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282A - 열교환기 판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282A
KR20040065282A KR10-2004-7009391A KR20047009391A KR20040065282A KR 20040065282 A KR20040065282 A KR 20040065282A KR 20047009391 A KR20047009391 A KR 20047009391A KR 20040065282 A KR20040065282 A KR 20040065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exchanger
region
ridges
va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756B1 (ko
Inventor
블롬그렌랄프에릭
벤만에릭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4006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355Heat exchange having separate flow passage for two distinct fluids
    • Y10S165/399Corrugated heat exchang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 열교환기, 판 패키지 및 판형 열교환기용 열교환기 판(4)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판은 판 주위로 연장된 에지와, 상기 에지 내부의 판 주위로 연장되는 에지 영역(6)과, 판(4) 위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방향(A, B)으로 연장된 마루부 및 골부의 주름을 갖는 열교환 면(5)을 구비한다. 또한, 판은 에지 영역(6) 내부의 열교환 면(5) 주위로 연장되고 융기부(42) 및 골부(43)를 구비한 지지 영역(4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판 {A HEAT EXCHANGER PLATE}
곡선부의 4분의 1이 회전된 상기 열교환기 판은 EP-A-165 179호로부터 공지된다. 상기 판은 사실상 정방형이며 입구 및 출구가 판형 패키지의 측면을 통해 연장되는 판 패키지를 형성하며, 다시 말해 열교환기 매질은 판의 주연장 평면과 사실상 평행한 방향으로 판 패키지 안 및 밖으로 유동한다. 각각의 판은 네 개의 측면 에지들을 가지며, 두 개의 대향 측면 에지들은 하향으로 꺾여지고 다른 두 개의 대향 측면 에지들은 상향으로 꺾여진다. 모든 제2 판은 판 패키지에서 90°회전되며, 판의 하향으로 꺾여진 측면 에지들은 인접한 판의 상향으로 꺾여진 측면 에지에 인접하며, 이러한 측면 에지들은 용접 결합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판의 각각의 코너에는 판의 연장 평면에 사실상 수직한 평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탭이 형성된다.
EP-A-165 179에 개시된 판은 판의 측면 에지에 대해 45°기울어진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융기부 및 골부의 주름을 갖는 활성(active) 열교환 면을 갖는다. 판 패키지에서 인접한 판들의 융기부 및 골부들은 복수의 지지점에서 서로 교차되며 지지된다. 열교환 면의 내부 영역에서, 각각의 지지점은 정방형 간격에 의해 배가된 압력에 해당하는 부하를 감당하지만, 측면 에지들과 근접한 열교환 면의 외부 영역에 있는 각각의 지지점의 부하는 상당히 증가한다. 제조 기술상의 이유로, 주름부는 측면 에지부로 연장될 수 없으나 예로써, 에지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에지 영역이 있어야 한다. 원칙적으로, 에지 영역은 사실상 선 형태의 굽힘 영역만이 될 수 있으나, 에지 영역은 사실상 10 mm 내지 15 mm의 폭을 갖는 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자인은 부하를 받는 면이 내부 지지점 보다 외부 지지점에 상당히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너들 중 가장 먼 곳에 지지점을 갖는 두 개의 코너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들은 코너에서 만나게 되는 두 개의 평면 에지 영역으로부터의 부하를 감당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점들은 특히 큰 부하를 받게된다.
판의 압력 성능은 대부분 부하를 받는 지지점에 의해 결정되며, 이런 경우 코너에 있는 두 개의 지지점이 해당된다. 상기 지지점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하는 내부 지지점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하의 두 배에 이른다. 대형 판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지지점은 지지점 개수의 0.1% 미만이 되며, 이는 판의 99.9% 이상이 100%에 가까운 전체 치수와 같이 되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은 판형 열교환기용 열교환기 판에 관한 것이며, 상기 판은 판 주위로 연장된 에지와, 에지 내부에서 판 주위로 연장된 에지 영역과, 적어도 일방향으로 판을 가로지르는 융기부 및 골부의 주름을 갖는 열교환 면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형 열교환기용 판 패키지 및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판형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Ⅱ-Ⅱ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4는 판형 열교환기의 판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의 Ⅴ-Ⅴ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Ⅵ-Ⅵ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7은 도4의 Ⅶ-Ⅶ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판의 평면도이다.
