)과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Q5) 및 다수개의 저항(R10~R13)으로 구성된다.Here, the power variable unit 40 is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drive signal terminal (P1 ') that outputs a drive signal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buzzer 6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R16) at both ends (B, B') A second transistor Q5 and a plurality of resistors R10 to R13 having a first transistor Q4, a collector of the first transistor Q4, and a bas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emitter connected to the driving power source 8. It consists of.

또한, 상기 전원 인가부(30)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와 상기 부저(6)의 일단(B) 사이에 각각 직렬 및 병렬 연결되는 저항(R14, R15)과, 상기 병렬 연결된 저항(R15)와 직렬 연결되는 캐패시터(C2)로 구성되고, 상기 병렬 연결된 저항(R15)과 캐패시터(C2)의 사이와 상기 직렬 연결된 저항(R14)의 일단은 단락되도록 연결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30 includes resistors R14 and R15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between the collector of the second transistor Q5 and one end B of the buzzer 6, respectively, and the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And a capacitor C2 connected in series with R15, and between the parallel connected resistor R15 and the capacitor C2, and one end of the series connected resistor R14 is connected to have a short circuit.

이때, 상기 구동 신호단(P1')은 상기 부저(6)의 음량에 따라 각각 다른 구동 신호가 출력되는데, 상기 부저(6)의 음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경우에는 설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구동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부저(6)의 음량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경우에는 설정된 듀티를 가지는 펄스 형태의 구동 신호가 출력된다. 즉, 상기 캐패시터(C2)는 상기 부저(6)로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 신호가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와 펄스 형태로 출력되는 경우에 대하여 상기 캐패시터(C2)에 충전되는 전압의 크기가 달라지기 되어 상기 부저(6)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driving signal stage P1 ′ outputs different dr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buzzer 6. When the volume of the buzzer 6 is relatively increased, the driving signal is continuously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volume of the buzzer 6 is relatively reduced, a pulse type driving signal having a set duty is output. That is, since the capacitor C2 serves to change the voltage applied to the buzzer 6, the capacitor C2 is charged in the capacitor C2 in the case where the driving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and in the case of the pulse C2.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s changed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buzzer 6 can be varied.

한편, 상기 구동 제어부(50)는 상기 부저(6)의 타단(B')과 컬렉터가 연결되는 동시에 베이스가 설정된 듀티를 가지는 펄스 신호가 출력되는 펄스 신호단(P2')과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6) 및 다수개의 저항(R17, R18)로 구성되어, 상기 펄스 신호단(P2')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듀티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6)가 주기적으로 온/오프되어 상기 부저(6)가 일정한 주파수로 구동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controller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B ') of the buzzer (6) and the transistor (Q6) is connected to the pulse signal terminal (P2') that outputs a pulse signal having a duty set the base at the same time ) And a plurality of resistors R17 and R18, the transistor Q6 is periodically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duty of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signal terminal P2 'so that the buzzer 6 is constant. Allow it to be driven at a frequenc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부저의 음량 조절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buz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부저의 음량 조절 장치의 동작은 먼저, 상기 구동 신호단(P1')으로부터 원하는 상기 부저(6)의 음량에 따라 각각 다른 구동 신호가 출력된다.In the operation of the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buz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ifferent drive signals are output from the drive signal stage P1 'according to the desired volume of the buzzer 6.

우선, 상기 부저(6)의 음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경우에는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신호단(P1')에서는 설정 시간(t1')동안 지속적으로 구동 신호가 출력된다.First, when the volume of the buzzer 6 is relatively increased, as shown in FIG. 5A, the driving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from the driving signal stage P1 ′ for a predetermined time t1 ′.

이때, 상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가변부(40)의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4, Q5)가 온되고, 그에 따라 상기 구동 전원(8)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전원 인가부(30)를 거쳐 부저(6)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부저(6)로 인가되는 동안 상기 전원 인가부(30)에 포함된 캐패시터(C2)에 소정의 전압이 충전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Q4 and Q5 of the power variable part 40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output driving signal, and accordingly, the power supplied by the driving power source 8 is supplied to the power applying unit. It is applied to the buzzer 6 via the 30.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voltage is charged in the capacitor C2 included in the power applying unit 30 while being applied to the buzzer 6.

