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001A - Crusher - Google Patents

Cru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001A
KR20040066001A KR1020040001077A KR20040001077A KR20040066001A KR 20040066001 A KR20040066001 A KR 20040066001A KR 1020040001077 A KR1020040001077 A KR 1020040001077A KR 20040001077 A KR20040001077 A KR 20040001077A KR 20040066001 A KR20040066001 A KR 2004006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crushed
overload
crusher
biaxial s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시야마토오루
무라모토에이이찌
키타니토시오
우에무라타쿠야
아베신페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6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00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41Voice coil arrangements comprising more than one voice coil unit on the same bobb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PURPOSE: A two-axes crushing apparatus is provided to surely detect an excessive amount of materials to be crushed on a belt conveyor by means of a detecting unit, and to increase structural reliability of such a detecting unit. CONSTITUTION: The two-axes crushing apparatus(5) comprises a detecting unit(20) adapted to detect an excessive amount of materials to be crushed on a belt conveyor(7). The detecting unit has four sensors(21,22,23,24) located lateral to the belt conveyor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belt conveyor. Additionally, a sensor may be installed at an opposite side of a discharge side of the belt conveyor.

Description

2축 전단형 파쇄장치{CRUSHER}2-axis shearing crusher {CRUSHER}

본 발명은 파쇄물 반송용 벨트 컨베이어의 과잉 적재를 검출하는 장치를 구비한 2축 전단형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axial shearing type crushing device having a device for detecting an overload of a belt conveyor for crushed material conveyance.

종래, 파쇄기로부터 배출된 파쇄물이 파쇄물 반송용 벨트 컨베이어에 과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에 관해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주식 파쇄기가 알려져 있다. 동 기재에 의하면 배출 컨베이어에 파쇄물이 과적재되어 배출 불능이 되면 컨베이어용 유압모터의 회전 부하가 크게 되어서 그 유압회로에 설치된 압력센서가 이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는 피파쇄물을 파쇄기에공급하는 피더용 모터를 정지하게 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for example, a self-propelled crush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known as a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crushed matter discharged from the crusher is overloaded on the belt conveyor for crushed matter conveyance.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crushed material is overloaded on the discharge conveyor and the discharge is impossible, the rotating load of the hydraulic motor for the conveyor becomes large and the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the hydraulic circuit detects this, an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ler sends the crushed material to the crusher. The feeder motor to be supplied is stopped.

또한, 예컨대, 특허문헌 2에는 파쇄기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에 검출수단이 기재되어 있다. 도 9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자주식 파쇄기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동 2축 전단형 파쇄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자주식 파쇄기계(50)는 차체(51)의 좌우 양측에 1쌍의 주행체(52)를 구비하고, 차체(51)의 전방 부근에는 호퍼(53)를 갖는 2축 전단형 파쇄기(60)가 탑재되고, 후방 부근에는 구동장치(54)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2축 전단형 파쇄기(60)의 하방에는 파쇄물을 차량 전방측에 배출하는 벨트 컨베이어(55)가 설치되어 있다.Further,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describes a detecting means in a driving method and a driving apparatus of a crusher. 9 is a side view of the self-propelled crush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nd FIG. 10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same biaxial shearing crusher. In Fig. 9, the self-propelled crushing machine 50 has a pair of traveling bodies 52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51, and a two-axis shearing crusher having a hopper 53 near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51. 60 is mounted, and the drive device 54 is mounted in the vicinity of the rear side. Further, below the biaxial shearing crusher 60, a belt conveyor 55 for discharging the crushed matter to the vehicle front side is provided.

도 10에 있어서 상부에 호퍼(53)를 구비함과 아울러 하부에 배출구(62)를 갖는 하우징(61) 내에는 커터(63)를 갖는 1쌍의 회전축(64,64)이, 그 축선이 차체 (51)의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커터(63)는 회전축(64)에 복수개의 칼라(collar)(65)를 통해서 교대로 설치되고, 하우징(61)의 세로 판(66)의 내측에는 인접하는 커터(63,63)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크레이퍼(67)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62)의 하방에는 배출 슈트(68)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하방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55)가 배치되어 있다.In FIG. 10, a pair of rotary shafts 64 and 64 having a cutter 63 is provided in the housing 61 having the hopper 53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outlet 62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It is provided so that it may face the front-back direction of 51. The plurality of cutters 63 are alternate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64 through a plurality of collars 65, and between the adjacent cutters 63 and 63 inside the vertical plate 66 of the housing 61. The scraper 67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located at. A discharge chute 68 is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port 62, and the belt conveyor 55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chute 68.

