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918A -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918A
KR20040064918A KR1020030001806A KR20030001806A KR20040064918A KR 20040064918 A KR20040064918 A KR 20040064918A KR 1020030001806 A KR1020030001806 A KR 1020030001806A KR 20030001806 A KR20030001806 A KR 20030001806A KR 20040064918 A KR20040064918 A KR 20040064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otating
pair
workpiec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84717B1 (en
Inventor
배행직
Original Assignee
배행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행직 filed Critical 배행직
Priority to KR10-2003-000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717B1/en
Publication of KR2004006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71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awing (AREA)

Abstract

PURPOSE: A workpiece supporting device is provided to manufacture high-precision drum cores in large quantities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motion of cylindrical workpieces. CONSTITUTION: A workpiece supporting device is composed of a frame(10), a pair of fixed blocks(20) fixed to the frame, a rotary shaft(30) rotatably supported on the fixed blocks, a pair of rotary blocks(40) disposed between the fixed blocks and fixed to the rotary shaft, a pressing unit having a pair of pressing rods(52) and supporting a workpiece(2), a rotary shaft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a pressing rod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pressing rods, and a pressing rod moving unit for moving the pressing rods.

Description

작업편 지지장치{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작업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기둥형의 작업편을 고속회전하는 절삭휠에 의해 절삭가공하여, 그 중앙부의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형상의 드럼코어(Drum core)로 가공하는 가공장치의 일부로서, 상기 작업편의 절삭가공이 원활히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작업편을 지지하여 고속회전하는 절삭휠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주는 작업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drum core having a cylindrical work piece being cut by a cutting wheel rotating at a high speed, the diameter of the center portion of whi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support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cutting wheel that supports a workpiece and rotates at a high speed so that the cutting of the workpiece is continuously performed smoothly.

일반적으로 드럼코어는 그 중앙부위에 코일을 권취하여 쵸크 코일(choke coil)용이나 리니어리티 코일(Linearity coil)용 등으로 사용되는 바, 쵸크 코일은 PCB 회로상의 전원단 등에서 교류 성분의 전류의 흐름을 억제함으로써 직류 성분만 흐르게 하여 뒷단에 연결되는 소자나 기기 등에 직류 전류만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리니어리티 코일은 컴퓨터 모니터나 TV 화면상에 수평 간격을 조정하여 모니터를 통해 나오는 화면의 좌우 간격을 동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드럼코어의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이용이 가능하다.In general, the drum core is wound around the center of the coil to be used for choke coils or linearity coils, and the choke coils are used to control the flow of alternating current in power stages on PCB circuits. It suppresses the flow of DC components and supplies only DC current to the devices or devices connected to the rear stage.The linearity coil adjusts the horizontal space on the computer monitor or TV screen to equalize the horizontal space between the screen and the screen. Play a role. However, the use of the drum co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이러한 드럼코어는, 원기둥형의 작업편을 절삭휠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작업편 지지장치에 고정하고 그 작업편의 중앙부위를 절삭휠과의 마찰에 의해 절삭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따라서, 정밀한 드럼코어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절삭휠이나 작업편의 절삭량, 이동량이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하고, 절삭휠에 작업편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효율적인 대량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 drum core is manufactured by fixing a cylindrical workpiece to a workpiece support device that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utting wheel, and cut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workpiece by friction with the cutting wheel. Therefore, in order to manufacture a precise drum core, the cutting amount and the moving amount of the cutting wheel or the workpiece must be precisely controlled, and efficient mass production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workpiec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utting wheel.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드럼코어의 가공을 위한효과적인 작업편 지지장치가 없으며, 일반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작업편을 절삭휠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절삭휠에 접근시키며, 드럼코어를 가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장치로는, 작업편을 지지하고 절삭휠에 제공하는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으므로 가공된 드럼코어의 중앙부가 원하는 정밀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드럼코어에 코일을 권취하는 작업을 자동화시키기 곤한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연속적으로 절삭휠에 작업편을 공급할 수 없으므로 효율적으로 드럼코어의 대량생산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구조의 작업편 지지장치의 발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effective workpiece support device for the processing of the drum core that can meet this demand, using a general apparatus to rotate the workpie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utting wheel, approaching the cutting wheel, The drum core is processed. However, in such a general apparatus, since the movement of supporting the workpiece and providing the cutting wheel cannot be precisely controlled, the center part of the processed drum core cannot maintain the desired precision, resulting in a coil in the drum core. There is a problem that makes it difficult to automate the winding operation, and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efficiently supply the workpiece to the cutting wheel mass production of the drum core efficiently. Therefore, the invention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of the new structure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기둥형의 작업편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정밀한 드럼코어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절삭휠에 작업편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효율적으로 드럼코어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작업편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ylindrical workpiece to obtain a precise drum core, and also to continuously supply the workpiece to the cutting wheel to efficiently mass production of the drum core The object is to provide a possible workpiece suppo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작업편 지지장치의 개략적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편 지지장치의 Ⅱ-Ⅱ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업편 지지장치의 고정블럭의 개략적 사시도,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block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작업편 지지장치의 가압봉의 개략적 사시도,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e rod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shown in Figure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작업편 지지장치 2 ... 작업편1 ... workpiece support 2 ... workpiece