도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판의 평면도이다.
도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목적은 판이 판 패키지와 판형 열교환기에서 더욱 균등하게 부하를 받게 되는 판과, 이러한 판을 갖는 판 패키지와, 이러한 판 패키지를 갖는 판형 열교환기에 집중된다.
상기 목적은 에지 영역 내부의 열교환 면 주위로 연장되는 지지면과 융기부 및 골부의 주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형성된 열교환기 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주름진 지지 영역에서, 융기부 및 골부가 다양한 지지점들 사이의 부하가 균등해지는 방식으로 완성된 판 패키지 내에 위치될 수 있는 특정 위치에 있어서 선호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영역을 위한 특수한 주름부에 의해, 상기 판의 측면 에지에 근접한 영역의 지지점 수가 사실상 증가된다. 상기 지지 영역의 상당히 많은 수의 융기부 및 골부가 열교환 면의 융기부 및 골부의 대각선 방향으로부터 편향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영역의 융기부 및 골부는 열교환 면의 융기부 및 골부와 비교하여 그 연장 방향으로 짧아질 수 있다. 상기 판은 열교환 면과 지지 영역 사이에 표시된 경계선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에지 영역 및 지지 영역의 총 면적은 열교환 면의 총면적보다 사실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은 적어도 네 개의 에지 및 네 개의 코너를 갖는 다각형을 갖는다. 각각의 코너에서, 상기 지지 영역은 코너들 사이의 대각선과 사실상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융기부 및 골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에지의 중심부를 따른 지지 영역의 각각의 융기부 또는 골부는 융기부 또는 골부와 매우 근접하게 놓여진 측면 에지와 사실상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 영역의 디자인으로 인해, 상기 영역의 지지점의 수는 50%까지 증가된다. 또한, 상기 지지 영역의 융기부 및 골부는 열교환 면의 융기부 및 골부와 사실상 동일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영역의 골부 및 융기부의 방향은 코너의 사실상 대각선 방향으로부터 중심부의 사실상 수직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은 에지 영역으로 연장되고 그와 평행한 연장 평면을 구비하는데, 상기 지지 영역의 골부들은 연장 평면의 아래에 위치되며 융기부들은 연장 평면 위에 위치된다. 상기 경계선은 연장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면의 골부들은 연장 평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융기부들은 연장 평면 위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은 사실상 정방형이며 네 개의 측면 에지를 갖고, 상기 에지들 중 두 개의 제1 측면 에지는 상기 에지에 평행한 상기 에지 영역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꺾임 라인을 따른 제1 방향에 대해 평행하며 꺾여지고, 상기 에지들 중 다른 두 개의 제2 측면 에지는 상기 에지에 평행한 에지 영역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꺽임 라인을 따른 제2 방향에 대해 평행하며 꺾여지며, 상기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반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교환 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융기부 및 골부의 주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영역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융기부 및 골부의 주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판은 판의 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회전축을 갖고, 상기 영역은 회전축에 대한 판의 제1 회전 위치와 90°회전된 후의 회전축에 대한 판의 제2 회전 위치에서 각각의 가상(imaginary) 고정식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을 갖는다. 상기 열교환 면은 각각의 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을 갖는 두 개의 영역을 구비하므로, 영역들 중 하나의 형상의 변화는 다른 영역의 형상의 변형에 의한 반작용을 받을 수 있게 되며,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판의 전체적인 형상 변화는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으며, 또한, 원래의 외형이 판의 가압 성형 후 사실상 유지될 수 있다. 