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500A -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500A
KR20040064500A KR1020030002139A KR20030002139A KR20040064500A KR 20040064500 A KR20040064500 A KR 20040064500A KR 1020030002139 A KR1020030002139 A KR 1020030002139A KR 20030002139 A KR20030002139 A KR 20030002139A KR 20040064500 A KR20040064500 A KR 20040064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button
length
smart display
touch scree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주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4500A/ko
Publication of KR20040064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우스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행시간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은 스타일러스 펜이 아닌 손가락 등과 같은 뭉툭한 도구를 사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터치되는 면적이 커지고, 그로 인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으로 잘못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소정의 도구를 사용하여 터치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도구에 의해 드래그(Drag)된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길이와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길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를 통해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 또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타일러스 펜 뿐만 아니라 소정의 도구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래그한 길이만으로 마우스 버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METHOD FOR CARRYING OUT MOUSE BUTTON ACTIVITY OF SMART DISPLAY}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우스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행시간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무선(Wireless) 방식이 보급됨에 따라 이동용 모니터 및 개인용 정보 단말기 등의 제품에 스마트 디스플레이(Smart Display) 장치가 적용되어 개발, 시판되고 있다.
통상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장치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 경우 일반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 기능에 대한 구현이 주요사항(Issue)으로 대두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서 마우스 버튼 기능을 구현한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로 인텔(Intel)사에서 제안한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압력을 이용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스타일러스 팁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된 압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된 압력과 기 설정된 기준 압력을 비교하여 그 기준 압력보다 낮은 경우 마우스 왼쪽 버튼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에서 터치된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보다 큰 경우 마우스 오른쪽 버튼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을 도 1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스타일러스 펜(20)의 양쪽 팁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은 날카로운 삼각 팁을 가지고 있고, 반대쪽은 뭉툭한 둥근 팁을 가지고 있다.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10)에 스타일러스 펜(20)을 이용하여 터치하면(S110), 내부에 구성된 제어부(미도시)에서 그 터치스크린(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계산한다(S120). 물론, 스타일러스 펜(20)이 터치스크린(10)에 닿는 면적을 이용하여 압력을 계산한다.
상기 계산된 압력과 기 설정된 기준 압력을 비교하여 마우스의 어떤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판단한다(S130). 즉, 도 1b의 왼쪽에 도시된 스타일러스 펜(20)의 삼각팁에 의해 터치스크린(10)을 터치하게 되면, 그 터치된 면적을 이용하여 압력을 계산하고, 그 계산된 값이 기준 압력 값보다 작다고 판단하여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한다(S150). 반면, 도 1b의 오른쪽에 도시한 스타일러스 펜(20)의 둥근팁에 의해 터치스크린(10)을 터치하게 되면, 그 터치된 면적으로 압력을 계산하고, 그 계산된 값이 기준 압력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여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14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은 스타일러스 펜이 아닌 손가락 등과 같은 뭉툭한 도구를 사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터치되는 면적이 커지고, 그로 인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으로 잘못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드래그(Drag)된 길이를 이용하여 그 드래그된 길이가 소정의 기준 길이 이상 일 때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 뿐만 아니라 소정의 도구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드래그한 길이만으로 마우스 버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1b는 종래 방법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도시한 일실시예 도.
도 2a는 본 발명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대한 방법을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도시한 일실시예 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소정의 도구를 사용하여 터치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도구에 의해 드래그(Drag)된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길이와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길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를 통해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 또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단계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드래그된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길이와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길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계산된 길이가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길이보다 작으면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계산된 길이가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길이보다 크면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터치스크린에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드래그된 길이를 계산하는것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예를 들어, 마이컴)(미도시) 또는 터치스크린 드라이버에 의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 2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을 이용하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10)을 터치한다(S210).
그럼,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상기 터치스크린(10)에 터치 또는 드래그된 길이를 계산한다(S220).
그리고, 상기 터치 또는 드래그된 길이를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길이(예를 들어, 1cm)와 비교하고(S230),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마우스 오른쪽 버튼 또는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드래그된 길이가 기준 길이보다 크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고(S240), 상기 드래그된 길이가 기준 길이보다 작으면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한다(S250).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 길이가 1cm라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드래그한 길이가 0.5cm이면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고, 드래그한 길이가 1.5cm이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기준 길이 값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설계시 기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준 길이 값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터치 뿐만 아니라 소정의 도구(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한 터치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드래그된 길이를 이용하여 그 드래그된 길이가 소정의 기준 길이 이상 일 때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 뿐만 아니라 소정의 도구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래그한 길이만으로 마우스 버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소정의 도구를 사용하여 터치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도구에 의해 드래그(Drag)된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길이와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길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를 통해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 또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길이가 기 설정된 기준 길이보다 크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계산된 길이가 기 설정된 기준 길이보다 작으면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
KR1020030002139A 2003-01-13 2003-01-13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 KR20040064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39A KR20040064500A (ko) 2003-01-13 2003-01-13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39A KR20040064500A (ko) 2003-01-13 2003-01-13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500A true KR20040064500A (ko) 2004-07-19

Family

ID=3735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139A KR20040064500A (ko) 2003-01-13 2003-01-13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45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43B1 (ko) * 2006-12-1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공간상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장치 및 그방법
KR20140010205A (ko) * 2012-07-12 201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22727B1 (ko) * 2023-09-13 2024-01-09 주식회사 곰앤컴퍼니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손가락으로 화면을 미는 길이에 따른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43B1 (ko) * 2006-12-1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공간상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장치 및 그방법
KR20140010205A (ko) * 2012-07-12 201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22727B1 (ko) * 2023-09-13 2024-01-09 주식회사 곰앤컴퍼니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손가락으로 화면을 미는 길이에 따른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22334B (zh) 触摸屏幕的控制方法及装置
CN104317452B (zh) 一种操控大屏幕智能设备的方法
JP2013004087A (ja) ユーザの身体特性を考慮した動的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装置及び方法
US201503095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09259079A (ja) タッチボードカーソル制御方法
JP5780438B2 (ja) 電子機器、位置指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47515A (ko)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107450820B (zh) 界面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4915073A (zh) 一种手持式触控装置
TWI482064B (zh) 可攜式裝置與操作方法
CN104615346B (zh) 用于调整数值的触摸屏幕控件
CN108279848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JP2014191560A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記録媒体
CN203773527U (zh) 一种手持式触控装置
KR20040064500A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버튼 구현 방법
US20150153925A1 (en) Method for operating gestures and method for calling cursor
CN110417984A (zh) 一种在屏幕异形区域实现操作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40049515A1 (en) Virtual mou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6909299B (zh) 一种实现双手拇指操控宽屏虚拟键盘按键的方法
CN109144398B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06775400A (zh) 按键显示方法及系统
KR102155127B1 (ko) 하이브리드 스타일러스 및 이와 통신하는 터치입력장치
KR101118224B1 (ko) 노트북컴퓨터에서 키보드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 버튼구현방법
TWI389018B (zh) 手持式電子裝置、手持式行動通訊裝置及其運作方法
KR200414320Y1 (ko) 복사 버튼 및 붙여넣기 버튼을 가지는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