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518A -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518A
KR20040064518A KR1020030002179A KR20030002179A KR20040064518A KR 20040064518 A KR20040064518 A KR 20040064518A KR 1020030002179 A KR1020030002179 A KR 1020030002179A KR 20030002179 A KR20030002179 A KR 20030002179A KR 20040064518 A KR20040064518 A KR 2004006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block
ropes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배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비엔비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비엔비강구 filed Critical (주)한국비엔비강구
Priority to KR102003000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4518A/en
Priority to PCT/KR2004/000042 priority patent/WO2004063469A1/en
Publication of KR2004006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518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PURPOSE: A portab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and the construction cost by constructing a bridge easily regardless of the ground statuses. CONSTITUTION: Plural rope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an axis to connect a pair of supporting members(10a,10b). Block moving portions(70a,70b) are movable crosswise the axis by holding a unit bridge block(1) while combining with the ropes. Plural winding members are arranged in the upper parts of the supporting members. The winding members move the unit bridge block to the upper part of a unit construction material(5) by winding or releasing the ropes.

Description

이동식 교량축조장치{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본 발명은, 이동식 교량축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 상태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되는 교량이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지라도 용이하게 교량을 축조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 또한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교량축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not only to work regardless of the ground state, but also to easily build a bridge even if the bridge to be constructed has water such as a valley, a river or a ri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that can shorten the air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체(110a,110b) 사이에 소정의 교량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장비 및 축조공법이 요구되고 있다.As shown in FIG. 10, in order to construct a predetermined bridge between a pair of support members 110a and 110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equip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are required.

우선, 복수의 기둥(103)들을 한 쌍의 지지체(110a,110b)를 잇는 축선의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보강블럭(104)을 얹어 하나의 단위축조물(105)을 형성하고, 이 단위축조물(105)을 한 쌍의 지지체(110a,110b)를 잇는 축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로 배치한다.First, in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illars 103 are arrang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axis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s 110a and 110b, a reinforcing block 104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construction 105.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s 105 are disposed along the axis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s 110a and 110b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단위축조물(105)이 한 쌍의 지지체(110a,110b) 사이에 일렬로 배치되면, 한 쌍의 단위축조물(105) 사이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는 단위교량블럭(101)을 한 쌍의 보강블럭(104)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한다.When the unit structures 105 are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110a and 110b, a pair of reinforcing blocks for the unit bridge blocks 101 having a length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unit structures 105 are provided. It is arranged continuously between the 104.

이 때, 단위교량블럭(101)을 한 쌍의 보강블럭(104) 사이의 상부에 올려놓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크레인(120a,120b)을 이용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put the unit bridge block 101 on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pair of reinforcement block 104, as shown in Figure 10, a pair of crane (120a, 120b) is used.

통상적으로 단위교량블럭(101)은 그 길이 및 중량이 비교적 많이 나가는 중량체이므로 한 쌍의 크레인(120a,120b)을 준비해 두고 각 크레인(120a,120b)에 마련된 인장로프에 단위교량블럭(101)의 양단을 매단 후, 한 쌍의 크레인(120a,120b)을 구동시켜 단위교량블럭(101)이 보강블럭(104)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각 단위축조물(105)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단위교량블럭(101)이 완전히 올려지면, 별도의 후작업을 통해 교량을 완성하게 된다.In general, since the unit bridge block 101 is a weight body having a relatively large length and weight, a pair of cranes 120a and 120b are prepared, and the unit bridge block 101 is provided on a tension rope provided in each crane 120a and 120b. After the end of the both ends, the pair of cranes (120a, 120b) is driven so that the unit bridge block 101 can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reinforcement block 104. In this way, if the unit bridge block 101 is completely raised in the upper predetermined position of each unit structure 105, the bridge is completed through a separate post-work.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교량축조장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지지체 사이의 지반이 강할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지 않으나,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크레인 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에 지반을 다시 다지는 정지작업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공기가 늘어나고 공사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mobile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it is not difficult to apply when the groun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is strong, but in the case of soft ground, the crane work is not easy, so the stopping work for compacting the ground is necessary. As a result, the air is increas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또한, 축조되는 교량이 일반 육지가 아니라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 경우, 크레인이 한 쌍의 지지체 사이의 지반으로 위치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이 더더욱 힘들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bridge is not a general land, but in an area where there is water such as a valley, a river or a river, the crane cannot be located as a ground between a pair of support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more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 상태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되는 교량이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지라도 용이하게 교량을 축조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 또한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교량축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 only work regardless of the ground state, but also to easily build a bridge even if the bridge is in an area having water such as a valley, a river or a river, thereby shortening the air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It is to provide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to redu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축조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을 축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교량축조장치 중 한 쌍의 지지체에 각각 배치된 이송부재 영역의 확대 사시도,2a and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member region disposed in each of the pair of supports of the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shown in FIG.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컬럼들의 연결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3A and 3B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the connection region of the columns shown in FIGS. 2A and 2B,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축조장치에서 로프들이 권취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ropes are wound in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블록이동부 영역의 확대 및 블록이동부에 포함된 로프들의 권취상태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n enlargement of a block moving part region and a winding state of ropes included in the block moving part;

