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674A -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674A
KR20040067674A KR1020030004895A KR20030004895A KR20040067674A KR 20040067674 A KR20040067674 A KR 20040067674A KR 1020030004895 A KR1020030004895 A KR 1020030004895A KR 20030004895 A KR20030004895 A KR 20030004895A KR 20040067674 A KR20040067674 A KR 20040067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guide
reflux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3000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674A/ko
Publication of KR2004006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6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11/02Funnels, e.g. for liquids without discharg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2011/30Funnels, e.g. for liquids comprising venting mean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동전투입구와, 동전투입구의 하부에 한 개의 제1 가이드로 연결하여 투입된 동전을 정상주화와 불량주화로 분류하는 동시에 정상주화는 다시 종류에 따라 분리하는 동전분리통과, 동전분리통의 일 측 하부에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로 연결하여 분리된 정상주화를 종류에 따라 집적하는 동전집적통과, 동전집적통의 하부에 한 개의 제3 가이드로 연결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는 반면 동전분리통에 제4 가이드로 연결하여 불량주화를 반출하는 동전반환구로 구성함으로써, 거스름돈을 보충하는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무인자동화 기기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 동전집적통을 유기적으로 구비하여 거스름돈을 충분히 비축할 수 있으면서도 동전의 진행로를 단순화하여 거스름돈의 방출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동전분실방지장치의 개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LARGE SCALE REFLOW TYPE COIN MECHANIS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화 사상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거스름돈 방출수단 없이도 많은 주화를 집적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화 사상 장치(coin mechanism)는 자동판매기 또는 동전교환기 등에 설치하여 이용대금에 따라 거스름돈을 동전으로 자동 방출하거나 교환하는 기기로서, 투입된 동전을 집적한 후 이를 거스름돈으로 방출하는지 여부에 따라 환류식과 비환류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환류식은 투입된 동전을 일정량 집적하였다가 거스름돈으로 되돌려 주는 방식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는 동전투입구(1)와 동전분리통(2)을 제1 가이드(g1)로 연결하고, 동전분리통(2)에서 분리한 동전 중에서 정상주화는 금액에 따라 분리하여 집적하였다가 거스름돈이 필요하면서 정산해서 방출하는 반면 불량주화는 곧바로 반출하는 동전반환구(3)를 각각 제2 가이드(g2)와 제3 가이드(g3)로 연결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용대금을 동전투입구(1)로 투입하면 동전은 제1 가이드(g1)를 통해 동전분리통(2)로 전달되고, 이 동전분리통(2)에서 불량주화 여부와 금액을 식별한 후 불량주화일 경우에는 제3 가이드(g3)를 통해 동전반환구(1)로 전달하는 반면 정상주화일 경우에는 동전분리통(2)에서 일시 정체되었다가 금액이 맞으면 종류별로 자체 집적하면서 자동판매기 또는 동전교환기 등의 시스템을 구동시키고 거스름돈을 내줄 필요가 있으면 동전반환구(3)를 통해 동전분리통(2)에 집적한 동전을 방출하는 것이었다.
한편, 도 2는 비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의 메커니즘을 보인 블록도로서, 비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는 동전투입구(1)를 동전분리통(2)에 제1 가이드(g1)로 연결하고, 동전분리통(2)을 동전집적통(4)에 제2 가이드(g2)로 연결하는 반면 동전반환구(3)에 제3 가이드(g3)로 연결하며, 별도의 동전방출통(5)을 두어 이 동전방출통(5)을 제4 가이드(g4)로 상기한 동전반환구(3)에 연결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용대금을 동전투입구(1)로 투입하면 동전은 제1 가이드(g1)를 통해 동전분리통(2)로 전달되고, 이 동전분리통(2)에서 불량주화 여부와 금액을 식별한 후 불량주화일 경우에는 제3 가이드(g3)를 통해 동전반환구(3)로 전달하는 반면 정상주화일 경우에는 제2 가이드(g2)를 통해 동전집적통(4)으로 전달하여 동전을 집적한다. 다음 이용대금의 금액이 맞으면 자동판매기 또는 동전교환기 등의 시스템을 구동시키고 거스름돈을 내줄 필요가 있으면 상기 동전방출통(5)에서 제4 가이드(g4)를 통해 동전반환구(3)로 전달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주화 사상 장치중에서 먼저 환류식은 동전을 동전분리통(2)에서 일부 집적하지만 용량이 작아 관리자가 자주 거스름돈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해 거스름돈이 많이 필요한 지폐입금가능시스템은 거의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비환류식은 별도의 동전집적통(4)과 동전방출통(5)을 별개로 구비함에 따라 동전의 집적량이 많고 이로 인해 자주 거스름돈을 보충할 필요는 없지만 부품수가 많아 동전의 진행로가 복잡하게 되는 것은 물론 동전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시건장치를 동전집적통(4)과 동전방출통(5) 모두에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상승과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주화 