20 ... 고정블럭 30 ... 회전축20 ... fixed block 30 ... axis of rotation

40 ... 회전블럭 42 ... 관통공40 ... rotating block 42 ... through hole

52 ... 가압봉 54 ... 본체부재52 ... Pressure bar 54 ... Body member

56 ... 접촉부재 60 ... 제1구동모터56 ... contact member 60 ... first drive motor

70 ... 제2구동모터 72 ... 제1중공축70 ... 2nd drive motor 72 ... 1st hollow shaft

74 ... 제1기어부 76 ... 제2중공축74 ... 1st gear part 76 ... 2nd hollow shaft

78 ... 제2기어부 80 ... 스프링78 ... second gear 80 ... spring

82 ... 계단부 230 ... 삽입공82 ... step 230 ... insertion hole

240 ... 삽입공마개240 ... insert stopp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업편 지지장치는, 원기둥형의 작업편을, 고속회전하는 절삭휠에 의해 절삭가공하여, 그 중앙부의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형상의 드럼코어를 가공하기 위하여, 그 작업편을 지지하도록 하는 작업편 지지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된 한 쌍의 고정블럭; 양단부가 상기 고정블럭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상기 한 쌍의 고정블럭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되며, 각각에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가상의 축선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블럭; 상기 가상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가상의 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각 회전블럭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봉들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 가압봉들이 상기 작업편의 양단을 밀착 가압함으로써 그 작업편을 지지하도록 된 가압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 회전수단; 상기 가압봉들을 상기 가상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봉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봉들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반복시키기 위한 가압봉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work piece is cut by a cutting wheel rotating at a high speed, and the diameter of the cente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s of the drum core. A workpiece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workpiece for processing, comprising: a frame; A pair of fixed blocks fixed to the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otating shafts whose both ends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xed block, respectively; A pair of rotation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ed blocks and spaced apart from and fixed to the rotation shafts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s, each of which has a through hole penetrated along an imaginary axis parallel to the rotation shafts; block; It consists of a pair of pressure rods that are rotatable with the virtual axis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are installed in the through-holes of the respective rotation blocks so as to be mutually accessible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rtual axis. A pressurizing portion configured to support the work piece by pressing the push rods against both ends of the work piece when they ar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pproach each other; Rotating shaft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Pressing rod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pressing rods around the virtual axis; And pressurizing rod moving means for repeating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rods approach each other and the movement in the spaced apart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작업편 지지장치(1)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업편 지지장치(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블럭들 중 좌측의 고정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suppor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ed block on the left side of the fixed blocks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작업편 지지장치(1)는, 원기둥형의 작업편(2)을, 고속회전하는 절삭휠(4)에 의해 절삭가공하여, 그 중앙부의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형상의 드럼코어(3)를 가공하기 위하여, 그 작업편(2)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프레임(10), 고정블럭(20) 회전축(30),회전블럭(40), 가압부, 회전축 회전수단, 가압봉 회전수단 및 가압봉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1 to 3,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uts the cylindrical workpiece 2 by the cutting wheel 4 rotating at high speed, and the center portion thereof. In order to process the drum core 3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s, the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work piece 2, the frame 10, the fixed block 20, the rotating shaft 30, the rotating block 40 ), A pressing unit, a rotating shaft rotating means, a pressing rod rotating means and a pressing rod moving means.

상기 프레임(10)은, 작업자가 작업편(2)을 드럼코어(3)로 가공하는 작업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작업편 지지장치(1)를 이루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일반적인 작업대이다.The frame 10 is a general workbench on which 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ork piece support device 1 are installed so that a worker can comfortably work the work piece 2 into the drum core 3.

상기 고정블럭(20)은, 프레임(10)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고정블럭(20)은 도1에서 중앙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위치한다.The fixed block 20 is composed of a pair fixed to the frame 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wo fixed blocks 20 are located on each side of the center in FIG. 1.

좌측의 고정블럭(20)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블럭(20)은, 관통공(210)과, 삽입공(230)과 삽입공마개(240)를 구비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3, which shows the left side fixed block 20, the fixed block 20 includes a through hole 210, an insertion hole 230, and an insertion hole stopper 240.

상기 관통공(210)은 고정블럭(2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The through hole 210 is form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fixed block 20.

상기 삽입공(230)과 이의 개폐를 위한 삽입공마개(240)는, 고정블럭(20)에,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가압봉(52)의 회전경로상에 구비되어 있다. 삽입공(230)은 가압봉(52)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진다. 삽입공마개(240)는 삽입공(230)에 끼워져 삽입공(230)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삽입공마개(240)를 삽입공(230)에 끼운 후 고정할 수 있도록, 턱부(242)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공(230)에도 상기 턱부(242)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하고 있어서, 삽입공마개(240)를 삽입공(230)에 끼운 후, 볼트(244)를 삽입공마개(240)의 턱부(242)를 관통하여 고정블럭(20)에 체결함으로써, 삽입공마개(240)를 삽입공(230)에 고정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230 and the insertion hole plug 2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ertion hole 230 is provided on the fixed block 20 on the rotation path of the pressure rod 52 to be described later. Insertion hole 230 has a diameter of the size that can pass through the pressure bar (52). Insertion plug 240 i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0 to block the insertion hole 230, referring to Figure 3, to insert the insertion hole 240 into the insertion hole 230 to be fixed The jaw portion 242 is provided. The insertion hole 230 is also provided with a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jaw portion 242. After inserting the insertion hole plug 240 into the insertion hole 230, the bolt 244 of the insertion hole plug 240 By inserting through the jaw portion 242 to the fixing block 20, the insertion hole plug 240 may be fixed to the insertion hole 230.

