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637A -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637A
KR20040068637A KR1020030005112A KR20030005112A KR20040068637A KR 20040068637 A KR20040068637 A KR 20040068637A KR 1020030005112 A KR1020030005112 A KR 1020030005112A KR 20030005112 A KR20030005112 A KR 20030005112A KR 20040068637 A KR20040068637 A KR 2004006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rd
electric shock
wire
birds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운영
홍경표
신일택
Original Assignee
박운영
홍경표
신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운영, 홍경표, 신일택 filed Critical 박운영
Priority to KR102003000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8637A/ko
Publication of KR2004006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6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01M29/2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electrified rods, cords or st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까치나 기타 조류가 임의의 장소에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신주의 전선으로부터 공급받은 교류전기를 변환기에 의해 직류전기로 변환하고, 그 직류전기를 조류의 안착지점에 설치된 유도구로 공급하며, 그 유도구에는 조류의 접근시 조류의 발에 의해 자동으로 합선되게 한 도선을 노출 매설함으로서,
조류의 접근시 직류전기가 합선되면서 조류에게 직접적인 전기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 조류에게 공포심을 유발시켜 재접근을 피하게 하므로서 효과적인 조류퇴치가 가능한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Device driving away birds using electric shock}
본 발명은 까치나 기타 조류가 임의의 장소에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직류전기가 공급되는 도선이 노출 삽입된 유도구를 조류가 접근하는 안착점에 설치하여 조류의 접근시 도선의 합선에 의해 조류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므로 조류의 접근 자체를 포기토록 하는 조류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과 생활의 주에너지 공급원인 전기는 대부분 발전소가 외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수요지로의 송전시설물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당수의 다양한 전신주가 산이나 들을 가로지르며 지상에 설치되어 있고 도심지에 들어서서는 지상 혹은 지하통로를 이용해 송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까치 등 대부분의 조류는 둥지를 틀 때 나뭇가지나 전신주 위에 앉아 둥지를 틀게 되는데, 이때 주로 작은 나뭇가지와 진흙을 원료로 사용하지만 가끔 비닐조각이나 전선토막과 같은 도체도 이용한다.
이때문에 조류가 많이 서식하는 산간지방 등 외지에서 합선으로 인한 전기사고가 반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한 수리보수에 막대한 재산상 손실이 뒤따르고 있다.
특히, 까치는 주변환경적응능력이 탁월해서 웬만한 인위적 퇴치장치는 반복경험에 의해 식별하고는 오히려 이를 역이용하기 때문에 원래의 설치목적을 상실케 되는 것이다.
예컨데, 천적의 모형물을 설치한다든지, 특수음을 방송한다든지, 혹은 싫어하는 향이나 빛을 발한다든지 해서 퇴치를 시도할 경우 초기단계에서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반복경험에 의한 식별단계를 거친 후에는 무용지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끝이 뽀족한 침봉을 이용한 퇴치장치 또한 고가의 설치비용에 비해 효과는 미미하며 일부 전기를 이용한 시설물 또한 비나 눈 등 기후조건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고 자석과 풍력을 이용한 시설 또한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마모로 주기적인 부속품 교체가 요구되고, 고온의 기후에 장기간 노출로 인한 변형에 작동불량이 되는 실정이다.
또한, 조류의 배설물이 적재되게 됨에 따른 효력의 감소 내지는 상실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신주의 전선으로부터 공급받은 교류전기를 변환기에 의해 직류전기로 변환하고, 그 직류전기를 조류의 안착지점에 설치된 유도구로 공급하며, 그 유도구에는 조류의 접근시 조류의 발에 의해 자동으로 합선되게 한 도선을 노출 매설함으로서,
조류의 접근시 직류전기가 합선되면서 조류에게 직접적인 전기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 조류에게 공포심을 유발시켜 재접근을 피하게 하므로서 효과적인 조류퇴치가 가능한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조류퇴치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조류퇴치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류퇴치장치에 따른 조류유도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류퇴치장치에 따른 조류유도구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류퇴치장치의 조류유도구에 조류가 접근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조류퇴치장치에 따른 조류유도구의 타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터리 2 : A/D컨버터
3 : 콘트롤박스 4 : 공급전선
5 : 솔레노이드스위치 6 : 광소자스위치
10 : 조류유도구 11,11' : 도선
12 : 몸체 13 : 연결판
14 : 착지구 15,15' : 삽입요홈조
20,20' : 밀폐커버 21 : 콘넥터
30 : 연결전선 31 : 완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그 설치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조류퇴치장치에 따른 조류유도구의 분리사시도이다.