도 6은 블록이동부의 한 쌍의 권취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ir of winding state of the block moving unit,

도 7은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을 운송하는 트레일러에 대한 도면,7 is a view of the trailer for transporting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

도 8은 제1 및 제2컬럼을 운송하는 트레일러에 대한 도면,8 is a view of a trailer for transporting first and second columns;

도 9는 제1 및 제2이송부재를 운송하는 트레일러에 대한 도면,9 is a view of a trailer for transport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port members,

도 10은 종래의 방법으로 교량을 축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bridge by a conventional metho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단위교량블럭 3 : 기둥1: unit bridge block 3: pillar

4 : 보강블럭 5 : 단위축조물4: reinforcement block 5: unit construction

10a,10b : 제1 및 제2지지체 20a,20b : 제1 및 제2이송부재10a, 10b: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a, 20b: first and second transfer members

30a,30b : 제1 및 제2고정프레임 40a,40b : 제1 및 제2컬럼30a, 30b: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40a, 40b: first and second columns

50a,50b : 제1 및 제2연결부 61 : 메인로프50a, 50b: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61: main rope

62 : 좌우이동용 로프 63 : 상하이동용 로프62: left and right moving rope 63: Shanghai copper rope

70a,70b : 블록이동부 78a,78b : 제1 및 제2행거70a, 70b: block moving part 78a, 78b: first and second hangers

80a,80b : 제1 및 제2권취부재 81 : 좌우이동용 권취부80a, 80b: 1st and 2nd winding member 81: Winding part for right and left movement

82 : 상하이동용 권취부82: winding part for Shanghai Dong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기 위한 이동식 교량축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상의 지지체를 잇는 축선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로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파지하여 상기 축선 및 상기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블록이동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체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편 복수의 상기 로프 양단을 권취 및 권취해제하여 상기 블록이동부에 파지된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상기 단위축조물 상부로 위치이동시키는 복수의 권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for arranging a unit bridge block on top of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s continuous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a pair of supports, the support of the one phase A plurality of ropes disposed parallel to the connecting axis; A block moving unit which is mov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axis and the axis by holding the unit bridge block in a state coupled to the rope; A plurality of winding members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upports while winding and unwind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ropes to move the unit bridge blocks held by the block moving par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structure. It is achieved by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여기서, 상기 복수의 권취부재는 하부에 복수의 구름이동용 바퀴를 가지고 이동가능한 이송부재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Here, the plurality of winding members are provided in each of the transfer member movable with a plurality of wheels for moving the cloud at the bottom.

상기 이송부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에 복수의 상기 로프를 상기 각 권취부재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갖는 컬럼을 더 포함한다.A fixed fram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transfer member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member, and one end of the fixed fram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ropes at the top of each of the winding members It further comprises a column having a connection for connecting.

상기 컬럼은 텔레스코픽 바아식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마련된다.The column is provided telescopic bar height adjustable.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컬럼의 단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로프를 위치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한다.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main body part fixed to an end of the column, and a plurality of wheels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to rotatably support the plurality of ropes for each position.

상기 이송부재는 복수개로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의 트레일러에 의해 상기 각 지지체의 상부로 운반된다.The conveying member is conveyed to the upper portion of each support by a predetermined trailer in a plurality of connected state.

상기 복수의 로프는, 복수의 메인로프와; 상기 블록이동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용 로프와; 상기 블록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매다는 복수의 행거를 상기 블록이동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용 로프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ropes, a plurality of main ropes; A left and right moving rope for moving the block moving part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hangdong rope for moving the plurality of hangers coupled to the block moving unit to hang the unit bridge block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lock moving unit.

