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965A - 적응적 컬러 천이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적응적 컬러 천이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965A
KR20040065965A KR1020030037457A KR20030037457A KR20040065965A KR 20040065965 A KR20040065965 A KR 20040065965A KR 1020030037457 A KR1020030037457 A KR 1020030037457A KR 20030037457 A KR20030037457 A KR 20030037457A KR 20040065965 A KR20040065965 A KR 20040065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generating
difference
corr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053B1 (ko
Inventor
김영택
링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6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우수한 컬러 천이 개선 방법은 국부 이미지 특성에 적응적이므로, 보다 자연스러운 컬러 엣지 천이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이미지 영역들이 서로 다르게 다뤄질 수 있도록 국부 이미지 특성에 따라 이득 제어 함수가 제공된다. 또, 정정 신호는 (국부 이미지 특성에 의해) 오버슛이나 언더슛 어느 것도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됨으로써 언더슛/오버슛 제거를 위한 후처리의 필요성이 사라지게 된다.

Description

적응적 컬러 천이 개선 방법{Adaptive color transient improvement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컬러 TV 방송에 있어서 컬러 천이의 예리함(sharpness)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NTSC, PAL 및 SECAM과 같은 컬러 TV 방송 표준들에 있어서, 전송 신호에는 색(chrominance) 신호 및 휘도(lunminance) 신호가 포함된다. 휘도 신호 대역폭과 비교하면 색 신호 대역폭은 다소 좁다. 색 신호의 제한된 대역폭은 상대적으로 느린 색 천이를 일으키고, 이것은 수신/표시된 영상안에 손상된 컬러 엣지(edge)를발생시킨다.
컬러 천이의 예리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로서 여러가지 기술들이 사용되어 왔으며, 그 예가 "컬러 천이 향상" 기술로서 알려져 있는 미국 특허 번호 4,935,806 및 5,920,357에 기술되고 있다. 컬러 천이 향상 기술의 기본 단계는 (고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해) "정정 신호"를 최초의 색 신호들에 추가시켜 제한된 대역폭으로 인해 잃어버린 주파수 성분을 복원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 이어서 어떤 언더슛(undershoot) 및 오버슛(overshoot)이라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post-processing)가 뒤따른다.
통상적으로, "정정 신호"는 전반적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패러미터와 곱해진다. 기존의 기술들은 서로 다른 이미지 영역들에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체 이미지에 대해 일정한 제어 패러미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영상의 일부 컬러 엣지에 있어 부자연스런 형태가 나타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그 때문에, 상이한 영상 영역들을 다르게 처리할 필요와 함께, 정정 신호를 제어해 언더슛이나 오버슛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언더슛/오버슛 제거를 위한 후처리를 배제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국부 이미지 특성에 적응적인 우수한 컬러 천이 개선(Color Transient Improvement, CTI) 기술을 제공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컬러 엣지 천이 개선이 이뤄지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컬러 천이 개선 로직의 일실시예에 대한 블록도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로직에 있어서 이득 제어 함수의 곡선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천이 개선 효과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이 개선 기술 단계들의 일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국부 이미지 특성에 의존하는 이득 제어 함수를 제공해 서로 다른 이미지 영역들이 서로 다르게 다뤄지도록 할 수 있다. 또, 정정 신호는 국부 이미지 특성을 이용해 언더슛이나 오버슛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되어, 언더슛/오버슛 제거를 위한 후처리의 필요성이 사라지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CTI 기술의 예는, 먼저 평탄한(smoothed) 사양(version)의 입력 색 신호에 대한 이차 미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이득 제어 함수가 이차 미분 함수로서 구성된다. 개선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일정한 패러미터가 전체 이미지에 대해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방법들과는 달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미지 영역들에 대해 서로 다른 이득을 제공하는 제어 함수를 사용한다. 한 사양에서, 이득 제어 함수는 0과 1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이차 미분으로 특징지어지는 국부 이미지 특성에 따라 변화한다. 이차 미분의 부호와 함께, 이득 제어 함수는 느린 컬러 천이를 어떻게 정정할지를 결정한다.