배터리(1)와 A/D컨버터(2)가 내장된 콘트롤박스(3)를,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전선(4)과 노출된 도선(11)(11')을 갖는 조류유도구(10)에 각각 연결형성하고,
조류유도구(10)는 반구형의 몸체(12) 상부에 형성된 연결판(13)에 의해 관체상의 착지구(14)가 형성되고, 그 착지구(14)의 하부 양측 형성된 삽입요홈조(15)(15')에는 봉상의 도선(11)(11')이 노출되게 삽입되며,
전기한 몸체(12)의 양단에는 밀폐커버(20)(20')를 각각 삽입하되, 일측 밀폐커버(20)의 내부에는 전기한 몸체(12)의 도선(11)(11')과 대응되는 양측의 콘넥터(21)가 내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조류유도구(10)는, 반구형의 몸체(12) 상부를 개방형성하고, 이에 연결판(13)에 의해 링상의 착지구(14)를 연결 형성하되, 그 착지구(14)의 하부 내,외측에 각각 삽입요홈조(15)(15')를 형성하여, 이에 링상의 도선(11)(11')을 노출되게 삽입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콘트롤박스(3)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스위치(5)를 내장하여, 이에 의해 배터리(1)의 저전압/과전압시 자동으로 공급전선(4)과의 단속이 제어되게 구성하거나,
그 콘트롤박스(3)의 내부에 광소자스위치(6)를 내장하여, 이에 의해 야간시 자동으로 조류유도구(10)와 연결된 배터리(1)의 전기가 차단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은 연결전선, 31은 완금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까치 등의 조류가 전주의 상부와 같은 임의의 장소에 접근시 앉을 자리를 유도한 후 새가 앉아서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두발로 본 발명 조류유도구(10)의 몸체(12)를 감싸쥐게 될 때 전기적인 합선이 이루어져서 조류의 발을 통해 전기적 충격이 전신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서 조류퇴치의 효과가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조류퇴치장치의 동력크기는 조류에 치명적이지 않을 만한 수준-예컨데 10kV에 8mA정도-으로 하고, 반복경험이 오히려 접근조차 포기토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복합재료로 만든 특수형상의 조류유도구(10)의 몸체(12)에 두개의 도선(11)(11')을 분리 삽입시키고, 이 도선(11)(11')에 공급전선(3)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기를 A/D컨버터(2)로 변환시켜 배터리(1)에 축전시킨 직류전기가 흐르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필요시 부수적으로 광소자스위치(6)를 콘트롤박스(3) 내에 설치하여 조류의 활동이 중단되는 야간에는 아예 배터리(1)와 도선(11)(11') 간을 서로 단절시켜 안정성과 에너지 효율을 높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충격빈도(방전)가 많아짐에 따라 배터리(1)의 축전압이 낮아질 경우에는 솔레노이드스위치(5)가 자동으로 작동해서 에너지원인 공급전선(4)으로부터 재충전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므로서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류유도구(10)의 몸체(12)는 표면이 눈이나 비에 젖지 않도록 반친수성이며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한 유연성 있는 복합재료(예를 들어 연질의 합성수지나 유리섬유)로 제작하며, 도선(11)(11')을 삽입한 상태로 압출 형성하거나 몸체만 성형한 후 도선을 끼워 넣을 수도 있게 하며, 몸체(12) 상부의 착지구(14)는 그 지름을 약 1.5cm 정도면 충분하고, 접착제 혹은 나사를 이용하여 그 조류유도구(10)를 전주의 완금(31) 등 설치장소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각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전선(4)으로부터 인출된 교류전기를 콘트롤박스(3)에 내장된 A/D컨버터(2)와연결하고, 그 A/D컨버터(2)는 배터리(1)와 연결되어 변환된 직류전기를 조류유도구(10)의 도선(11)(11')과 연결전선(30)에 의해 연결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된 도선(11)(11')은 착지구(14)의 하부 양단에 각각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서, 눈이나 비가 오더라도 합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조류유도구(10)의 몸체(12) 양단에는 그 몸체(12)를 밀폐하고 전기한 도선(11)(11')과 콘트롤박스(3)를 서로 전원 연결하기 위한 밀폐커버(20)(20')가 삽입되어 있는데, 그 일측 밀폐커버(20)의 내부에는 전기한 도선(11)(11')과 대응되는 콘넥터(21)가 형성되어 있어, 그 밀폐커버(20)를 몸체(12)에 밀착 결합하면 콘넥터(21)에 의해 연결전선(30)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기를 그 도선(11)(11')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완금(31)의 