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358A - 선택시에 배경에 또렷하지 않게 존재하는 휴면 gui버튼들 - Google Patents

선택시에 배경에 또렷하지 않게 존재하는 휴면 gui버튼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358A
KR20040068358A KR10-2004-7010168A KR20047010168A KR20040068358A KR 20040068358 A KR20040068358 A KR 20040068358A KR 20047010168 A KR20047010168 A KR 20047010168A KR 20040068358 A KR20040068358 A KR 20040068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bmenu
submenus
representing
gu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사노미에코
람보르네로버트에이.
홀즈하우서리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029,804 external-priority patent/US20030126600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0/092,847 external-priority patent/US20030169299A1/en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6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가 넓은 여러 옵션들 사이에서 항행(navigate)하도록 하는 GUI에 관한 것이다. 보다 많은 어플리케이션들과 및 옵션들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경향에 따라, 거실에 배치된 STB와 유사하게, 직관적이고 친유저적인 방법으로 옵션들을 표시하는 것은 분명해진다. 현재 유저에게 직접적으로 관심있는 유저 옵션들만이 예컨대, TV 스크린상에서 선택 가능하다. 유저는 예컨대, RC 등과 같은 비교적 단순한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옵션들 사이를 항행할 수 있다. 다른 옵션들은 배경에 반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휴지 상태에 있는 것과 유사하다. 예컨대, 입력 장치상의 별도의 버튼으로, 상기 옵션들은 완전히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예컨대 스크린상에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강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 어플리케이션 환경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선택시에 배경에 또렷하지 않게 존재하는 휴면 GUI 버튼들{Dormant GUI buttons reside unobtrusively in the backround upon selection}
STB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많은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SW) 및 유저 선택 가능한 옵션들은 새로운 세대마다 증가되고 있다. 포커스를 갖는 버튼들과 원격 제어 장치(RC)를 사용하여, 유저는 예컨대, 움직이는 하이라이트(highlight)를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옵션들의 수가 늘어감에 따라, 유저는 전체상(overview)을 놓치기 시작한다. 이런 문제는, 단지 장치들이 더해지거나 또는 단절되며 GUI가 그에 따라 변하는 오픈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심각해진다.
본 발명은 셋톱 박스(STB) 및 PC 와 같은 장치들상의 어플리케이션들에 적합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설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5D 및 3D 공간 효과들을 이용하여, 유저 선택 가능 옵션들을 표시 및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입력 장치로서 사용된 원격 제어기의 다이어그램.
도 2는 위치를 안정되게 지각(sensing)하는 몇몇의 구성 요소들을 갖는 GUI 스크린샷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포커스를 잃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GUI 스크린샷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컨텐트가 다루어지는 경우에 GUI 스크린샷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팔레트 툴(palette tool)이 플립 어라운드된 GUI 스크린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강조된 기능 메뉴를 갖는 GUI 스크린샷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약간 깊은 레벨의 유저 옵션들을 갖는 기능 웹 스토어(function Web store)의 GUI 스크린샷을 설명하는 개략도.
본 발명은 증가된 수의 옵션들을 다루며 유저가 옵션들을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해결책들을 제공하는 GUI 설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저가 확장된 기능이 있는 전체상(overview)을 계속 유지하도록하는 선택이 용이한 옵션(easy-to-select option)들을 갖는 유저에게 직관적인(user-intuitive) GUI 설계를 제안한다.
네트워크 장치들 사이의 통신은 네트워크내에서의 STB의 책임일 수 있다. 유저에 의해 지각됨에 따라, 컨텐츠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강조되고 장치 그 자체에 대해서는 덜 강조된다. 즉, 장치 중심이라기보다는 컨텐츠 중심이 된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상의 여러 자원들(resources)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를 서술하는 데이터를 취합하는 것은 이점이 될 수 있다. 데이터는 자원에 관계없이 유저가 컨텐츠로부터 선택 가능하게 하는 단일 메뉴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GUI 설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방법의 이점을 취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한 예시는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서 포함된 미국 특허출원 US S/N 09/568932(대리인 사건 정리 번호 US 000106)호에 개시된다.