도 10에 있어서 피파쇄물을 호퍼(53)로부터 투입하면 피파쇄물은 커터(63)에 의해 파쇄되고, 배출구(62)로부터 벨트 컨베이어(55) 상에 낙하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피파쇄물이, 예컨대, 다다미 또는 마른 풀 등인 경우에는 지푸라기 등이 커터(63) 및 스크레이퍼(67)의 주변이나, 배출 슈트(68)에 부착되고,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쇄물이 순차 퇴적하여 낙하 배출할 수 없게 되므로 하우징(61)의 세로 판(66) 내측에서 스크레이퍼(67)의 하방에는 파쇄물이 퇴적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In FIG. 10, when a crushed object is introduced from the hopper 53, the crushed object is crushed by the cutter 63, and falls from the discharge port 62 onto the belt conveyor 55 and is discharged.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crushed object is, for example, a tatami mat or a dry grass, a straw or the like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cutter 63 and the scraper 67 or to the discharge chute 68, as shown by a two-dot chain line. Since it cannot accumulate and drop-out sequentially, the detection means 70 which detects that the crushed thing accumulate | stored below the scraper 67 inside the vertical plate 66 of the housing 61 is provided.

도 10에 있어서 검출수단(70)은 발광기(71)와 수광기(72)를 회전축(63)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여 설치하고, 그 광선을 퇴적한 파쇄물이 차광하면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는, 세로 판(66)의 내면에 리미트 스위치 (73)를 설치하고, 그 가동 편(74)이 파쇄물에 의해 눌려지면 리미트 스위치(73)가 ON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배출구(62) 하방의 파쇄물의 막힘을 검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In Fig. 10, the detection means 70 is provided with the light emitter 71 and the light receiver 72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63, and when the debris that has accumulated the light beam is shielded, the detection signal is detected. Will print Alternatively, the limit switch 73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66 and the limit switch 73 may be turned ON when the movable piece 74 is pressed by the crushed object. As a result, the blockage of the crushed material under the discharge port 62 is detected.

[특허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평7-116541호 공보(제4페이지, 제9도)Japanese Patent Laid-Open No. 7-116541 (4 pages, 9)

[특허문헌 2][Patent Document 2]

일본 특허 공개 평8-47651호 공보(제3페이지, 제1,3도)Japanese Patent Laid-Open No. 8-47651 (3rd page, 1st, 3rd degree)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exist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said structure.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배출 컨베이어에 파쇄물이 과적재되면 컨베이어용 모터의 회전 부하가 크게 되어서 압력 센서가 이것을 검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다다미나 마른 풀 등과 같이 가벼워서 얽히거나 막히기 쉬운 파쇄물인 경우, 경량이기 때문에 과적재가 되어도 컨베이어용 모터의 회전 부하가 그만큼 증대되지 않아 오판단할 우려가 있다.In the patent document 1, when a crushed object is overloaded on a discharge conveyor, the rotating load of the conveyor motor becomes large, and a pressure sensor detects this. However, in the case of a crushed material that is light and easily entangled or clogged, such as a tatami mat or dry grass, even if overloaded, the rotational load of the conveyor motor does not increase by that much, and there is a fear of misjudgement.

최근,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자주식 2축 전단형 파쇄기에 있어서는작업의 사정 상, 벨트 컨베이어(55)를 파쇄기(60) 하방으로부터 구동장치(54)의 하방을 통하여 차량 후방에 배출하도록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경우, 벨트 컨베이어 (55) 상의 파쇄물이 프레임 내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고, 반송 도중에 막힐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파쇄기(60)의 배출구(62) 하방의, 파쇄물의 막힘은 검출할 수 있지만 벨트 컨베이어(55)에 의한 반송 도중의 파쇄물의 과적재를 검출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으므로 파쇄물이 반송 도중에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검출수단이 파쇄기(60)의 하우징 (61)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파쇄물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Recently, in the self-propelled biaxial shearing type crusher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belt conveyor 55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rusher 60 to the rear of the vehicle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e device 54 for the convenience of work. . In such a case, the distance that the crushed material on the belt conveyor 55 passes in a frame is long,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being clogged during conveyance. In what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lthough the clogging of the crushed material below the discharge port 62 of the crusher 60 can be detected, it is not possible to detect the overload of the crushed material in the middle of conveyance by the belt conveyor 55, and the crushed material conveys It is difficult to prevent clogging with other members on the way. 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means is provided in the housing 61 of the shredder 60, there is a risk of being damaged by the shredding material.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파쇄기 하방의 벨트 컨베이어의 반송 도중에서의 과잉 파쇄물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손상의 우려가 적은 과적재 검출수단을 구비한 2축 전단형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overload detection means which can reliably detect an excess of crushed material during conveyance of the belt conveyor below the crusher, and has little risk of dam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自走式) 2축 전단(剪斷)형 파쇄기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self-propelled biaxial shearing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2축 전단형 파쇄장치의 측면도이다.It is a side view of 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FIG. 2.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과적재 검출수단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verload detecting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2축 전단형 파쇄장치의 측면도이다.It is a side view of 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FIG. 5.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과적재 검출수단의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verload detection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9는 종래의 자주식 파쇄기계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self-propelled crushing machine.

