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937A -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를 함유하며, 외층 및 차단코팅을 포함하는 산소 차단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를 함유하며, 외층 및 차단코팅을 포함하는 산소 차단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937A
KR20040067937A KR1020040003381A KR20040003381A KR20040067937A KR 20040067937 A KR20040067937 A KR 20040067937A KR 1020040003381 A KR1020040003381 A KR 1020040003381A KR 20040003381 A KR20040003381 A KR 20040003381A KR 20040067937 A KR20040067937 A KR 20040067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film
polyester
layer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클레인
페이퍼헤르버트
힐커트고트프리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filed Critical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ublication of KR2004006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7/00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inside of hollow work
    • B05C7/04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inside of hollow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lowing or being moved through the work; the work being filled wit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empt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2Bright, glossy or shiny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6Next to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를 추가로 함유하고, 적어도 한면 위에 차단층(D)로 코팅된 외층(A)가 배치되는 폴리에스테르함유 기저층(B)을 가지며, 상기 차단층은 폴리비닐 알코올과 말레인산 및 아크릴 산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고광택 및 낮은 불투명도, 특히 산소의 통과에 대해 우수한 차단 특성과 같은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가지며, 수분에 대해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음식 또는 다른 소비재 물품의 포장재로서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를 함유하며, 외층 및 차단 코팅을 포함하는 산소 차단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Polyester film having improved oxygen barrier, comprising poly(m-xyleneadipamide) and also an overlayer and a barrier coating,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본 발명은 기저층(B) 및 기저층(B)에 도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층(A)를 갖는 다층 투명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외에도, 상기 기저층(B)는 추가 중합체로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을 함유한다. 상기 외층(A)는 폴리비닐 알코올 및 마레인산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차단층(D)로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개선된 차단성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필름은 제조된 후에 추가 공정 단계에 의해 오프라인에서 개선된 차단 특성을 얻는다. 그 예로는 압출코팅, 차단 물질의 코팅 또는 적층, 감압 하에서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의 코팅, 또는 진공 코팅과 결합된 플라즈마 중합반응 등을 들 수 있다.
예외적으로 WO 99/62694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EVOH(에틸렌-비닐 알코올)층을 함유하는 다층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동시에 이축연신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수득된 필름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특히 산소통과에 대한 차단특성이 우수하다. 이 문헌에 기재된 산소투과율(OTR)에 대한 최상의 값은 5㎤/(㎡·bar·d)이다. 상기 공정의 단점은 공정의 과정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필름의 우수한 광학 특성을 잃지않고 상기 공정에 재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다른 예외는 JP 2001-347592호에 게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이축 배향 필름이다. 상기 필름에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의 비율은 10∼40중량%이고, 이에 상응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은 60∼90중량%이다. 상기 필름은 동시에 이축 연신된다. 이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높은 열안정성을 특성으로 하며, 특히 산소의 투과에 대한 우수한 차단성을 갖는다. 상기 필름은 30㎤/(㎡·bar·d)미만의 OTR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필름은 낮은 불투명도를 특성으로 한다. 상기 문서에는 불투명도의 값이 15%이하로 명시되어 있다. 본 필름의 단점은 두가지 원료 물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의 혼합 불융화로 인해 얻어진 2개의 거친 표면이다. 높은 조도값은 필름이 광택을 잃고 무광택의 외관을 형성하게 하여 포장 산업에서 다방면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필름의 또다른 단점은, 높은 조도로 인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구성된 필름보다 경제적으로 인쇄, 금속화 또는 코팅될 수 없다는 점이다. 상기 두 필름 표면의 높은 조도는 추가로 도포된 층(인쇄 잉크, 금속, 유약, 세라믹 물질)의 두께 분포를 부적합하게 만든다. 게다가, 이는 이들 층의 물리적 특성을 손상시킨다.
또한, 예외적으로 EP-B-0 675 158호의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한 배향 복합 필름으로 가스에 대해 개선된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이 있다. 이 필름은 두께가 0.3㎛ 미만이고, 중합반응의 평균 수치가 350 이상인 폴리비닐 알코올 층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 이상에 도포되며, 도포될 기저 필름 면의 평균 조도(Rz)는 0.3㎛ 미만이고, 또한 필름 면의 특정 돌기 분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필름은 3㎤/(㎡·bar·d) 미만의 OTR을 갖는다. 본 복합필름의 단점은 산소에 대한 낮은 저항성이다. 물 또는 증기와 접촉 하면, 차단 코팅의 효과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사라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폴리비닐 알코올 차단 코팅의 부착력이 손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3층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4층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산소의 통과에 대해 매우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필름은 더 이상 종래 기술에 의한 필름들의 단점을 가지지 않고 특히 하기의 특징들로 이루어진다.
- 2개의 필름 표면 중 적어도 한면 이상은 매우 낮은 조도값을 가져, 상기필름이 추가 기능층의 효과에 손상 없이, 우수한 인쇄능, 우수한 금속화능 및 우수한 도포능을 가짐.
- 2개의 필름 표면 중 적어도 한면 이상은 심각한 제한 없이 포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높은 광택을 가짐.
- 상기 필름은 고가의 동시 연신 공정에만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산업용 연신 공정을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음.
- 필름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 특히 산소 차단성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지 않고 60중량%까지 압출공정으로 상기 분쇄물을 재주입 할 수 있는 필름 제조시의 보장성.