컨텐트의 의인화(personalization) 및 그 문맥상의 필터링은 일반적으로 많이 행해진다. 본 발명의 제안된 GUI는 컨텐트 구동 어플리케이션들을 고려하여 개발되어 왔다.
본 발명의 GUI 설계 및 방법을 이용하여, 같은 신규의 성분들은 신규로 첨부된 네트워크 장치의 GUI 표현과 같이 상기 GUI에 용이하게 더해질 수 있다. 첨부/분리 장치가 허용되는 네트워크에 대한 SW-프로토콜의 예들은 HAVI, UPnP, 및 Jini이다. 데이터 구동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방법들 및 규칙들은 하나 이상의 장치에 응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유저가 홈 오락 시스템상에서 어떤 음악의 일부분을 듣기를 원한다면, 일반적으로 어느 장치로부터 그것이 발생하는지의 관심은 덜하다. 따라서, 여러 재생 기능들의 그래픽적인 표시는 예컨대, MP3 및 CD 플레이어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상의 오디오-쥬크박스 어플리케이션(audio-jukebox application)을 위한 GUI의 예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 문맥에서 "가상의"라는 용어는 모든 노래들은 유저에게 동일한 오디오-쥬크박스의 일부인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말한다. 실제, 노래들은 CD-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상이한 물리적 장치들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런 플레이어들은 (디지털)네트워크 홈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본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컨텐트의 다양한 형태들(예컨대, 영화 등)을 포함하도록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어플리케이션의 GUI는 본 예에서, 유저가 CD-플레이어와 같은 물리적인 객체와 대화하는 경우에, 유저에게 피드백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물리적인 CD-플레이어의 구체적인 개념은 GUI에서 디지털 정보, 이 경우에는 디지털 오디오의 추상적인 개념과 조합된다. 일상의 메타포(metaphor)(본 예에서, CD들의 스택(stack)이 사용됨)를 선택하는 것은 유용성을 단순화시키고, 매체(본 예에서, 음악), 어플리케이션, 및 유저 사이의 관계를 조직화한다. 그러나, 컨텐트 및 제어는 상이한 소스들(sources)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홈 시스템은 보통 그 네트워크 장치들을 자각하는 특정한 정도(degree)를 가질 것이다.
보통의 텔레비전(TV) 스크린은 시각적인 유저 정보를 공급하는 장치로 여겨진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GUI 스크린샷들은 TV 스크린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본 발명은 웹 패드들 또는 휴대용 장치들의 스크린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크린들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유저는 TV 스크린으로부터 약 7 ~ 10 피트(2 ~ 3 미터) 정도에 보통 위치하기 때문에, GUI 객체들은 컴퓨터 스크린상에서 사용된 것 보다 더 클 필요가 있다. 따라서, 덜 효과적인 공간이 GUI에 대해 사용 가능하고 보다 더 깊은 네비게이션(nevigation) 구성이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GUI는 유저가 전념하는 특정 과제에 대해 관련된 스크린 상에 매우 시각적인 툴들 만으로 설계된다. 유저는 단순한 4방향 원격 제어기(선택을 확인하는 "OK"버튼을 포함)와 가능하다면 텍스트 입력을 위해 다른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예컨대, 물리적 또는 가상의 키보드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풀-플렛지(full-fledge) 키보드 및 마우스가 유저 제어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컴퓨터 환경과 대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GUI 커서를 갖는 조이스틱(joystick), 음성 등에 기초하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들의 유저 제어 수단들에 응용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현재 유저에 대해 관련되어 포커스를 가져야 하는 유저 옵션들에 대해 그래픽적인 강조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문맥에서 포커스를 갖는 유저 옵션들은 예컨대, 유저가 10개의 목록 중에 하나의 노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에 유저의 주의를 현재 필요로 하는 옵션들을 의미한다. 본 예에서, 10개의 노래들은 포커스를 갖고 그래픽적으로 강조된다. 