상부에 고정된 조류유도구(10)의 착지구(14)에 까치 등의 조류가 앉게 되면, 두 발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그 착지구(14)를 감싸 쥐게 되는데, 이때 조류의 발이 양측으로 분리된 두 도선(11)(11')을 서로 합선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조류에게는 순간적인 전기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충격은 조류에게 치명적이지 않을 정도의 전류만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반복경험에 의해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조류의 생태계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이 조류의 연속적인 착지에 의해 배터리(1)의 축전량이감소하게 되면 이를 솔레노이드스위치(5)의 반응에 의해 전기한 공급전선(4)으로부터 전기를 재공급받아 배터리(1)의 축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과충전시 솔레노이드스위치(5)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전선(4)과의 전기적인 교류가 단락되게 하여 과열 및 손상을 방지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조류퇴치장치는 야간에는 조류의 접근이 거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일몰후 조도를 인지하여 조류유도구(10)의 도선(11)(11')에 공급되는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광소자스위치(6)를 콘트롤박스(3)에 별도로 내장함으로서, 조류의 접근이 없는 야간에는 그 조류퇴지장치가 작동하지 않게 함으로서 안정성 및 불필요한 전기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을 기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조류유도구(10)의 형상을 반구형의 몸체(12) 상부에 링상의 착지구(14)가 형성된 상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한 것인데, 이때에는 반구형의 몸체(12) 상부를 개방 형성하고, 이에 별도의 연결판(13)에 의해 링상의 착지구(14)를 연결 형성하면 되는 것이며, 전기한 링상의 착지구(14)의 하부 내,외측에 형성된 삽입요홈조(15)(15')에는 각각 링상의 도선(11)(11')을 노출되게 삽입하여,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류의 발에 의해 두개의 도선이 합선되면 순간적으로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도선(1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3) 내의 배터리(1)와 연결전선(30)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조류가 둥지를 틀기 위해 접근을 시도하는 경우 앉을 자리를 인위적으로 유도하고, 앉은 후 몸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두 발로 본 발명의조류유도구(10)를 감싸쥐게 되면 전기합선이 발생하고 조류의 두 발을 통해 일정 크기의 전기충격이 몸에 가해지게 되어 조류가 놀라 도망가도록 함으로서 조류퇴치효과를 내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반복경험에 의한 친숙도를 증가시키는 여타의 퇴치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의 경우에는 반복에 의한 고통을 배가시키게 되어 접근 자체를 포기하거나 아예 그 부근에서 종적을 감추는 극단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조류의 접근시 직류전기가 합선되면서 조류에게 직접적인 전기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 조류에게 공포심을 유발시켜 재접근을 피하게 하므로서, 친환경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조류퇴치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5)

  1. 배터리(1)와 A/D컨버터(2)가 내장된 콘트롤박스(3)를,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전선(4)과, 외부로 노출된 도선(11)(11')을 갖는 조류유도구(10)에 별도의 연결전선(30)에 의해 각각 연결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조류유도구(10)는, 단면상 반구형의 몸체(12) 상부에 형성된 연결판(13)에 의해 관체상의 착지구(14)가 형성되고, 그 착지구(14)의 하부 양측 형성된 삽입요홈조(15)(15')에는 봉상의 도선(11)(11')이 노출되게 삽입하고,