한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다른 특성들이 동시에 악화되지 않아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 필름의 권취능 및 가공성, 특히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로의 인쇄, 적층 혹은 도포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은 기저층(B) 및 기저층(B)에 도포되고 차단층(D)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층(A)를 가진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상기 기저층(B)는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을 포함하고, 차단층(D)는 필름 형성 물질과 말레산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배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기저층(B)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저층(B)의 중량을 기초로 적어도 60%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또한 함유한다. 필름 형성물질은 폴리비닐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또한, 폴리-m-크실리엔아디프아미드 또는PA-MXD6)도 언급될 수 있다)은 m-크실리엔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중축합 산물(폴리아릴아미드)이며 이는 본 발명의 목적에 모두 적합한 다양한 형태로 시장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2,000 푸아즈 미만의 용융 점도를 갖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이축배향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종래 기술의 필름과 비교하면, 개선된 광학 특성, 특히 (필름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증가된 광택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필름은 산소의 통과에 대해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다. 수분과 접촉한 후에라도, 상기 필름의 소정의 층들 간의 최소 부착력은 0.5N/25㎜ 이상이다. 이는 또한 (A)층과 (D)층 간의 부착력에도 적용된다.
상기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25㎤/(㎡·d·bar)미만, 바람직하게는 20㎤/(㎡·d·bar)미만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5㎤/(㎡·d·bar)의 OTR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필름은 적어도 본 발명의 기저층(B), 본 발명의 외층(A) 및 본 발명의 코팅(D)를 함유한다. 이 경우, 필름은 3층 구조(도 1 참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름은 4층 구조(도 2 참조)를 갖는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기저층(B), 본 발명의 두 외층(A) 및 (C), 그리고 본 발명의 코팅(D)를 가지며, 또한 선택적으로 추가의 중간층들(E, F...)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층(A) 및 (C)는 동일하거나 혹은 다를 수도 있고, 층(C)는 코팅(D)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필름의 기저층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성분I)를 적어도 6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로는 에틸렌 글리콜과 테레프탈산으로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에틸렌 글리콜과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으로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PEN),1,4-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과 테레프탈산으로된 폴리에스테르(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DT), 및 에틸렌 글리콜,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및 비페닐-4,4’-디카르복시산으로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비벤조에이트, PENBB)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 유니트, 또는 에틸렌 글리콜 및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유니트가 적어도 9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95몰%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이다. 남아있는 단량체 유니트는 다른 디올 또는 다른 디카르복시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유용하게도, 공중합체 및 언급된 단일- 및/또는 공중합체의 혼합물 또는 배합물은 기저층(B)의 성분I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기저층(B)에 사용된 성분I이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및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을 기재로 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일때는, 상기 가장 마지막에 언급한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필름의 제조 특성이 우수하고, 필름의 광학 특성 및 필름의 차단 특성이 또한 매우 우수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기저층(B)는 실질적으로, 성분I으로서 주로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 유니트 및/또는 테레프탈산과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유니트 및 에틸렌 글리콜 유니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그리고 성분II로서 상기에 언급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을 함유한다.
상기 필름에 바람직한 특성(특히, 광학특성, 공동 연신 특성)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공중합에스테르로는 테레프탈레이트와 이소프탈레이트 유니트 및 에틸렌 유니트들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비율은 40∼97몰%이고,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비율은 60∼3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공중합에스테르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이 50∼95몰%이고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산의 비율이 50∼5몰%인 것이고, 보다 바람직한 공중합에스테르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이 60∼90몰%이고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산의 비율이 40∼10몰%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할 수 있는 적합한 다른 지방족 디올로는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일반식 HO-(CH2)n-OH(n은 2∼6의 정수, 특히 프로판-1,3-디올, 부탄-1,4-디올, 펜탄-1,5-디올 및 헥산-1,6-디올)의 지방족 글리콜 또는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 지방족 글리콜, 하나 이상의 환을 갖는 선택적으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지환족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 디올 중에는, 시클로헥산디올(특히, 시클로헥산-1,4-디올)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다른 방향족 디올로는 식 HO-C6H4-X-C6H4-OH(식 중, X는 -CH2-, -C(CH3)2-, -C(CF3)2-, -O-, -S- 또는 -SO2-)인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 HO-C6H4-C6H4-OH의 비스페놀이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는 벤젠디카르복시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예를 들면, 나프탈렌-1,4-디카르복시산 혹은 나프탈렌-1,6-디카르복시산), 비페닐-x,x'-디카르복시산(특히, 비페닐-4,4'-디카르복시산), 디페닐아세틸렌-x,x'-디카르복시산(특히, 디페닐아세틸렌-4,4'-디카르복시산) 또는 스텔벤-x,x'-디카르복시산이 바람직하다. 지환족 디카르복시산 중에서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특히, 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시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중에서는, (C3-C19)알칸디올산이 특히 적합하고, 상기 알칸 부분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공지된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는 아연염, 칼슘염, 리튬염 및 망간염과 같은 통상의 에스테르 교환 촉매와 반응하는 디카르복시산 에스테르 및 디올에서부터 시작한다. 그 후 중간물은 삼산화안티몬 또는 티타늄염과 같은 통상의 중축합 촉매의 존재 하에서 중축합된다. 이 제조는 중축합 촉매 하에서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한 효과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이는 디카르복시산 및 디올로부터 직접 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저층(B)에 함유된 추가 성분은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성분II)로, 이는 기저층(B)의 중량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5∼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3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30중량%으로 함유된다.