한편, 우측의 고정블럭(20)은 상술한 좌측의 고정블럭(20)과 서로 대칭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Meanwhile, since the fixed block 20 on the right side has a structure symmetrical with the fixed block 20 on the left side,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회전축(30)은, 그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블럭(20)에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30)의 우측단부와 좌측단부는 각각 우측의 고정블럭(20)의 관통공(210)과 좌측의 고정블럭(20)의 관통공(210)에 후술한 제1중공축(72)를 사이에 두고 베어링(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30 are supported by the pair of fixed blocks 20. In more detail, the right end and the left end of the rotating shaft 30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through hole 210 of the fixed block 20 on the right side and the through hole 210 of the fixed block 20 on the left side. I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 32 with the shaft 72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회전블럭(4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쌍의 고정블럭(20)의 사이에서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회전블럭(40)은 회전축(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축(30)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회전블럭(40)에는, 회전축(30)의 중심선(A)과 이격되어 평행한 가상의 축선(B)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4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42)은, 상기 가상의 축선(B)이 회전축(30)의 둘레를 따라 회전축(30)의 중심선(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로상에 동일한 거리를 두고 4개가 마련되어 있다.The rotation block 40 is composed of a pair,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between the pair of fixed blocks 20. The pair of rotation blocks 40 are fixed to the rotation shaft 3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30. Each of the rotation blocks 4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2 penetrated along a virtual axis B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A of the rotation shaft 30.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hole 42 has an equal distance on the path where the virtual axis B rotates around the center line A of the rotation axis 3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axis 30. Dogs are provided.

상기 가압부는, 한 쌍의 가압봉(5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은 회전블럭(40)의 관통공(42)에 설치된다. 가압부는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블럭(40)에 마련된 관통공(42)의 수와 동일하게 4세트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가압봉(52)은, 가상의 축선(B)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후술하는 가압봉 회전수단에 의해 가능한데, 이러한 회전은 작업편(2)이 절삭휠(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드럼코어(3)로 가공되도록 하여 준다. 또한 가압부는, 가상의 축선(B)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압봉(52)의 사이의 거리가 작업편(2)의 길이와 같을 때까지 서로 접근하여서, 작업편(2)을 그 사이에 잡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절삭휠(4)에 의해 상기 작업편(2)을 드럼코어(3)로 가공을 한 후에는, 양자가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사이에 잡아 지지하고 있던 드럼코어(3)를 아래로 떨어지도록 한다.The pressurization por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pressurizing rods 52, each of which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42 of the rotary block 40.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sets of pressurizing parts ar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number of through holes 42 provided in the rotation block 40.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are made possible by means of pressure rod rotation mea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virtual axis B as the center of rotation is performed by the work piece 2 by the rotation of the cutting wheel 4. Rota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 be processed to the drum core (3). In addition, the pressurizing portions approac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rtual axis B until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pressurizing rods 52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workpiece 2. It can hold and support in the meantime. Then, after the workpiece 2 is machined into the drum core 3 by the cutting wheel 4, the drum cores 3 held by the two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eld therebetween. To fall.

상기 각 가압봉(52)은,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부재(54)와 접촉부재(56)로 이루어져 있다.Each of the pressure rods 52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the body member 54 and the contact member 56.

상기 본체부재(54)는 몸체(500)와 키(510)와 캡(5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50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것의 일측단부에는 몸체(5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돌출되어 있는 제1연결부(50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단부에는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부(504)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504)의 중앙에는 제2연결부(506)가 돌출되어 있다. 키(510)는 몸체(500)의 외주부 일측에 그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고정된다. 캡(520)은 상기 제2연결부(506)에 끼워져 베어링(53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The body member 54 includes a body 500, a key 510, and a cap 520. Body 500 has a cylindrical shape, at one end thereof is formed a first connection portion 502 protruding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500, the other end is a flange portion with an enlarged diameter 504 is forme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6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flange portion 504. The key 5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500 to be dispos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he cap 520 is fitted to the second connector 506 and is rotatably fixed through the bearing 530.

상기 접촉부재(56)는 지지하고자 하는 작업편(2)에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작업편(2)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접촉부재(56)는, 본체부재(54)의 제1연결부(502)에 삽입되는 연결삽입부(560)를 구비하고 있어서, 제1연결부(502)를 연결삽입부(560)에 삽입한 후 볼트(562)를 접촉부재(56)에 형성된 관통 나사공에 체결하여 그 볼트의 선단부가 제1연결부(506)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접촉부재(56)와 본체부재(54)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볼트(562)를 이완시키면 접촉부재(56)가 본체부재(54)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즉, 접촉부재(562)는 볼트(562)의 체결 및 이완에 의해 본체부재(54)에 대해 착탈될 수 있다.The contact member 56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orkpiece 2 to be supported, and may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workpiece 2. The contact member 56 has a connection inserting portion 560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02 of the main body member 54, and then insert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02 into the connection inserting portion 560. When the bolt 562 is fastened to the through screw hole formed in the contact member 56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l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506, the contact member 56 and the main body member 54 are coupled. When the bolt 562 is relaxed, the contact member 56 is separated from the body member 54. That is, the contact member 562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body member 54 by fastening and loosening the bolt 562.