상기 복수의 권취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체에 위치된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한편 상기 좌우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좌우이동용 권취부와, 상기 상하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상하이동용 권취부를 갖는 제1권취부재와;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로프를 권취하는 단일의 제2권취부재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winding memb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air of transfer members positioned o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and are provided on any one side of the pair of transfer members,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winding units on which the left and right moving ropes are wound. And a first winding member having a shanghai winding part wound around the shanghai rope;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cludes a single second winding member for winding the main rope.

상기 블록이동부는 상기 메인로프에 대해 이격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각 블록이동부는, 상기 메인로프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로프를 따라 이동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과;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더미부와; 상기 제1더미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행거가 결합되는 제2더미부를 포함한다.The block moving parts are provided in pairs with a spaced interval from the main ropes; Each of the block moving parts includes: a body part partially coupled to the main rope and movable along the main rope; A pair of fixing clips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 first dummy par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A second pile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pile portion and coupled to the hanger is included.

상기 제1 및 제2더미부 내에는 대응되는 복수의 권취로울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권취로울러의 일측에는 복수의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가 마련되어 있다.A corresponding plurality of winding rollers i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pil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rope moving roller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winding rollers.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지지체 중 우측에 배치된 구성요소와 좌측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설명에서는 "제1", "제2"라는 수식어를 붙이기로 하며, 도면의 참조부호 끝에는 각각 "a", "b"라는 식별부호를 더 부여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supports based on FIG. At the end of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drawings, identification codes "a" and "b" will be further giv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축조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을 축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축조장치는,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지지체(10a,10b) 사이에 소정의 교량을 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figure, the movable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nstruct a predetermined brid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0a and 10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이 이격간격에는 교량을 축조하기 전, 예비적인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의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둥(3)들을 배치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보강블럭(4)을 얹어 하나의 단위축조물(5)을 형성한다. 그리고는, 이 단위축조물(5)을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로 배치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0a and 1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eliminary configurations are arranged before building the bridge.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pillars 3 are arrang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axi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ers 10a and 10b, the reinforcing block 4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building 5. Form. Then, the unit structure 5 is arranged in plural number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axis lin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0a, 10b.

종래와 마찬가지로, 단위축조물(5)의 배치가 완료되면, 단위축조물(5)간의 거리만큼을 갖는 단위교량블럭(1)을 한 쌍의 보강블럭(4) 상부에 연속적으로 배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단위교량블럭(1)을 한 쌍의 보강블럭(4) 상부에 배치하고 있다.As in the related art, when the arrangement of the unit constructions 5 is completed, the unit bridge blocks 1 having a distance between the unit constructions 5 ar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pair of reinforcement blocks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ridge block 1 is disposed on the pair of reinforcement blocks 4 by using the following apparatus.

도 1을 기본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의 상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가 각각 위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는 모두가 제1 및 제2구름이동용 바퀴(21a,21b)들을 가지고 소정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based on FIG. 1, first and second transfer members 20a and 20b are positioned on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0a and 10b, respectively. Both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members 20a and 20b are configured to mov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cloud movement wheels 21a and 21b.

제1권취부재(80a)는, 제1이송부재(20a)에 마련되는 한편 좌우이동용 로프(62)가 권취된 좌우이동용 권취부(81)와, 상하이동용 로프(63)가 권취된 상하이동용 권취부(82)를 갖는다. 그리고, 도 1 및 도 2b를 참조할 때, 제2권취부재(80b)는 메인로프(61)를 권취한 상태에서 제2이송부재(20b)에 마련된다.The first winding member 80a is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member 20a,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winding unit 81 in which the left and right moving rope 62 is wound, and the shandong copper winding in which the shandong copper rope 63 is wound It has a mounting 82. 1 and 2B, the second winding member 80b is provided on the second transfer member 20b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rope 61 is wound.

이 때,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가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의 상부로 위치이동하더라도 단위교량블럭(1)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움직여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에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가 각각 위치한 후에는,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이 설치된다.At this time, even if the first and the second transfer member (20a, 20b) is moved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10a, 10b) should not move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unit bridge block (1). To this end, after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members 20a and 20b are position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0a and 10b, respectively, they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members 20a and 20b.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0a and 30b are installed to prevent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members 20a and 20b.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은 그 위치별로 볼 때, 제1 및제2지지부(31a,31b)와, 제1 및 제2지지부(31a,31b)에 대해 수직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보강바아(32a,32b)와, 제1 및 제2보강바아(32a,32b)를 수평방향으로 이어 그 강도를 유지하는 한편 레일타입의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0a and 30b are vertically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1a and 31b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1a and 31b when viewed by their positions.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2a and 32b and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2a and 32b ar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maintain their strength,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of the rail type 33a, 33b).

