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091A -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 Google Patents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091A
KR20040068091A KR1020040053840A KR20040053840A KR20040068091A KR 20040068091 A KR20040068091 A KR 20040068091A KR 1020040053840 A KR1020040053840 A KR 1020040053840A KR 20040053840 A KR20040053840 A KR 20040053840A KR 20040068091 A KR20040068091 A KR 20040068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enema
function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369B1 (ko
Inventor
임영균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젠 filed Critical (주) 아이젠
Priority to KR102004005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3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091A/ko
Priority to JP2007521389A priority patent/JP4584309B2/ja
Priority to EP04800137.4A priority patent/EP1781864B1/en
Priority to CN2009101289164A priority patent/CN101548930B/zh
Priority to PCT/KR2004/003085 priority patent/WO2006006756A1/en
Priority to CNB2004800435794A priority patent/CN100532744C/zh
Priority to US11/632,073 priority patent/US79541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369B1/ko
Priority to JP2010153865A priority patent/JP5095781B2/ja
Priority to US13/098,890 priority patent/US20110203044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25Devices on which the patient can sit, e.g. mounted on a toilet bowl ; Devices containing liquid pumped by the patient'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6Enemata; Irrigators combined with bid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지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비데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항문세정과 비데세정 및 관장기능을 선택하며, 선택된 기능을 정지시키는 콘트롤부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게 삼방향 노즐을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구성하고, 상기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수로를 변환시키는 수로변환부를 구성하며, 상기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지지부의 슬라이드공간으로 이동되어 수로변환부를 통과한 세정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삼방향 노즐을 구성함으로서,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항문세정과 비데세정 및 관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삼방향 노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세정수의 수로를 변환시키는 수로변환부의 회전각도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선택한 기능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스테핑모터의 부하를 방지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structure for injection bidet nozzle add enema function}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데의 기능인 항문세정과 비데세정 뿐만 아니라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정수로 항문을 자극하여 배변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관장기능을 포함하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용변 후, 생식기나 항문주위를 세척하는 것으로, 손을 사용하지 않고 기구 중앙부에서 적당한 온도의 세척수가 분출되어 부드럽게 국부를 세척하거나 마사지하는 장치로 치질, 방광염, 질염, 설사로 인한 쓰라림 등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여성의 월경과 산후 조리 시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점차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남녀노소 모두가 폭넓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비데는 통상적으로 변기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여과하여 비데몸체 내부의 물통에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용변후, 항문세정버튼이나, 비데세정버튼을 선택하여 가압하면, 물통에 저장된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선택된 노즐이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세정노즐을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비데세정노즐은 항문세정노즐보다 전방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된 세정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항문이나 국부세정을 완료하여 사용자가 정지버튼을 가압하면, 물통에 저장된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세정수의 수압이 떨어져 세정노즐은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 후, 건조버튼을 가압하여 항문이나 국부에 묻어 있는 물기를 건조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비데는, 항문이나 국부를 세정수로 세정하므로 화장지를 사용할 때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항문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치질 등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이점은 있으나, 항문노즐과 비데노즐을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공간을 많이 필요하며, 항문을 세정하는 세정수의 수압으로는 항문을 통해 세정수를 장내에 주입하는 배변관장을 할 수 없어 배변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건 출원인은, 2000년 특허출원 제60779호로 출원하여 제426635호로 등록받은 비데를 사용하고 있다.