사상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동전집적통과 동전방출통을 일체화하여 동전진행로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동전분실방지장치를 일원화하고 거스름돈을 자주 보충할 필요가 없으며 지폐입금가능시스템도 적용할 수 있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의 메커니즘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대 비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의 메커니즘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의 메커니즘을 보인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에서 주화의 흐름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동전투입구 12 : 동전분리통
13 : 동전집적통 14 : 동전반환구
15 : 동전보충/회수구 g1,g2,g3,g4 : 가이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전투입구와, 이 동전투입구의 하부에 한 개의 제1 가이드로 연결하여 투입된 동전을 정상주화와 불량주화로 분류하는 동시에 정상주화는 다시 종류에 따라 분리하는 동전분리통과, 이 동전분리통의 일 측에 하향으로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로 연결하여 분리된 정상주화를 종류에 따라 집적하는 동전집적통과, 이 동전집적통의 하부에 한 개의 제3 가이드로 연결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는 반면 동전분리통에 제4 가이드로 연결하여 불량주화를 반출하는 동전반환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를 제공한다.
또, 동전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을 동전분리통에서 정상주화인지 불량주화인지를 식별하는 단계와, 불량주화인 경우에는 곧바로 동전반환구로 안내하는 반면 정상주화인 경우에는 종류별로 나누는 단계와, 종류별로 나눈 정상주화를 다시 종류별로 나눠 동전집적통에 연속적으로 집적하는 단계와, 거스름돈이 필요한 경우에는 동전집적통에 집적된 동전을 동전반환구로 안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의 메커니즘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에서 주화의 흐름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화 사상 장치는, 케이싱의 상단부에 구비하는 동전투입구(11)와, 이 동전투입구(11)의 하부에 하향 연결하여 투입된 동전을 정상주화와 불량주화로 분류하는 동시에 정상주화는 다시 종류에 따라 분리하는 동전분리통(12)과, 이 동전분리통(12)의 일 측 하부에 하향으로 분리된 정상주화를 종류에 따라 집적하는 동전집적통(13)과, 이 동전집적통(13)의 하부에 하향 연결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는 반면 동전분리통(12)에 역시 하향으로 연결하여 불량주화를 반출하는 동전반환구(14)로 구성한다.
또, 동전집적통(13)의 입구에 연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동전을 보충하거나 회수할 때 이를 안내하는 동전보충/회수구(1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동전보충/회수구(15)는 동전의 보충이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전분리통(12)은 통상 그 상단에 동전유입구(12a)를 두고 하단에 동전배출구(12b)를 두되, 동전유입구(12a)는 500원 동전 크기 보다 크게 1개를 형성하는 반면 동전배출구는 500원,100원,10원,50원 불량주화 등을 별도로 형성한다. 따라서 동전투입구(11)와 동전분리통(12)을 연결하는 제1 가이드(g1)는 단일관으로 형성하는 반면 동전분리통(12)의 동전배출구(12b)를 동전집적통(13)에 연결하는 제2 가이드(g2)는 4개, 불량주화를 배출하기 위한 제4 가이드(g4)는 1개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4 가이드(g4)는 후술할 제3 가이드(g3)의 중간에 연결하는 한편 4개로 된 제2 가이드(g2) 사이에 병설하는 것이 공간활용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동전집적통(13)은 그 입구측에 4개의 제2 가이드(g2)에 연결하도록 동전유입구(13a)를 4개 형성하고, 그 동전유입구(13a)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통하도록 동전집적로(13b)를 수직으로 4개 형성하며, 각 동전집적로(13b)의 하단에는 동전을 모아서 방출하도록 동전배출구(13c)를 1개 형성한다. 따라서 동전집적통(13)의 동전배출구(13c)와 동전반환구(14)를 연결하는 제3 가이드(g3)는 단일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대용량 환류식 주화 상사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사용자가 자동판매기 등의 전면에 구비한 동전투입구(11)를 통해 이용대금을 투입하면 이 투입된 동전은 제1 가이드(g1)를 거쳐 동전분리통(12)으로 이동하여 이 동전분리통(12)에서 정상주화인지 불량주화인지를 식별한다.(도 6의 S1)
다음, 식별된 주화가 불량주화인 경우에는 도 4와 도 5의 점선화살표와 같이 제4 가이드(g4)를 통해 곧바로 동전반환구(14)로 안내하여 반출하는 반면 정상주화인 경우에는 종류별로 나눈다.(도 6의 S2)
다음, 종류별로 나눈 정상주화를 도 4와 도 5의 실선화살표와 같이 제2 가이드(g2)를 통해 다시 종류별로 나눠 동전집적통(13)의 동전집적로(13b)에 연속적으로 집적한다.(도 6의 S3)
다음, 거스름돈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4와 도 5의 실선화살표와 같이 동전집적통(13)에 집적된 동전을 제3 가이드(g3)를 통해 필요한 만큼 동전반환구(14)로 전달되는 것이다.(도 6의 S4)
이렇게, 동전집적통을 구비하여 이용대금으로 투입되는 동전을 집적하였다가 거스름돈으로 반출함으로써 거스름돈을 보충하는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무인자동화 기기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 동전집적통을 유기적으로 구비하여 거스름돈을 충분히 비축할 수 있으면서도 동전의 진행로를 단순화하여 거스름돈의 방출속도를 높일 수 이다.