상기 회전축 회전수단은, 회전축(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60)와, 제1구동모터(60)에 벨트(62)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회전축(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그 회전축(30)의 우측단부에 고정된 회전축풀리(34)로 이루어져 있다.The rotating shaft rotating means is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motor 60 and the first drive motor 6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 through a belt 62 It consists of a rotary shaft pulley 34 fixed to the right end of the rotary shaft 30 to receive a driving force to rotate with the rotary shaft 30.

제1구동모터(60)는 감속모터이고 내부에 클러치를 구비한 것이어서, 원하는 회전축(34)의 회전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모터의 회전력이 회전축(30)에 전달되었다 끊어졌다하는 것이 반복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구동모터(60)의 구조는 이미 공개된 것이고, 또한 시중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drive motor 60 is a reduction motor and has a clutch therein, so that the desired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al shaft 34 can be obtained,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has been transmitted to the rotational shaft 30 and is cut off. Can be. Howev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first driving motor 60 is already disclosed, and can be easily purchased and used on the marke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가압봉 회전수단은, 한 쌍의 가압봉(52)을 가상의 축선(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 쌍의 가압봉(52)으로 이루어진 가압부가 모두 4세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4세트의 가압부를 각각 4개의 가상의 축선(B)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시키는 수단이다.The pressure rod rotating means is for rotating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with the virtual axis B as the rotation cent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all four sets of press portions formed by a pair of pressure rods 52 are provided, the means for rotating each of the four sets of press portions with four virtual axes B as the center of rotation, respectively. to be.

가압봉 회전수단은, 제2구동모터(70)와 제1중공축(72)과 제2중공축(76)을 포함한다.The pressure rod rotating means includes a second driving motor 70, a first hollow shaft 72, and a second hollow shaft 76.

상기 제2구동모터(70)는 프레임(10)의 하부에 좌우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된다. 한 쌍의 제2구동모터(70)는 일반적인 감속모터를 사용한다.The second driving motor 7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10, one each left and right. The pair of second drive motors 70 use a general reduction motor.

상기 제1중공축(72)은, 한 쌍이 구비되며, 회전축(30)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된다. 각 제1중공축(72)은, 일측에 제2구동모터(70)와 연결된 벨트(71)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1중공축 풀리(73)를 구비하며, 타측에는 전달받은 구동력을 다시 가압봉(52)에 전달할 수 있는 제1기어부(74)를 구비한다. 제1중공축(72)은 내부에 회전축(30)을 관통시키며 회전축(30)과는 양측에서 베어링(32)을 사이에 두고 결합을 이루고 있어서, 회전의 중심은 회전축(30)과 동일한 상태로 회전하지만, 회전축(3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회전축(3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각 제1중공축(72)은 고정블럭(20)에 베어링(7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hollow shaft 72 is provided with a pair, it is coupled to each one of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30). Each of the first hollow shafts 72 has a first hollow shaft pulley 73 so as to receive a driving force by a belt 71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70 on one side thereof, and the driving force received on the other side thereof. It is provided with a first gear portion 74 that can be delivered to the pressure rod (52) again. The first hollow shaft 72 penetrates the rotating shaft 30 therein and forms a coupling with the rotating shaft 30 with the bearing 32 therebetween, so that the center of rot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rotating shaft 30. Although rotating,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30 irrespective of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30.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first hollow shaft 7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block 20 through the bearing 75.

상기 제2중공축(76)은, 한 쌍이 좌우의 회전블럭(40)의 관통공(42)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42)이 각 회전블럭(40)에 4개씩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 관통공(42)의 숫자만큼 각 회전블럭(40)에 4개씩의 제2중공축(76)이 설치된다.The second hollow shaft 76 is provided in a pair of through holes 42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locks 40,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four through holes 42 are provided in each rotation block 40, four second hollow shafts 76 are provided in each rotation block 40 by the number of through holes 42. Is installed.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제2중공측(76)은, 그에 대응되는 제1중공축(72)의 제1기어부(74)와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부(78)를 구비한다. 각 제2중공축(76)은 회전블럭(40)의 관통공(42)의 양측단부에 베어링(77)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4, each of the second hollow sides 76 includes a second gear portion 78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74 of the first hollow shaft 72 to receive rotation force. do. Each second hollow shaft 76 i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42 of the rotation block 40 through the bearing 77.

한편, 제2중공축(76) 내주면에는 키홈(79)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봉(52)에는 키(51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봉(52)의 키(510)가 제2중공축(76)의 키홈(79)에 끼워지도록 하면, 가압봉(52)은 가상의 축선(B)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제2중공축(76)에 대해 슬라이딩이 가능하되 그 제2중공축에 대한 상대회전은 불가능한 상태로 제2중공축(76)에 결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key groove 79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llow shaft 76, and a key 510 is provided on the pressure rod 52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when the key 510 of the pressure rod 52 is fitted into the key groove 79 of the second hollow shaft 76, the pressure rod 52 is longitudinally disposed along the imaginary axis B in the second hollow. The shaft 76 is coupled to the second hollow shaft 76 in a state in which sliding is possible but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llow shaft is impossible.

결국, 제2구동모터(70)의 회전력은, 벨트(71)를 통해서 제1중공축(72)에 전달이 되고, 다시 이 회전력은 제1기어부(74)와 제2기어부(78)의 작용으로 제2중공축(76)을 회전하게 만들며, 제2중공축(76)의 회전에 따라 가압봉(52)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drive motor 7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hollow shaft 72 through the belt 71, and the rotational force is again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portion 74 and the second gear portion 78. The second hollow shaft 76 is rotated by the action of, and the pressure bar 52 is also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llow shaft 76.