선등록된 비데는, 좌변기에 결합되는 장착판(1)이 구성되며, 중앙에 수직방향의 살수공(3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살수공(33)이 형성된 분사구(36)와 상기 분사구(36)에 나사결합하는 캡(35)으로 이루어져 상기 살수공(31)에서 분사된물이 외주면에 형성된 살수공(33)을 통해 분사되는 물과 합쳐지도록 된 분사노즐(30)이 구성되며, 상기 장착판(1)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끝단에 상기 분사노즐(30)이 설치결합된 아암(10)이 구성되며, 상기 분사노즐(3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파이프(13)가 구성되고, 상기 급수파이프(13)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서 수압을 임의의 세기로 조절하며, 관통구멍이 형성된 밸브볼(56), 상기 밸브볼(56)에 결합되는 수압조절노브(55), 상기 수압조절노브(55)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볼(56)을 회전시키는 수압조절레버(45)로 구성되는 수압조절장치(50)가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선등록된 비데는, 수압조절장치에서 조절된 수압으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가 항문 및 직장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직장을 자극하여 배변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세정수가 분사되는 아암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수압조절레버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수압을 조절해야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우며, 사용자의 조작미숙에 의해 순간적으로 고압의 세정수가 분사되어 통증을 유발시켜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항문세정과 비데세정 및 관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삼방향 노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세정수의 수로를 변환시키는 수로변환부의 회전각도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선택한 기능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스테핑모터의 부하를 방지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데에 있어서,
비데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비데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항문세정과 비데세정 및 관장기능을 선택하며, 선택된 기능을 정지시키는 콘트롤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게 삼방향 노즐을 이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수로를 변환시키는 수로변환부와;
상기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지지부의 슬라이드공간으로 이동되어 수로변환부를 통과한 세정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삼방향 노즐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선등록된 비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항문세정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항문세정을 할 수 있도록 노즐을 지지부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수로변환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c는 수로변환부를 통과한 세정수가 분사캡으로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비데세정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비데세정을 할 수 있도록 노즐을 지지부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수로변환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c는 수로변환부를 통과한 세정수가 분사캡으로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관장기능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관장기능을 할 수 있도록 노즐을 지지부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수로변환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c는 수로변환부를 통과한 세정수가 분사캡으로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지부 110: 슬라이드공간
120: 안내공간 130: 지지편
200: 콘트롤부 300: 작동부
310: 작동모터 320: 권취부재
330: 판스프링 340: 수용부재
400: 수로변환부 410: 스테핑모터
420: 연결부재 430: 고정부재
440: 안내부재 450: 변환부재
460: 지지부재 470: 패킹
500: 노즐 510: 세정수이동관
520: 분사캡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비데에 있어서, 비데몸체(70)의 저면에 장착되는 지지부(100)가구성되고, 상기 비데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항문세정과 비데세정 및 관장기능을 선택하는 선택버튼(210)이 구비되며, 상기 선택버튼(210)에 선택된 기능을 정지시키는 정지버튼(220)이 구비된 콘트롤부(20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1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게 삼방향 노즐(500)을 이동시키는 작동부(300)가 구성되며,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수로를 변환시키는 수로변환부(400)가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으로 이동되어 수로변환부(400)를 통과한 세정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삼방향 노즐(500)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비데몸체(70)의 저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몸체의 상면에 상기 삼방향 노즐(500)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공간(110)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공간(110)에서 슬라이드되는 삼방향 노즐(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공간(120)이 슬라이드공간(11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공간(110)의 단부와 수직선상으로 지지공(140)이 관통된 지지편(130)이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공(140)에 회전축(311)이 돌출되도록 지지편(1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게 삼방향 노즐(500)이 위치하도록 정.역회전하는 작동모터(310)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모터(310)의 회전축(311)에 결합되어 작동모터(310)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권취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권취부재(320)의 일측에 고정되어 권취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권취부재(320)의 외주면에서 감겨지거나 풀어져 상기 슬라이드공간(110)으로 슬라이드되는 판스프링(330)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부재(320)에 감겨지는 판스프링(3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권취부재(320)를 수용하는 수용부재(340)가 지지편(130)의 타측에 고정된다.