도 10은 종래의 퇴적물 검출수단을 구비한 2축 전단형 파쇄기의 정면 단면도이다.10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biaxial shearing crusher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deposit detection mean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자주식 2축 전단형 파쇄기 2 … 주행체One … Self-propelled biaxial shearing crusher 2. Vehicle

3 … 2축 전단형 파쇄장치 4 … 호퍼3…. 2-axis shearing crusher 4. Hopper

5 … 2축 전단형 파쇄기 6 … 구동장치5…. 2-axis shearing crusher 6. Drive

7 … 벨트 컨베이어 8 … 벨트7. Belt conveyor 8. belt

10 … 프레임 11 … 측판10... Frame 11... shroud

12 … 제 1 크로스 멤버(cross member) 13 … 제 2 크로스 멤버12... First cross member 13... 2nd cross member

14 … 길이방향 타방측 단부 15 … 슈트(chute)14.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5. Chute

16 … 덮개판 20,20a … 과적재 검출수단16. Cover plate 20,20a... Overload detection means

21,22,23,24 …광전 스위치(검출 센서) 21a,22a,23a,24a … 투광기21,22,23,24. Photoelectric switch (detection sensor) 21a, 22a, 23a, 24a... Floodlight

21b,22b,23b,24b …수광기21b, 22b, 23b, 24b... Receiver

25 … 레이저 거리 센서(검출 센서) 30 … 컨트롤러25…. Laser distance sensor (detection sensor) 30. controller

31 … 경고등 32 … 버저(buzzer)31. Warning lamp 32. Buzzer

33 … 모니터33. moni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은 2축 전단형 파쇄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탑재된 2축 전단형 파쇄기; 상기 2축 전단형 파쇄기의 하방에 설치되고, 파쇄된 파쇄물을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된 과잉 파쇄물을 검출하는 과적재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과적재 검출수단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된 과잉 파쇄물을 직접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invention is a biaxial shearing crushing device, the frame; A biaxial shearing crusher mounted on the frame; A belt conveyor installed below the biaxial shearing crusher and conveying the crushed crushed material; And overloa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excess debris loaded on the belt conveyor. The overload detection means is configured to directly detect excess debris loaded on the belt conveyor.

제 1 발명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된 과잉 파쇄물을 직접 검출할 수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예컨대, 구동용 유압모터의 부하압을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적재물이 과잉이라고 판단하는 것에 비해서 다다미, 마른 풀 등, 경량이고 부하 변화가 적고, 부하압에서는 검출 곤란한 파쇄물이어도 과잉 적재이면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고, 각종 파쇄물에 대응할 수 있어서 범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로 반송 도중에 과적재된 파쇄물이 차체 등과의 사이에서 막힘이 생기지 않도록 사전에 파쇄물의 양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막힘에 의한 가동 정지가 없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since excess debris loaded on the belt conveyor can be detected directly, for example, tatami mat, dry grass, etc., compared to indirectly determining that the load is excessive by measuring the load pressure of the driving hydraulic motor. Although it is light and there is little load change, even if it is an overload, even if it is an over-loaded crushed object, it can reliably detect it, can respond to various crushed objects, and can improve versatility.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the crushed object can be reliably detected in advance so that the crushed object overloaded during conveyance by the belt conveyor does not become clogg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like, there is no operation stop due to the blockage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적재 검출수단이 갖는 검출 센서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흐름의 측방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소정 높이 상방의 위치에 설치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2nd invention, in 1s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 which the said overload detection means has is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above the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said belt conveyor by the side of the flow of the said belt conveyor.