이러한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는 각각 제1 및 제2컬럼(40a,40b)이 결합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컬럼(40a,40b)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텔레스코픽 바아식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에 의해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0a and 30b, respectively. Thes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as shown in Figures 3a and 3b, are provided to be height-adjustable telescopic bar, respectively, b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33a, 33b) It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1st and 2nd horizontal bars 33a and 33b.

한편,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 제1 및 제2컬럼(40a,40b)은 모두가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트레일러(83)에 의해 운반되어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members 20a and 20b,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0a and 30b, and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are all illustrated in FIGS. 7, 8 and 9. As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carried by the trailer 83 and moved to a corresponding position.

즉, 도 7에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을 이동시키기 위한 트레일러(83)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은 트레일러(83)에 의해 이동된 후,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기준으로 한 세트씩 배치된다.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에 각각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을 배치할 때, 주의할 점은, 추후 본 작업(단위교량블럭(1)을 단위 축조물(5)에 배치하는 작업을 말함)을 할 때 장치의 움직임이 없도록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앵커작업이 필요할 것이다.That is, FIG. 7 shows a trailer 83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0a and 30b.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0a and 30b are moved by the trailer 83 and are arranged one by one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0a and 10b. When 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0a and 30b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0a and 10b, respective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operation (unit bridge block 1 may be constructed as a unit structure 5). ) Is to keep the device from moving. This will require a separate anchor work.

마찬가지로, 도 8에는 트레일러(83)에 의해 제1 및 제2컬럼(40a,40b)이 운반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에는 트레일러(83)에 의해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가 운반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Similarly,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are carried by the trailer 83, and FIG. 9 shows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members 20a, by the trailer 83. FIG. 20b) shows a state in which it is transported.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컬럼(40a,40b)의 상단에는 후술할 복수의 로프들을 제1 및 제2권취부재(80a,80b)로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연결부(50a,50b)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movably coupl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0a and 30b, a plurality of ropes to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members 80a.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50a and 5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80b.

제1 및 제2연결부(50a,50b)는, 제1 및 제2컬럼(40a,40b)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본체부(51a,51b)와, 제1 및 제2본체부(51a,51b) 내에 마련되어 복수의 로프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휠(52a~54a,52b~53b)을 가지고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50a and 50b includ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51a and 51b fixed to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and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wheels 52a to 54a, 52b to 53b provided in the 51a and 51b to rotatably support the plurality of ropes.

제1휠(52a~54a)을 다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제1메인휠(52a)과, 제1메인휠(52a)의 하부에 마련된 2개의 제1더미휠(54a)과, 제1더미휠(54a)의 측부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로 나뉘어 있다. 이에 대해 제2휠(52b~53b)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제2메인휠(52b)과, 제2메인휠(52b)의 하부 측면에 마련된 1개의 제2보조휠(53b)로 나뉘어 있다.Looking at the first wheels 52a to 54a in detail, as shown in FIG. 3A, six first main wheels 52a and two first dummy wheels provided below the first main wheels 52a. It is divided into 54a and three first auxiliary wheels 53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dummy wheel 54a.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B, the second wheels 52b to 53b include six second main wheels 52b and one second auxiliary wheel 53b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main wheel 52b. Divided by)

한편, 제1 및 제2지지체(10a,10b) 사이에는 단위교량블럭(1)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로프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각 로프들은 전술한 제1 및 제2컬럼(40a,40b)의 제1 및 제2연결부(50a,50b)에 의해 제1 및 제2권취부재(80a,80b)에 선택적으로 권취 및 권취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ropes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odies 10a and 10b for moving the unit bridge block 1 to a predetermined position. Each of these ropes is selectively wound and unwound on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members 80a and 80b b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50a and 50b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to b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로프를 그 기능별로 보면, 메인로프(61)와,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용 로프(62)와,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용 로프(63)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ure 4 and 5, when looking at the plurality of ropes by their function, the left and right moving rope for moving the main rope 61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70b)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 62, and the shank copper rope 63 which moves the 1st and 2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to an up-down direction.