상기 수로변환부(400)는,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에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정.역회전하는 회전축(411)이 돌출된 스테핑모터(410)가 구비되고, 상기 스테핑모터(410)의 회전축(411)에 결합되어 스테핑모터(410)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연결부재(42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420)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연결부재(420)를 수용하여 스테핑모터(4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고정부재(43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30)가 공회전하도록 고정부재(430)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며, 내측에 세정, 비데, 관장 안내공(441)(442)(443)이 관통된 안내부재(44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세정수의 방향을 스테핑모터(410)의 회전에 따라 안내부재(440)의 세정, 비데, 관장 안내공(441)(442)(443)과 각각 연통되도록 세정, 비데, 관장 배수공(451)(452)(453)이 관통되어 안내부재(440)에 밀착되는 변환부재(45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420)에 장착된 안내부재(440)와 변환부재(450)를 몸체(461)의 내부에 수용하여 안내부재(440)의 외주면이 몸체(46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461)의 외주면에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62)가 돌출되며, 상기 몸체(461)의 일측면에 변환부재(450)의 세정, 비데, 관장 배수공(451)(452)(453)과 연통되게 이동공(463)이 각각 관통되는 지지부재(46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460)의 이동공(463) 외주연에 장착되는 패킹(470)이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440)는, 상부에 관통된 세정 안내공(441)을 중심으로 직교되는 위치에 비데 안내공(442)이 관통되고, 상기 세정 안내공(441)과 대향되는 위치에 관장 안내공(443)이 관통된다.
상기 변환부재(450)는, 상기 세정 안내공(441)과 관장 안내공(443)의 사이에 세정 배수공(451)과 관장 배수공(453)이 위치하도록 관통되고, 상기 비데 안내공(442)과 관장 안내공(443)의 사이에 비데 배수(452)이 위치하도록 관통된다.
상기 삼방향 노즐(500)은, 상기 수로변환부(400)의 패킹(470)을 수용하도록 지지부재(46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재(440)의 세정, 비데, 관장 안내공(441)(442)(443)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세정, 비데, 관장 이동공(511)(512)(513)이 각각 관통되어 상기 판스프링(330)의 단부에 고정되는 세정수이동관(510)이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이동관(510)의 단부에 세정, 비데, 관장 이동공(511)(512)(513)과 연통되게 세정, 비데, 관장 분출공(521)(522)(523)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분사캡(520)이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100)의 지지편(130) 일측에 작동부(300)의 작동모터(310)를 밀착시켜 작동모터(310)의 회전축(311)이 지지편(130)의 지지공(140)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편(130)의 일측면에 고정시킨 후, 돌출된 작동모터(310)의 회전축(311)에 판스프링(330)을 결합하여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에 안착시킨 권취부재(320)를 장착하고, 이 권취부재(320)를 수용부재(340)에서 수용하여 상기 지지편(130)의 타측면에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수로변환부(400)의 스테핑모터(410) 회전축(411)에 연결부재(420)를 장착하고, 이 연결부재(420)를 수용하여 단부가 돌출되도록 고정부재(430)를 스테핑모터(410)에 밀착시키며, 상기 고정부재(430)로 돌출된 연결부재(420)에 안내부재(440)와 변환부재(45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440)의 세정, 비데, 관장 안내공(441)(442)(443)과 변환부재(450)의 세정, 비데, 관장 배수공(451)(452)(453)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460)의 몸체(461) 내부에 안내부재(440)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결합하여 고정부재(430)에 밀착시키고, 이 지지부재(460)의 내측에 패킹(470)을 장착한다.
한편, 상기 패킹(470)이 장착된 지지부재(460)의 단면에 세정수이동관(510)을 밀착하여 스크류로 세정수이동관(510)과 지지부재(460) 및 스테핑모터(410)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세정수이동관(510)의 단부에 분사캡(520)이 장착된 삼방향 노즐(500)을 상기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을 통해 안내공간(120)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정수이동관(510)의 하단부에 상기 판스프링(330)을 결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삼방향 노즐(500)이 결합된 지지부(100)를 비데몸체(70)의 내측에 장착하고, 상기 비데몸체(70)의 일측에 콘트롤부(200)를 결합하며, 상기 콘트롤부(200)에 작동부(300)와 수로변환부(400)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변기본체에 안착시킨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어 콘트롤부(200)와 작동부(300) 및 수로변환부(400)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용변 후, 항문세정을 할 경우, 상기 콘트롤부(200)의 항문세정버튼(211)을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된 항문세정버튼(211)의 신호가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300)로 전송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의 작동모터(3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작동모터(310)의 회전축(311)에 