중합체 가공을 위해서는, 특정 중합체 용융물의 점도에서 너무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 중에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반면, 추가의 융기/돌기, 유동 장애(disruptions to flow) 또는 줄무늬의 형성은 일부 환경 하에서는 최종 필름에서 예견될 수 있는 것들이다. 게다가, 이후 중합체는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수행되는 실험에 따라, 상기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의 용융 점도는 특정 값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는, 상기 MXD6의 용융 점도가 2,000 푸아즈 미만(직경 0.1㎜, 길이 10㎜, 및 하중 10㎏/㎠, 용융온도 280℃인 모세관 측정계로 측정), 바람직하게는 1,800 푸아즈 미만,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0 푸아즈 미만일때 가장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같은 것을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의 점도에 또한 적용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폴리에스테르의 용융 점도가 2,000 푸아즈 미만(직경 0.1㎜, 길이 10㎜, 및 하중 10㎏/㎠, 용융온도 280℃인 모세관 측정계로 측정), 바람직하게는 1,600 푸아즈 미만일 때 가장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용융 균일성과 우수한 연신 특성을 얻기 위해, 시작 중합체의 점도를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의 용융 점도를 기초로, (절대적 조건에서 볼때) 30% 이상 다르게 해야 한다.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는 순수한 과립으로 혹은 과립화된 농축물(마스터배치)로서 필름 내에 적절하게 혼입된다. 마지막에는, 폴리에스테르 과립들은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 또는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 마스터배치와 예비혼합된 후, 압출기로 주입된다. 압출기에서는, 구성분들이 추가로 혼합되고 공정 온도로 가열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에서는 압출 온도가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의 용융 온도(TS) 이상,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5℃이상, 바람직하게는 10∼5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40℃인 것이 적합하다. 혼합물 공정용 혹은 성분 I 및 II의 마스터배치 제조용으로 바람직한 압출 유니트는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적어도 3층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기저층(B), 그 위에 배치된 외층(A) 및 상기 외층 위에 배치된 차단 코팅층(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름은 외층 혹은 중간층으로 이루어진 추가 층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전형적인 필름의 구조는 ABAD, DABC, DABD 혹은 DABCD 구조이며, 여기서 (A) 와 (C)는 적절한 외층이다. 상기 외층(A)와 (C), 또는 층(D)는 조성이 같거나 혹은 다를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상기 외층 및 중간층들 용으로, 기저층(B)의 것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물질들도 또한 이들 외층에 존재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외층이 중합체의 혼합물, 공중합체 또는 단일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유니트 및/또는 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유니트 및/또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유니트를 함유한다. 10몰%이하의 폴리에스테르는 또다른 공단량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추가층에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구성분은 또한 (폴리에스테르)공중합체 또는 단일- 및/또는 공중합체의 (폴리에스테르)혼합물 혹은 배합물일 수 있다.
상기 외층에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을 기재로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필름의 광학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 경우에, 실질적으로 필름의 외층들은 주로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유니트, 및 에틸렌 글리콜 유니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남아있는 단량체 유니트는 다른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올, 또는 다른 디카르복시산으로부터 유래되며, 기저층에서도 또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에 소정의 특성(특히, 광학 특성)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소프탈레이트 유니트, 및 에틸렌 글리콜 유니트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은 40∼97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비율은 60∼3몰%이다.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이 50∼90몰%이고 이에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비율이 50∼10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이 60∼85몰%이고 이에 상응하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비율이 40∼15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층(A) 및 경우에 따라 외층(C)에 함유된 추가의 성분은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성분II)으로, 이는 특정 외층의 중량을 기초로 0∼50중량%, 바람직하게는 2∼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저층(b)가 외층(A) 혹은 (C) 보다 더 높은 비율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을 함유한다.
상기 외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0㎛ 이내, 또한 특히 바람직하게는 2.0∼10㎛ 이내이다.
존재하는 기저층(B), 외층들 및 중간층들은 안정화제 및 항블록킹제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용융 전에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에 적절하게 첨가된다. 사용되는 안정화제로는 인산 또는 인산 에스테르와 같은 인산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전형적인 항블록킹제(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안료 또는 충진제로 언급된다.)로는 탄산칼슘, 무정형 실리카, 활석,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바륨, 인산리튬,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이산화알루미늄, 불화리튬, 사용된 디카르복시산의 칼슘, 바륨, 아연 또는 망간염, 카아본 블랙, 이산화티탄, 카올린, 또는 가교된 폴리스틸렌 또는 아크릴레이트 입자 등의 무기 및/또는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선별된 첨가제는 2이상의 다른 항블록킹제의 혼합물 또는 조성은 같으나 입자 크기가 다른 항블록킹제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상기 입자들은 중축합시 글리콜 분산으로 또는 압출시에 마스터배치를 통해 각 층에 통상의 농도로 첨가될수도 있다. 바람직한 안료 농도는 주입될 층의 중량을 기초로 0.0001∼5중량%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항블록킹제의 상세한 설명은 EP-A-0 602 964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층(A)의 충진제 함량(안료 함량)은 외층(A)의 중량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3중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은 4층 구조를 가지며, 이경우 기저층(B), 2개의 외층(A) 및 (C), 그리고 차단 코팅층(D)로 이루어진다. 추가의 외층(C)는 외층(A)와 동일한 조성일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층(A)는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을 함유하지 않으며, SiO2와 같은 소정의 충진제도 또한 0.5중량% 이하로 함유하고, 평균 조도(Ra)는 10∼100㎚의 범위 이내이다.이는 사용된 충진제의 평균 직경(d50)이 2.0∼5.0㎛의 범위 이내일때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층(A)는 적합한 공정(예를 들면, 역그래비어)에 의해 (필름의 제조시에)인라인으로 도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차단층(D)에 적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가의 성분II(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을 상기 추가의 외층(C)에 첨가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층(A)는 필름 형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 및 말레인산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배합물로 구성된 차단층(D)로 코팅된다. 바람직한 폴리(말레인산-co-아크릴산)공중합체(PMA-co-PA)는 평균 분자량이 1,500∼15,000이며, 50:50의 비율로 각각의 단량체 유니트를 함유하며, 또한 교차 구조(alternating structure)를 갖는다. 통상의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코팅제에서, 공중합체 고형분의 함량은 공중합체와 필름 형성 물질의 합을 기초로 50∼95중량%, 바람직하게는 55∼90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60∼85중량%이다.