메인로프(61)는 여덟 가닥으로 되어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인로프(61)는 그 일단이 제2권취부재(80b)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1휠(52a~54a)에 마련된 6개의 제1메인휠(52a) 중 4개와 제2휠(52b~53b)에 마련된 6개의 제2메인휠(52b) 중 역시 4개를 거쳐 다시 제2권취부재(80b)에 권취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로프(61)는 상하 4가닥씩 총 여덟 가닥이 될 수 있다.The main rope 61 is made of eight strands to serve to raise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One end of the main rope 61 extends from the second winding member 80b, and four of the six first main wheels 52a provided on the first wheels 52a to 54a and the second wheels 52b to. Of the six second main wheels 52b provided in 53b), the coils are again wound on the second winding member 80b via four of them. Thus, as shown in Figure 5, the main rope 61 may be a total of eight strands each of the top and bottom four strands.

이러한 메인로프(61)에는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가 결합된다. 제2블록이동부(70b)는 제1블록이동부(70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바, 여기에서는 제1블록이동부(70a)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are coupled to the main rope 61. The second block moving unit 70b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block moving unit 70a. Here, only the first block moving unit 70a will be described.

제1블록이동부(7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4가닥씩 이루어져 총 8가닥으로 된 메인로프(61)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메인로프(61)를 따라 이동가능한 몸체부(71a)와, 몸체부(71a)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79a)과, 몸체부(71a)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더미부(72a)와, 제1더미부(72a)의 일측에 결합되는 한편 단위교량블럭(1)을 매다는 제1행거(78a)가 결합되는 제2더미부(73a)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block moving part 70a is partially coupled to the main rope 61 having a total of eight strands, and is movable along the main rope 61 as shown in FIG. 5. 71a), a pair of fixing clips 79a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71a, a first pile portion 72a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71a, and one side of the first pile portion 72a. And a second pile portion 73a coupled to the first hanger 78a for hanging the unit bridge block 1.

제1 및 제2더미부(72a,73a) 내에는 대응되는 복수의 권취로울러(76a,75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더미부(72a)에 마련된 권취로울러(76a)의 일측에는 각각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가 마련되어 있다.A plurality of corresponding winding rollers 76a and 75a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pile portions 72a and 73a. One side of the winding roller 76a provided in the first pile portion 72a is provided with rollers 74a and 77a for vertical rope movement, respectively.

이러한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의 구성을 참조하여 좌우이동용 로프(62)의 권취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와 도 4 및 도 5를 참조할 때, 좌우이동용 로프(62)는 도 2a에 도시된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권취된 상태에서 그 노출단이 제1컬럼(40a)의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6개의 제1메인휠(52a)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제2컬럼(40b)에 마련된 제2연결부(50b)로 연장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the winding state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rope 62 is as follows. Referring to FIGS. 3A and 3B and FIGS. 4 and 5, the left and right movement ropes 62 have their first ends 40a exposed in the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ropes 62 are wound around the winding member 81 shown in FIG. 2A.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second column 40b via any one of the six first main wheels 52a through any one of the three first auxiliary wheels 53a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0a of the 50b).

그리고는, 제2연결부(50b)에 마련된 6개의 제2메인휠(52b) 중 어느 하나에 감긴 후, 제1블록이동부(70a)의 몸체부(71a)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79a)에 고정된 다음, 다시 제2블록이동부(70b)의 몸체부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에 고정된다. 그리고는, 다시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2개의 제1더미휠(54a) 중 어느 하나와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권취된 노출단과 고정된다. 결국,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는 원형상의 폐루프 형상을 이루게 되며,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n, after being wound around any one of the six second main wheels 52b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b, a pair of fixing clips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71a of the first block moving portion 70a ( 79a), and then to a pair of fixing clips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second block moving portion 70b. Then, the exposure is wound on the winding member 81 for right and left movement through any one of the two first dummy wheels 54a and the three first auxiliary wheels 53a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0a. It is fixed with the stage. 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winding members 81 form a circular closed loop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ement portions 70a and 70b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rotation of the right and left movement winding members 81. do.