상기 가압봉 이동수단은, 회전축(3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3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블럭(40)의 가상의 축선(B)상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가압봉(52)들이, 그 사이에 작업편(2)을 지지하기 위해 상호 접근하거나, 지지하고 있던 작업편(2)이 드럼코어(3)로 가공된 후에 배출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반복시키기 위한 수단이다.The pressurizing rod moving means is a pair of pressurizations installed on the virtual axis B of the pair of rotation blocks 40 fixed to the rotation shaft 30 and rotated together as the rotation shaft 30 rotates. The rods 52 are mutu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mutually accessible to support the workpiece 2 therebetween, or to be discharged after the workpiece 2 supported by the workpiece 2 is processed into the drum core 3. It is a means for repeating the movement.

이러한 가압봉 이동수단은, 스프링(80)과 계단부(82)를 포함한다.The pressure rod moving means includes a spring 80 and a step portion 82.

상기 스프링(80)은 한 쌍이 구비되며 각 스프링(80)은 가압봉(52)의 몸체(500)에 끼워지며 그 스프링(80)의 일단은 가압봉(52)의 플랜지부(504)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2중공축(76)에 지지되어서, 각각의 가압봉(52)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The spring 80 is provided with a pair, each spring 80 is fitted to the body 500 of the pressure rod 52 and one end of the spring 80 is supported by the flange portion 504 of the pressure rod 52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econd hollow shaft 76 to elastically bias each of the pressing rods 52 in a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계단부(82)는, 각 고정블럭(2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블럭(40)의 회전에 따른 가압봉(52)의 회전경로상의 일부 영역 즉, 회전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략 270도 범위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계단부의 계단부(82)의 폭은 대략 가압봉(54)의 캡(550)의 직경과 비슷하다. 계단부(82)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는 고정블럭(20)의 측면에 대한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다시 작아지도록 경사진 상승부(822)와 하강부(824)가 구비되어 있다.The step portion 82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each of the fixed blocks 20,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partial region on the rotation path of the pressure rod 5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 40 Along the 270-degree range. The width of the steps 82 of the steps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ap 550 of the pressure rod 54. On one sid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taircase 82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rising portion 822 and a falling portion 824 so that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fixed block 20 gradually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again.

각 가압봉(52)의 캡(520)은 스프링(80)의 힘에 의해 그에 대응되는 고정블럭(20)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가압부를 이루는 한 쌍의 가압봉(52)은, 회전블럭(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30)의 중심선(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각 가압봉(52)의 캡(520)이 계단부(82)에 접촉한 때는, 각 스프링(80)을 압축시키면서 우측의 가압봉(52)은 좌측으로 좌측의 가압봉(52)은 우측으로 상호 접근하여, 그들 사이로 공급된 작업편(2)을 잡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작업편(2)를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가압봉(52)이, 회전축(30)의 중심선(A)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계속함에 따라, 그 계단부(82)를 벗어나면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우측의 가압봉(52)은 우측으로 좌측의 가압봉(52)은 좌측으로 움직여 상호 이격되게 된다. 이때 잡아 지지하고 있던 작업편(2)은 드럼코어(3)로 가공된 후의 상태이며, 한 쌍의 가압봉(52)이 상호이격되면, 드럼코어(3)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자유낙하하게 된다.The cap 520 of each pressing rod 52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block 20 corresponding thereto by the force of the spring (80).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forming one pressure portion are caps of the pressure rods 52 in the process of rotating about the center line A of the rotation shaft 30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 40. When the 520 is in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82, while pressing the respective springs 80, the right pressure bar 52 on the right side to the left and the left pressure bar 52 to the right to access each other, and supplied between them The workpiece 2 is brought into a state capable of being held. And when the pair of pressurizing rods 52 which support the workpiece 2 continue rotation about the centerline A of the rotating shaft 30, when it moves out of the step part 82, it will spring. By the restoring force of 80, the pressurizing rod 52 on the right side moves to the right side, and the pressurizing rod 52 on the left side moves to the left sid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workpiece 2 held and held is a state after being processed by the drum core 3, and when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rum core 3 freely falls down by its own weight. do.