윤곽의 형성은 영역의 외부 및 내부 윤곽을 언급하는 것이다. 예로써, 상기 영역 중 하나는 다른 하나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영역에 대한 나중의 외부 영역의 경계는 외부 영역의 내부 윤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은 제2 영역의 면적과 사실상 동일하다. 또한, 제1 방향은 제2 방향에 사실상 수직인 것이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판의 디자인에 의해 형상의 변형이 사실상 완전히 방지된다. 또한, 제1 방향은 사실상 대각선과 평행하다. 상기 판은 상기 제1 회전 위치 및 제2 회전 위치의 가상 고정식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와 같이 서로 배치되어 형성된 복수의 판을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용 판 패키지에 의해 얻어진다. 판 패키지의 판은 모든 제2 판이 회전축 주위로 90°회전하는 방식 및 인접한 판들 사이에 사이 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영역들은 제1 영역의 윤곽이 판 패키지 내의 모든 판과 일치하고, 상기 지지 영역의 윤곽이 판 패키지의 모든 판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다. 판 패키지의 판들은 서로 용접될 수 있으며, 상기 판들은 판의 제1 측면 에지가 인접한 판의 제2 측면 에지에 접하게 되는 방식으로 서로 배치되며, 상기 측면 에지들은 용접 결합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사실상 모든 판들이 동일한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사이 공간들은 복수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은 판 패키지를 통해 제1 매질을 이송하도록 배치되며, 제2 공간은 판 패키지를 통해 제2 매질을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판을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판 패키지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은 예시 방식으로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1 내지 도3은 판형 열교환기(1)를 도시한다. 판형 열교환기(1)는 외부 케이싱(2)과 케이싱(2) 내부에 배치된 판 패키지(3)를 구비한다. 판 패키지(3)는 서로 적층되고 부착된 복수의 열교환기 판(4)을 구비한다.
판(4)은 각각의 판(4)의 주 연장 평면(p)의 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심 회전축(x)를 갖는다. 모든 판(4)들은 사실상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사실상 정방형 코너를 갖는다. 또한, 판(4)은 다른 다각형 또는 원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판(4)들은 판(4)의 외부 윤곽이 제1 회전 위치에서 그리고 90°회전 후 제2 회전 위치에서 가상 고정식 윤곽에 일치하는 방식으로 축(x)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각각의 판(4)은 도4에 도시된 융기부와 골부의 주름을 갖는 열교환 면(5)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판(4)은 판 주위로 연장된 에지를 갖고, 에지 내부의 열교환 면(5) 주위로 연장되는 사실상 선형 또는 면형 에지 영역(6)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지들은 네 개의 측면 에지들(7', 7")을 형성한다. 두 개의 측면 에지들(7')은 서로 평행하며 측면 에지(7')에 평행하게 에지 영역(6)으로 연장된 각각의 꺾임선을 따른 제1 방향으로 하향 꺾여진다. 또한, 두 개의 제2 측면 에지들(7")은 서로 평행하며 측면 에지(7")에 평행하게 에지 영역(6)으로 연장된 각각의 꺾임선을 따른 제2의 반대 방향으로 상향 꺾여진다. 각각의 판(4)의 각각의 코너에서, 측면 에지들이 꺾일 때 탭(8)이 형성되며, 이것은 판(4)의 연장 평면(p)에사실상 수직한 평면에서 대각선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탭(8)은 판(4)과 판 패키지(3)를 케이싱(2) 내에 장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로서 기능한다. 특히, 탭(8)은 케이싱(2)의 내부 공간에서 각각의 코너에 배치되는 네 개의 코너 기둥(9)의 종방향 홈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코너 기둥(9)들은 케이싱(2)과 판 패키지(3) 사이에서 네 개의 부분 공간(10)의 경계를 정하는 기능을 한다.