이에 반해, 상하이동용 로프(63)는 도 2a에 도시된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로부터 연장된 후, 제1컬럼(40a)의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나머지 하나와 2개의 제1더미휠(54a)의 나머지 하나를 경유하여 제1블록이동부(70a)로 향한다. 그리고는, 제1블록이동부(70a)에서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복수의 권취로울러(76a,75a)를 통해 여러번감긴 다음,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 중 나머지를 통해 제2블록이동부(70b)로 향한 다음, 제1블록이동부(70a)와 마찬가지의 권취방법으로 권취된다. 그런 다음, 제2연결부(50b)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된다.On the contrary, after the Shanghai copper rope 63 extends from the Shanghai copper winding member 82 shown in FIG. 2A, three first auxiliary wheels 53a provided 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0a of the first column 40a. The first block moving part 70a is directed to the first block moving part 70a via the other one of the two wheels and the other one of the two first dummy wheels 54a. Then, the first block moving part (70a) is wound through a plurality of winding rollers (76a, 75a) through any one of the up and down rope moving rollers (74a, 77a), and then the up and down rope moving rollers (74a, 77a) The second block moving part 70b is directed to the second block moving part 70b through the remainder, and then wound in the same winding method as the first block moving part 70a. Then, it is fix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50b.

이에,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가 권취되거나 권취해제되면, 그 일단이 제2연결부(50b)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복수의 권취로울러(76a,75a)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에 대해 단위교량블럭(1)이 매달린 제1 및 제2행거(78a,78b)를 상하로 이동시킨다.Thus, when the shank copper winding member 82 is wound or unwound,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rollers 76a and 75a are unwound or wound, because one end thereof is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b. The first and second hangers 78a and 78b suspended by the unit bridge block 1 ar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wo-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이처럼,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의해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에 의해 제1 및 제2행거(78a,78b)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을 참조해보면, 단위교량블럭(1)은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제1 및 제2컬럼(40a,40b)을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를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ar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left and right moving winding member 81, and the first and second hangers 78a, by the winding member 82 for shandong movement. 78b) can move up and down. However, referring to FIG. 1, the unit bridge block 1 needs to mov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axi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0a, 10b, which is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40b. ) Can be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33a, 33b.

이에, 트레일러(83)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 제1 및 제2컬럼(40a,40b)을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의 해당하는 위치로 옮겨 놓는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members 20a and 20b,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0a and 30b, and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are first and second by using the trailer 83. It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2nd support body 10a, 10b.

그리고는, 별도의 앵커작업을 통해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에 각각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을 고정시킨 후, 제1 및 제2컬럼(40a,40b)을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 대해 세워놓는다. 이 때, 제1 및 제2컬럼(40a,40b)은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의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에 의해 이동가능하게결합된다.Afte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0a and 30b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10a and 10b through separate anchoring operations,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are respectively fixed. Stand against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0a and 30b.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are movably coupled b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33a and 33b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0a and 30b.

제1 및 제2컬럼(40a,40b)이 세워지면,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 역시,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 지지되도록 그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메인로프(61)의 일단을 제2권취부재(80b)로부터 연장하여 제1휠(52a~54a)에 마련된 6개의 제1메인휠(52a) 중 4개와 제2휠(52b~53b)에 마련된 6개의 제2메인휠(52b) 중 역시 4개를 거쳐 다시 제2권취부재(80b)에 권취되도록 한다. 그리고는 총 8가닥으로 된 메인로프(61)에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각각 설치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are erected,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members 20a and 20b also fix their positions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0a and 30b. Then, one end of the main rope 61 extends from the second winding member 80b and four of the six first main wheels 52a provided on the first wheels 52a to 54a and the second wheels 52b to 53b. Of the six second main wheel (52b) provided in the) through the four also to be wound again to the second winding member (80b). Then,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main rope 61 having a total of 8 strands.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의 설치가 완료되면, 좌우이동용 로프(62)를 매단다. 좌우이동용 로프(63)는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권취된 상태에서 그 노출단을 제1컬럼(40a)의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6개의 제1메인휠(52a)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제2컬럼(40b)에 마련된 제2연결부(50b)로 연장시킨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is completed, the left and right moving ropes 62 are suspende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rope 63 is one of three first auxiliary wheels 53a provided at the exposed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0a of the first column 40a while being wound by the winding member 81 for movement left and right. It extends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0b provided in the second column 40b via any one of the six first main wheels 52a through.