제 2 발명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의 흐름의 측방으로부터 벨트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파쇄물의 높이가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적재물이 반송 도중에 차체 등에 접촉하여 막히기 전에 과적재를 검지하여 속도 제어 또는 정지 등의 대처를 할 수 있고,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height of the crushed matter loaded on the belt conveyor exceed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ide of the flow of the belt conveyor so that the overload is detected and the speed is controlled before the load is blocked by contacting the vehicle body or the like during transportation. Or it can cope with a stop etc. and can improve work efficiency.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적재 검출수단이 갖는 검출센서는 복수 개소에 설치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3rd invention, 1st or 2nd invention WHEREIN: The detection sensor which the said overload detection means has is comprised in several places.

제 3 발명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의 반송 도중에 막히기 쉬운 개소를 복수 개소 감시함으로써 측방이 덮여진 반송 거리가 긴 경우에도 막히는 개소를 특정할 수 있고, 막힘 방지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nitoring a plurality of locations that are likely to be clogged during the conveyance of the belt conveyor, even when the conveyance distance covered by the side is long, a blocked location can be specified, and clogging preven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제 4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적재 검출수단이 갖는 검출센서는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에 설치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4th invention is 1st invention WHEREIN: The detection sensor which the said overload detection means has is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belt conveyor.

제 4 발명에 의하면 과적재 검출수단으로서, 예컨대, 레이저 거리 센서 등을 설치함으로써 1개의 과적재 검출수단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고, 구조의 간소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as an overload detection means, for example, by providing a laser distance sensor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monitor by one overload detection means,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the cost.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2축 전단형 파쇄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embodiment of 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2축 전단형 파쇄장치(3)를 탑재한 자주식 2축 전단형 파쇄기(1)의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자주식 2축 전단형 파쇄기(1)는 차체 프레임(10)의 하부에 좌우 1쌍의 주행체(2)를 구비하고, 차제 프레임(10)(이하, 단지 프레임이라 말한다)의 상부에 2축 전단형 파쇄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2축 전단형 파쇄장치(3)는 프레임(10)의 길이방향 일방측에 탑재된, 호퍼(4)를 갖는 2축 전단형 파쇄기(5)와, 길이방향 타방측에 탑재된 구동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2축 전단형 파쇄기(5)의 하부에는 슈트(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좌우 1쌍의 측판(11,11)을 갖고 있고, 슈트(15)의 하방, 또한, 좌우 1쌍의 측판(11,11)의 사이에는 차체 길이방향 타방을 향하여 파쇄물 반송용 벨트 컨베이어(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0)에는 과적재 검출수단(20)의 검출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2축 전단형 파쇄기(5)의 파쇄부의 구성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1 is a side view of a self-propelled biaxial shearing crusher 1 equipped with a biaxial shearing crush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self-propelled biaxial shearing crusher 1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traveling bodies 2 below the vehicle body frame 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frame 1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frame). The biaxial shearing type crushing apparatus 3 is provided. The biaxial shearing crusher 3 includes a biaxial shearing crusher 5 having a hopper 4 mount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a drive device 6 mount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chute 15 is provided below the biaxial shearing crusher 5. The frame 10 has left and right pairs of side plates 11 and 11, and conveys the crushed objects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chute 15 an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ide plates 11 and 11. The belt conveyor 7 is provided. 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of the overload detecting means 20 is provided in the frame 10. Since the structure of the crushing part of the biaxial shearing crusher 5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description is omitted.