예컨대, 그래픽 디자이너는 보다 높은 컨트라스트, 보다 큰 객체 사이즈 또는 보다 포화된 컬러들을 이용할 수 있거나, 포커스를 갖는 옵션들에 대해 더 많은(예컨대, 문자적인) 정보(또는 상술한 것의 조합)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2.5D 또는 3D 효과들을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관련된 옵션들은 유저에게 그것들을 보다 가까이 나타내기 위해 배경의 팝아웃(pop-out)에 나타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포커스를 갖는 유저 옵션들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플레이(play), 패스트 포워드(fast-forward), 레코드(record), 스톱(stop), 패스트 백워드(fsat-backward)와 같은 오디오에 대한 모든 플레이 관련 옵션들이 있고, 또는 예컨대, 선택될 수 있는 노래들의 목록이 있다. 하나 이상의 유저 옵션들이 동일한 시간에 포커스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GUI에 관한 많은 옵션들 및 버튼들을 다루는 다른 방법은 유저가 소요의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할 때 상기 옵션들 및 버튼들을 예컨대 서브 메뉴로 확장하는 것이다. 서브 메뉴는 본 문맥에서 하나 이상의 유저 선택 가능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메뉴가 하나 이상의 유저 선택 가능 옵션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옵션들은 다른 특정 이유들에 의해 보통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룹화된다. GUI에 대한 옵션들 및 버튼들을 확장하는 이런 방법은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서 포함된 미국 특허출원 US S/N 09/062,364호(대리인 사건 정리 번호 PHA 23,38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유저에 대해 현재 관련되지 않는 유저 옵션들은 GUI에서 덜 또렷하게 보여질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그래픽 디자이너는 낮은 컨트라스트, 작은 객체 사이즈를 사용하거나, 또는 포커스를 갖지 않는 옵션들에 대해 기껏해야 제한적인 추가 정보(예컨대, 적은 문자적인 또는 비 문자적인 설명들을사용하여)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2.5D 또는 3D 효과에 의한 애니메이션들을 이용하여, 그래픽 디자이너는 포커스를 잃은 옵션들이 또렷하지 않도록(unobtrusive)(심지어 옵션들을 숨기도록) 동적인 효과들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일련의 비트맵들을 표시함으로써 생성된 움직임의 시뮬레이션이다. 애니메이션은 유저로 하여금 변화를 유연한 변화로서 인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신규의 레이아웃에 대해 급격히 직면한다는 느낌은 회피된다. 또한, 애니메이션들에 대한 정보는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서 포함된 특허 출원 US S/N 09/128,839호(PHA 대리인 사건 정리 번호 23,469)에 개시된다. 예컨대, GUI는 포커스를 잃은 옵션들의 집합(set)을 갖는 패널(panel)을 갖고, 상이한 옵션들의 집합을 갖는 후측 평면(rear side)이 포커스를 얻도록 플립 어라운드(flip around)한다. 포커스를 잃은 옵션들은 완전히 보이지 않게 되거나, 예컨대, 한정된 사이즈, 낮은 컨트라스트, 배경들과 함께 반투명으로 부분적으로 보이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는 포커스를 잃은 옵션들에 대해 화상 표현(예컨대, 아이콘)을 사용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아이콘은 서브 메뉴의 은유적인 표현(metaphoric representation)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는 포커스를 잃은 옵션들에 대한 표현으로서 배경 기술(background art) 또는 배경 모티브(background motive)를 사용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예에서, 애니메이션은 포커스를 잃은 유저 옵션들을 표시하는 또렷한 방식(prominent manner)과 또렷하지 않은 방식(unobtrusive manner) 사이에서의 변화를 보여주는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저 옵션들을 덜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한 이전에 기술된 기술의 어떠한 조합도 상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포커스를 얻은 유저 옵션들은 배경으로부터 나타나서, 보다 더 커지거나 또는 보다 더 컨트라스트를 얻거나 또는 예컨대, 추가 문자 정보로 보다 더 상세해진다. 옵션들은 이미 GUI상에서 또렷하지 않은 방식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유저는 그들의 존재를 이미 알고 있다. 본 GUI의 다른 장점은, 포커스를 갖는 옵션들은 제한된 스크린 실제 면적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그에 따라, 옵션들을 효과적이며 사용에 용이하게 한다.