이하, 본 실시예의 작업편 지지장치(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원통형의 작업편(2)을, 한 쌍의 가압봉(52)이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로에 있어서, 아래쪽 부근에 위치하였을 때, 잡을 수 있도록 공급한다. 이때 가압봉(52)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블럭(40) 및 회전블럭이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30)은, 제1구동모터(60)로부터의 동력을 벨트(62)와 회전축풀리(32)를 통해 전달받아서 회전한다. 한편, 작업편(2)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은, 도시하지는않았지만, 일반적인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혹은 작업편(2)의 하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작업편 지지장치(1)의 후방에서 경사를 준 공급대에 의해 공급할 수도 있고, 각종 산업분야에서 다수의 부품을 일렬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소위 파츠피더(parts feeder)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쉽게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cylindrical work piece 2 is supplied so that it can be grasped when it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part in the path | route which a pair of pressure rods 52 rotate about the rotating shaft 3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rotary block 40, in which the pressure bar 52 is installed, and the rotary shaft 30 in which the rotary block is fixed, are driven by the belt 62 and the rotary shaft pulley 32 by the power from the first drive motor 60. Rotate by passing through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continuously supplying the workpiece 2, although not shown, the rear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to be naturally supplied by using a general conveyor system or by the load of the workpiece 2 It may be supplied by the inclined feeder in, or a method using a so-called parts feeder (parts feeder) for sequentially supplying a plurality of parts in a row in various industries may be easily employed.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가압봉(52)은, 캡(520)이 고정블럭(20)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 한 바퀴를 회전하는 동안 한 쌍의 가압봉(52)은, 고정블럭(20)의 계단부(82)에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상호 접근한 상태가 되고, 그 계단부(82)를 벗어난 경로에서는 고정블럭(20)의 측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호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The pair of pressure rods 52 are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30 with the cap 520 contacting the fixed block 20 by the rotation of the said rotation shaft. While rotating one wheel,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are in a state of approaching each other in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82 of the fixed block 20, and fixed in a path outside the step portion 82. Since the sides of the block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y ar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계단부(82)를 벗어난 영역에 있던 한 쌍의 가압봉(52)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하다가, 계단부(82)가 시작되는 상승부(822)를 만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가압봉(52)의 사이에는 공급된 작업편(2)이 위치하게 되고, 한 쌍의 가압봉(52)이 상승부(822)를 거쳐 계단부(82)로 진입을 하게 되면, 한 쌍의 가압봉(52)은 상호 접근하여 공급된 작업편(2)을 그 사이에 잡아 지지하게 된다.The pair of pressure rods 52 in the area outside the step portion 82 rotate about the rotating shaft 30, and meet the rising portion 822 at which the step portion 82 starts. At this time, the work piece 2 supplied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and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enter the staircase portion 82 through the rising portion 822. Then,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are supported to hold the workpiece (2) suppli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한편, 작업편(2)을 잡아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가압봉(52)은, 제2구동모터(70)로부터의 동력을 벨트(71)와 제1중공축풀리(73)와 제1중공축(72)과 제2중공축(76)을 통해 전달받아서, 작업편(2)과 함께 회전블럭(40)에 대해 상기 가상의 축선(B)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있다. 즉, 한 쌍의 가압봉(52)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동시에, 가상의 축선(B)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자체회전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가압봉(52)의 캡(520)의 내부에는 베어링(530)을 구비하고 있어서, 가압봉(52)의 몸체(500)의 자체회전은 캡(520)과 고정블럭(20)의 접촉에 의한 마찰에도 불구하고 구속받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holding and holding the work piece 2 transmit the power from the second drive motor 70 to the belt 71, the first hollow shaft pulley 73, and the first hollow. It is transmitted via the shaft 72 and the second hollow shaft 76, and rotates with the workpiece 2 as the rotation center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block 4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block 40. FIG. That is,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axis about the rotation axis 30, and also rotate themselves by using the virtual axis B as the rotation center. At this time, the bearing 530 is provided in the cap 520 of the pressure bar 52, and the self-rotation of the body 500 of the pressure bar 52 is in contact with the cap 520 and the fixed block 20. Not constrained despite friction by

작업편(2)을 사이에 잡아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가압봉(52)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을 계속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절삭휠(4)에 작업편(2)을 접근시킨다. 작업편(2)이 자체회전을 하며, 접근을 하면 절삭이 진행되고, 결국 작업편(2)이 절삭휠(4)에 가장 접근하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작업편(2)은 절삭휠(4)에 의해 그 중간 부위가 절삭되어 중앙부의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형상의 드럼코어(3)로 가공된다. 이때, 드럼코어(3)의 중앙의 직경이 작은 부위의 가공정밀도의 향상을 위해, 절삭휠(4)이 작업편의 중앙부를 절삭하여 중앙부의 직경을 원하는 크기로 만들었을 때, 회전축(30)의 회전은 소정의 시간 예컨대 1초 정도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순간정지동작은,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을 끊었다 연결하는 것을 소정간격을 두고 반복할 수 있는 클러치가 제1구동모터(60)에 구비되어 있어서, 실현 가능하다.The pair of pressure rods 52 holding and holding the workpiece 2 between the workpiece 2 and the cutting wheel 4 are rotating at high speed while continuing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30. Approach When the workpiece 2 rotates itself and approaches, cutting proceeds, and when the workpiece 2 reaches the position closest to the cutting wheel 4, the workpiece 2 cuts the cutting wheel 4. ), The intermediate portion is cut and processed into a drum core 3 having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cente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s. At this time, when the cutting wheel 4 cu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workpiece to make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to a desired size in order to improve the machining accuracy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drum core 3, the rotation shaft 30 The rotation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1 second. Such a momentary stop operation can be realized because the first drive motor 60 is provided with a clutch that can repeat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by a program input in advance and connect i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작업편(2)이 드럼코어(3)로 가공이 되면, 다시 회전축(30)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된 드럼코어(3)를 잡아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가압봉(52)은 회전을 계속하여 고정블럭(20)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부(82)의 하강부(824)를 지나서 계단부(82)를 벗어나게 된다. 이처럼 계단부(82)를 벗어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가압봉(52)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가압봉(52)들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면,한 쌍의 가압봉(52) 사이에 잡혀 지지되어 있던 드럼코어(3)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드럼코어(3)를 수납하는 것은 다양한 구조, 예컨대 자중에 의해 아래로 굴러갈 수 있는 가이드부나, 혹은 전동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부등과 같이 이미 공지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When the workpiece 2 is processed into the drum core 3, the rotating shaft 30 is rotated again, so that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holding and supporting the movable drum core 3 rotates. Next, the step portion 82 passes through the lower portion 824 of the step portion 82 formed in the fixed block 20. In the process of leaving the step portion 82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are mo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80. When the pressure rods 52 are moved in such a way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rum core 3 held between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is dropped down by its own weight. The housing of the separated drum core 3 may employ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guide part that can be rolled down by its own weight or a conveyor part that rotates by electric power.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가압봉(52)으로 이루어진 가압부가 모두 4세트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편(2)을 잡아 지지하고 절삭휠(4)에 공급하여 드럼코어(3)로 가공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한 쌍의 가압봉(52)이 작업편(2)을 잡고 90도를 회전하면, 그 뒤를 따르던 다른 한 쌍의 가압봉(52)이 또 다른 작업편(2)를 잡게 되며, 이러한 반복적인 움직임이 서로 90도의 차이를 두고 4세트의 가압봉(52)에서 똑 같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all four sets of the pressurization parts which consist of a pair of pressurizing rods 52 are provided. Therefore, after holding the workpiece 2 and supplying it to the cutting wheel 4 to be processed into the drum core 3, the operation to discharge to the outside is made continuously. That is, when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hold the workpiece 2 and rotate it 90 degrees, the other pair of pressure rods 52 that follow it catch another workpiece 2, which is repeated Phosphorus movement occurs equally in the four sets of pressure rods 52 with a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Therefore,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가압봉(52)의 접촉부재(56)는, 볼트(562)의 이완 및 체결을 통해, 작업편(2)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것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가압봉(52) 전체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각 고정블럭(20)에 마련되어 있는 삽입공(230)으로부터 삽입공마개(240)를 분리한 후, 삽입공(230)을 통하여 가압봉(52)을 꺼내고 교체하면 된다.In addition, the contact member 56 of the pressure bar 52 can be replaced with a suitable shape and size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workpiece 2 through the loosening and fastening of the bolt 562. Then,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or repair the entire pressure rod 52, the insertion hole plug 24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230 provided in each fixed block 20, and then the insertion hole 230 Take out and replace the pressure rod (52).