도 2~도 4에 의해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2-4, 1st Embodiment is described.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2축 전단형 파쇄장치(3)의 측면도이고, 도 3은그 정면도이다. 도 2, 도 3에 있어서 프레임(10)에는 길이방향 일방의 부분에 제 1 크로스 멤버(12)가, 또한, 타방 부분에 제 2 크로스 멤버(13)가 각각 차량 좌우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0)의 좌우 측판(11,11)의 외측면에는 과적재 검출수단(20)의 검출 센서의 일례인 광전 스위치(21,22,23,2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벨트 컨베이어(7)의 상방, 또한, 일측의 측판(11)의, 제 1 크로스 멤버(12)의 길이방향 일방측 및 타방측의 근방에는 광전 스위치(21)의 제 1 투광기(21a), 및 광전 스위치(22)의 제 2 투광기(22a)가 각각 설치되고, 제 2 크로스 멤버(13)의 길이방향 타방측의 근방에는 제 3 투광기(23a)가 설치되고, 프레임(10)의 길이방향 타방측 단부의 근방에는 제 4 투광기(24a)가 설치되어 있다. 타측의 측판(11)의,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투광기(21a,22a,23a,24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 1, 제 2, 제 3, 제 4 수광기(21b,22b,23b,24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1, 제 2 투광기(21a,22a)의 광축(B-B, C-C)의 위치는 벨트 컨베이어(7)로부터 소정 높이 상방, 또한, 제 1 크로스 멤버(12)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투광기(23a)의 광축(D-D)의 위치는 제 2 크로스 멤버(13)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으로 정해져 있고, 제 4 투광기(24a)의 광축(E-E)의 위치는 프레임(10)의 길이방향 타방측 단부(14)의 상면(14a)보다 약간 하방으로 정해져 있다.2 is a side view of 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front view thereof. 2 and 3, the frame 10 is provided with a first cross member 12 at on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cross member 13 at the other part along the vehicl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1 and 11 of the frame 10, photoelectric switches 21, 22, 23 and 24, which are examples of detection sensors of the overload detecting means 20, are provided. That is, the first light projector 21a of the photoelectric switch 21 is located above the belt conveyor 7 and near the longitudinal si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11 on one side.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22a of the photoelectric switch 22 are provided, and the third light emitter 23a is provided near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ross member 13, and the length of the frame 10 is provided. The fourth light projector 24a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other end in the direction. The 1st, 2nd, 3rd, and 4th light receivers 21b are located at the positions of the side plates 11 opposite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projectors 21a, 22a, 23a, and 24a. And 22b, 23b and 24b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positions of the optical axes B-B and C-C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projectors 21a and 22a are provided above the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belt conveyor 7 and slightly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ross member 12.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optical axis DD of the third light projector 23a is determined slightly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ross member 13, and the position of the optical axis EE of the fourth light projector 24a is set to the frame 10. It is settled slightly below the upper surface 14a of the other end side 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과적재 검출수단(20)의 구성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컨트롤러(30)는 제 1, 제 2, 제 3, 제 4 광전 스위치(21,22,23,24) 각각의 수광기 (21b,22b,23b,24b)로부터 검출신호를 입력하고, 이들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과적재 상태인지를 판단한 후, 과적재시에 경고등(31), 버저(32) 및 모니터(33) 각각에 소정의 지령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verload detecting means 20 of the first embodiment. In FIG. 4, the controller 30 input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light receivers 21b, 22b, 23b, 24b of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hotoelectric switches 21, 22, 23, and 24. After determining whether it is in the overload state based on these detection signals, a predetermined command signal is output to each of the warning lamp 31, the buzzer 32, and the monitor 33 at the time of overload.

이어서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호퍼(4)에 투입된 피파쇄물은 2축 전단형 파쇄기(5)에 의해 파쇄되고, 슈트(15)를 거쳐 벨트 컨베이어 상에 낙하하고, 차체 길이방향 타방에 반송된다. 벨트 컨베이어(7) 상의 파쇄물의 양이 많게 되고, 제 1, 제 2, 제 3, 제 4 투광기(21a,22a,23a,24a) 중 어느 하나의 광이 차단되어 제 1, 제 2, 제 3, 제 4 수광기(21b,22b,23b,24b) 중 어느 하나가 수광하지 않은 경우, 각 수광기는 그 차광신호를 컨트롤러(30)에 입력한다. 이어서, 컨트롤러(30)는 그 차광상태가 소정 시간(예컨대, 5초)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계속된 경우에는 그 현상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며 막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 후, 컨트롤러(30)는 경고등(31), 버저(32)에 지령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시킴과 아울러 모니터(33)에 표시 지령신호를 출력하여 어느 수광기가 수광하지 않았는지, 즉, 과적재의 검출신호를 표시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이들 경보로부터 어느 장소가 막힐 우려가 있는지를 알고, 2축 전단형 파쇄기(5), 및 파쇄물 반송용 벨트 컨베이어(7) 등의 운전속도의 변경, 또는 비상 정지처리를 하여 그 개소의 점검을 행하고, 적절히 처리를 행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crushed object put into the hopper 4 is crushed by the biaxial shearing type crusher 5, falls on the belt conveyor via the chute 15, and is conveyed to the other of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The amount of the crushed material on the belt conveyor 7 becomes large, and the light of any one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ers 21a, 22a, 23a, and 24a is blocked so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When none of the fourth light receivers 21b, 22b, 23b, and 24b does not receive light, each light receiver inputs the light blocking signal to the controller 30. Subsequently, the controller 30 checks whether or not the light shielding state has been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seconds), and if it is continued, determines that the phenomenon is not temporary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blockage. Thereafter, the controller 30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warning light 31 and the buzzer 32 and outputs a display command signal to the monitor 33 to indicate which receiver has not received the light, i.e., overload. The detection signal of is displayed. The operator knows which place is likely to be blocked from these alarms, and changes the operation speed of the two-axis shearing type crusher 5 and the belt conveyer 7 for conveying the crushed matter, or performs emergency stop processing to check the location. The process is performed suitably.