판 패키지(3)의 모든 제2 판(4)은 회전축(x) 주위로 90°회전되며, 판(4)은 인접 판(4)들 사이에 사이 공간(13', 13")이 형성되고 판(4)의 제1 측면 에지(7')가 인접 판(4)의 제2 측면 에지(7")에 인접하는 방식으로 판 패키지(3)에 배치된다.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 측면 에지들(7', 7")은 용접 결합부(14)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용접 결합부(14)는 레이저 빔 용접 또는 전자 빔 용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4 내지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이 공간(13', 13")들은 복수의 제1 사이 공간(13') 및 복수의 제2 사이 공간(13")을 포함한다. 두 개의 대향 측면들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판 패키지(3)는 제1 사이 공간(13')에 대해 개방될 수 있으며 제2 사이 공간(13")에 대해 폐쇄될 수 있다. 두 개의 다른 대향 측면들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판 패키지(3)는 제1 사이 공간(13')에 대해 폐쇄될 수 있으며 제2 사이 공간(13")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제1 사이 공간(13')은 판 패키지(3)를 통해 제1 매질을 이송하도록 배치되며 제2 사이 공간(13")은 판 패키지(3)를 통해 제2 매질을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판형 열교환기(1)는 제1 매질용 제1 입구(16) 및 제1 출구(17)와 제2 매질용제2 입구(18) 및 제2 출구(19)를 구비한다. 판 패키지(3)에 대한 입구 및 출구는 판 패키지(3)의 측면들을 통해 적절하게 연장되며 다시 말해, 열교환기 매질은 판(4)의 주 연장 평면(p)에 사실상 평행한 방향으로 판 패키지의 내부 및 외부로 유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판 패키지(3)는 세 개의 부분 패키지(a, b, c)를 구비한다. 부분 패키지(a, b, c)는 두 개의 경계 설정 판(21, 22)에 의해 서로로부터 경계지어진다. 판 패키지(3)는 다른 개수의 부분 패키지 예로써, 1, 2, 4 또는 그 이상의 부분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매질은 제1 입구(16)를 통해 부분 패키지로 이송되고 제1 사이 공간(13')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1 매질은 대향 측면을 통해 패키지를 떠나 부분 공간(10)으로 이송된다. 부분 공간(10)에서, 상기 제1 매질은 경계 설정 판(21)을 통과하여 부분 패키지(b)로 이송되고 측면을 통해 제1 사이 공간(13')으로의 측면을 통해 이송된다. 상기 매질은 대향 측면을 통해 부분 패키지(b)를 떠나 대향 부분 공간(10)으로 유입된다. 부분 공간(10)에서, 상기 제1 매질은 제2 경계 설정 판(22)을 통과하여 부분 패키지(c)로 이송되고 상기 측면을 통해 제2 사이 공간(13")으로 이송된다. 이후, 제1 매질은 부분 패키지(c)의 대향 측면과, 부분 공간과, 제2 출구(17)를 경유하여 판형 열교환기(1)를 떠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매질은 판형 열교환기(1)를 통하고 제2 입구(19)를 경유하여 제1 입구(18)로 이송된다. 또한, 제2 매질은 출구(19)가 입구 및 입구(18) 출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1 매질로 역류되어 이송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4의 실시예에서 열교환 면(5)은 융기부와 골부의 주름을 갖는 제1영역(31) 및 융기부와 골부의 주름을 갖는 제2 영역(32)을 구비한다. 열교환 면(5)의 두 개의 영역(31, 32)의 골부들은 연장 평면(p)에 또는 그 레벨에 위치되며, 열교환 면(5)의 두 개의 영역(31, 32)의 융기부들은 연장 평면(p) 상에 위치된다.
제1 영역(31) 내의 융기부 및 골부들은 제1 방향(A)으로 연장되고, 제2 영역 내의 융기부 및 골부들은 제2 방향(B)으로 연장된다. 제1 방향(A)은 사실상 제2 방향(B)에 수직이다. 또한, 제1 방향(A)은 판(4)의 두 개의 대향 코너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각선에 사실상 평행하며, 제2 방향(B)은 판(4)의 다른 두 개의 대향 코너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각선에 평행하다. 열교환 면(5)의 영역(31, 32)의 융기부 및 골부들은 상기한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영역(31)의 융기부 및 골부는 제2 영역(32)의 융기부 및 골부와 수직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으나, 제1 영역(31)의 융기부 및 골부가 제2 영역(32)의 융기부 및 골부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열교환 면(5)의 영역(31, 32)의 융기부 및 골부들은 곡선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인접 면에 대한 지지점을 형성하거나 판형 열교환기(1)를 통하는 유동에 영향을 주기 위한 경우에는 보다 크거나 또는 작은 불연속부 또는 불규칙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편향 패턴을 갖는 삽입된 부분이 다른 이유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제1 영역(31)의 상기 면적은 제2 영역(32)의 면적과 사실상 동일하다. 또한, 각각의 영역(31, 32)은 회전축(x)에 대한 판(4)의 제1 회전 위치와 이후 90°회전한 후의 판(4)의 회전축(x)에 대한 제2 회전 위치에서 각각의 가상 고정식 윤곽에 일치하는 외부 및/또는 내부 윤곽을 갖는다. 제2 내부 영역(32)은 정방형이며 정방형인 제1 외부 영역(32)에 대해 45°회전된다. 내부 영역(32)의 외부 윤곽은 외부 영역(31)의 내부 윤곽을 형성하거나 또는 이에 일치한다. 판 패키지(4)에서, 열교환 면(5)의 융기부는 인접 판(4)의 열교환 면의 골부와 사실상 항상 인접하며, 상기 융기부는 지지점 또는 작은 지지 영역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골부와 교차된다.