공중합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르는 코팅의 배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물에 녹을 수 있는 필름-형성 물질을 함유한다. 본래 이 물질은 코팅층의 취성(brittleness)를 최소화한다. 바람직한 필름-형성 물질은 폴리비닐 알코올이다. 상기 코팅제에서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필름-형성 물질의 고형분 함량은 공중합체 및 필름-형성 물질의 합을 기초로, 5∼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45중량%,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중량%이다.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의 분자량은 15,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0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제 혹은 배합물은 습윤제 및/또는 전분(starch)를 또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후자가 수용성이어야 한다. 또한, 트리클로산 혹은 메틸파라벤등과 같은 항미생물성 물질이 상기 코팅제 혹은 배합물에 첨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코팅 배치(= 본 발명의 배합물과 물의 용액 혹은 분산액)는 폴리비닐 알코올 2∼3중량% 및 폴리(말레인산-co-아크릴산)공중합체 7∼8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용액에서 물의 비율은 수득된 분산액/용액인 경우, 이를 기초로 50∼99중량%, 바람직하게는 80∼95중량%이다.
본 발명(다른 첨가제를 함유한 배합물)에 따른 고형분의 분산 혹은 용해를 위하여, 물 또는 물 함유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된 용매로 또한 알코올 또는 다른 적합한 유기 물질 단독으로 혹은 물과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수득된 최종 용액/분산액에서의 고형분 함량은 50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0.01∼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중량%이다.
본 발명의 차단층으로 코팅되어진 필름은 음식물의 포장용으로 매우 적합하며, 또한 이 경우 상기 음식물과 코팅제의 접촉이 가능하다. 코팅된 필름은 용매 및 물에 우수한 저항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된 필름을 증기환경으로 121℃에서 2시간동안 추출(extraction)하여도 추출되는 코팅제의 양이 측정할 수 없을 정도(극히 적음)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의 또다른 눈에띄는 이점은 낮은 층 두께로 우수한 차단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이 결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름의 투명도가 개선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코팅층(D)의 두께는 0.01∼1㎛, 바람직하게는 0.04∼0.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0.15㎛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두께는 용도에 따라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는 6∼300㎛, 바람직하게는 8∼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00㎛이고 기저층(B)의 비율은 총 두께의 40∼9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기저층(B)를 제조하기 위하여, 특정 성분(성분I = 폴리에스테르 단일 중합체 또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 성분II =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 과립)들을 압출기에 직접 공급한다. 상기 물질들은 약 270∼300℃에서 압출될 수 있다. 공정 기술의 관점에서 볼때, 기저층(B)용 중합체의 압출이 가스제거 수단을 갖는 이축 압출기에서 수행될때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외층의 중합체는 추가의 압출기를 통해 (공압출)시스템으로 적절하게 주입된다.(기본 시험의 결과, 이축 압출기가 단일축 압출기(single-screw extruder)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융물은 다층 노즐에서 성형되어 편평한 용융 필름을 형성하고 이를 적층하였다. 이후, 상기 다층 필름을 인출하고 냉각 로울, 경우에 따라 추가의 로울에 의해 경화한다.
이축 연신은 연속해서 수행한다. 연신은 먼저 길이방향(기계 방향)으로 연신하고, 뒤이어 횡방향(길이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의 연신은 소정의 연신율에 따라 각기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2개의 로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횡방향 연신의 경우, 일반적으로 적절한 텐더프레임을 이용한다.
연신이 수행되는 온도는 필름의 특성에 따라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의 연신은 80(가열 온도 80∼130℃)∼130℃(연신율에 따른 연신 온도 80∼130℃)에서 이루어지고 횡방향의 연신은 90(연신 시작온도)∼140℃(연신 종료온도)에서 이루어진다. 길이방향의 연신율은 바람직하게는 2.0:1∼5.0: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1∼4.8:1이다. 횡방향의 연신율은 바람직하게는 2.5:1∼5.0: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7:1∼4.5:1이다.
횡방향연신 전에, 적어도 필름의 외층(A)의 면에 바람직하게는 인라인 코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차단 코팅(D)가 도포된다.
매우 우수한 광학 특성(= 매우 낮은 불투명도) 및 우수한 공정 신뢰성(=파열(tear)이 거의 없음)을 갖는 필름의 제조를 위해, 필름의 평면 배향성(△p)이 △p=0.160 미만, 바람직하게는 △p=0.158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p=0.156 미만일때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길이방향 연신 및 횡방향 연신에서 가공 매개변수는 최종 필름의 평명 배향성(△p)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평면 배향성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가공 매개변수는 길이방향 및 횡방향 연신율(λMD및 λTD)와 길이방향 및 횡방향의 연신온도(TMD및 TTD)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λMD= 4.6 및 λTD= 4.0, 또한 TMD=118℃ 및 TTD=125℃에서 기계에서 얻어지는 평면 배향성(△p)이 0.165인 경우, 종방향 연신온도(TMD)가 125℃로 증가하거나, 횡방향 연신온도(TTD)가 135℃로 증가하고, 또는 종방향 연신율(λMD)이 4.3으로 떨어지거나 횡방향의 연신율(λTD)이 3.7으로 떨어져 평면배향성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종방향 연신인 경우, 설정온도는 특정 로울 온도에 기초한 것이고, 횡방향 연신인 경우에는 IR법에 의해 측정된 필름의 온도에 기초한 것이다.