그리고는, 제2연결부(50b)에 마련된 6개의 제2메인휠(52b) 중 어느 하나에 감기도록 한 후, 제1블록이동부(70a)의 몸체부(71a)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79a)에 고정된 다음, 다시 제2블록이동부(70b)의 몸체부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에 고정시킨다. 다시, 고정된 노출단을 연장하여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2개의 제1더미휠(54a) 중 어느 하나와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권취된 최초의 노출단과 고정시켜 폐루프를 형성한다.Then, after being wound around any one of the six second main wheel (52b)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b), a pair of fixing for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71a) of the first block moving portion (70a) After being fixed to the clip 79a, it is fixed to a pair of fixing clips provided on the body of the second block moving part 70b. Again, the fixed exposure end is extended so that the winding member 81 may move left and right through any one of the two first dummy wheels 54a and the three first auxiliary wheels 53a provided 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0a. The closed loop is formed by fixing with the first exposed end wound in).

상하이동용 로프(63)는 일단을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로부터 연장한 후,제1컬럼(40a)의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나머지 하나와 2개의 제1더미휠(54a)의 나머지 하나를 경유하여 제1블록이동부(70a)로 연장한다.After the one end of the Shanghai copper rope 63 extends from the Shanghai copper winding member 82, the other one of the three first auxiliary wheels 53a provided 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0a of the first column 40a and the second one. It extends to the 1st block moving part 70a via the other one of the 1st dummy wheels 54a.

그리고는, 제1블록이동부(70a)에서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복수의 권취로울러(76a,75a)를 통해 여러번 감은 다음,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 중 나머지를 통해 제2블록이동부(70b)로 연장시킨다. 그런 다음, 제1블록이동부(70a)와 마찬가지의 권취방법으로 권취한 후, 제2연결부(50b)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시키면 된다.Then, the first block moving part 70a is wound up through the plurality of winding rollers 76a and 75a through any one of the vertically moving rollers 74a and 77a, and then the vertically moving rollers 74a and 77a. It extends to the second block moving part 70b through the rest. Then, after winding by the winding method similar to the 1st block moving part 70a,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ix it in the suitable position of the 2nd connection part 50b.