각각의 판(4)은 에지 영역(6) 내부의 열교환 면(5) 주위로 연장되는 지지 영역(41)을 구비한다. 또한, 지지 영역(41)은 융기부(42) 및 골부(43)의 주름을 구비한다. 지지 영역(41)과 열교환 면(5) 사이의 경계부는 연장 평면(p)에 또는 그 레벨에 위치되는 경계선(44)으로 표시된다. 지지 영역(41)의 골부(43)는 연장 평면(p) 아래 위치되며, 지지 영역(41)의 융기부(42)는 연장 평면(p) 위에 위치된다.
각각의 코너의 근접부에서, 지지 영역(41)은 코너들 사이의 대각선과 사실상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융기부(42) 및 골부(43)를 갖는다. 측면 에지들의 중심부를 따라, 지지 영역(41)의 사실상 각각의 융기부(42) 및 골부(43)는 융기부(42) 및 골부(43)에 가장 근접하게 놓여진 측면 에지에 사실상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측면 에지 중 하나의 내부로 연장된다. 지지 영역(41)의 융기부(42) 및 골부(43)의 방향은 코너의 대각 방향으로부터 상기 중심부의 수직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도6 및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영역(41)의 융기부(42) 및 골부(43)는 판(4)의 지지 영역(41)에 있는 각각의 골부(43)가 판(4)의 지지 영역에 있는 융기부(42)와 접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상기의 방식으로, 지지 라인 또는 장형 지지면은 판 패키지(3)의 모든 인접 판(4)들 사이에 항상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라인은 융기부(42) 및 골부(43)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지지 영역(41)은 외부 및 내부 윤곽이 판 패키지(3)의 모든 판(4)들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다.
도8은 제2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영역(31, 32)으로 분할된 열교환 면(5)을 갖는 판(4)을 도시한다. 내부 영역(32)은 내부 영역(32)의 외부 윤곽의 측면 에지가 외부 영역(31)의 외부 윤곽의 매우 근접하게 놓여진 측면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위치된 정방형의 형상을 갖는다.
도9는 제3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영역(31, 32)으로 분할된 열교환 면(5)을 갖는 판(4)을 도시한다. 내부 영역(32)은 중심점이 외부 영역(31)의 중심점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위치된 원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도10은 제4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열교환 면(5)을 갖는 판(4)을 도시한다. 판(4)은 두 개의 주영역(31, 32)을 가지며, 주영역 중 하나(31)는 중심 정방형 영역(33) 및 각각의 코너에 하나씩 네 개의 삼각형 코너 영역(34)을 구비한다.
도8 내지 도10에 따른 모든 판들은 도4에서의 판과 같이, 각각의 영역(31, 32, 33, 34)이 상기 회전축(x)에 대한 판(4)의 제1 회전 위치와 90°회전된 후의 회전축(x)에 대한 판(4)의 제2 회전 위치의 각각의 가상 고정식 윤곽과 일치하는 각각의 외부 및/또는 내부 윤곽을 갖는 방식으로 형상 지어진다. 상기 영역들 중하나의 영역(31) 또는 주영역(31)의 전체 면적은 다른 영역(32) 또는 주영역(32)의 전체 면적과 사실상 동일하다.