뒤이은 열 고정에서, 상기 필름을 약 150∼250℃의 온도에서 0.1∼10초간 유지한다. 뒤이어, 필름을 통상의 방법으로 권취한다.
필름면(A)의 광택은 입사각 20°에서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면의 광택은 110 이상 이고,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120 이상이다. 따라서, 상기 면은 상기에 언급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차단층(D)로 도포된 경우 추가의 기능성 코팅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상기 외층(A)의 높은 광택(외층(A)의 고 광택에 가장 근접한 등가로)은 아주 미미하게 기능성 층을 손상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코팅(D)로 균일한 두께 분포가 얻어지고, 이로서 최종적으로 상기 층에 매우 우수한 물리적 특성이 얻어진다.
필름의 불투명도는 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의 불투명도는 15%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10% 미만이다. 낮은 불투명도는 필름이 포장용으로 더욱 적합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제조 원가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료 물질의 필름의 원가보다 현저하게 비싸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필름의 제조 시에 생성된 절단 물질을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지 않고 필름 총 중량에 60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까지 재사용이 보장된다는 점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은 세라믹 물질로 금속화 또는 진공 코팅 하는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제로 도포된 면에 상기 세라믹 물질로 금속화 또는 진공 코팅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산소 뿐 아니라 증기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음식물이나 다른 소비재품의 포장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필름은 특히 산소에 대한 눈에 띄는 차단 특성을 갖는다. 또한 수분 접촉에도 저항력이 있다. 선행 기술의 차단층과 비교해 볼때, 상기 차단층(D)는 수세(wash off)되지 않는다.
하기의 표(표 1)에 본 발명의 필름의 가장 중요한 특성을 일괄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범위 바람직한 범위 보다 바람직한 범위 단위 측정방법
기저층(B)
성분I(=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60∼95 65∼94 70∼93 중량%
성분II(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 5∼40 6∼35 7∼30 중량%
사용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의 용융 점도 < 2,000 < 1,800 < 1,600 포이즈 모세관 측정계(280℃)
차단층(D)
폴리비닐 알코올(PVOH+공중합체를 기초로한 고형분 함량) 5∼50 10∼45 15∼40 중량%
폴리(말레인산-co-아크릴산)공중합체(PVOH+공중합체를 기초로한 고형분 함량) 중량%
(D)층의 두께 0.01∼1 0.04∼0.2 0.06∼0.15
필름 특성
산소에 대한 투과 계수 < 25 < 20 < 15 ㎤*[12㎛]/(㎡·bar·d) DIN 53 380, Part 3
OTR(필름두께12㎛) < 25 < 20 < 15 ㎤/(㎡·bar·d) DIN 53 380, Part 3
층간의 부착력 < 0.5 > 1.0 > 1.5 N/25㎜ 언급된 것과 동일
평면배향성(△p) < 0.160 < 0.158 < 0.156 언급된 것과 동일
필름의 두께 6∼300 8∼200 10∼100
필름의 불투명도 < 20 < 15 < 10 % ASTM-D 1003-52
시험 방법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원료 및 필름의 특성을 특정하였다.
DIN = Deutsches Institute fur Normung (독일 공업품 표준 규격)
ASTM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미국 재료 시험 협회)
(1) 산소 투과율(OTR)
산소 차단성은 Mocon Modern Controls사(미국)의 OXTRAN? 100을 사용하여 DIN 53 380, Part 3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3℃, 필름 양면의 상대 대기 습도 50%). OTR은 필름의 각 두께가 12㎛인 것으로 측정하였다.
(2) 불투명도
필름의 불투명도 측정은 ASTM-D 1003-52를 기초로 측정하였다.
(3) SV 값(표준 점도)
표준 점도, SV(DCA)는 디클로로아세트산에서 DIN 53 726을 기초로 측정하였다. 고유 점도(IV)는 표준 점도로부터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IV(DCA) = 6.907 ·10-4SV(DCA) + 0.063096
(4) 광택
광택은 DIN 67530으로 측정하였다. 반사값은 필름 면의 특징적인 광학 매개변수로서 측정되었다. 표준 ASTM-D 523-78 및 ISO 2813을 기초로, 입사각을 20°또는 60°로 고정하였다. 광빔은 설정된 입사각으로 평평한 검사 표면을 때린 후에 반사 또는 산란한다. 광전자 검출기에 입사되는 광선이 전기적인 비례변수로서 나타난다. 측정된 값은 치수가 없으며 입사각과 함께 나타내어야 한다. 실시예에 명시된 광택의 측정값은 입사각을 20°로 하여 측정한 것이다.
(5) 조도
필름의 조도(Ra)는 0.25㎜의 컷오프에서 DIN 4768로 측정하였다. 측정값은유리판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으나, 반면 환상(ring)의 영향을 받았다. 상기 환상법(ring method)에서, 두 면 모두 제3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필름은 환형으로 조오한다. (예를 들면, 유리)
(6) 평면 배향성(△p)
평면 배향성은 아베 굴절계(Abbe refractometer, Kruss Optronic사 제조, 독일)를 사용하여 굴절지수들을 측정함으로서 결정되었다. 평면 배향성은 항상 필름의 더광택있는 면에서 측정된다. 굴절지수들의 측정은 이미 EP-A-0 952 176호의 10 페이지에서 자세하게 제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서류를 참고하였다. 배향 값은 하기의 식들에 의한 굴절 지수들로부터 계산하였다.