본 발명의 2축 전단형 파쇄장치(3)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7) 상의 파쇄물의 양을 직접 측정하여 과적재상태인지를 검출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7)에 의한 파쇄물 반송의 도중에 파쇄물이 막힐 우려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전에 운전속도의 변경, 또는 비상 정지를 하여 그 개소의 점검을 행하고,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음으로써 막힘에 의한 가동 정지를 없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반송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어 검출센서[본 예에서는 광전 스위치(21,22,23,24)]를 설치하였으므로 파쇄물이 막힐 가능성이 높은 개소 중 어느 개소가 막힐 우려가 있는지를 특정할 수 있어 막힘 방지 처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과적재 검출수단의 검출 센서를 컨베이어 측방의 프레임에 설치하였으므로 파쇄물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적다.Since 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apparatus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crushed material on the belt conveyor 7 is directly measured to detect whether it is in an overload state. It is possible to reliab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rushed material is likely to be blocked. Therefore, by changing the operation speed or making an emergency stop in advance and inspecting the location, and appropriat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the operation stop due to the blockage. 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sensors (photoelectric switches 21, 22, 23, 24 in this example) are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pecify which of the places where the crushed object is likely to be blocked. The prevention of clogg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Moreover, since the detection sensor of the overload detection means is provided in the frame on the side of the conveyor,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damage by the crushed object.

이어서, 도 5~도 8에 의해 제 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2축 전단형 파쇄장치(3)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과적재 검출수단의 구성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2~도 4에 도시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이하의 설명을 생략한다.Next, 2nd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5 is a side view of 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device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verload detection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se figures,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thing as the component shown in FIGS. 2-4,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5, 도 6에 있어서 2축 전단형 파쇄기(5)의 하방에 설치된 슈트(15)의, 벨트 컨베이어(7)의 반송방향 상류측 단부에 설치한 덮개판(16)에는 과적재를 검출하는 검출센서의 예로서, 벨트 컨베이어(7)의 반송방향 하류측(차체 길이방향 타방)을 향하여 레이저를 방사하는 레이저 거리 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이저 거리 센서(25)는 제 1 실시형태의 광전 스위치(21,22)의 검출영역에 상당하는 영역에서의 과적재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시한 X-X는 레이저 거리 센서(25)의 광축이다. 도 7에 있어서 레이저 거리 센서(25)의 광축(X-X)은 벨트 컨베이어(7)의 벨트 (8)로부터 높이(H)의 위치로 정해져 있다. 이 높이(H)는 제 1 크로스 멤버(12)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탑재된 파쇄물의 정상 높이보다 소정거리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5 and 6, the detection of overloading the lid plate 16 provided at the upstream end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belt conveyor 7 of the chute 15 provided below the biaxial shearing crusher 5. As an example of a sensor, the laser distance sensor 25 which radiates a laser toward the conveyance direction downstream side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other side) of the belt conveyor 7 is provided. This laser distance sensor 25 detects overloa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of the photoelectric switches 21 and 22 of the first embodiment. X-X shown is the optical axis of the laser distance sensor 25. In FIG. 7, the optical axis X-X of the laser distance sensor 25 is determined at the position of the height H from the belt 8 of the belt conveyor 7. This height H is set to the position slightly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1st cross member 12 at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normal height of the mounted crushed object shown by a broken line.