지지 영역(41)은 도8 내지 도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한 타입의 지지 영역(41)를 구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화 및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하나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융기부 및 골부의 면적을 갖는 열교환 면을 갖는 판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3)

  1. 판형 열교환기(1)용 열교환기 판(4)이며,
    판(4) 주위로 연장되는 에지와,
    상기 에지 내부의 판 주위로 연장되는 에지 영역(6)과,
    상기 판 위로 적어도 제1 방향(A, B)으로 연장되는 융기부 및 골부의 주름을 갖는 열교환 면(5)을 포함하며,
    에지 영역(6) 내부의 열교환 면(5) 주위로 연장되는 지지 영역(41)을 구비하며, 융기부(42) 및 골부(43)의 주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2. 제1항에 있어서, 열교환 면(5)과 지지 영역(41) 사이의 표시된 경계 라인(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측면 에지 및 적어도 4개의 코너를 갖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코너에서 지지 영역(41)이 코너들 사이의 대각선과 사실상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융기부(42) 또는 골부(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5. 제3항에 있어서, 측면 에지의 중심부를 따르는 지지 영역(41)의 각각의 융기부(42) 및 골부(43)는 융기부(43) 및 골부(43)에 가장 근접한 측면 에지에 사실상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지지 영역(41)의 융기부(42) 및 골부(43)의 방향은 코너의 대각선 방향으로부터 중심부의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4)이 에지 영역(6)으로 연장되고 그에 평행한 연장 평면(p)을 구비하고, 지지 영역(41)의 골부(43)는 연장 평면(p) 아래 위치되며 지지 영역(41)의 융기부(43)는 연장 평면(p)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경계선(44)이 연장 평면(p)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열교환 면(5)의 골부는 연장 평면(p)에 위치되며, 열교환 면(5)의 융기부는 연장 평면(p)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4)은 사실상 정방형이며 4개의 측면 에지들(7', 7")을 갖고, 상기 두 개의 제1 측면 에지(7')들은 평행하고, 측면 에지(7')에 평행한 에지 영역(6)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꺾임선을 따른 제1 방향으로 꺽여지며, 상기 두 개의 제2 측면 에지(7")들은 평행하고, 측면 에지(7")에 평행한 에지 영역(6)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꺾임선을 따른 제2 방향으로 꺽여지며, 상기 제1 방향은 제2 방향에 대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교환 면(5)은 제1 방향(A)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융기부와 골부의 주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31, 33, 34)과, 제2 방향(B)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융기부와 골부의 주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32)을 구비하며, 판(4)은 판(4)의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심 회전축(x)을 가지며, 상기 영역들(31 내지 34)은 회전측(x)에 대하여 판(4)의 제1 회전 위치와 90°회전 후 회전축(x)에 대한 판(4)의 제2 회전 위치에서 각각의 가상 고정식 윤곽과 일치하는 각각의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영역(31, 33, 34)의 면적은 사실상 제2 영역(32)의 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방향(A)은 사실상 제2 방향(B)에 수직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방향(A)은 상기 대각선에 사실상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4)이 제1 회전 위치 및 제2 회전 위치의 가상 고정식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판.
  16. 판형 열교환기용 판 패키지이며,
    서로에 대해 배치된 제1항 내지 15항에 따른 복수의 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패키지.
  17. 제16항에 있어서, 판 패키지(3)의 판들은 모든 제2 판(4)이 회전축(x) 주위로 90°회전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사이 공간(13', 13")이 인접 판(4)들 사이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영역들(31 내지 34)은 제1 영역(31, 33, 34)의 윤곽이 판 패키지(3)의 모든 판(4)들과 일치하고, 제2 영역(32)의 윤곽이 판 패키지(3)의 모든 판(4)들과 일치하며, 지지 영역(41)의 윤곽이 판 패키지(3)의 모든 판(4)들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패키지.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판 패키지(3)의 판(4)들은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패키지.
  19. 제10항에 따른 판을 구비하는 제18항에 있어서, 판(4)들은 판(4)의 제1 측면 에지(7')가 인접 판(4)의 제2 측면 에지(7")에 접하는 방식으로 서로 배치되며, 측면 에지들(7', 7")은 용접 결합부(1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패키지.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판(4)들은 사실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패키지.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 공간(13', 13")들은 복수의 제1 사이 공간(13')과 제2 사이 공간(13")을 구비하며, 제1 사이 공간(13')은 판 패키지(3)를 통해 제1 매질을 이송하도록 배치되고, 제2 사이 공간(13")은 판 패키지(3)를 통해 제2 매질을 이송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패키지.