    전기한 몸체(12)의 양단에는 밀폐커버(20)(20')를 각각 삽입하되, 일측 밀폐커버(20)의 내부에는 전기한 몸체(12)의 도선(11)(11')과 대응되는 양측의 콘넥터(21)가 내장되어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조류유도구(10)는, 반구형의 몸체(12) 상부를 개방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연결판(13)에 의해 링상의 착지구(14)를 연결 형성하되, 그 착지구(14)의 하부 내,외측에 각각 삽입요홈조(15)(15')를 형성하여, 이에 링상의 도선(11)(11')을 노출되게 삽입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박스(3)의 내부에 별도의 솔레노이드스위치(5)를 내장하여, 이에 의해 배터리(1)의 저전압/과전압시 자동으로 공급전선(4)과의 단속이 제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박스(3)의 내부에 별도의 광소자스위치(6)를 내장하여, 이에 의해 야간시 자동으로 조류유도구(10)와 연결된 배터리(1)의 전기가 차단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KR1020030005112A 2003-01-27 2003-01-27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KR20040068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112A KR20040068637A (ko) 2003-01-27 2003-01-27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112A KR20040068637A (ko) 2003-01-27 2003-01-27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509U Division KR200311692Y1 (ko) 2003-01-27 2003-01-27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637A true KR20040068637A (ko) 2004-08-02

Family

ID=3735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112A KR20040068637A (ko) 2003-01-27 2003-01-27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86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79A (ko) 2018-11-05 2020-05-13 한국전력공사 조류 착지 방지용 가공지선 지지대 구조체
KR102252890B1 (ko) 2020-12-22 2021-05-24 김기태 까치퇴치장치
CN115152736A (zh) * 2022-06-27 2022-10-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汶上县供电公司 一种电击驱鸟装置
KR2022015716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한빛안전기술단 스위치 회로가 구비된 고전압 충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79A (ko) 2018-11-05 2020-05-13 한국전력공사 조류 착지 방지용 가공지선 지지대 구조체
KR102252890B1 (ko) 2020-12-22 2021-05-24 김기태 까치퇴치장치
KR2022015716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한빛안전기술단 스위치 회로가 구비된 고전압 충격장치
CN115152736A (zh) * 2022-06-27 2022-10-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汶上县供电公司 一种电击驱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505A (en) Portable electronic insect controller
ATE245305T1 (de) Geflochtener elektrozaun
CA2458013A1 (en) Artificial miniature landscape model with three dimensionally variable colored leds
US6584933B1 (en) Squirrel-proof bird feeder
CN107251882A (zh) 基于太阳能的多功能杀虫装置
KR20040068637A (ko)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ES2163885T3 (es) Lampara para piscinas y similares.
KR200311692Y1 (ko)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EP2226557B1 (de) Entwässerungs-Baugruppe
KR200324438Y1 (ko) 전원 콘트롤러가 내장된 전기충격식 조류퇴치장치
KR20060109060A (ko) 수목의 뿌리를 이용한 접지장치 및 접지방법
KR102196570B1 (ko)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US20070206393A1 (en) Solar powered decorative product
CN201682916U (zh) 太阳能灭虫装置
CN205726516U (zh) 一种led龙骨灯驱动电源接地保护装置
CN215224168U (zh) 一种白蚁防治设备
CN205124810U (zh) 鱼塘用太阳能灭虫灯
CN215123545U (zh) 一种可智能控制的安全型灭蚊灯
CN216079732U (zh) 一种具有杀虫灭蚊功能的水上照明灯
KR101057135B1 (ko) 전기 목책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KR102256905B1 (ko) 전주용 조류둥지 방지 장치
KR102666589B1 (ko) 두더지 퇴치 장치
CN214430752U (zh) 一种组装式水利工程用灌溉装置
CN210538346U (zh) 一种太阳能式户外灭蚊虫灯
CN210726477U (zh) 一种基于诱杀式太阳能杀虫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