양(+)의 이차 미분은 "곡선의 위가 오목한(concave up)" 컬러 천이 곡선상의 한 점에 해당한다. 그 점에서, 천이 곡선을 그 국부 최소값으로 향하게 하는 밀기(push)가 있게 된다. 음(-)의 이차 미분은 "곡선의 아래가 오목한(concave down)" 컬러 천이 곡선상의 한 점에 해당한다. 이 점에서, 천이 곡선을 그 국부 최대값으로 향하게 하는 밀기가 있게 된다. 이 과정의 결과는 예리한(sharpened) 천이 곡선이 된다. "밀기"는 이득 제어 함수 및 국부 최대값과 최소값에 의해 제어된다. 천이 곡선상의 한 점이 밀릴 수 있는 최대 정도가 국부 최소 또는 최대값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어떤 언더슛이나 오버슛도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밀기" 역학은 "정정 신호"를 최초의 신호에 더함으로써 실현된다. 통상의 기술에서, 추가된 "정정 신호"는 여러 고대역 통과 필터들에 의해 얻어진 고주파 신호이다. 이러한 방법은 언더슛이나 오버슛을 야기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정 신호"는 최초 신호와 그 국부 최소값 또는 최대값 사이의 거리가 된다. 이것이 언더슛이나 오버슛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과, 언더슛/오버슛의 제거를 위한 후처리의 필요성이 사라진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보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잡음 악화를 방지한다. 중요한 컬러 천이가 없는 잡음성 이미지 영역들에서 평탄한 색 신호들의 이차 미분은 0에 거의 가깝다. 따라서, 이차 미분 함수인 이득 제어 함수는 그 영역들에서 거의 0에 가깝게 된다. 그로써, 신호들은 이 영역들에서 거의 변화하지 않으며, 기존의 잡음은 악화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컬러 천이 개선(CTI) 기술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CTI 기술은 국부 이미지 특성에 적응적이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컬러 엣지 천이 개선이 이뤄질 수 있다. 일례에서는, 국부 이미지 특성에 의존하는 이득 제어 함수가 제공되어 서로 다른 이미지 영역들이 서로 다르게 다뤄질 수 있게 된다. 또, 정정 신호는 언더슛이나 오버슛이 발생하지 않도록 (국부 이미지 특성에 따른) 방식으로 제어되어, 언더슛/오버슛 제거를 위한 후처리의 필요성이 사라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로직 구성 또는 시스템(10)의 블록도를 도시한것이다. 시스템(10)으로 입력되는 것은 색 신호(12)(U 또는 V)이고, 출력되는 것은 예리한 컬러 엣지를 갖는 개선된 색 신호(14)이다. 설명의 단순성을 위해, 입력 색 신호(12)를 F라 하자. F는 U 또는 V를 의미하고, 그에 대응하는 출력 색 신호(14)는 G로 나타낸다. 입력 색 신호 F는 디지털 신호라고 전제된다. 입력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파형이면 그 신호는 먼저 샘플링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예를 들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샘플러(미도시) 등을 이용함).
입력 신호 F는 "가우스 필터, Gaussian filter"와 같은 저대역 통과 필터(16)로 보내진다. 다른 종류의 저대역 통과 필터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우수한 평탄화(smoothness) 특성 때문에 "가우스 필터"가 선호된다. 표준 편차 1을 갖는 "가우스 필터"의 근사 형태인 7 탭 필터가 저대역 통과 필터(16)로서 사용되어 입력 신호 F를 평활시킨다. "가우스 필터"의 출력은 이차 미분 F"를 결정하도록 이차 미분 계산기(2ndDeriv.)(18)로 보내진다.