연결된 권취부재(320)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권취부재(320)에 권취된 판스프링(330)을 밀어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330)의 단부에 결합된 삼방향 노즐(500)은 상기 작동모터(310)의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부(100)의 안내공간(120)으로 돌출되어 항문세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삼방향 노즐(500)이 항문세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면,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모터(3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도 4를 중심으로 수로변환부(400)의 스테핑모터(410)를 정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410)의 회전축(411)에 연결된 연결부재(42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연결부재(420)에 결합된 변환부재(450)를 회전시켜 상기 변환부재(450)의 세정 배수공(451)과 안내부재(440)의 세정 안내공(441) 및 세정수이동관(510)의 세정 이동공(511)이 연통되도록 한 후, 상기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따라 비데몸체(70)의 물통에 저장된 세정수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세정수는, 지지부재(460)의 유입구(462)를 통해 몸체(461)의 내부로 유입되어 연통된 안내부재(440)의 세정 안내공(441)과 변환부재(450)의 세정 배수공(451)을 경유하여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이동관(510)의 세정 이동공(511)을 통해 분사캡(520)의 세정 분출공(521)으로 분사되는 세정수로 항문세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항문세정을 할 수 있도록 분사되는 세정수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거나 항문세정을 완료하여 정지시킬 때는, 사용자가 콘트롤부(200)의 정지버튼(220)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의해 정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스테핑모터(4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스테핑모터(410)에 연결된 변환부재(45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안내부재(440)의 세정 안내공(441)과 변환부재(450)의 세정 배수공(451) 및 세정수이동관(510)의 세정 이동공(511)을 폐쇄시켜 세정수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작동부(300)의 작동모터(3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작동부재(310)의 회전축(311)에 연결된 권취부재(3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드공간(110)의 내부로 이동되는 판스프링(330)을 감아 삼방향 노즐(500)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용변 후, 비데세정을 할 경우 사용자가 콘트롤부(200)의 비데세정버튼(212)을 가압하면, 가압된 비데세정버튼(212)의 신호가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300)로 전송되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의 작동모터(3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작동모터(310)의 회전축(311)에 연결된 권취부재(320)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권취부재(320)에 권취된 판스프링(330)을 밀어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330)의 단부에 결합된 삼방향 노즐(500)은 상기 작동모터(310)의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부(100)의 안내공간(120)으로 돌출되어 비데세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삼방향 노즐(500)이 비데세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면,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모터(3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도 4를 중심으로 수로변환부(400)의 스테핑모터(410)를 역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410)의 회전축(411)에 연결된 연결부재(42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연결부재(420)에 결합된 변환부재(450)를 회전시켜 상기 변환부재(450)의 비데 배수공(452)과 안내부재(440)의 비데 안내공(442) 및 세정수이동관(510)의 비데 이동공(512)이 연통되도록 한 후, 상기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따라 비데몸체(70)의 물통에 저장된 세정수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세정수는, 지지부재(460)의 유입구(462)를 통해 몸체(461)의 내부로 유입되어 연통된 안내부재(440)의 비데 안내공(442)과 변환부재(450)의 비데 배수공(452)을 경유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이동관(510)의 비데 이동공(512)을 통해 분사캡(520)의 비데 분출공(521)으로 부드럽게 분사되는 세정수로 비데세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비데세정을 할 수 있도록 분사되는 세정수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거나 비데세정을 완료하여 정지시킬 때는, 사용자가 콘트롤부(200)의 정지버튼(220)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의해 역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스테핑모터(4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스테핑모터(410)에 연결된 변환부재(45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안내부재(440)의 비데 안내공(442)과 변환부재(450)의 비데 배수공(452) 및 세정수이동관(510)의 비데 이동공(512)을 폐쇄시켜 세정수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작동부(300)의 