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315B1 - 비데의 진동노즐 - Google Patents

비데의 진동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315B1
KR101961315B1 KR1020180171795A KR20180171795A KR101961315B1 KR 101961315 B1 KR101961315 B1 KR 101961315B1 KR 1020180171795 A KR1020180171795 A KR 1020180171795A KR 20180171795 A KR20180171795 A KR 20180171795A KR 101961315 B1 KR101961315 B1 KR 10196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ibration
vibration motor
nozzle ti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균
Original Assignee
임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균 filed Critical 임영균
Priority to KR102018017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315B1/ko
Priority to CN201911257807.2A priority patent/CN11137929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oscillating elements; with intermittent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팁과 진동모터가 서로 분리형성되므로 노즐팁의 진동효율을 극대화시켜 청결한 세척이 가능하고 노즐팁이 노즐커버의 선단 내측의 일부에만 결합되어 노즐팁의 크기를 소형화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노즐팁의 세정분출공이 입수부, 확관부, 출수부로 직경이 각기 다르게 형성되어 세정수에 풍부한 액션을 부여하므로 세정효율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비데분출공은 통로의 형상이 곡선을 이루도록 하여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입구보다 출구를 좁게 형성하여 세정수를 고압으로 분출하므로 높은 세정력을 발휘하고 노즐팁에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관이 진동모터의 상·하부에 배치되므로 노즐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이 필요없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데의 진동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의 진동노즐{Vibration nozzle of bidet}
본 발명은 비데의 진동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팁과 진동모터가 서로 분리형성되므로 노즐팁의 진동효율을 극대화시켜 청결한 세척이 가능하고 노즐팁이 노즐커버의 선단 내측의 일부에만 결합되어 노즐팁의 크기를 소형화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노즐팁의 세정분출공이 입수부, 확관부, 출수부로 직경이 각기 다르게 형성되어 세정수에 풍부한 액션을 부여하므로 세정효율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비데분출공은 통로의 형상이 곡선을 이루도록 하여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입구보다 출구를 좁게 형성하여 세정수를 고압으로 분출하므로 높은 세정력을 발휘하고 노즐팁에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관이 진동모터의 상·하부에 배치되므로 노즐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이 필요없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데의 진동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인체의 항문과 국부를 세정하기 위해 변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용변을 본 후에 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세정수로 휴지없이 항문을 세정하는 항문세정과, 상기 세정수로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는 국부세정 및 세정수가 분출되는 노즐을 연속 반복적으로 전,후진시켜 맛사지 효과를 얻도록 하는 맛사지세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세정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노즐은 비데 내의 세정수탱크를 통해 토수되는 세정수가 세정공을 통해 직수형으로 분출되므로 세척부위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1530호로 비데 노즐의 분출팁 구조가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된 비데 노즐의 분출팁 구조는, 비데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에 의해 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세정공의 개방 및 폐쇄동작을 반복하여 세정수를 분출되므로 소비되는 세정수의 양을 줄이면서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는 있으나, 세정수가 일정량씩 끊겨서 분출되므로 세정수의 수압에 의한 통증을 느낄 수 일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2546호로 비데노즐의 진동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데 노즐의 진동장치는, 유로가 형성된 노즐에 진동부가 내장되어 비데버튼 신호에 따라 진동부재가 회전하면서 노즐을 진동시켜 세정수를 분출하므로 세척부위를 넓혀 용이하게 세척하는 이점은 있으나, 진동부가 노즐 내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므로 노즐의 진동폭이 작아 세척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노즐에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부재가 노즐관과 직교되게 장착되거나 수직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므로 세정공을 통해 분출되는 물줄기에 활발한 액션을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1530호(2006.03.08.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2546호(2006.06.21.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노즐팁과 진동모터가 서로 분리형성되므로 노즐팁의 진동효율을 극대화시켜 사용자의 세척부위를 보다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되며 노즐팁이 노즐커버의 선단 내측의 일부에만 결합되어 노즐팁의 크기를 소형화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데의 진동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즐팁의 세정분출공이 입수부, 확관부, 출수부로 직경이 각기 다르게 형성되어 세정수에 풍부한 액션을 부여하므로 세정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비데분출공은 통로의 형상이 곡선을 이루도록 하여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입구보다 출구를 좁게 형성하여 세정수를 고압으로 분출하므로 높은 세정력을 발휘하는 비데의 진동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즐팁에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관이 진동모터의 샤프트 양측에 배치되므로 노즐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이 필요없어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비데의 진동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비데의 진동노즐은, 비데 본체 내의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즐커버;