  22.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판(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판형 열교환기.
  23.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판 패키지(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
KR1020047009391A 2001-12-18 2002-11-15 열교환기 판 KR100918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104281-1 2001-12-18
SE0104281A SE520703C2 (sv) 2001-12-18 2001-12-18 Värmeväxlarplatta med korrugerat stödområde, plattpaket samt plattvärmeväxlare
PCT/SE2002/002086 WO2003052339A1 (en) 2001-12-18 2002-11-15 A heat exchanger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282A true KR20040065282A (ko) 2004-07-21
KR100918756B1 KR100918756B1 (ko) 2009-09-28

Family

ID=2028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391A KR100918756B1 (ko) 2001-12-18 2002-11-15 열교환기 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055587B2 (ko)
EP (1) EP1456594B1 (ko)
JP (1) JP4065432B2 (ko)
KR (1) KR100918756B1 (ko)
CN (1) CN100365371C (ko)
AT (1) ATE461410T1 (ko)
AU (1) AU2002347746A1 (ko)
CA (1) CA2470557C (ko)
DE (1) DE60235720D1 (ko)
SE (1) SE520703C2 (ko)
WO (1) WO20030523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328B1 (ko) * 2009-11-13 2011-02-28 주식회사 엘에치이 열교환기용 전열판 및 이 전열판이 설치된 완전용접형 열교환기
KR20140141624A (ko) * 2012-04-05 2014-12-10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플레이트 열 교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2353A1 (de) * 2004-07-03 2006-01-26 Modine Manufacturing Co., Racine Plattenwärmetauscher
JP4666142B2 (ja) * 2005-03-08 2011-04-06 株式会社ゼネシス 熱交換器外殻構造
SE533205C2 (sv) * 2008-12-03 2010-07-20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e
US20100294644A1 (en) * 2009-05-20 2010-11-25 Zanaqua Technologies Heat exchanger
CA2728545C (en) * 2010-01-20 2014-04-08 Carrier Corporation Primary heat exchanger design for condensing gas furnace
SE534765C2 (sv) * 2010-04-21 2011-12-13 Alfa Laval Corp Ab Plattvärmeväxlareplatta och plattvärmeväxlare
JP6552499B2 (ja) * 2013-12-10 2019-07-31 スウェッ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クティエボラーグ 改良された流れを有する熱交換器
EP3447429B1 (en) * 2017-08-22 2023-06-07 InnoHeat Sweden AB Heat exchanger plate and heat exchanger
ES2787017T3 (es) * 2017-08-22 2020-10-14 Innoheat Sweden Ab Intercambiador de calor
CN111928705B (zh) * 2019-05-13 2022-03-25 亚浩电子五金塑胶(惠州)有限公司 具有重力型回路热管的散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8765A (en) 1968-11-18 1971-03-09 Basf Ag Plate-type heat exchanger
GB1339542A (en) * 1970-03-20 1973-12-05 Apv Co Ltd Plate heat exchangers
DE2905732C2 (de) 1979-02-15 1985-07-11 Interliz Anstalt, Vaduz Platten-Wärmetauscher
SE431793B (sv) * 1980-01-09 1984-02-27 Alfa Laval Ab Plattvermevexlare med korrugerade plattor
AT380739B (de) * 1984-03-14 1986-06-25 Helmut Ing Fischer Zerlegbarer plattenwaermeaustauscher und presswerkzeug zur herstellung von waermeaustauschplatten dieses waermeaustauschers
FR2562997B1 (fr) * 1984-04-19 1988-09-23 Vicarb Sa Echangeurs de chaleur a plaques et nouveau type de plaques permettant l'obtention de tels echangeurs
SE458805B (sv) 1985-06-06 1989-05-08 Reheat Ab Plattvaermevaexlare, vari varje platta aer uppdelad i fyra omraaden med sinsemellan olika riktning paa korrugeringarna
FI79409C (fi) * 1987-07-13 1989-12-11 Pentti Raunio Foerfarande foer konstruering av en vaermevaexlare jaemte enligt foerfarandet konstruerad vaermevaexlare.