본 발명에 의한 작업편 지지장치(1)에 의하면, 한 쌍의 가압봉(52)이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며 소정의 위치에서 상호 접근과 이격을 반복하며, 계속적으로 작업편(2)을 절삭휠(4)에 공급하고 가공이 끝난 드럼코어(3)를 배출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어서, 자동화된 드럼코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essure rods 52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30 and repeat the mutual approach and sepa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continuously the workpiece ( Supplying 2) to the cutting wheel 4 and discharging the finished drum core 3 can be repeat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mass production of the automated drum core is possible.

또한, 구성요소들의 움직임이 정확히 제어되기 때문에, 정밀한 드럼코어(3)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드럼코어(3)가 원하는 오차범위를 가지고 정밀하게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드럼코어(3)에 코일을 권취하는 작업에 있어서도 감기는 코일의 길이가 일정하게 되어, 그동안 어려움이 많았던 귄취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components is precisely control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duce a precise drum core (3). In addition, since the drum core 3 can be produced precisely with a desired error range, the length of the coil to be wound becomes constant even when the coil is wound on the drum core 3, and the odor which has been difficult in the meantime.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automate tasks.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압부가 4세트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편 지지장치의 전체크기나 가동되는 작업편의 크기나 형상을 고려하여 2세트 혹은 6세트, 8세트로도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sets of pressing portions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wo sets, six sets, and eight sets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ize of the workpiece support device and the size or shape of the movable workpiece. It is possible.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제1중공축의 각 풀리에 제2구동모터가 각각 별개로 총 2개가 연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구동모터를 하나만을 구비하고 그것의 구동축을 연장하여 연장된 구동축에 좌우에 각각 배치된 제1중공축의 풀리를 연결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 total of two second driving motors are separately connected to each pulley of the pair of first hollow shaf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includes only one second driving motor.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for extending the drive shaft of the coupling to the pulley of the first hollow shaft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o the extended drive shaft.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원통형의 작업편을 중앙부의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공하는 것이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드럼코어라는 호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p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applied as long as the cylindrical workpiece is processed to have a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s, and is not limited to a drum co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편 지지장치에 의하면, 계속적으로 작업편을 절삭휠에 공급하고 가공이 끝난 드럼코어를 배출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어서, 자동화된 드럼코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것과 구성요소들의 움직임이 정확히 제어되기 때문에, 정밀한 드럼코어를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orkpiec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the workpiece to the cutting wheel and to discharge the finished drum core, so that mass production of the automated drum core is possible. Since the movements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are precisely controlled, the effect of producing a precise drum core can be obtained.