2개 1조로 분리 결합되어 상기 노즐커버의 선단 내측에 장착되며 진동모터의 샤프트에 고정되어 세정수가 분출되는 노즐팁;
상기 노즐팁과 일정거리 이격된 노즐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며 샤프트에 의해 노즐팁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팁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
상기 노즐팁의 연결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진동모터의 상·하부로 배치되어 세정 분출공과 비데 분출공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관;
상기 진동모터의 선·후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세정수 공급관을 수용하며 노즐커버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진동 전달을 방지하는 전·후방 방진부재;
상기 전방 방진부재에 결합되어 노즐커버에 지지되면서 진동모터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의 내측에서 전방 방진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진동모터 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지 않게 하는 패킹;
상기 진동모터의 후방에 형성되어 마감커버에 결합되며 진동모터의 진동으로 인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
상기 노즐커버의 후단에 결합되어 진동모터가 노즐커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하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마감커버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팁은, 세정 분출공과 비데 분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단 형성되어 진동모터의 샤프트가 결합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세정수 공급관이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분출공은, 입수부와 연통되는 확장부가 입수부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와 연통되어 세정수를 분출시키는 출수부는 입수부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비데분출공은, 연결구로부터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연결구 측은 넓고 출구 측은 좁게 형성된다.
상기 세정수 공급관은 플랙시블한 호스로 형성되어 배치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 방진부재는, 상·하부에 세정수 공급관을 각각 수용하여 지지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 방진부재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전방 방진부재의 선단부에 장착되며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고정홀;
상기 고정홀과 직교되는 상·하부에는 세정수 공급관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진동모터의 후방에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
상기 후방 방진부재의 후단부로 돌출되어 회전방지돌기를 수용하면서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결합돌기;
상기 마감커버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돌기와 결합돌기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도 회전방지돌기와 결합돌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팁의 결합부 양측에 체결되어 진동모터의 샤프트를 노즐팁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고정홈으로 고정되는 고정스크류가 구비된다.
본 발명 비데의 진동노즐에 의하면, 노즐팁과 진동모터가 서로 분리형성되므로 노즐팁의 진동효율을 극대화시켜 사용자의 세척부위를 보다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되며 노즐팁이 노즐커버의 선단 내측의 일부에만 결합되어 노즐팁의 크기를 소형화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비데의 진동노즐에 의하면, 노즐팁의 세정분출공이 입수부, 확관부, 출수부로 직경이 각기 다르게 형성되어 세정수에 풍부한 액션을 부여하므로 세정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비데분출공은 통로의 형상이 곡선을 이루도록 하여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입구보다 출구를 좁게 형성하여 세정수를 고압으로 분출하므로 높은 세정력을 발휘하고 변비 해소 및 숙변제거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비데의 진동노즐에 의하면, 노즐팁에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관이 진동모터의 상·하부에 배치되므로 노즐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이 필요없어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정수 공급관이 진동모터의 상·하부에 배치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세정분출공으로 세정수가 분출되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비데분출공으로 세정수가 분출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 비데의 진동노즐(A)은, 노즐커버(110), 노즐팁(120), 진동모터(130), 세정수 공급관(140), 전,후방 방진부재(150)(150'), 위치고정부(160), 패킹(170), 회전방지부(180), 마감커버(190), 고정부(2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즐커버(11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커버(110)의 선단부에는 캡(111)이 장착되어 위치고정부(160)의 양측 선단부에 밀착된다.