작동모터(3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작동부재(310)의 회전축(311)에 연결된 권취부재(3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드공간(110)의 내부로 이동되는 판스프링(330)을 감아 삼방향 노즐(500)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배변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콘트롤부(200)의 관장기능버튼(213)을 가압하면, 가압된 관장기능버튼(213)의 신호가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300)로 전송되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의 작동모터(3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작동모터(310)의 회전축(311)에 연결된 권취부재(320)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권취부재(320)에 권취된 판스프링(330)을 밀어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330)의 단부에 결합된 삼방향 노즐(500)은 상기 작동모터(310)의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부(100)의 안내공간(120)으로 돌출되어 관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삼방향 노즐(500)이 관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면,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모터(3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도 4를 중심으로 수로변환부(400)의 스테핑모터(410)를 역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410)의 회전축(411)에 연결된 연결부재(42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연결부재(420)에 결합된 변환부재(450)를 회전시켜 상기 변환부재(450)의 관장 배수공(453)과 안내부재(440)의 관장 안내공(443) 및 세정수이동관(510)의 관장 이동공(513)이 연통되도록 한 후, 상기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따라 비데몸체(70)의 물통에 저장된 세정수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세정수는, 지지부재(460)의 유입구(462)를 통해 몸체(461)의 내부로 유입되어 연통된 안내부재(440)의 관장 안내공(443)과 변환부재(450)의 관장 배수공(452)을 경유하여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이동관(510)의 관장 이동공(512)을 통해 분사캡(520)의 관장 분출공(521)으로 분사되는 고압의 세정수가 사용자의 항문을 자극함과 아울러 직장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자극하여 배변욕구를 충족시키는 관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관장기능을 정지시킬 경우, 사용자가 콘트롤부(200)의 정지버튼(220)을 가압하면, 상기 콘트롤부(200)의 제어에 의해 역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스테핑모터(4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스테핑모터(410)에 연결된 변환부재(45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안내부재(440)의 관장 안내공(443)과 변환부재(450)의 관장 배수공(453) 및 세정수이동관(510)의 관장 이동공(513)을 폐쇄시켜 세정수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작동부(300)의 작동모터(3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작동부재(310)의 회전축(311)에 연결된 권취부재(3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드공간(110)의 내부로 이동되는 판스프링(330)을 감아 삼방향 노즐(500)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항문세정과 비데세정 및 관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삼방향 노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트롤부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세정수의 수로를 변환시키는 수로변환부의 회전각도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선택한 기능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스테핑모터의 부하를 방지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비데에 있어서,
    비데몸체(70)의 저면에 장착되는 지지부(100)와;
    상기 비데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항문세정과 비데세정 및 관장기능을 선택하며, 선택된 기능을 정지시키는 콘트롤부(200)와;
    상기 지지부(1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게 삼방향 노즐(500)을 이동시키는 작동부(300)와;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수로를 변환시키는 수로변환부(400)와;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으로 이동되어 수로변환부(400)를 통과한 세정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삼방향 노즐(5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100)는,