반대로, 유저 포커스를 잃은 옵션들은 전경으로부터 배경으로 서브 머징(submerge)할 수 있고, 예컨대, 반투명 등과 같이 된다. 즉, 포커스를 잃은 옵션들은 덜 튀게(less intrusive) 또는 또렷하지 않게(unobtrusive) 된다. 옵션들이 아직까지 배경에서 눈에 보이는 장점은 유저로 하여금 옵션들이 아직까지 다음 단계에서 이용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옵션들이 곧 다시 필요해질 가능성은 많다.
메뉴 옵선들은 포개진 메뉴로, 예컨대, (서브)메뉴들의 계층(hierarchy)으로 분배(distribute) 및 설계된다. 계층의 상이한 레벨들은 유저로 하여금 최고의 포커스 (서브-)메뉴에 집중하도록 하지만, 이전의 메뉴 레벨(및 가능하다면 다음의 메뉴 레벨)은 포커스가 보다 떨어지게 제공되도록 상이한 그래픽적인 방식으로 표현된다.
본 발명은 예시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입력 장치 및 몇몇의 GUI 스크린샷들의 개략도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입력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RC(100)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RC(100)는 직접적인 숫자 입력을 위해, 예컨대, CD 트랙 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숫자 키패드(102)를 포함한다. RC는 커서 제어 키패드(104)(Up, Down, Right, Left) 및 OK 버튼(106)을 더 포함한다. 키패드(104)를 사용하여 유저는 예컨대 원하는 옵션까지 TV 스크린상의 GUI 하이라이트들(highlights) 위를 항행(navigating)할 수 있다. OK 버튼(106)은 원하는 옵션에 도달한 이후에 유저의 선택을 표현하도록 눌려질 수 있다. 유저는 이전의 GUI 스크린 및/또는 유저 옵션(들) 스크린으로의 역항행(navigating back)을 위해, 백(back) 버튼(108)을 사용할 수 있다. 버튼 기능들(button functions)(110)은 유저에 의해 예컨대, 특정한 기능들의 표시를 활성화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TV 스크린상에서 처럼 GUI에 대한 매우 제한된 스크린 영역 때문에, 항상 적어도 전부 드러나지 않고 어떤 기능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운송 컨트롤(112)은 실제로 음악 콜렉션(music collection)을 즐기는데 용이하도록 유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위치를 강하게 지각(sensing)하는 몇몇의 구성 요소들이 있는 GUI 스크린샷(200)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스크린샷(200)의 일부분들은 텍스트 피드백(202), 물리적 앵커(physical anchor)(204), 장르(206), 소유자(208), 팔fp트 툴(210), 및 운송 인디케이터(212)이다.