또한, 노즐팁(120)은 2개 1조로 분리되어 사출성형되어 서로 결합되며,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몸체(121)에는 세정분출공(121a)과 비데분출공(121b)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분출공(121a)은 입수부(121a-1), 확관부(121a-2), 출수부(121a-3)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관부(121a-2)의 직경이 크게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수부(121a-1)는 확관부(121a-2)보다 좁게 형성되며, 출수부(121a-3)는 입수부(121a-1)보다 좁게 형성되어 세정수에 활발한 액션을 부여하여 미세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비데분출공(121b)은 전체적인 형상이 반원형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연결구(123) 측의 입구보다 출구 측이 좁게 형성되어 세정수를 멀리 분출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21)의 후단 중앙에는 결합구(122)가 돌출형성되어 진동모터(130)의 샤프트(131)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122)의 상·하부에는 세정수 공급관(140)과 연결되어 각각 세정분출공(121a)과 비데분출공(121b)으로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연결구(123)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팁(120)은 노즐커버(110)의 선단부에 해당하는 소형으로 형성되므로 제조비용을 최소화하게 되며, 2개 1조로 분리형성되어 세정분출공(121a)과 비데분출공(121b)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커버(110)의 내측에는 노즐팁(120)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130)가 결합되며, 상기 진동모터(130)의 내부구조는 통상의 진동모터와 동일하고 비데의 콘트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진동모터(130)는 노즐팁(120)의 후방에 노즐팁(120)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팁(120)과 진동모터(130) 사이에는 어떠한 구조물의 방해없도록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빈 공간의 길이는 샤프트(131)의 길이에 대응하여 축소되거나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130)의 센터에 구비된 샤프트(131)는 노즐팁(120)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구(122)에 결합되며, 진동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노즐팁(12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팁(120)에 형성된 연결구(123)에는 세정수 공급관(140)의 선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세정수 공급관(140)은 플랙시블한 호스로 형성되어 수로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가능하다.
상기 세정수 공급관(140)은 결합구(122)의 상·하부에 형성된 연결구(123)에 연결되어 진동모터(130)의 샤프트(131)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진동모터(130)의 설치방향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세정수 공급관(140)이 호스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관체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수로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모터(13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연질의 전·후방 방진부재(150)(15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전·후방 방진부재(150)(150')는 진동모터(130)와 노즐커버(110) 사이에 밀착되어 진동모터(130)에 의한 진동이 노즐커버(1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후방 방진부재(150)(150')의 중앙에는 샤프트(131)가 노즐팁(120)에 결합되도록 개방된 관통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52)의 상·하부에는 수용공간(151)이 형성되어 세정수 공급관(140)을 각각 수용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후방 방진부재(150)(150')의 수용공간(151)은 진동모터(130)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세정수 공급관(140)의 배열 위치에 따라 방향이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전방 방진부재(150)의 관통공(152) 양측으로는 고정돌기(153)가 형성되어 위치고정부(16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고정부(160)가 전방 방진부재(150)에 결합되는 후방에는 고정돌기(153)와 대응하도록 고정홀(16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61)과 직교되도록 상·하부에 지지홈(162)이 각각 형성되어 세정수 공급관(140)을 수용하여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160)의 내측으로 결합된 전방 방진부재(150)에는 패킹(170)이 장착되어 노즐커버(110)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진동모터(13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모터(130)가 진동에 의해 노즐커버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방지부(180)가 구성된다.
상기 진동모터(130)의 후방에 회전방지돌기(18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후방 방진부재(150')의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181)를 수용하도록 하면서 마감커버(190)에 형성된 결합홈(183)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8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181)와 결합돌기(182)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홈(183)도 회전방지돌기(181)와 결합돌기(18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팁(120)의 후단부에는 진동모터(130)의 샤프트(131)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부(200)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200)는 노즐팁(120)의 결합구(122) 양측에 체결홀(201)이 관통되며, 샤프트(131) 단부에는 환형의 고정홈(202)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31)가 결합구(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스크류(203)가 체결홀(201)로 체결되고, 상기 고정스크류(203)의 단부가 고정홈(202)을 가압하게 되면 진동모터(130)의 