    상기 비데몸체(70)의 저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몸체의 상면에 상기 삼방향 노즐(500)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공간(110)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공간(110)에서 슬라이드되는 삼방향 노즐(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공간(120)이 슬라이드공간(11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공간(110)의 단부와 수직선상으로 지지공(140)이 관통된 지지편(130)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공(140)에 회전축(311)이 돌출되도록 지지편(1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게 삼방향 노즐(500)이 위치하도록 정.역회전하는 작동모터(310)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모터(310)의 회전축(311)에 결합되어 작동모터(310)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권취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권취부재(320)의 일측에 고정되어 권취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권취부재(320)의 외주면에서 감겨지거나 풀어져 상기 슬라이드공간(110)으로 슬라이드되는 판스프링(330)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부재(320)에 감겨지는 판스프링(3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권취부재(320)를 수용하는 수용부재(340)가 지지편(130)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수로변환부(400)는,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에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정.역회전하는회전축(411)이 돌출된 스테핑모터(410)가 구비되고, 상기 스테핑모터(410)의 회전축(411)에 결합되어 스테핑모터(410)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연결부재(42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420)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연결부재(420)를 수용하여 스테핑모터(4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고정부재(43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30)가 공회전하도록 고정부재(430)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며, 내측에 세정, 비데, 관장 안내공(441)(442)(443)이 관통된 안내부재(44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세정수의 방향을 스테핑모터(410)의 회전에 따라 안내부재(440)의 세정, 비데, 관장 안내공(441)(442)(443)과 각각 연통되도록 세정, 비데, 관장 배수공(451)(452)(453)이 관통되어 안내부재(440)에 밀착되는 변환부재(45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420)에 장착된 안내부재(440)와 변환부재(450)를 몸체(461)의 내부에 수용하여 안내부재(440)의 외주면이 몸체(46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461)의 외주면에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62)가 돌출되며, 상기 몸체(461)의 일측면에 변환부재(450)의 세정, 비데, 관장 배수공(451)(452)(453)과 연통되게 이동공(463)이 각각 관통되는 지지부재(46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460)의 이동공(463) 외주연에 장착되는 패킹(4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안내부재(440)는,
    상부에 관통된 세정 안내공(441)을 중심으로 직교되는 위치에 비데 안내공(442)이 관통되고, 상기 세정 안내공(441)과 대향되는 위치에 관장 안내공(443)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변환부재(450)는,
    상기 세정 안내공(441)과 관장 안내공(443)의 사이에 세정 배수공(451)과 관장 배수공(453)이 위치하도록 관통되고, 상기 비데 안내공(442)과 관장 안내공(443)의 사이에 비데 배수공(452)이 위치하도록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삼방향 노즐(500)은,
    상기 수로변환부(400)의 패킹(470)을 수용하도록 지지부재(46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부재(440)의 세정, 비데, 관장 안내공(441)(442)(443)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세정, 비데, 관장 이동공(511)(512)(513)이 각각 관통되는 세정수이동관(510)이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이동관(510)의 단부에 세정, 비데, 관장 이동공(511)(512)(513)과 연통되게 세정, 비데, 관장 분출공(521)(522)(523)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분사캡(5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KR1020040053840A 2004-07-12 2004-07-12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KR100654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840A KR100654369B1 (ko) 2004-07-12 2004-07-12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PCT/KR2004/003085 WO2006006756A1 (en) 2004-07-12 2004-11-26 Bidet having enema function
EP04800137.4A EP1781864B1 (en) 2004-07-12 2004-11-26 Bidet having enema function
CN2009101289164A CN101548930B (zh) 2004-07-12 2004-11-26 具有灌肠功能的坐浴器
JP2007521389A JP4584309B2 (ja) 2004-07-12 2004-11-26 浣腸機能を有するビデ
CNB2004800435794A CN100532744C (zh) 2004-07-12 2004-11-26 具有灌肠功能的坐浴器
US11/632,073 US7954181B2 (en) 2004-07-12 2004-11-26 Bidet having enema function
JP2010153865A JP5095781B2 (ja) 2004-07-12 2010-07-06 浣腸機能を有するビデ用の噴射ノズルの構造
US13/098,890 US20110203044A1 (en) 2004-07-12 2011-05-02 Spray nozzle structure for a bidet having an enema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840A KR100654369B1 (ko) 2004-07-12 2004-07-12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810U Division KR200363500Y1 (ko) 2004-07-12 2004-07-12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091A true KR20040068091A (ko) 2004-07-30
KR100654369B1 KR100654369B1 (ko) 2006-12-08

Family