Claims (7)

원기둥형의 작업편을, 고속회전하는 절삭휠에 의해 절삭가공하여, 그 중앙부의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형상의 드럼코어를 가공하기 위하여, 그 작업편을 지지하도록 하는 작업편 지지장치에 있어서,In the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for cutting a cylindrical workpiece | work by the cutting wheel which rotates at a high speed, and to support the said workpiece in order to process the drum core of the shape whose diameter of the center par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s, ,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된 한 쌍의 고정블럭;A pair of fixed blocks fixed to the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양단부가 상기 고정블럭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Rotating shafts whose both ends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xed block,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고정블럭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되며, 각각에는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가상의 축선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블럭;A pair of rotation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ed blocks and spaced apart from and fixed to the rotation shafts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s, each of which has a through hole penetrated along an imaginary axis parallel to the rotation shafts; block; 상기 가상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가상의 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각 회전블럭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봉들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 가압봉들이 상기 작업편의 양단을 밀착 가압함으로써 그 작업편을 지지하도록 된 가압부;It consists of a pair of pressure rods that are rotatable with the virtual axis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are installed in the through-holes of the respective rotation blocks so as to be mutually accessible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rtual axis. A pressurizing portion configured to support the work piece by pressing the push rods against both ends of the work piece when they ar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pproach each other;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 회전수단;Rotating shaft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상기 가압봉들을 상기 가상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한가압봉 회전수단; 및Pressure rod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pressure rods with the virtual axis as the rotation center; And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봉들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반복시키기 위한 가압봉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편 지지장치.And a pressurizing rod moving means for repeating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rods approach each other and the movement in the spaced apart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축 회전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편 지지장치.The rotating shaft rotat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frame supp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drive moto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압봉 회전수단은,The pressure rod rotating means,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A second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frame; 상기 제2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제1기어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중공축; 및A pair of first hollow shaft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by the second driving motor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with the rotating shaft as a center of rotation; And 상기 각 제1중공축의 제1기어부와 맞물리는 제2기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회전블럭의 관통공에 그 회전블럭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가압봉이 상기 가상의 축선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은 가능하되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중공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편 지지장치.And a second gear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hollow shafts, the second gear portion being rotatably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of each of the rotating blocks, and the pressure rod being formed therein. Sliding in the direction is possible, but a pair of second hollow shaft which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orkpiece support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각 가압봉의 일단은 그에 대응되는 고정블럭에 접촉되며,One end of each pressing rod is in contact with a fixed block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가압봉 이동수단은,The pressurizing rod moving means, 상기 가압봉들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각 고정블럭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압봉의 회전경로의 일부에 그 가압봉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계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A spring for elastically biasing the pressure rods in a spaced apart direction from each other, and a step portion provided at each of the fixed blocks and protruding toward the pressure rod side of a portion of the rotation path of the pressure ro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 상기 가압봉들이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계단부에 접촉할 때는 상기 가압부가 상호 접근하며, 그 계단부를 벗어나면 상기 가압부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편 지지장치.The pressing rods rotate about the rotational axis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 and the pressing portions approach each other when they touch the stepped portions, and the press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stepping port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회전블럭의 관통공은, 각각 상기 회전축을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고,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pair of rotating blocks are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otating shaft, respectively,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전블럭의 관통공의 수와 동일하게 복수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편 지지장치.The pressing unit is a workpiece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qual to the number of through holes of the rotary blo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고정블럭에 상기 가압봉이 통과 가능한 크기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고정블럭의 삽입공의 개폐를 위한 삽입공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편 지지장치.An insertion hole having a size through which the pressure bar can pass is formed in each of the fixing blocks, and a workpiece support device comprising an insertion hole plu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ing blo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압봉은, 상기 회전블럭을 관통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업편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편 지지장치.The pressurizing rod includes a main body member penetrating the rotating block and a contac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work piece.
KR10-2003-0001806A 2003-01-11 2003-01-11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KR100484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806A KR100484717B1 (en) 2003-01-11 2003-01-11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806A KR100484717B1 (en) 2003-01-11 2003-01-11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918A true KR20040064918A (en) 2004-07-21
KR100484717B1 KR100484717B1 (en) 2005-04-22

Family

ID=3735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806A KR100484717B1 (en) 2003-01-11 2003-01-11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7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0649B (en) * 2011-09-28 2016-02-10 上海汇益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ork piece holder of Digit Control Machine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4717B1 (en) 200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5363A (en) Facility for the sequential loading of material bars into a tooling machine
CN110052858B (en) Plate drilling device for precision machining
KR200486720Y1 (en) Omnidirectional manipulator for use with spring forming machine
KR20170081577A (en) Gantry loader
EP2943301B1 (en) Coupling mechanism for pipe machining apparatus and pipe machining apparatus with such a coupling mechanism
CN105752671B (en) Transmit positioning mechanism
KR20170081968A (en) Gantry loader
KR20170081576A (en) Gantry loader
KR101823280B1 (en) Tapered roller bearing assembling device and tapered roller bearing assembling method
KR100484717B1 (en)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CN111712351B (en) Machine tool
US6571591B2 (en) Spr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wire guide used for the same
KR101874553B1 (en) Bearing fixing apparatus for lead ball screw and transpor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023150B1 (en) Processing head for automatic deburring machine
KR20170081966A (en) Gantry loader
JP2005034953A (en) Working device for cracking groove for connecting rod
EP1669145A1 (en) Centering device for the guided transfer of bars from a feeder to a lathe
CN108907759A (en) A kind of combined type milling machine processing platform convenient for adjusting
KR101238121B1 (en) Bush pressure apparatus
KR200412773Y1 (en) Device for control three axes synchronous of general-purpose tool grinder
KR101422092B1 (en) Bumper punching machine and bumper punch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14473518B (en) Beads through-hole all-in-one of polishing
JP2016209932A (en) Feed device for molding machine
US5030049A (en) Tool-outfitted turn broaching machine
JP2012213817A (en) Method for assembling shaft and cam lobe, and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