샤프트(131)가 노즐팁(12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비데의 진동노즐(A)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 콘트롤부의 세정버튼을 작동시키게 되면, 비데 내의 수조를 통해 샤프트(131)의 상·하부로 배치된 세정수 공급관(140) 중 세정분출공(121a)으로 연결된 세정수 공급관(140)으로 세정수가 공급됨과 동시에 세정수는 노즐팁(120)의 세정분출공(121a)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130)는 빠른 속도로 진동을 일으키게 되고, 샤프트(131)는 초당 60,000회 이상으로 진동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의 노즐팁(120)에 진동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세정분출공(121a)으로 공급된 세정수는 구멍이 좁게 형성된 입수부(121a-1)로 유입됨과 동시에 입수부(121a-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확관부(121a-2)로 유입되면서 풍부한 액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입수부(121a-1)와 확관부(121a-2)보다 직경이 작은 출수부(121a-3)를 통해 세정수가 분출됨과 동시에 노즐팁(120)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미세한 입자가 형성되어 S라인의 곡선을 이루면서 분산되어 사용자의 세척부위를 부드럽게 맛사지하면서 높은 세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비데 콘트롤부의 비데버튼을 작동시키게 되면, 비데 내의 수조를 통해 샤프트(131)의 상·하부로 배치된 세정수 공급관(140) 중 비데분출공(121b)으로 연결된 세정수 공급관(140)으로 세정수가 공급됨과 동시에 세정수는 노즐팁(120)의 비데분출공(121b)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130)는 작동이 중지되고, 연결구 측은 넓고 출구는 좁게 형성된 비데분출공(121b)으로 공급된 세정수는 곡선으로 형성된 통로를 통해 분출되어 사용자의 항문을 세정하므로 세정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고압의 세정수가 항문을 자극함과 동시에 직장 내부를 자극하여 변비 해소 및 숙변제거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노즐커버 120: 노즐팁
121: 몸체 122: 결합구
123: 연결구 123: 연결구
130: 진동모터 131: 샤프트
140: 세정수 공급관 150,150': 전,후방 방진부재
151: 수용공간 152: 관통공
153: 고정돌기 160: 위치고정부
161: 고정홀 162: 지지홈
170: 패킹 180: 회전방지부
181: 회전방지돌기 182: 결합돌기
183: 결합홈 190: 마감커버
191: 공급공 200: 고정부
201: 체결홀 202: 고정홈
203: 고정스크류

Claims (11)

  1. 비데 본체 내의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즐커버;
    2개 1조로 분리 결합되어 상기 노즐커버의 선단 내측에 장착되며 진동모터의 샤프트에 고정되어 세정수가 분출되는 노즐팁;
    상기 노즐팁과 일정거리 이격된 노즐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며 샤프트에 의해 노즐팁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팁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
    상기 노즐팁의 연결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진동모터의 상·하부로 배치되어 세정 분출공과 비데 분출공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관;
    상기 진동모터의 선·후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세정수 공급관을 수용하며 노즐커버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진동 전달을 방지하는 전·후방 방진부재;
    상기 전방 방진부재에 결합되어 노즐커버에 지지되면서 진동모터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의 내측에서 전방 방진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진동모터 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지 않게 하는 패킹;
    상기 진동모터의 후방에 형성되어 마감커버에 결합되며 진동모터의 진동으로 인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
    상기 노즐커버의 후단에 결합되어 진동모터가 노즐커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하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마감커버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노즐팁은,
    세정분출공과 비데분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단 형성되어 진동모터의 샤프트가 결합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세정수 공급관이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정분출공은, 입수부와 연통되는 확장부가 입수부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와 연통되어 세정수를 분출시키는 출수부는 입수부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데분출공은, 연결구로부터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연결구 측은 넓고 출구 측은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관은 플랙시블한 호스로 형성되어 배치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방진부재는, 상·하부에 세정수 공급관을 각각 수용하여 지지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 방진부재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위치고정부는,
    상기 전방 방진부재의 선단부에 장착되며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고정홀;
    상기 고정홀과 직교되는 상·하부에는 세정수 공급관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8.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방지부는,
    상기 진동모터의 후방에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
    상기 후방 방진부재의 후단부로 돌출되어 회전방지돌기를 수용하면서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결합돌기;
    상기 마감커버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비데의 진동노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와 결합돌기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도 회전방지돌기와 결합돌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의 결합부 양측에 체결되어 진동모터의 샤프트를 노즐팁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고정홈으로 고정되는 고정스크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진동노즐.