따라서, 상기 구동 신호가 설정 시간(t1')이 경과되어 제거된 후 상기 펄스 신호를 소정의 시간(t2') 동안 지연시킨 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캐패시터(C2)의 방전으로 인해 상기 부저(6)의 음량이 부드러운 음을 가지며 점차 작아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riving signal is removed after the set time t1 'has elapsed and the pulse signal is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t2' and then removed, the buzzer 6 is discharged due to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C2. ) Volume is soft and gradually decreases.

만일, 상기 부저(6)의 음량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경우에는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신호단(P1`)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설정된 듀티를 가지는 펄스 형태를 가지며 설정 시간(t1')동안 출력되면, 그에 따라 상기 구동 전원(8)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전원 인가부(30)를 거쳐 부저(6)로 인가된다.If the volume of the buzzer 6 is relatively small, as shown in FIG. 5B, the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driving signal terminal P1 ′ has a pulse shape having a set duty and a set time t1. Is output during the period of tim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driving power source 8 is applied to the buzzer 6 via the power applying unit 30.

이때, 상기 구동 신호가 펄스 형태를 가지는 것은 상기 전원 인가부(30)에 포함된 캐패시터(C2)에 충전되는 전압을 낮추기 위함이다. 즉, 상기 부저(6)로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는 상기 캐패시터(C2)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5)와 부저(6)의 일단(B) 사이에 직렬 및 병렬 연결된 저항(R14, R15) 사이와 상기 캐패시터(C2)를 별도로 직접 연결하게 되면, 상기 캐패시터(C2)에 의해 상기 부저(6)로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를 가변시켜 상기 부저(6)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driving signal has a pulse shape in order to lower a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2 included in the power applying unit 30. That is, since the magnitud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buzzer 6 depends on the capacitor C2, a resistor R14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transistor Q5 and one end B of the buzzer 6 is used. When R1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apacitor C2 separately, the volume of the buzzer 6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magnitud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buzzer 6 by the capacitor C2. .

한편, 상기 캐패시터(C2)는 상기 설정 시간(t1') 경과후 상기 펄스 신호단(P2')의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소정 시간(t2') 지연된 후 제거되는 경우 방전되어 상기 부저(6)의 음량이 부드러운 음을 가지며 점차 작아지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pacitor C2 is discharged when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signal terminal P2 'is remov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2' is delayed after the set time t1 'has elapsed. The volume has a soft sound and gradually decreases.

결국, 상기와 같이 부저의 음량 조절 장치는 상기 구동 신호단(P1')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를 각각 다르게 함으로써,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량이 큰 경우(61)와 음량이 작은 경우(62)에 대하여 상기 캐패시터(C2)에 충전되는 전압을 가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부저(6)로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부저(6)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buzzer differs from the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driving signal stage P1 ′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volume is large (61) and the volume is small (62) as shown in FIG. ),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2 can be varied, and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buzzer 6 can be varied, so that the volume of the buzzer 6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부저의 음량 조절 장치는 부저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 간단한 회로 변경을 통해 부저의 음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추가되는 회로로 인해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The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buz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circuit added separately becaus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volume of the buzzer through a simple circuit change without adding a separate circuit to adjust the volume of the buzzer. This reduces the cost and time required.

또한, 별도의 회로가 추가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 회로의 레이 아웃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circuit is not added, the layout of the entire circuit is reduced.

Claims (4)