이차 미분 F"가 평탄한 사양의 입력 신호 F로부터 산출되기 때문에, 이차 미분 F"는 잡음에 대해 덜 민감하다. 또, 이차 미분 F"는 입력 신호 F의 천이 곡선의 기하학적 특성(즉, 위로 오목하거나 아래로 오목한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보다 정교한 반영이 된다. 이차 미분 대신, 신호의 기하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다른 척도(가령, 다른 미분들 및/또는 그 조합)들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이차 미분 F"는 필터 계수들(1, 0, -2, 0, 1)을 가진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이차 미분 산출기(18)에서 바람직하게 근사화된다.
이차 미분 산출기(18)의 출력 F"는 "이차 미분의 부호" 유닛(20)과 "이득 제어 함수" 유닛(22)으로 보내진다. "이차 미분의 부호" 유닛(20)은 이차 미분 F"의 부호를 산출하는 것으로로 나타낸다.는 다음과 같다:
이 예에서는 이차 미분의 부호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차 미분 값을 한 개 이상의 문턱값들에 비유한 것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차 미분의 부호는 "로직 제어 유닛"(24)으로 보내지고, 여기서 나중에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천이 곡선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밀릴(pushed)" 것인지의 여부를 실질적으로 결정한다.
"이득 제어 함수" 유닛(22)은 먼저 이차 미분의 절대값을 계산하고, 그리고 나서 이득 제어 함수 g를 생성한다. 이득 제어 함수 g의 기본적인 요건은, (i) 0과 1 사이에 있는 연속적인(또는 평탄한) 증가 함수이고, (ii) 이차 미분 F"의 작은 절대값에 대해 0에 가깝고 이차 미분 F"의 보다 큰 절대값에 대해 1에 가까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득 제어 함수의 예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위에서 F"는 평탄화된 사양의 입력 신호 F로부터 산출된 이차 미분이고, C는0 보다 큰 고정 상수이다. C는 함수 g의 세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C의 범위는 0과 3 사이가 된다.
도 2는 C=2.5인 상술한 이득 제어 함수 곡선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여기서 수평축의 단위는와 동일하다. 이득 제어 함수 g는 본 발명에 따라 국부 이미지 특성에 대해 적응적인 컬러 천이 개선 처리를 수행하는, 서로 다른 이미지 영역들에 대한 서로 다른 이득들을 제공한다. 평탄한 영역 또는 단조로운 잡음 영역에서는 평탄한 이미지의 이차 미분 F"이 0과 같거나 근사하기 때문에, 이득 제어 함수 g는 실질적으로 어떤 이득도 제공하지 않는다. 컬러 천이가 발생하는 영역에서, 평탄화된 이미지의 이차 미분의 절대값은 더 커지고, 이때 이득 제어 함수 g가 보다 큰 값으로 돌아감으로써, 컬러 천이가 개선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정정 신호 R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신호 F는 "국부 최소값까지의 거리" 유닛(26) 및 "국부 최대값까지의 거리" 유닛(28)으로도 제공된다. "국부 최소값까지의 거리" 유닛(26)은 먼저 현 신호의 샘플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r의 간격을 찾음으로써 국부 최소값을 계산한다. 반경 r은 가령 3 또는 4로 설정될 수 있다. 국부 최소값을 찾아낸 후, "국부 최소값까지의 거리" 유닛(26)은 다음으로 입력 신호 F와 국부 최소값사이의 차를 계산한다. 이때 "국부 최소값까지의 거리" 유닛(26)은차가 된다.
이와 유사하게, "국부 최대값까지의 거리" 유닛(28)은 먼저, 현신호의 샘플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r의 간격을 찾아서 국부 최대값을 계산하고, 그리고나서입력 신호 F와 국부 최대값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국부 최대값까지의 거리" 유닛(28)의 출력은가 된다.