△n = nMD- nTD
△p = (nMD+ nTD) / 2 - nZ
nav= (nMD+ nTD+ nZ) / 3
(7) 층간 부착력
부착결합 전에, 본 발명의 필름 표본(세로 300mm ×가로 180mm)을 민활한 종이판지(세로 200mm ×가로 180mm, 약 400g/㎡, 표백, 외층 코팅) 위에 놓는다. 돌출된 필름 단부를 반대쪽으로 접고, 접착테이프로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차단층(D)에 약 1.5㎖의 접착제(Novacote?NC 275+CA 12, 혼합비율: 4/1 + 아세트산에틸 7부)를 도포하고, 닥터블래드 장치 및 닥터 블래드로드 No.3(독일, Erichsen사)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두께 12㎛의표준 폴리에스테르 필름(예를 들어, Melinex 800)에 접착하였다. 통풍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금속로울러(폭 200mm, 직경 90mm, 중량 10kg, DIN EN 20 535에 의함)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필름의 차단층(D)에 표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층한다. 적층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접착제양: 5 ±1g/㎡
접착제 도포후 통풍: 4분 ±15초
닥터블래드 두께(Erichsen): 3
닥터블래드 속도: 약 133mm/s
결합 양생시간: 순환 공기 오븐 내에서 70℃에서 2시간
25 ±1mm의 스트립 절단기를 사용하여 약 100mm 길이의 견본을 자른다. 시험견본을 고착/고정하기 위해서는 접착본드 약 50mm와 미접착된 각 층 50mm가 필요하다.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시험견본을 본 발명의 필름의 배면(기저층(B) 또는 외층(C))과 함께 금속 지지판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고정한다. 복합체가 접착된 판을 장력시험기의 하부 클램핑 조오에 클램프한다. 클램프되는 부분은 100mm이다. 피일각(peeling angle)이 180°가 되도록 표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층되지 않은 단부를 장력시험기(예를 들어, Instron?, Zwick)의 상부 클램핑 조오에 클램프한다. 소숫점 한자리에서 반올림한 평균 박리력(peel force)은 N/25mm이다.
표본 너비: 25mm
초기 힘: 0.1N
측정길이: 25mm
초기 힘 이하의 박리율: 25mm/min
초기 거리: 5mm
시험 거리: 40mm
감도: 0.01N
박리율: 100mm/분
접착제와 표준필름과의 결합강도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박리력(peel force)의 측정결과는 본 발명의 층간 최소 부착력과 같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에 본 발명을 도시하였다. 사용된 제품(제품명 및 제조사)은 각각 단 한번만 명시하였고, 이에 관한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스테르 교환 촉매로서 Mn(중합체 내에서의 Mn 농도: 100 ppm)을 사용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으로 제조, 150℃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잔류수분함량이 100 ppm이하) 칩과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마찬가지로, 150℃의 온도에서 건조시킴) 칩을 85:15의 혼합 비율로 기저층(B)용 압출기(단일축 압출기)에 주입하였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 및 특정 충진제들을 또한 외층(A)용 압출기에 주입하였다. 그 후, 공압출을 이용하여 AB구조를 갖는 2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을 길이방향으로 연신한 후, (역그라비어에 의해) 본발명의 차단층(D)를 도포하였다. 뒤이어, 수득된 3층 필름을 횡방향으로 연신하여 DAB구조이고 총 두께가 12㎛인 투명 3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외층(A)의 두께는 2.0㎛이었다.
외층(A)에 도포된 차단 코팅층(D):
평균 분자량이 3,000(Sigma-Aldrich로 측정, Milwaukee사, Wisconsin, USA, 제품명: 41605-3)인 PMA-co-PA 7 중량%
미국 Celanese사의 폴리비닐 알코올(상품명: Celvol? 305, MW= 31,000∼50,000) 3중량%
외층(A):
SV값이 800이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99.9중량% 및 d50값이 2.5㎛인 실리카 입자(Sylysia?320, Fuji사, 일본) 0.1중량%로 구성되는 독일 KoSa사의 폴리에스테르 원료(4023) 100중량%
기저층(B):
SV값이 800인 KoSa사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4023) 85.0중량%, 및
용융 점도가 1,400 푸아즈인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제품명: Nylon MXD6 6001, 미스비시 가스 화학 주식회사 제조) 15중량%
각각 공정의 제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압출 온도 A층 290℃
B층 290℃
인출로울의 온도 25℃
길이방향 연신 연신 온도 125℃
길이방향 연신율 4.0
횡방향 연신 연신 온도 130℃
횡방향 연신율 3.9
열고정 온도 230℃
시간 3초
상기 외층(A)면은 요구되는 고광택, 요구되는 낮은 무광택성, 및 요구되는 낮은 OTR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필름은 파열 없이, 매우 경제적으로 제조되며 또한 바람직한 가공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라 공압출을 사용하여 ABC 구조를 갖는 3층 구조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두 층(A) 및 (B)는 실시예 1과 비교할때 변함없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과 충진제들을 외층(C)용 압출기(이축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수득된 필름을 길이방향으로 연신한 다음, 본 발명의 차단층(D)를(역 그라비어에 의해) 도포하였다. 뒤이어, 수득된 4층 필름을 횡방향으로 연신하여 DABC 구조로 총 두께가 12㎛인 투명, 4층 필름을 얻었다. 상기 외층(A) 및 (C)의 두께는 각각 2.0㎛이었다.