도 8에 있어서 레이저 거리 센서(25)의 측정거리 신호는 컨트롤러(30)에 입력되어 있다. 본 과적재 검출수단(20a)의 컨트롤러(30)는 레이저 거리 센서(25)의 측정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이 측정거리가 소정값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과적재인지를 판단하고 있다. 즉, 통상시에는 제 1 크로스 멤버(12)보다 소정거리 길이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는 파쇄물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하여 그 거리를 측정하고 있지만 제 1 크로스 멤버(12)의 길이방향 타방부 근방으로부터 반송방향 상류측의 위치에서 파쇄물의 퇴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그 퇴적물로부터의 반사 레이저에 의해서 퇴적물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므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통상시의 소정의 측정거리보다 작게 됨으로써 과적재가 검출된다. 또한, 상기 레이저 거리 센서(25)로 검출할 수 없는 벨트 컨베이어(7)의 하류측의 퇴적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광전 스위치(23,24)에 의해서 검출하고 있다.In FIG. 8, the measurement distance signal of the laser distance sensor 25 is input to the controller 30. The controller 30 of the overload detecting means 20a checks whether or not the measured distanc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signal of the laser distance sensor 25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 overload. That is, normally, the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crushed object located in the other side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first cross member 12 is received and the distance is measured, but from the vicinity of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ross member 12. When deposition of crushed matter occurs at a position upstream of the conveying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deposit to the deposit is measured by a reflected laser from the deposit, so that the measurement distance become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measurement distance in the usual time, thereby overloading is detected. In addition, deposition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belt conveyor 7 which cannot be detected by the laser distance sensor 25 is detected by the photoelectric switches 23 and 24 as described above.

이어서,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 도 7에 있어서 레이저 거리 센서 (25)는 벨트 컨베이어(7)에 적재된 파쇄물의 높이가, 도 7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저 광축(X-X)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파쇄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컨트롤러(30)에 측정거리 신호를 출력한다. 컨트롤러(30)는 상기 특정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그 거리가 소정값보다 작은지를 체크하고, 작을 때에 과적재 상태로 판단하고, 그 후에 과적재 상태가 소정 시간(예컨대, 5초)이상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계속된 경우에는 경고등(31), 버저(32)에 지령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시킴과 아울러 모니터(33)에 표시 지령신호를 출력하여 과적재의 발생이차체 길이방향의 어느 위치인지를 표시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이들 경보로부터 어느 장소가 막힐 우려가 있는지를 알고, 운전속도의 변경 또는 구동정지를 하여 그 개소의 점검을 행하고, 적절히 처리를 행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5 and 7, the laser distance sensor 25 has the crushed object when the height of the crushed object loaded on the belt conveyor 7 reaches the laser optical axis XX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Measure the distance to, and outputs the measurement distance signal to the controller (30). The controller 30 checks whether the distanc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based on the specific distance signal, judges that it is an overload state when it is small,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overload state ha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seconds) or more. If it is checked, if the command signal is output to the warning lamp 31 and the buzzer 32, the alarm is output, and the display command signal is output to the monitor 33 to indicate whi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verbody is generated. Let's do it. The operator knows which place may be blocked from these alarms, changes the operation speed or stops the operation, checks the location, and performs appropriate processing.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과적재 검출수단의 검출센서의 수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다른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number of detection sensors of the overload detection means can be reduce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cost can be reduced. The other effect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here.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자주식 2축 전단형 파쇄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정치식(定置式)이어도 좋다. 또한, 과적재 검출수단의 검출 센서에 파쇄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레이저 거리 센서를 이용한 예로 설명하였지만 초음파, 레이더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파쇄물의 반송방향 좌우에 설치하는 검출 센서로서 광전 스위치를 예로 들었지만 소정 높이이상의 파쇄물에 의해서 요동 작동하는 가동 편을 갖고서 이 가동 편의 요동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나 근접 스위치 등을 측판의 외측에 설치하여도 상관없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lf-propelled biaxial shearing crusher has been described, but may be a stationary equation. Although the distance to the crushed object is measured by the detection sensor of the overload detecting means, the laser distance senso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distance may be measured by using an ultrasonic wave or a radar. Although a photoelectric switch is used as a detection sensor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rushed object, a limit switch or a proximity switch for detecting the fluctuation of the movable piece is installed outside the side plate with a movable piece that swings by a crushed objec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It does not matt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컨베이어 상의 파쇄물의 과적재를 직접 파쇄물의 양(높이)으로 검출함으로써 파쇄물의 경량에 상관없이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막힘에 의한 가동 정지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반송방향을 따라서 광선식 검출 센서를 설치하거나, 또는, 반송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로 향한 거리 센서로 과적재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반송방향의 어느 위치에서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과적재에 대한 처리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By overloading the crushed matter on the conveyor directly with the amount (height) of the crushed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liably detect the light weight regardless of the light weight of the crushed material, thereby preventing work stoppage due to clogging and improving workability. Further, by installing a ray detection sensor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r by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upstream side from the conveying direction upstream to the downstream to the overload part, it is possible to specify at which position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blockag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handle overloading.