"국부 최소값까지의 거리" 유닛(26)의 출력와 "국부 최대값까지의 거리" 유닛(28)의 출력둘 모두는 "로직 제어" 유닛(24)으로 보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직 제어" 유닛(24) 역시 이차 미분의 부호인 "이차 미분의 부호" 유닛(20)의 출력을 이용한다. 그 이차 미분의 부호에 따라 "로직 제어" 유닛(24)은, 나, 또는 0을 그 출력으로서 선택한다. 그 선택 조건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직 제어" 유닛(24)의 출력은 정정 신호 R이고, 이것은 이후 노드(30)(가령, 곱셈기 노드)에서 이득 제어 함수 g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노드(30)의 출력은 이득 제어 함수 g에 기반한 적응적 정정 신호 AR이고, AR은 노드(32)(가령, 덧셈 노드)에서 최초의 입력 신호 F와 결합됨으로써 개선된 신호 출력 G가 산출된다.
시스템(10)의 최종 출력 G는 다음과 같은 예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
는 이득 제어 함수이고,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차 미분 F"의 절대값의 함수이다.
이므로, G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식은 입력 신호가 실질적으로 자신의 국부 최소값 아래나 국부 최대값 위로 절대 밀리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며, 그에 따라 개선된 신호에 언더슛이나 오버슛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천이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는 곡선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실선으로 된 곡선(34)은 입력 색 신호 F의 천이 곡선을 나타낸다. 이차 미분 F"의 기하학적 특성은 F">0일 때 곡선(34)이 "위로 오목하고" F"<0일 때에는 곡선(34)이 "아래로 오목하다"는 것을 보인다.
따라서, 상술한 관계에 따라, (i) 곡선(34)이 "위로 오목한" 점에서(F">0), 그 곡선은을 감산함으로써 국부 최소값을 향해 "아래로 밀려 내려갈" 것이고, (ii) 곡선(34)이 "아래로 오목한" 점에서(F"<0) 그 곡선은를 가산함으로써 국부 최대값을 향해 "위로 밀려 올라갈" 것이다. 그 결과에 따른 곡선(36)(점선으로 표현된)이 예리한 천이를 가진 개선된 색 신호로서, 본 발명에 따라 이 곡선은 언더슛 또는 오버슛을 보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오버슛/언더슛 제거를 위한 후처리의 필요성이 사라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I 단계들의 흐름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입력 신호 F를 수신한(50단계) 후, 신호 F의 국부 최소값까지의 거리 및 국부최대값까지의 거리가 결정된다(각각 52, 54단계). 신호 F는 또 저대역 통과 필터에서 평활되어져 평활된 신호가 얻어진다(56단계). 평탄화 신호의 이차 미분 F"이 계산되고(58단계), 이차 미분의 부호가 결정된다(60단계). 그리고나서, 이차 미분 및 국부 최소값과 최대값까지의 거리의 함수인 정정 신호가 생성된다. 이 정정 신호는 입력 신호의 천이를 제어한다(62단계). 또 이득 제어 g가 이차 미분의 함수로서 결정된다(64단계). 이득 제어 및 정정 신호가 결합되어(곱해져서), 적응적 정정 신호가 얻어지고(66단계), 이 적응적 정정 신호는 입력 신호 F에 더해져서 개선된 출력 신호 G를 발생시킨다. 50-68 단계의 상세한 예가 상술한 도 1과 관련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잡음 악화를 방지한다. 중요한 컬러 천이가 없는 잡음성 이미지 영역들에서, 평탄화된 색 신호의 이차 미분은 거의 0에 가깝다. 따라서, 이차 미분의 함수인 이득 제어 함수는 그 영역들에서 거의 0에 가깝다. 이와 같이 이들 영역들에서 신호는 거의 변화하지 않으며, 기존의 잡음도 악화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컬러 천이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컬러 천이 개선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적응적 제어 함수에 대한 국부 이미지 특성을 이용한다. 일례에서, 이득 제어 함수는으로 표현된다. 로직 블록은 5 탭 대역 통과 필터와 결합된 가우스 필터를 이용해 입력 신호의 평활된 이차 미분을 산출하는데 사용된다. 국부 최소/최대값까지의 거리는 언더슛과 오버슛을 피하기 위한 컬러 천이 개선의 정정 신호로서 사용된다. 또, 정정 신호는 평탄화된 이차 미분의 값(가령, 부호)에 기반해 선택된다.