AT393162B (de) * 1987-07-13 1991-08-26 Broeckl Gerhard Ing Plattenwaermeaustauscher mit besonderem profil der waermeaustauschzone
CN2064876U (zh) * 1988-11-08 1990-10-31 哈尔滨建筑工程学院 凹凸板式空气-空气热交换器
DE9002440U1 (ko) * 1990-03-02 1990-05-03 Sueddeutsche Kue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De
SE466171B (sv) 1990-05-08 1992-01-07 Alfa Laval Thermal Ab Plattfoeraangare daer aatminstone den ena plattan i en foeraangningspassage aer uppdelad i faelt anordnade bredvid varandra mellan plattans laangsidor, vilka faelt uppvisar sinsemellan olika korrugeringsmoenster saa att stroemningsmotstaandet successivt minskar fraan ena sidan till den andra
DK0526679T3 (da) * 1991-07-08 1996-01-22 Apv Baker As Varmeveksler med flervæggede pladeelementer
JP3654669B2 (ja) * 1994-09-28 2005-06-02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TW307837B (ko) * 1995-05-30 1997-06-11 Fujikura Kk
JP3650657B2 (ja) * 1995-09-26 2005-05-25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SE507800C2 (sv) * 1996-11-14 1998-07-13 Alfa Laval Ab Plattvärmeväxlare med foderförsett anslutningsrör samt stödanordning för att motverka utböjning av plattpaketets yttre värmeöverföringsplatta
KR100264815B1 (ko) * 1997-06-16 2000-09-01 신영주 다단기액분리형응축기
DK174409B1 (da) * 1998-01-12 2003-02-17 Apv Heat Exchanger As Varmevekslerplade med forstærket kantudformning
SE513784C2 (sv) * 1999-03-09 2000-11-06 Alfa Laval Ab Permanent sammanfogad plattvärmeväxlare
FR2806469B1 (fr) * 2000-03-20 2002-07-19 Packinox Sa PROCEDE d4ASSEMBLAGE DES PLAQUES D'UN FAISCEAU DE PLAQUES ET FAISCEAU DE PLAQUES REALISE PAR UN TEL PROCE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328B1 (ko) * 2009-11-13 2011-02-28 주식회사 엘에치이 열교환기용 전열판 및 이 전열판이 설치된 완전용접형 열교환기
KR20140141624A (ko) * 2012-04-05 2014-12-10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플레이트 열 교환기
US10156405B2 (en) 2012-04-05 2018-12-18 Alfa Laval Corporate Ab Plate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16719A1 (en) 2005-01-27
CN100365371C (zh) 2008-01-30
SE520703C2 (sv) 2003-08-12
AU2002347746A1 (en) 2003-06-30
CN1605013A (zh) 2005-04-06
ATE461410T1 (de) 2010-04-15
JP4065432B2 (ja) 2008-03-26
DE60235720D1 (de) 2010-04-29
EP1456594B1 (en) 2010-03-17
KR100918756B1 (ko) 2009-09-28
SE0104281L (sv) 2003-06-19
EP1456594A1 (en) 2004-09-15
JP2005513398A (ja) 2005-05-12
SE0104281D0 (sv) 2001-12-18
US7055587B2 (en) 2006-06-06
CA2470557C (en) 2009-03-24
WO2003052339A1 (en) 2003-06-26
CA2470557A1 (en)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756B1 (ko) 열교환기 판
TWI445917B (zh) 熱交換器板以及板式熱交換器
US6823934B2 (en)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pack for use in a plate heat exchanger
CA2470257C (en) A heat exchanger plate, a plate pack and a plate heat exchanger
JP5037524B2 (ja) ポート領域の負荷を均等に分散させるプレート熱交換器用の熱伝導プレート
KR20070107041A (ko) 열 교환기
EP1899671A1 (en) A heat exchanger plate, a pair of two heat exchanger plates, and plate package for a plate heat exchanger
CN115325864A (zh) 用于板式热交换器的具有不对称性波纹结构的板
JP2005517891A5 (ko)
JP2005513398A5 (ko)
EP0984238B1 (en) Heat exchanger
TWI752723B (zh) 傳熱板
US20230061944A1 (en) A heat exchanger plate, and a plate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