이런 형태의 인터페이스의 공간적인 제약(즉, 특히 컨텐트는 단일 스크린상에 시각적으로 존재한다) 때문에, 유저가 위치를 강하게 지각하고 그들이 인터페이스의 어디에 있는가에 대해 확실히 지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인 앵커(204) 이외에, 2개의 메인 앵커들이 유저에게 텍스트 피드백(text feedback)(202)(예컨대, 앨범 선택; 마돈나 "Ray of Light")을 공급하도록 GUI 스크린샷(200)에 존재한다. 물리적인 앵커(204)를 사용하여, GUI 디자이너는 유저에게 물리적인 음악 콜렉션의 메타포(CD의 스택은 도시됨)를 보여주려고 한다. CD들이 스택들로부터 선택됨에 따라, 그 타이틀 또는 다른 관련된 정보는 텍스트 피드백(202)처럼 상부 좌측 코너에 표시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의 다른 중요한 구성 요소는 콜렉션(collection)의 소유자(owner)와 음악의 장르 또는 카테고리(예컨대, 락, 재즈, 오페라 등) 사이의 관계의 관리이다. 음악 콜렉션은 소유자에 의해서 그룹들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결과적으로 생긴 뷰들(views)을 부드럽고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음악 콜렉션은 소유자(208)에 의해 설명되는 오너쉽(ownership)에 따라 분류될 수 있지만, 또한 장르(주문된 장르들을 생성할 수 있음)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음악은 많은 기준을 사용하여 분류되지만, 본 예에서는 단지 2가지 형태의 분류 기준이 사용된다. 주목할 점은 음악 콜렉션의 분류는 중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소유자들과 장르들 사이의 관계 때문에, 팔레트 툴(210)은 설명된 예에서 실제로 두개의 면(side)들을 갖는다. 예컨대,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두 면들(sides) 사이의 플립핑(flip)은 시각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저에게 두 면의 존재 및 그에 따른 상기 관계를 강하게 지각하게 한다. 유저는 본 예에서, 소유자로부터 팔레트를 플립핑(flipping)하고 장르 팔레트 면을 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의 다른 중요한 구성 요소는 운송 인디케이터(212)(예컨대, 플레이(play), 중지(pause), 패스트 포워드(fast-forward), 스톱(stop), 및 리와인드(rewind))의 편재(omnipresence)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갖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유저로 하여금 실제로 그들의 음악 콜렉션을 즐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유저들은 항상 음악을 플레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만 한다.
도 3은 포커스를 잃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GUI샷(300)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스크린샷(300)의 일부들은 잃어버린 포커스 팔레트 툴(310), 물리적 앵커(204), 장르(206), 소유자(208), 또렷하지 않은 툴 버튼(306)들, 유저 선택(308), 및 운송 인디케이터(212)이다.
GUI의 특정한 구성 요소들은, 심지어 그들이 특정한 순간에 포커스를 잃어버렸지만, 도움이 되는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특정한 구성 요소들은 유저에 대해 곧 관련되고 또는 곧 포커스를 얻을 수 있다. 매우 한정된 스크린 영역 때문에, 특정 기술들은 유저가 이런 구성 요소들을 지각하고 유지하도록 적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기술들은 예컨대, 2.5D 및 3D 애니메이션 및 GUI 구성 요소들의 이동, 배경에 대한 GUI 구성 요소들의 컨트라스트의 크기 조절 및 변경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GUI 구성 요소들을 그 GUI 스크린 배경의 실재부들(natual parts)로 만들게 제안된 기술이다. 예컨대, 또렷하지 않은 툴 버튼(306)들은 유저가 툴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때까지 배경 및 배경의 실재부에 존재한다. 툴 버튼(306)들은 예컨대, 유저가 그들을 곧 필요로 한다는 것이 예측되기 때문에, 현재 또렷하지 않게 나타난다. 이전에 지적한 바와 같이, 이는 서브 메뉴들의 레이어들을 갖는 계층적인 메뉴의 결과가 될 수 있다. 툴은 다음의 유저 행동들 중의 하나의 행동에서 잘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GUI(200)의 팔레트 툴(210)은, 컨텐트의 경쟁적인 존재(상기는 여기서 보다 우선한다) 때문에, 그 선택 가능한 상태에서 물리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잃어버린 포커스 팔레트 툴(310)에 대한 사이즈 재조정이 이루어진다. 신규의 사이즈 때문에 잃어버린 포커스 팔레트 툴(310)의 버튼들은 더이상 라벨(lable)로 나타나지 않는다. GUI에 대해이용 가능한 자원들에 따라, 툴(210)의 잃어버린 포커스 팔레트 툴(310)로의 변화는 애니메이션 이동 및/또는 동적인 재사이즈 조정 애니메이션으로 달성된다.