본 발명은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해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다른 사양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주 및 개념은 여기 포함된 바람직한 사양들에 대한 설명에 국한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부 이미지 특성에 적응적인 우수한 컬러 천이 개선 방법을 제공하여, 예리한 천이를 가지고 언더슛 또는 오버슛이 없는 개선된 색 신호를 생성하고, 잡음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2)

  1. 천이 응답을 가진 이미지 색 신호 F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특성에 상응하는 함수인 신호 F의 색 천이를 적응적으로 개선시켜, 적응적으로 개선된 신호 G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색 천이의 개선은 상기 상응하는 이미지 특성의 함수로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색 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신호 F의 색 천이를 적응적으로 개선시키는 단계는,
    색 신호 F의 색 천이를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상응하는 이미지 특성의 함수인 적응적 정정 신호 AR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적응적 정정 신호 AR을 색 신호 F와 결합하여 상기 개선된 신호 G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적응적 정정 신호 AR을 생성하는 단계는,
    색 신호 F의 색 천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응적 정정 신호 AR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상응하는 이미지 특성의 함수인 정정 신호 R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는,
    국부 색 신호 최소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색 신호 F와 상기 국부 최소값사이의 차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차에 기반해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최소값을 구하는 단계는,
    현재의 색 신호 샘플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r의 거리내에서 최소 신호 값을 찾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는,
    국부 색 신호 최대값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색 신호 F와 상기 국부 최대값사이의 차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차에 기반해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최대값를 구하는 단계는,
    현재의 색 신호 샘플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r 이내에 있는 최대 신호 값을 찾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는,
    국부 색 신호 최소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색 신호 F와 상기 국부 최소값사이의 제1차이를 구하는 단계;
    국부 색 신호 최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색 신호 F와 상기 국부 최대값사이의 제2차이를 구하는 단계;
    상기 제1 또는 제2차이를 토대로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차이를 토대로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는,
    신호 F의 기학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특성 신호를 이용해 상기 제1 또는 제2차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차이의 함수로서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차이를 토대로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는,
    신호 F의 이차 미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차 미분에 기반해 상기 제1 또는 제2차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차이의 함수로서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응하는 이미지 특성의 함수인 정정 신호 R을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적응적 정정 신호 AR을 생성하는 단계는,
    국부 이미지 특성에 기반해 이득 제어 g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이득 제어 g에 응답해 정정 신호 R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g를 생성하는 단계는,
    신호 F의 기학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특성 신호에 기반해 이득 제어 g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특성 신호가 이차 미분 F"의 함수가 되도록 이차 미분 F"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g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차 미분 F"의 절대값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값에 따라, (i)0과 1사이에 있는 연속 증가 함수이고, (ii)의 작은 값들에 대해서는 0에 가깝고의 보다 큰 값들에 대해서는 1에 가까운 이득 제어 g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이득 제어 함수 g는 C가 0 보다 큰 상수일 때,
    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가우스(Gaussian) 필터를 사용해 신호 F를 평활하고나서, 대역 통과 필터로 평활된 신호의 상기 이차 미분 F"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신호 처리 방법.