ID=3735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840A KR100654369B1 (ko) 2004-07-12 2004-07-12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4369B1 (ko)
CN (2) CN10154893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65B1 (ko) * 2006-09-30 2008-10-27 주식회사 대원비데 비데용 노즐구조
KR101643368B1 (ko) * 2015-12-21 2016-07-28 (주) 아이젠 비데의 분사노즐
KR101961315B1 (ko) * 2018-12-28 2019-03-22 임영균 비데의 진동노즐
CN112933323A (zh) * 2021-01-28 2021-06-11 王海文 胸外科手术冲洗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6420B (zh) * 2009-05-12 2012-12-12 江门市地尔汉宇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灌肠功能的电子座便器
CN102061735B (zh) 2009-11-17 2015-08-19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喷射构件组件
CN102061736B (zh) 2009-11-17 2014-12-10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干燥机组件
CN101871233B (zh) * 2010-03-19 2012-08-29 叶露微 具有灌肠功能的电子座便器的使用方法及所使用的喇叭管
KR101286486B1 (ko) * 2010-06-30 2013-07-16 코웨이 주식회사 밸브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비데 및 밸브 제어 방법
US9044533B2 (en) 2010-12-09 2015-06-02 Jiangmen Idear Hanyu Electrical Joint-Stock Co., Ltd. Method for emptying rectum
CN102287000B (zh) * 2011-06-29 2013-07-31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喷嘴、喷水装置、水型控制系统及智能座便器
US9125792B2 (en) 2011-06-29 2015-09-08 Shanghai Kohler Electronics, Ltd. Spray pattern adjustment nozzle for a bidet
PT2700760E (pt) * 2012-08-20 2015-02-24 Geberit Int Ag Sanita com chuveiro, com braço de chuveiro desmontável
CN102926446A (zh) * 2012-11-21 2013-02-13 崔怀涛 三孔蹲便池
CN103590470B (zh) * 2013-08-27 2015-11-18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喷洗装置及其喷水方法和座便器
EP3078782A4 (en) * 2014-05-14 2017-02-22 Izen Co. Ltd. Fitting structure between nozzle cap and nozzle main body of bidet
JP6499113B2 (ja) * 2015-04-28 2019-04-10 科勒▲諾▼▲維▼▲達▼株式會▲社▼ 温水洗浄装置の回転型ノズ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回転制御方法
KR102554944B1 (ko) 2021-07-22 2023-07-12 이누스(주) 비데 세척노즐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2984A (en) * 1977-02-14 1978-06-06 Paul Bindel Undulating rectal flushing apparatus
CN2050053U (zh) * 1989-04-15 1989-12-27 郭永初 折式多功能大便器
JP3085582B2 (ja) * 1990-10-09 2000-09-11 東陶機器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N1222669C (zh) 1999-01-25 2005-10-12 东陶机器株式会社 人体冲洗装置
JP2001294817A (ja) 2000-04-17 2001-10-23 Sekisui Chem Co Ltd 塗料及びその塗工品
US6526602B2 (en) * 2000-10-16 2003-03-04 Kwan Ho Ahn Toilet mounted bide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65B1 (ko) * 2006-09-30 2008-10-27 주식회사 대원비데 비데용 노즐구조
KR101643368B1 (ko) * 2015-12-21 2016-07-28 (주) 아이젠 비데의 분사노즐
KR101961315B1 (ko) * 2018-12-28 2019-03-22 임영균 비데의 진동노즐
CN112933323A (zh) * 2021-01-28 2021-06-11 王海文 胸外科手术冲洗装置
CN112933323B (zh) * 2021-01-28 2022-05-17 王海文 胸外科手术冲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369B1 (ko) 2006-12-08
CN101548930A (zh) 2009-10-07
CN100532744C (zh) 2009-08-26
CN1997798A (zh) 2007-07-11
CN101548930B (zh)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369B1 (ko)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JP5095781B2 (ja) 浣腸機能を有するビデ用の噴射ノズルの構造
US20110203044A1 (en) Spray nozzle structure for a bidet having an enema function
KR100232064B1 (ko) 비데 장치
KR200363500Y1 (ko)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CN216766120U (zh) 一种座便器及其人体清洗装置的水路切换结构
CN114411901A (zh) 座便器及其人体清洗装置的水路切换结构和水路切换方法
KR20170133053A (ko)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0372461Y1 (ko) 비데 분사노즐의 분사캡 구조
KR100475698B1 (ko) 비데용 노즐
KR200335795Y1 (ko) 비데의 노즐 구조
KR200229553Y1 (ko) 공압 발판을 갖춘 절수형 급수장치
JP3716142B2 (ja) 局部洗浄装置
KR200262725Y1 (ko) 비데용 노즐
JP3180797B2 (ja) 衛生洗浄装置
KR101466348B1 (ko) 보조분사노즐부를 갖춘 수동식 비데기구
KR200284721Y1 (ko) 휴대용 비데
KR200308733Y1 (ko) 비데 시트의 세정수 분사장치
KR200316313Y1 (ko) 비데용 노즐구조
KR200146941Y1 (ko) 비데의 에티켓 벨 장치
KR200458349Y1 (ko) 비데 물통의 세척수 배출장치
CN113882487A (zh) 一种电子坐便器及其工作步骤
KR200398828Y1 (ko) 관장전용비데의 관장노즐
JPH0152531B2 (ko)
JPH04398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