또, 동전분실방지장치를 동전집적통에만 설치하므로 통전분실방지장치의 개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은, 동전집적통을 구비함으로써 거스름돈을 보충하는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무인자동화 기기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 동전집적통을 유기적으로 구비하여 거스름돈을 충분히 비축할 수 있으면서도 동전의 진행로를 단순화하여 거스름돈의 방출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동전분실방지장치의 개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동전투입구와,
    동전투입구의 하부에 한 개의 제1 가이드로 연결하여 투입된 동전을 정상주화와 불량주화로 분류하는 동시에 정상주화는 다시 종류에 따라 분리하는 동전분리통과,
    동전분리통의 일 측 하부에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로 연결하여 분리된 정상주화를 종류에 따라 집적하는 동전집적통과,
    동전집적통의 하부에 한 개의 제3 가이드로 연결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는 반면 동전분리통에 제4 가이드로 연결하여 불량주화를 반출하는 동전반환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4 가이드를 제3 가이드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4 가이드는 제2 가이드 사이에 병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동전집적통의 입구에 연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동전을 보충하거나 회수할 때 이를 안내하는 동전보충/회수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동전보수/회수구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6. 동전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을 동전분리통에서 정상주화인지 불량주화인지를 식별하는 단계와,
    불량주화인 경우에는 곧바로 동전반환구로 안내하는 반면 정상주화인 경우에는 종류별로 나누는 단계와,
    종류별로 나눈 정상주화를 다시 종류별로 나눠 동전집적통에 연속적으로 집적하는 단계와,
    거스름돈이 필요한 경우에는 동전집적통에 집적된 동전을 동전반환구로 안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방법.
KR1020030004895A 2003-01-24 2003-01-24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67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895A KR20040067674A (ko) 2003-01-24 2003-01-24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895A KR20040067674A (ko) 2003-01-24 2003-01-24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674A true KR20040067674A (ko) 2004-07-30

Family

ID=3744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895A KR20040067674A (ko) 2003-01-24 2003-01-24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6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02A (ko) 2020-06-30 2022-01-06 (주)에이텍티앤 유지보수가 편리한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02A (ko) 2020-06-30 2022-01-06 (주)에이텍티앤 유지보수가 편리한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046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0180289B1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CN102938172B (zh) 纸币处理装置
KR20060046084A (ko) 지폐입출금기
WO2010049968A1 (ja) 貨幣処理装置
US20090260948A1 (en) Money handling machine
JP6003502B2 (ja) 硬貨処理装置
RU2645623C2 (ru) Финанс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60066166A (ko) 이권종 환류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0235074B1 (ko) 지폐 입출금장치
KR20040067674A (ko)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145722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보충모드의 제어방법
KR101092129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JP2002298189A (ja) 硬貨処理装置
JP3918406B2 (ja) 紙幣処理機
CN212724157U (zh) 一种硬币处理模块
JP2989037B2 (ja) 硬貨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100578371B1 (ko) 은행 자동화 기기
EP0560370B1 (en) Coin processing apparatus
KR100338228B1 (ko) 자동거래장치
KR100264107B1 (ko) 지폐류 수납상자 및 현금 자동 거래장치
JP4499349B2 (ja) 自動機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RU2814845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кассовая машина (банкомат)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RU279600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кассовая машина (банкомат)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0341776B1 (ko) 자동입지급기군관리시스템의매체보충방법및자동입지급기군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