  17. 천이 응답을 가진 이미지 색 신호 F를 수신하고, 상응하는 이미지 특성의 함수로서 신호 F의 색 천이를 적응적으로 개선시켜, 적응적으로 개선된 신호 G를 생성하는 적응적 개선기를 포함하고,
    상기 색 천이 개선은 상기 상응하는 이미지 특성의 함수로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개선기는,
    색 신호 F의 색 천이를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상응하는 이미지 특성의 함수인 적응적 정정 신호 AR을 생성하는 적응적 정정 신호 생성기; 및
    적응적 정정 신호 AR과 색 신호 F를 결합하여 상기 개선된 신호 G를 얻는 결합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정정 신호 생성기는,
    색 신호 F의 색 천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정정 신호 R을 발생하는 정정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상응하는 이미지 특성의 함수인 정정 신호 R을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적응적 정정 신호 AR을 생성하는 적응적 제어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신호 생성기는,
    국부 색 신호 최소값을 정하고, 상기 색 신호 F와 상기 국부 최소값사이의 차이를 구하는 차(difference) 로직; 및
    상기 차에 기반해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제어 로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 로직은 현 색 신호 샘플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r의 거리 내 최소 신호를 찾아내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신호 생성기는,
    국부 색 신호 최대값를 결정하고, 상기 색 신호 F와 상기 국부 최대값사이의 차를 구하는 차 로직; 및
    상기 차에 기반해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제어 로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차 로직은 현재의 색 신호 샘플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r 거리 내 최대 신호값을 찾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신호 생성기는,
    상기 국부 색 신호 최소값을 정하고 상기 색 신호 F와 상기 국부 최소값사이의 차이를 구하는 제1차(difference) 로직;
    국부 색 신호 최대값를 결정하고 상기 색 신호 F와 상기 국부 최대값사이의 차를 구하는 제2차 로직; 및
    상기 제1 또는 제2차를 기반으로 정정 신호 R을 생성하는 제어 로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신호 F의 기하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특성 생성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로직은 특성 신호를 이용해 상기 제1 또는 제2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차의 함수인 정정 신호 R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신호 F의 이차 미분을 생성하는 미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로직은 이차 미분을 이용해 상기 제1 또는 제2차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차의 함수인 정정 신호 R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제어기는,
    국부 이미지 특성에 기반해 이득 제어 g를 생성하고, 이득 제어 g에 응답해 정정 신호 R을 제어하여 상기 적응적 정정 신호 AR을 생성하는 이득 제어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신호 F의 기하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특성 생성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득 제어기는 상기 특성 신호에 기반해 이득 제어 g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특성 생성기는,
    특성 신호가 이차 미분 F"의 함수인, 신호 F의 이차 미분 F"을 정하는 미분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는,
    이차 미분 F"의 절대값을 정하고, 상기값들에 기반하여 (i) 0과 1 사이의 연속 증가 함수이고, (ii) 작은의 값들에 대해서는 0에 가깝고 보다 큰값들에 대해서는 1에 가까운 이득 제어 g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이득 제어 함수 g는 C가 0 보다 큰 상수일 때,의 관계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32. 제29항에 있어서,
    가우스 필터를 구비하여 신호 F를 평활시키는 평활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분기는 평활된 신호에 기반해 이차 미분 F"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색 신호 처리기.