도 4는 컨텐트가 플레이되는 경우에, GUI 스크린샷(400)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스크린샷(400)의 부분들은 텍스트 피드백(402), 물리적 앵커(204), 장르(206), 소유자(208), 잃어버린 포커스 팔레트(310), 유저 선택(404), 및 활성 운송 인디케이터(406)이다.
스크린샷(400)에서, 유저에게는 운송 인디케이터(406)로부터 구성 요소를, 본 예에서는 플레이 기능을 강조함으로써 또렷한(unambiguous) 피드백이 주어진다. 텍스트 피드백(402) 및 유저 선택(404)은 유저에게 문자상의 피드백을 제공한다. 스크린샷(400)에서 유저/소유자의 이름은 소유자(208)를 이용하여 도시된다.
도 5는 플립 어라운드된 팔레트 툴이 있는 GUI 스크린샷(500)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스크린샷(500)의 일부분들은 텍스트 피드백(202), 물리적 앵커(204), 장르(206), 소유자(508), 팔레트 툴(510), 및 운송 인디케이터(21)이다.
스크린샷(500)에서, 팔레트 툴(510)은 2개의 면들/뷰들을 갖는다. 그러나, 유저에게 다른 뷰가 존재한다는 일루젼(illusion) 부여하는 것은 중요하다. 스크린샷(500)에서, 상기는 약간 경사진 팔레트 툴(510)을 보여줌으로써 달성된다. 유저에게 다른 뷰들이 존재한다는 일루젼 부여하는 다른 예는 탭들(tabs)(시각화 되지 않음)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팔레트 툴(510)의 하나의 뷰에서 다른 뷰로 변하는 경우에, 유저는 예컨대, 팔레트 툴이 부드럽게 플립핑되는 애니메이션에 의해 다른 면(side)를 알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뷰들의 개수를 보다 많게 하는 것도 역시가능하다.
도 6은 강조된 기능 메뉴를 갖는 GUI 스크린샷(600)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스크린샷(600)의 부분들은 소유자(608), 잃어버린 포커스 팔레트(310), 물리적 앵커(204), 장르(206), 툴 버튼(606), 유저 선택(610), 및 운송 인디케이터(212)이다.
스크린샷(600)에서, 툴 버튼들 중에서 "플레이리스트에 더함" 이란 버튼은 포커스를 얻는다. 상기는 원격 제어기(100)상의 기능들 버튼(110)을 누르는 것과 같은 유저의 행동의 결과일 수 있다. 상기는 툴 버튼(306)들이 현재 반 가시적(semi visiable)이고, 예컨대, 배경 그림 또는 패턴의 일부일 수도 있는 툴 버튼(300)에 대해 대비된다. 스크린샷(600)에서, 유저는 특정한 툴 버튼들이 사용 가능한 명확한 피드백을 얻는다. 예컨대, 툴 버튼들의 콘트라스트는 보다 더 커지고, 현재 포커스를 갖는 버튼은 강조되고 유저는 커서 제어 키패드(104)를 이용하여 상기 버튼들을 브라우징(browse) 할 수 있다.
도 7은 보다 약간 더 깊은 레벨의 유저 옵션들을 갖는 기능 웹 스토어(function Web store)의 GUI 스크린샷(700)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스크린샷(700)의 부분들은 샵 아이템 바(shop items bar)(702), 유사한 샵 이이템(704)들, 웹 스토어 버튼(706), 및 웹 스토어 버튼 서브 메뉴(708)이다.
스크린샷(700)은 "웹-스토어" 버튼이 하이라이트된 경우, 유저가 툴 버튼(606)들 위를 브라우징하고 OK 버튼(106)을 누른 이후에, 다음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유저의 포커스는 이제 아이템 바(702)에서 표시된 상품들로부터 선택하도록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특정한 유저 옵션들은 배경의 반 가시적인 부분들이지만, GUI 스크린샷(700)은 현재 유저의 포커스에 관련된 구성 요소들만을 주로 보여준다.