벨트 컨베이어의 측판의 외측에 과적재의 검출 센서를 설치하였으므로 파쇄물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없게 된다.Since the overload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outside the side plate of the belt conveyor, there is no fear of damage caused by the crushed material.

Claims (4)

2축 전단형 파쇄장치(3)에 있어서,In 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device (3), 프레임(10);Frame 10; 상기 프레임(10)에 탑재된 2축 전단형 파쇄기(5);A biaxial shearing crusher 5 mounted on the frame 10; 상기 2축 전단형 파쇄기(5)의 하방에 설치되고, 파쇄된 파쇄물을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7); 및A belt conveyor (7) installed below the biaxial shearing crusher (5) for conveying the crushed crushed materials; And 상기 벨트 컨베이어(7)에 적재된 과잉 파쇄물을 검출하는 과적재 검출수단 (20)을 구비하고:And overload detecting means 20 for detecting excess debris loaded on the belt conveyor 7: 상기 과적재 검출수단(20)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7)에 적재된 과잉 파쇄물을 직접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전단형 파쇄장치.The overload detection means (20) is a two-axis shear type c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rectly detect the excess crushed matter loaded on the belt conveyor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적재 검출수단(20)이 갖는 검출 센서(21,22,23,24)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7)의 흐름의 측방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7)로부터 소정 높이 상방의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전단형 파쇄장치.2. The detection sensor (21, 22, 23, 24) of the overload detecting means (20) has a position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elt conveyor (7) on the side of the flow of the belt conveyor (7). 2-axis shear type shred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적재 검출수단(20)이 갖는 검출센서 (21,22,23,24)는 복수 개소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전단형 파쇄장치.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sensors (21, 22, 23, 24) of the overload detecting means (20)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적재 검출수단(20a)이 갖는 검출센서(25)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7)의 길이방향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전단형 파쇄장치.2. The biaxial shearing crus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sensor (25) of the overload detecting means (20a)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t conveyor (7).
KR1020040001077A 2003-01-16 2004-01-08 Crusher KR2004006600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7870 2003-01-16
JP2003007870A JP2004216301A (en) 2003-01-16 2003-01-16 Twin-spindle shearing disinteg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001A true KR20040066001A (en) 2004-07-23

Family

ID=3289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077A KR20040066001A (en) 2003-01-16 2004-01-08 Crush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216301A (en)
KR (1) KR2004006600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6052A (en) * 2019-12-24 2020-04-10 长沙而道新能源科技有限公司 Movabl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16301A (en)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1504A1 (en) Conveyor Belt Rip Detection Method & System
JP7165741B2 (en) A monitoring device that monitors the boundary of the safety zone
CN107512550B (en) Conveyer belt damag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belt conveyer
US4944384A (en) Trash discharge apparatus for crop transferring conveyor mechanism
US5063729A (en) Cotton harvester blockage detection method and flow sensor therefor
RU1801303C (en) Apparatus for detecting foreign bodies in crop material harvested by harvesting machine
EP1742743A1 (en) Crusher apparatus
KR20040066001A (en) Crusher
WO2015034501A1 (en) Conveyor overload control system for a construction machine
CN207860683U (en) A kind of cement packing exception handling device
JP3689479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supply state of crushed object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CN210285755U (en) Material state monitoring system in bin allocation scraper conveyor groove box
JP2016197070A (en) Belt monitoring device
US10981731B2 (en) Active control system for belt conveyors
JP2010075798A (en) Self-travelling processing machine
JPH09221216A (en) Safety device for belt conveyor
JP7295550B2 (en) tree crusher
CN216900599U (en) Speed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CN112964065B (en) Material collecting device and sintering machine
JP4787429B2 (en) Control device for crushing mixer for soil improvement equipment
CN220744391U (en) Anti-blocking system for conveying materials
CN218706533U (en) Chain breakage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for chain conveyor
JP2933505B2 (en) Operating method of mobile crushing equipment
JP3011333B1 (en) Large oversized garbage automatic processing equipment
JPH051315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