KR1020180171795A 2018-12-28 2018-12-28 비데의 진동노즐 KR10196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795A KR101961315B1 (ko) 2018-12-28 2018-12-28 비데의 진동노즐
CN201911257807.2A CN111379299B (zh) 2018-12-28 2019-12-10 洁身器的振动喷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795A KR101961315B1 (ko) 2018-12-28 2018-12-28 비데의 진동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315B1 true KR101961315B1 (ko) 2019-03-22

Family

ID=6594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795A KR101961315B1 (ko) 2018-12-28 2018-12-28 비데의 진동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1315B1 (ko)
CN (1) CN11137929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013B1 (ko) * 2021-10-25 2022-10-07 임영균 세척노즐이 구비된 진동모터
KR102453014B1 (ko) * 2021-11-11 2022-10-07 임영균 회전자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진동모터
KR102458288B1 (ko) * 2021-10-25 2022-10-21 임영균 세척노즐이 형성된 진동모터가 적용되는 비데노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091A (ko) * 2004-07-12 2004-07-30 (주) 아이젠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KR200411530Y1 (ko) 2005-12-29 2006-03-15 임삼균 비데 노즐의 분사팁 구조
KR200422546Y1 (ko) 2006-04-28 2006-08-01 임영균 비데 노즐의 진동장치
KR20080030418A (ko) * 2006-09-30 2008-04-04 주식회사 대원비데 비데용 노즐구조
KR20120120839A (ko) * 2011-04-25 2012-11-02 (주) 아이젠 비데의 노즐몸체에 형성된 관장유로의 와류방지구조
KR101886328B1 (ko) * 2018-04-11 2018-09-10 임영균 비데의 진동노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3000B2 (ja) * 2000-02-14 2010-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人体洗浄装置
KR100734063B1 (ko) * 2005-06-30 2007-07-02 오영국 좌변기용 비데기
KR200422544Y1 (ko) * 2006-04-28 2006-07-31 임삼균 비데 노즐의 진동구조
KR200422545Y1 (ko) * 2006-04-28 2006-07-31 임삼균 비데 노즐의 진동구조
JP4837443B2 (ja) * 2006-05-31 2011-12-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KR20100052972A (ko) * 2008-11-11 2010-05-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KR20130101373A (ko) * 2012-03-05 2013-09-13 이계수 촬영기능을 갖춘 비데
US20140107409A1 (en) * 2012-10-15 2014-04-17 Alicia E BAILEY Portable Vibrating Bid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091A (ko) * 2004-07-12 2004-07-30 (주) 아이젠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KR200411530Y1 (ko) 2005-12-29 2006-03-15 임삼균 비데 노즐의 분사팁 구조
KR200422546Y1 (ko) 2006-04-28 2006-08-01 임영균 비데 노즐의 진동장치
KR20080030418A (ko) * 2006-09-30 2008-04-04 주식회사 대원비데 비데용 노즐구조
KR20120120839A (ko) * 2011-04-25 2012-11-02 (주) 아이젠 비데의 노즐몸체에 형성된 관장유로의 와류방지구조
KR101886328B1 (ko) * 2018-04-11 2018-09-10 임영균 비데의 진동노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013B1 (ko) * 2021-10-25 2022-10-07 임영균 세척노즐이 구비된 진동모터
KR102458288B1 (ko) * 2021-10-25 2022-10-21 임영균 세척노즐이 형성된 진동모터가 적용되는 비데노즐
WO2023075212A1 (ko) * 2021-10-25 2023-05-04 임영균 세척노즐이 구비된 진동모터
WO2023075202A1 (ko) * 2021-10-25 2023-05-04 임영균 세척노즐이 형성된 진동모터가 적용되는 비데노즐
KR102453014B1 (ko) * 2021-11-11 2022-10-07 임영균 회전자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진동모터
WO2023085626A1 (ko) * 2021-11-11 2023-05-19 임영균 회전자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9299A (zh) 2020-07-07
CN111379299B (zh)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315B1 (ko) 비데의 진동노즐
KR101886328B1 (ko) 비데의 진동노즐
US4135670A (en) Shower device
KR200398076Y1 (ko) 비데 장치
JP3576131B2 (ja) ビデ
WO2014201420A1 (en) Showerhead with turbine driven shutter
KR100705556B1 (ko) 다용도 샤워기
US4896383A (en) Water tank jet
JP4788325B2 (ja) 水流噴出装置
KR200414063Y1 (ko) 세정모드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101088997B1 (ko) 양변기용 공기방울 공급장치
JP2000037642A (ja) シャワー装置
JPH1043641A (ja) シャワーヘッド用ジョイントおよびシャワー装置
JP3822839B2 (ja) 吸引洗浄器及びそれを備えた洗浄装置
KR100867861B1 (ko) 노즐팁
CN217615370U (zh) 一种新型花洒
KR102519713B1 (ko) 에어가 혼합되는 비데 세정노즐
JP2005287669A (ja) 鼻洗用ノズル
JP2000166789A (ja) 浴槽用簡易バブルジェット発生装置
KR102250713B1 (ko) 고압수 분사를 위한 와류 형성 장치
KR200374748Y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세척장치
JP3104320U (ja) 鼻洗用ノズル
KR200355415Y1 (ko) 진동기능을 갖는 세정노즐장치
KR20220001068A (ko) 구강세정 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JP4853643B2 (ja) 噴流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