이처럼 메인로프(61)에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각각 설치하고,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와 나머지 주변의 구성을 통해 좌우이동용 로프(63)와 상하이동용 로프(63)를 설치 완료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에 제1 및 제2행거(78a,78b)를 설치하고, 제1 및 제2행거(78a,78b)에 단위교량블럭(1)을 매달면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main rope 61,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ropes 63 are configured around the rest. ) And the first and second hangers 78a and 78b are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while the ropes 63 for shandong movement are installed, and the first and second hangers are installed. When the unit bridge block (1) is suspended at (78a, 78b)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와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를 권취하거나 권취해제하면,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는 좌우방향을 따라 위치이동할 수 있고, 제1 및 제2행거(78a,78b)를 포함한 단위교량블럭(1)은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바, 단위교량블럭(1)은 소정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 when the winding member 81 and the Shanghai winding member 82 are wound or unwound,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can be mov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unit bridge blocks 1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hangers 78a and 78b may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block moving parts 70a and 70b. May be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만일, 단위교량블럭(1)을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제1 및 제2컬럼(40a,40b)을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김으로써 간편하게 수행할 수있다.If the unit bridge block 1 is to be mov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axi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0a and 10b,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may be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It can be performed simply by pushing or pulling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s 33a and 33b.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위축조물(5)의 상부로부터 단위교량블럭(1)이 얹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반 상태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되는 교량이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지라도 용이하게 교량을 축조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 또한 현격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unit bridge block 1 to be plac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structure 5, not only can the work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ground state, but also the bridges to be built are water such as valleys, rivers and rivers. Even in the area of the area, the bridge can be easily built, which shortens the air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construction cost.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컬럼(40a,40b)이 텔레스코픽 바아식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 외에 별도의 링크를 구성하여 접이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40a and 40b may be height-adjustable by telescopic bars.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a separate link may be formed to adjust the height by fold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 상태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되는 교량이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지라도 용이하게 교량을 축조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 또한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교량축조장치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work regardless of the ground state, but also the bridge can be easily built even in the area where there is water such as a valley, river, river, etc.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is provided tha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laims (10)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기 위한 이동식 교량축조장치에 있어서,In the mobile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for arranging the unit bridge block over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es continuous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상기 한 상의 지지체를 잇는 축선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로프와;A plurality of ropes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axis connecting the one phase support; 상기 로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파지하여 상기 축선 및 상기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블록이동부와;A block moving unit which is mov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axis and the axis by holding the unit bridge block in a state coupled to the rope; 상기 한 쌍의 지지체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편 복수의 상기 로프 양단을 권취 및 권취해제하여 상기 블록이동부에 파지된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상기 단위축조물 상부로 위치이동시키는 복수의 권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A plurality of winding members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upports while winding and unwind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ropes to move the unit bridge blocks held by the block moving par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structure.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권취부재는 하부에 복수의 구름이동용 바퀴를 가지고 이동가능한 이송부재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The plurality of winding members are movab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provided in the transfer member movable with a plurality of wheels for moving the cloud at the botto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송부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에 복수의 상기 로프를 상기 각 권취부재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갖는 컬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A fixed fram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transfer member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member, and one end of the fixed fram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ropes at the top of each of the winding members Mobile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lumn having a connection for connecting.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컬럼은 텔레스코픽 바아식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The column is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able telescopic ba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컬럼의 단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로프를 위치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The connecting part includes a main body part fixed to an end of the column, and a plurality of wheels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for rotatably supporting a plurality of the ropes for each position.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이송부재는 복수개로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의 트레일러에 의해 상기 각 지지체의 상부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The conveying member is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ing to the upper portion of each support by a predetermined trailer in a plurality of connected st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로프는, 복수의 메인로프와; 상기 블록이동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용 로프와; 상기 블록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매다는 복수의 행거를 상기 블록이동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용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The plurality of ropes, a plurality of main ropes; A left and right moving rope for moving the block moving part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hangdong rope for moving the plurality of hangers coupled to the block moving unit to suspend the unit bridge block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lock moving uni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복수의 권취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체에 위치된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한편 상기 좌우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좌우이동용 권취부와, 상기 상하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상하이동용 권취부를 갖는 제1권취부재와;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로프를 권취하는 단일의 제2권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The plurality of winding memb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air of transfer members positioned o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and are provided on any one side of the pair of transfer members,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winding units on which the left and right moving ropes are wound. And a first winding member having a shanghai winding part wound around the shanghai rope; A mobile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provided on the other side comprising a single second winding member for winding the main rop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블록이동부는 상기 메인로프에 대해 이격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각 블록이동부는, 상기 메인로프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로프를 따라 이동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과;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더미부와; 상기 제1더미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행거가 결합되는 제2더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The block moving parts are provided in pairs with a spaced interval from the main ropes; Each of the block moving parts includes: a body part partially coupled to the main rope and movable along the main rope; A pair of fixing clips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 first dummy par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Mobile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i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pile and the hanger is couple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및 제2더미부 내에는 대응되는 복수의 권취로울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권취로울러의 일측에는 복수의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장치.A plurality of winding rolle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iles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vertical rope moving rollers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winding rollers.
KR1020030002179A 2003-01-13 2003-01-13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KR2004006451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79A KR20040064518A (en) 2003-01-13 2003-01-13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PCT/KR2004/000042 WO2004063469A1 (en) 2003-01-13 2004-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79A KR20040064518A (en) 2003-01-13 2003-01-13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979U Division KR200312109Y1 (en) 2003-01-13 2003-01-13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518A true KR20040064518A (en) 2004-07-19

Family

ID=3735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179A KR20040064518A (en) 2003-01-13 2003-01-13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451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02053A (en) Bridge girder erection apparatus and bridge girder erection method
CN110799706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building and laying device
JPH0579018A (en) Bridge girder laying device
CN107201719A (en) Overpass anti-collision wall formwork hoisting conveyance and anti-collision wall construction method
JP2768283B2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CN1856625B (en) Bridge particularly for crossing passage of navigation channel
CN206784172U (en) Overpass anti-collision wall formwork hoisting conveyance
KR100560841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KR200312109Y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JP2768282B2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20040064518A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KR100627102B1 (en) Upper bridge structure construcion method with precast segment deck or box using a lifting traveller
KR200363059Y1 (en) Upper bridge structure construcion system with precast segment deck or box using a lifting traveller
JP2000302389A (en) Working cage elevator
JPH11147690A (en) Low head space reinforcing bar building-in device
CN209778102U (en) Cable carrying crane device for installing stiff beam of suspension bridge
CN110948676A (en) Prefab steel tensioning device
JP2021172500A (en) Crane assembly method
WO20040634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JPH06185017A (en) Bridge girder erec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JP2002356296A (en) Portal crane
JP30265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verhanging work vehicle
CN215101591U (en) A shield constructs quick-witted hoisting structure for secretly dig construction
JP2567560B2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girders
JP2005206355A (en) Cable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