Claims (12)

  1. 복수의 유저 제어 가능 옵션들(user-controllable options)을 표현하기 위해 GUI를 구비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서브 메뉴들을 포함하고,
    유저는 상기 서브 메뉴들 중의 특정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시에, 상기 특정 서브 메뉴는 또렷한 방식(prominent manner)으로 그래픽으로 표현되고, 다른 서브 메뉴는 또렷하지 않은 방식(unobtrusive manner)으로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또렷하지 않은 방식은 이하의 기술들(techniques),
    배경에 대해서, 상기 특정 서브 메뉴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정도의 반투명도(semi-transparency)로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과,
    보다 낮은 정도의 컨트라스트로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고 보다 높은 정도의 컨트라스트로 상기 특정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과,
    보다 작은 사이즈를 사용하여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고 보다 큰 사이즈로 상기 특정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과,
    보다 적은 세부(details)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고 보다 많은 세목들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또렷하지 않은 방식은,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적어도:
    배경 모티브와,
    배경 그래픽 기술(background graphics art)의 일부로서 표시함으로써 달성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그림으로 나타낸 그래픽적인 표현은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5. 복수의 유저 제어 가능 옵션들을 표현하기 위해, 유저가 GUI와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서브 메뉴들을 포함하고,
    유저는 상기 서브 메뉴들 중의 특정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시에, 상기 특정 서브 메뉴는 또렷한 방식으로 그래픽으로 표현되고, 다른 서브 메뉴는 또렷하지 않은 방식으로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유저가 GUI와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또렷하지 않은 방법은 이하의 기술들,
    배경에 대해서, 상기 특정 서브 메뉴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정도의 반투명도로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과,
    보다 낮은 컨트라스트로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고 보다 높은 정도의 컨트라스트로 상기 특정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과,
    보다 작은 사이즈를 사용하여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고 보다 큰 사이즈로 상기 특정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과,
    보다 적은 세부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고 보다 많은 세부들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유저가 GUI와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또렷하지 않은 방식은,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적어도
    배경 모티브와,
    배경 그래픽 기술의 일부로서 표시함으로써 달성되는, 유저가 GUI와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그림으로 나타낸 그래픽적인 표현은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사용되는, 유저가 GUI와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방법.
  9. 복수의 유저 제어 가능 옵션들을 표시하기 위해 GUI를 표현하기 위한 SW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서브 메뉴들을 포함하고,
    유저는 상기 서브 메뉴들 중의 특정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시에, 상기 특정 서브 메뉴는 또렷한 방식으로 그래픽으로 표현되고, 다른 서브 메뉴는 또렷하지 않은 방식으로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SW 어플리케이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또렷하지 않은 방식은 이하의 기술들,
    배경에 대해서, 상기 특정 서브 메뉴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정도의 반투명도로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과,
    보다 낮은 컨트라스트로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고 보다 높은 컨트라스트로 상기 특정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과,
    보다 작은 사이즈를 사용하여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고 보다 큰 사이즈로 상기 특정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과,
    보다 적은 세부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현하고 보다 많은 세부들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뉴를 표현하는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SW 어플리케이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또렷하지 않은 방법은,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적어도:
    배경 모티브와,
    배경 그래픽 기술의 일부로서 표시함으로써 달성되는, SW 어플리케이션.
  12. 제 9항에 있어서,
    그림으로 나타낸 그래픽적인 표현은 상기 다른 서브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SW 어플리케이션.