부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상기 부저로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와,A power applying unit for a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buzzer to the buzzer; 상기 전원 인가부의 전원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동시에 상기 부저로 인가되는 전원을 가변시켜 상기 부저의 음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전원 가변부와,A power varying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o apply power to the power applying unit and at the same time varies the power applied to the buzzer to adjust the volume of the buzzer; 상기 부저와 연결되며 일정한 듀티를 가지는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부저가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부저가 일정한 주파수로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저 음량 조절 장치.And a driv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buzzer to enable the buzzer to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 pulse signal having a constant duty so that the buzzer is driven at a constant frequenc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 인가부는 상기 부저의 일단과 상기 전원 가변부 사이에 각각 직렬 및 병렬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병렬 연결되는 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캐패시터로 구성되고,The power applying unit is composed of a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between the one end of the buzzer and the power variable unit, respectively,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상기 병렬 연결된 저항과 캐패시터 사이와 상기 직렬 연결된 저항의 일단은 단락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저 음량 조절 장치.Buzzer volum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etween the parallel connected resistor and the capacitor and one end of the series connected resistor is short-circui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원 가변부는 상기 구동 전원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트랜지스터 및 저항과, 상기 부저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키는 구동 신호가 출력되는 구동 신호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power variabl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istors and resistors connected to the driving power, and a driving signal stage for outputting a driving signal for turning on / off the plurality of transistors according to whether the buzzer is driven or not, 상기 구동 신호단은 상기 부저의 음량에 따라 설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거나 일정한 듀티를 가지는 펄스 형태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저 음량 조절 장치.The driving signal stage is a buzzer volum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continuously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in the form of a pulse having a constant duty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buzz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구동 신호단은 상기 부저의 음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경우 설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인가되고, 상기 부저의 음량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경우 상기 설정 시간동안 일정한 듀티를 가지는 펄스 형태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저 음량 조절 장치.The driving signal terminal is continuously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volume of the buzzer is relatively increased, and is applied in the form of a pulse having a constant duty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when the volume of the buzzer is relatively small. Buzzer volume control device.
KR1020030005591A 2003-01-28 2003-01-28 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KR100988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91A KR100988613B1 (en) 2003-01-28 2003-01-28 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91A KR100988613B1 (en) 2003-01-28 2003-01-28 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137A true KR20040069137A (en) 2004-08-04
KR100988613B1 KR100988613B1 (en) 2010-10-18

Family

ID=3735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91A KR100988613B1 (en) 2003-01-28 2003-01-28 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61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1531A (en) * 2014-12-22 2015-04-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Air conditioner and 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in air conditioner
CN104916277A (en) * 2015-06-11 2015-09-16 福建新大陆支付技术有限公司 Volume-adjustable passive magnetoelectric buzzer drive circuit and method
CN105045186A (en) * 2015-08-14 2015-11-1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Buzzer volu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zzer volume by using the same, and household appliance
CN105045185A (en) * 2015-08-14 2015-11-1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Buzzer volu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zzer volume by using the same, and household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385A (en) * 2001-01-04 2002-07-11 송재인 A sound-volume control device of buzz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1531A (en) * 2014-12-22 2015-04-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Air conditioner and 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in air conditioner
CN104916277A (en) * 2015-06-11 2015-09-16 福建新大陆支付技术有限公司 Volume-adjustable passive magnetoelectric buzzer drive circuit and method
CN105045186A (en) * 2015-08-14 2015-11-1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Buzzer volu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zzer volume by using the same, and household appliance
CN105045185A (en) * 2015-08-14 2015-11-1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Buzzer volu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zzer volume by using the same, and househol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613B1 (en)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142B1 (en) Class d amplifier with start-up click noise elimination
JP2007250052A5 (en)
KR0171857B1 (en) The control circuits for power supply
JP4705683B2 (en)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nic components using output signals from a microprocessor
KR10048072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er of a dryer
JPH09289416A (en) Crystal oscillation circuit
KR100988613B1 (en) Volume control device for buzzer
JP2003168963A (e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for charge pump
DE69911376D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OPERATION OF ELECTRONIC CONTROL GEARS FOR DISCHARGE LAMPS OF HIGH INTENSITY
KR1002247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logic device
JP4343416B2 (en) Ultrasonic transducer drive circuit
JP3555002B2 (en) Facsimile machine
KR100459848B1 (en) A multi-channel low frequency curent therapy circuit
JPS583197Y2 (en) alarm control device
JP2776517B2 (en) Semiconductor device
RU2004133341A (en) MEASURING DEVICE FOR PROCESS CONTROL TECHNIQUE WITH A CENTRALIZED ELECTRICAL SUPPLY DEVICE
KR19990018529A (en) Washing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JP4471889B2 (en) Notification sound generator
KR0137425Y1 (en) Power saving microphone
KR950006577B1 (en) Automatic on-off tester of sources of electricity
KR100188009B1 (en) A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apparatus for a pin reduction
JPH05154277A (en) Controller for washing machine
JPH0553667A (en) Voltage level decis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KR20020008862A (en) Power saving circuit when driving relay
JP6425799B2 (en) Buzzer ri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