KR1020030037457A 2003-01-16 2003-06-11 적응적 컬러 천이 개선 방법 KR100565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45,552 US7271851B2 (en) 2003-01-16 2003-01-16 Adaptive color transient improvement
US10/345,552 2003-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965A true KR20040065965A (ko) 2004-07-23
KR100565053B1 KR100565053B1 (ko) 2006-03-30

Family

ID=2335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457A KR100565053B1 (ko) 2003-01-16 2003-06-11 적응적 컬러 천이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271851B2 (ko)
EP (1) EP1439717A3 (ko)
KR (1) KR100565053B1 (ko)
CN (1) CN1294766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731B1 (ko) * 2006-02-1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이미지 신호의 천이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화질개선 장치
KR100771867B1 (ko) * 2006-02-27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색 신호의 천이 특성을 향상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20110031162A (ko) * 2008-06-19 2011-03-24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스플릿 에지 강화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429B1 (ko) * 2003-07-16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영상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28876B1 (ko) * 2003-12-15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비디오 포맷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선명도향상장치 및 그 방법
KR100631512B1 (ko) * 2004-08-1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선형 라플라시안을 이용한 색상 변이 향상 장치 및 방법
JP2006065676A (ja) * 2004-08-27 2006-03-0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7427993B1 (en) 2004-08-31 2008-09-23 Pixelworks, Inc. Motion adaptive pixel boost with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US7443370B1 (en) 2004-08-31 2008-10-28 Pixelworks, Inc. YUV compression for boost
US7405741B1 (en) 2004-08-31 2008-07-29 Pixelworks, Inc. Fuzzy logic based LCD overdrive control method
JP4449692B2 (ja) * 2004-10-20 2010-04-14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GB2423660B (en) 2005-02-25 2010-08-18 Imagination Tech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vershoot in a video enhancement system
US7738044B2 (en) * 2006-03-15 2010-06-15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chrominance signal
JP4956140B2 (ja) * 2006-10-30 2012-06-20 株式会社東芝 オートカラーコントロール回路
CN101123733B (zh) * 2007-04-13 2010-05-2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色度信号处理方法
US7970226B2 (en) * 2007-04-23 2011-06-28 Microsoft Corporation Local image descriptors
US8126275B2 (en) * 2007-04-24 2012-02-28 Microsoft Corporation Interest point detection
CN101779221B (zh) * 2007-08-20 2012-10-03 英属开曼群岛商泰鼎微系统股份有限公司 改进色度锐度的方法和设备
JP5202190B2 (ja) * 2008-08-28 201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TW201012231A (en) * 2008-09-08 2010-03-16 Sunplus Technology Co Ltd Color re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SECAM television signal
TWI389576B (zh) * 2009-07-02 2013-03-11 Mstar Semiconductor Inc 影像處理裝置以及影像處理方法
US8798388B2 (en) * 2009-12-03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image combining to produce optical effects
TW201133394A (en) * 2010-03-31 2011-10-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Image transient improvement apparatus
JP2012141725A (ja) * 2010-12-28 2012-07-26 Sony Corp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64958B2 (ja) * 2011-08-31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記録媒体
CN102402944B (zh) * 2011-12-20 2014-11-12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逐点校正系统及逐点校正方法
CN110197639A (zh) * 2019-05-17 2019-09-03 海纳巨彩(深圳)实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小间距led显示屏的亮度调节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806A (en) * 1988-12-30 1990-06-1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hroma noise reduction and transient improvement
US5012329A (en) 1989-02-21 1991-04-30 Dubner Computer Systems, Inc. Method of encoded video decoding
FI913869A (fi) * 1990-09-27 1992-03-28 Philips Nv Anordning foer foerbaettring av signaloevergaongar.
US5225910A (en) * 1990-11-20 1993-07-06 Nippon Television Network Corporation Adaptive operation type low noise television system
JPH05111052A (ja) * 1991-10-14 1993-04-30 Toshiba Corp 輪郭補正回路
US5546135A (en) * 1992-02-28 1996-08-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our restoration apparatus
US5369446A (en) * 1992-04-30 1994-11-2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Video signal processor employing edge replacement, preshoots and overshoots for transient enhancement