외층(C):
SV값이 800이고, KoSa 사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99중량% 및 d50 값이 2.5㎛인 실리카 입자(Sylysia 320, Fuji사, 일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원료(4023) 100중량%
각 공정단계에서의 제조조건은 실시예 1과 같게 하였다. 외층(A)의 표면은 요구되는 고광택을 가지며, 요구되는 낮은 불투명도 및 요구되는 낮은 OTR을 갖는다. 또 본 필름은 매우 효율적으로, 즉 인열이 없이 제조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한 가공특성을 보였다.
(비교예 1)
JP 2001-347592호의 실시예 1에 따라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의 조도 값은 매우 높았고, 필름의 광택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특성 및 구조를 표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필름두께 필름구조 차단층(D)의 두께 기저층(B)내의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함량 외층(A)내의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MXD6)함량 (A)면의 광택(20°) (A)면의 조도(Ra) 평면배향성(△p) OTR 층(A및B)간의 부착력 필름의 불투명도
중량% 중량% - ㎤/㎡·bar·d N/25㎜ %
1 12 DAB 0.1 15 0 160 40 0.154 13 1.0 6
2 12 DABC 0.1 15 0 170 40 0.154 13 1.0 5
CE1 12 B 20 - 65 170 22 8
본 발명의 필름은 개선된 광학 특성 및 매우 우수한 차단 특성, 특히 산소의 통과에 대해 매우 우수한 차단 특성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음식의 재료나 다른 소비성 물질의 포장에 적합하다.

Claims (19)

  1. 기저층(B)는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로 구성되고, 차단층(D)는 말레인산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의 배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성물질 및 기저층(B), 및 기저층(B)에 도포되고 차단층(D)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층(A)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B)는 기저층(B)의 중량을 기초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를 5∼4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A)는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의 용융 점도는 2000 포이즈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B)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6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B)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 글리콜 유니트와 테레프탈산 유니트, 및/또는 에틸렌 글리콜 유니트와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유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B)의 폴리에스테르는 이소프탈산 유니트, 테레프탈산 유니트 및 에틸렌 글리콜 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기저층(B)용 폴리에스테르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은 차단층(D)의 필름 형성 물질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은 분자량이 15,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D)의 말레인산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는 분자량이 1,500∼1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BC 층구조를 가지며, 외층인 (A) 및 (C)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A) 및/또는 (C)는 기저층(B)용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A)는 광택이 1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3·m-2·d-1·bar-1미만의 산소 투과성(OTR)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미만의 불투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의 층간부착력은 0.5N/25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8. a) 공압출에 의해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필름을 길이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c) 차단층(D)로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d) 상기 코팅된 필름을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및
    3) 상기 연신된 필름을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19. 음식 및 다른 소비제품의 포장재로 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KR1020040003381A 2003-01-21 2004-01-16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를 함유하며, 외층 및 차단코팅을 포함하는 산소 차단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20040067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2035.7 2003-01-21
DE2003102035 DE10302035A1 (de) 2003-01-21 2003-01-21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sowie eine Deckschicht und eine Barriere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937A true KR20040067937A (ko) 2004-07-30

Family

ID=3260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381A KR20040067937A (ko) 2003-01-21 2004-01-16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를 함유하며, 외층 및 차단코팅을 포함하는 산소 차단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05169B2 (ko)
EP (1) EP1457317B1 (ko)
JP (1) JP2004224050A (ko)
KR (1) KR20040067937A (ko)
DE (2) DE10302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2035A1 (de) * 2003-01-21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sowie eine Deckschicht und eine Barriere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02036A1 (de) * 2003-01-21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und eine Barriere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02034A1 (de) * 2003-01-21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und Poly(m-xylol-adipinamid)-haltiger Basisschich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52432A1 (de) 2003-11-10 2005-06-0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heißsiegelbare, peelfähig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52430A1 (de) * 2003-11-10 2005-06-0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eelfähige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52431A1 (de) 2003-11-10 2005-06-0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eelfähige Polyesterfolie mit selbsttätiger Entlüf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52444A1 (de) 2003-11-10 2005-06-0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Haftvermittelte, heißsiegelbare und peelfähig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04030977A1 (de) * 2004-06-26 2006-01-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tallisierte oder keramisch beschichtete Polyesterfoli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DE102004030979A1 (de) * 2004-06-26 2006-01-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Extrusionsbeschichtbare Polyesterfoli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DE102004030978A1 (de) * 2004-06-26 2006-01-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Haftvermittelnde Polyesterfoli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DE102004030980A1 (de) * 2004-06-26 2006-01-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US20080169590A1 (en) * 2004-08-31 2008-07-17 Invista North America S.A.R.L. Polyester-Polyamide Blends Having Low Haze
DE102005011470A1 (de) * 2005-03-12 2006-09-14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DE102005011469A1 (de) * 2005-03-12 2006-09-14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hrschichtige, transparen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DE102005027657A1 (de) * 2005-06-15 2006-12-2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hrschichtige, transparen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US20070031546A1 (en) * 2005-08-05 2007-02-08 Curwood, Inc. Polyester and polyamide blend containing article for packaging a CO2 respiring foodstuff