KR10-2004-7010168A 2001-12-27 2002-12-23 선택시에 배경에 또렷하지 않게 존재하는 휴면 gui버튼들 KR20040068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29,804 2001-12-27
US10/029,804 US20030126600A1 (en) 2001-12-27 2001-12-27 Smart suggestions for upcoming TV programs
US10/092,847 US20030169299A1 (en) 2002-03-05 2002-03-05 Dormant GUI buttons reside unobtrusively in the background upon selection
US10/092,847 2002-03-05
PCT/IB2002/005709 WO2003060699A2 (en) 2001-12-27 2002-12-23 Dormant gui buttons reside unobtrusively in the background upon sel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358A true KR20040068358A (ko) 2004-07-30

Family

ID=2670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168A KR20040068358A (ko) 2001-12-27 2002-12-23 선택시에 배경에 또렷하지 않게 존재하는 휴면 gui버튼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61690A2 (ko)
JP (1) JP2005515538A (ko)
KR (1) KR20040068358A (ko)
CN (1) CN1316345C (ko)
AU (1) AU2002358239A1 (ko)
WO (1) WO20030606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9113A1 (en) * 2004-04-09 2005-10-13 Alcatel Highlighted objects window
KR20070038104A (ko) 2004-07-12 2007-04-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네비게이션을 지원하는 콘텐츠
US20060294545A1 (en) * 2005-06-23 2006-12-2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media guide listings
KR100835652B1 (ko) 2005-09-07 2008-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편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785486B2 (en) * 2006-04-17 2017-10-10 Edda Technology, Inc. Methods for enabling an application within another independent system/application in medical imaging
US20080271078A1 (en) * 2007-04-30 2008-10-30 Google Inc. Momentary Electronic Program Guide
EP2193451A4 (en) * 2007-08-22 2012-04-25 Proscape Technologies Inc DEFINING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CN105681751A (zh) 2016-01-15 2016-06-15 上海小蚁科技有限公司 用于呈现视频的预览的方法、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0448A (en) * 1995-12-15 1999-09-28 Legal Video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graphically enhanced view of a region of a document image in which the enhanced view is correlated with text derived from the document image
US5956035A (en) * 1997-05-15 1999-09-21 Sony Corporation Menu selection with menu stem and submenu size enlar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6345C (zh) 2007-05-16
WO2003060699A3 (en) 2004-06-03
AU2002358239A8 (en) 2003-07-30
WO2003060699A2 (en) 2003-07-24
CN1608242A (zh) 2005-04-20
JP2005515538A (ja) 2005-05-26
AU2002358239A1 (en) 2003-07-30
EP1461690A2 (en) 200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0990B1 (en) Voice and video control of interactive electronically simulated environment
KR100994011B1 (ko) 미디어 항목들을 편성하고, 선택하며, 개시하기 위한주밍(zooming) 가능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갖춘 제어 프레임워크
US201801135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de Tracking and Notification in a Control Framework Including a Zoom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US6690391B1 (en) Modal display, smooth scroll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mote command device suitable for efficient navigation and selection of dynamic data/options presented within an audio/visual system
EP1784709B1 (en) Multi-planar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KR101190462B1 (ko) 1-대-다 객체를 처리하기 위한 스케일링 및 레이아웃 방법및 시스템
JP4101767B2 (ja) 多層構造フォーカシ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JP3871684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JP4325449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
US7834849B2 (en) Control framework with a zoom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organizing selecting and launching media items
JP4896882B2 (ja) コンテンツ管理インタフェース
KR20070093084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분산형 소프트웨어 구조
JP2008536196A (ja) 3dポインティングを使用してテレビアプリケーション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50183017A1 (en) Seekbar in taskbar player visualization mode
US79376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remote control functions in a mouse in a video playback system
US20030169299A1 (en) Dormant GUI buttons reside unobtrusively in the background upon selection
KR20040068358A (ko) 선택시에 배경에 또렷하지 않게 존재하는 휴면 gui버튼들
WO2002071197A1 (en) Dormant gui buttons reside unobtrusively in the background upon selection
KR20060097248A (ko)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EP20285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5198814B2 (ja) ビデオ再生システムにおいて遠隔制御装置の機能をマウスで実現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