KR100206319B1 (ko) * 1995-12-13 1999-07-01 윤종용 비디오 신호의 로컬 콘트라스트 개선을 위한 방법및장치
US5920357A (en) 1996-01-11 1999-07-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gital color transient improvement
DE69605106T2 (de) * 1996-07-09 2000-07-20 St Microelectronics Srl Schaltung zur Chrominanzübergangsverbesserung in Echtzeitvideoempfang
WO1998009443A1 (en) * 1996-08-26 1998-03-05 Philips Electronics N.V. Sharpness control
GB9807097D0 (en) * 1998-04-02 1998-06-03 Discreet Logic Inc Processing image data
KR100287856B1 (ko) * 1999-02-05 2001-04-16 구자홍 색상신호 처리장치
EP1075140A1 (en) * 1999-08-02 2001-02-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signal enhancement
US6225910B1 (en) * 1999-12-08 2001-05-01 Gentex Corporation Smoke detector
US6657677B1 (en) * 2000-01-12 2003-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nversion from SD to HDTV
US6600517B1 (en) * 2000-03-07 2003-07-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harpness of a video image
US7623706B1 (en) * 2000-09-29 2009-11-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duction of chromatic bleeding artifacts in images containing subsampled chrominance values
US6571224B1 (en) * 2000-10-24 2003-05-27 Ndsp Corporation Fuzzy logic based color transition improvement method and system
US6950561B2 (en) * 2001-01-10 2005-09-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sharpness enhancement for coded video
JP2002300596A (ja) * 2001-03-30 2002-10-11 Nec Viewtechnology Ltd 色濃淡補正方法
US6717622B2 (en) * 2001-03-30 2004-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resolution enhancement of a video image
JP2002344746A (ja) * 2001-05-22 2002-11-29 Sanyo Electric Co Ltd 輪郭補正回路および輪郭補正方法
US6795083B2 (en) * 2001-06-19 2004-09-21 Smartasic, Inc. Color enhancement of analog video for digital video systems
US7130483B2 (en) * 2001-12-12 2006-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nhancing a digital image while suppressing undershoots and overshoots
US7545976B2 (en) * 2002-05-01 2009-06-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image enhancement with color
US7289163B2 (en) * 2003-04-28 2007-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lor edge center in color transient improvement
CN1279765C (zh) * 2003-11-10 2006-10-11 华亚微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视频图像的色彩瞬态增强系统与方法
US7373013B2 (en) * 2003-12-23 2008-05-1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Directional video filters for locally adaptive spatial noise redu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731B1 (ko) * 2006-02-1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이미지 신호의 천이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화질개선 장치
KR100771867B1 (ko) * 2006-02-27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색 신호의 천이 특성을 향상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20110031162A (ko) * 2008-06-19 2011-03-24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스플릿 에지 강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4766C (zh) 2007-01-10
US7271851B2 (en) 2007-09-18
EP1439717A2 (en) 2004-07-21
EP1439717A3 (en) 2007-08-29
US20030107678A1 (en) 2003-06-12
US20070200958A1 (en) 2007-08-30
CN1520194A (zh) 2004-08-11
KR100565053B1 (ko) 2006-03-30
US7808558B2 (en)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053B1 (ko) 적응적 컬러 천이 개선 방법
US5544258A (en) Automatic tone correction of images using non-linear histogram processing
JP3828251B2 (ja) 映像のダイナミックレンジ拡大装置
JP322129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ノイズ除去装置及びノイズ除去方法
US7551794B2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smoothing luminance of an image
JP489459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907973B2 (en) Content adaptive image restoration, scaling and enhancement for high definition display
JP559558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KR0143389B1 (ko) 윤곽보정장치
KR20030070845A (ko) 디지털 화상의 콘트라스트 강조
JPH07143358A (ja) ダイナミックガンマコントラスト制御方法および回路
JP3657145B2 (ja) 輪郭補正装置
JPH08280039A (ja) ビデオ画像のフィルタ装置およびフィルタ方法
JP4017810B2 (ja) 階調補正装置及び記録媒体
Lin et al. An adaptive color transient improvement algorithm
JP2003198878A (ja) 輪郭補正装置
JP2004514330A (ja) 非対称過渡信号の検出及び補正
US6233022B1 (en) Video signal enhancement through non-linear combination of left and right different signals
JP287132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3657133B2 (ja) 輪郭補正装置
JP2832954B2 (ja) 画像強調回路
JP4176681B2 (ja) 画像エッジ補正装置及び画像エッジ補正方法
KR100631512B1 (ko) 비선형 라플라시안을 이용한 색상 변이 향상 장치 및 방법
JP2001148474A (ja) 固体撮像素子
JP2760255B2 (ja) 画質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