CN101537914B (zh) * 2009-04-24 2012-10-24 昆山市张浦彩印厂 高分子合金包装材料
WO2011116338A1 (en) * 2010-03-19 2011-09-22 Vinperfect, Inc. Oxygen regulation mechanism for a beverage gasket
CN102029754B (zh) * 2010-09-21 2013-08-28 昆山加浦包装材料有限公司 高阻隔共挤出拉伸薄膜
US9303179B2 (en) 2012-11-02 2016-04-05 Michelman, Inc. Primer coating for metallized gas barrier films
US20170210867A1 (en) * 2016-01-22 2017-07-27 Michelman, Inc. Coatings and coated substrates with improved barrier and adhes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DE102018214185A1 (de) 2018-08-22 2020-02-27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Beschichtung
CN111645289A (zh) * 2020-06-30 2020-09-11 佛山赛和薄膜科技有限公司 镀铝复合用聚酯薄膜在线表面处理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4461A (en) 1960-03-07 1964-10-27 Minnesota Mining & Mfg Matte-finish polymeric film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GB1415686A (en) 1972-10-24 1975-11-26 Ici Ltd Voided films
JPS57123050A (en) 1980-12-01 1982-07-31 Toray Industries Polyester composite film
JPH0227942B2 (ja) * 1982-05-12 1990-06-20 Toyo Boseki Tasoyoki
BR8807141A (pt) * 1987-07-27 1989-10-31 Metal Box Plc Parede para uma embalagem,composicao para uso em embalagens,processo para fazer-se uma parede,processo para fazer uma composicao,embalagens,garrafa de bebida e recipiente de comida
EP0679508B1 (en) 1988-06-08 1999-12-29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film
US6288161B1 (en) * 1990-01-31 2001-09-11 Pechiney Emballage Flexible Europe Barrier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H0664098A (ja) * 1992-08-24 1994-03-08 Denki Kagaku Kogyo Kk 積層体及びその成型体
JP2989080B2 (ja) 1992-12-17 1999-12-13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340780B2 (ja) * 1993-01-27 2002-11-05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リヤー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736600B2 (ja) * 1993-09-27 1998-04-02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リヤー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203287B2 (ja) * 1994-01-26 2001-08-27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リヤー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FR2718078B1 (fr) * 1994-03-31 1996-05-03 Rhone Poulenc Films Films polyesters composites à propriétés barrière.
EP0765218B1 (en) * 1994-06-13 1998-04-01 AlliedSignal Inc. Retortable, high oxygen barrier polymeric films
US6177159B1 (en) * 1996-06-10 2001-01-23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Composite sheet for food container
US6083585A (en) * 1996-09-23 2000-07-04 Bp Amoco Corporation Oxygen scavenging condensation copolymers for bottles and packaging articles
EP0962300A1 (en) 1998-06-03 1999-12-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of manufacturing evoh/polyester bistretched film and the film thus obtained
US6562276B1 (en) * 1998-08-20 2003-05-13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forming a multilayer, coinjected article
EP1253000B2 (en) * 1999-02-12 2008-08-27 Toyo Seikan Kaisya, Ltd. Polyester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379812B1 (en) * 2000-05-31 2002-04-30 Cryovac, Inc. High modulus, multilayer film
JP2001347592A (ja) 2000-06-07 2001-12-18 Unitika Ltd ガスバリヤ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DE10051082A1 (de) 2000-10-14 2002-04-2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atte, koextrudier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US6933055B2 (en) * 2000-11-08 2005-08-23 Valspar Sourcing, Inc. Multilayered package with barrier properties
US7807270B2 (en) * 2000-11-08 2010-10-05 Valspar Sourcing, Inc. Multilayered package with barrier properties
DE10109217A1 (de) 2001-02-26 2002-09-0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US6709735B2 (en) * 2001-11-14 2004-03-23 Mitsubishi Polyester Film, Llc Oxygen barrier coating and coated film
DE10302036A1 (de) * 2003-01-21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und eine Barriere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02035A1 (de) * 2003-01-21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sowie eine Deckschicht und eine Barriere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02033A1 (de) * 2003-01-21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und Poly(m-xylol-adipinamid)-haltiger Deckschich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02034A1 (de) * 2003-01-21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und Poly(m-xylol-adipinamid)-haltiger Basisschich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7317A1 (de) 2004-09-15
JP2004224050A (ja) 2004-08-12
EP1457317B1 (de) 2007-06-13
US7005169B2 (en) 2006-02-28
DE502004004061D1 (de) 2007-07-26
DE10302035A1 (de) 2004-07-29
US20040146750A1 (en)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837B2 (en) Polyester film having improved oxygen barrier, comprising poly(m-xyleneadipamide) and a barrier coating,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KR20040067937A (ko)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를 함유하며, 외층 및 차단코팅을 포함하는 산소 차단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US7141307B2 (en) Extrusion-coatable polyester film comprising poly(m-xyleneadipamide)
US7238428B2 (en) Polyester film having improved oxygen barrier and poly(m-xyleneadipamide)-containing base layer,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US7087312B2 (en) Polyester film having improved oxygen barrier and poly(m-xyleneadipamide)-containing overlayer,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KR20040091576A (ko) 공압출, 열시일성 및 필러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공정 및 그 용도
US6787219B2 (en) Transparent polyester film having at least three layer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20060286349A1 (en) Multilayer, transparent polyester film with high oxygen barrier
US20050287380A1 (en) Adhesion-promoting polyester film comprising poly(m-xyleneadipamide)
US20040028926A1 (en) Transparent polyester film with high oxygen barrier and additional functionality, its use and process for it production
US20050287381A1 (en) Polyester film comprising poly(-xyleneadipamide)
KR20060048565A (ko) 폴리(m-크실렌아디파미드)를 포함하는 금속화된 또는세라믹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US6787218B2 (en) Transparent polyester film having a high oxygen barri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6866920B2 (en) Transparent, multilayer,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3316913B2 (ja) ヒートシール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69717B2 (ja) 積層フィルム
US20060204747A1 (en) Multilayer, transparent polyester film with high oxygen barrier
JP2004330476A (ja)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