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462A -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 Google Patents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462A
KR20040064462A KR1020030002054A KR20030002054A KR20040064462A KR 20040064462 A KR20040064462 A KR 20040064462A KR 1020030002054 A KR1020030002054 A KR 1020030002054A KR 20030002054 A KR20030002054 A KR 20030002054A KR 20040064462 A KR20040064462 A KR 20040064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subtilis
bacteria
coli
issn
staphylococcus aure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태
최경윤
권치완
Original Assignee
김옥자
최경윤
권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자, 최경윤, 권치완 filed Critical 김옥자
Priority to KR102003000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4462A/ko
Publication of KR2004006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4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에 대한 것으로,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을 채집, 수집, 선정하고, 기원을 감정한 후 동정하고, 대한 약전 시험법에 따라, 수집한 모자반 생약을 세절하고, 생약 중량의 3~9배의 증류수를 상기 생약에 주입하고, 상기 탕액을 중탕시켜서 얻어지는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성분으로 된 항균제 및 상기 항균제는 장관내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다.

Description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Antibacterial Material Comprising Natural-drug Compound Extracted From Sargassum fulvellum}
본 발명은 모자반 (Sargassum fulvellum)으로부터 추출한 생약성분 의 항균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일만을 중심으로한 한국 동해연안 감포연해 청정해역에 식생하는 모자반으로부터 물을 용매로 원액 및 주성분(폴산외 16종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물 추출액의 인체 소화기내 세균 10종(대장균,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클렙시엘라 뉴모니애,바실러스 서브틸리스,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바실러스 서브틸리스Do4,살모넬라 파라티파이A,시겔라 손네이,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에 대한 항균효능을 가지는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성분의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해조류 갈조류 갈조식물문 이형세대강 원포자강 모자반목 모자반과에 속하는 1년생 해조이다. 체색은 적색을 띤 황색이며 저조선부근의 바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동해 구룡포, 감포, 울릉도, 부산 거제도, 제주도 등지의 전 연안에 분포하며 식용 및 사료로 이용된다.
뿌리는 가반상이고 줄기는 단조(單條)이며 긴 가지를 많이 낸다. 가지는 삼릉주(三稜柱) 또는 삼각형이며 비틀어져 있다. 큰 것은 높이 수 m에 달한다.
잎은 아래로 반곡(反曲)하고 주걱꼴 또는 타원형이며 잎의 중앙까지 약한 중륵(中肋)이 있고 상부(上部)의 잎은 피침형(披針形)이며 톱니가 있고 중륵(中肋)은 없다. 색은 암황갈(暗黃褐)색이며 연하고 잎면(面)에 검은 점이 있다.
기포(氣胞)는 다수 있고 위치에 따라 모양이 다르며 가지의 기부(基部)에 있는 것은 상부(上部)에 있는 것보다 크다. 모양은 도란형(倒卵形) 또는 타원형이며 더러는 가지모양이며 짧은 자루가 있다. 길이는 5∼12mm 폭은 8∼9mm이다. 꼭대기는 보통 둥글고 때로는 미철두(微凸頭) 또는 소엽(小葉)이 있다.
생식기탁(生殖器托)은 긴 원주상(圓柱狀)이며 짧은 자루가 있고 총상 (總狀)으로 배열(配列)한다.
생육(生育)은 저조선(低潮線)부근의 암상(岩上)에 한한다.
일본, 오스트레리아,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멕시코 연해의 조간대 암 상(岩上)· 사르기소 해(Sargasoo-sea)의 부유종(浮遊種)으로도 서식 분포한다.
카나자와(Kanazawa; 1958 Advance of phycology in Japan P324)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에 폴산,S. thunbergii에는 판토텐산, 바이오틴, 이노시톨이 존재한다고 하였다.
손 시에취(Son C. H.; 1979 Marine Botany p173)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100g 중 덱스트로스 5.2g, 애쉬(Ash) 5.1g, 단백질 1.6g, 섬유 1.5g, CaO 293mg, 지방 200mg, P2O5139mg, Fe2O332.4mg의 성분이 존재한다고 하였다.
백 에스유(Baek S. U.; 1984. Ph.D Thesis Pusan. Fish. Coll.)는Sargassum sagamianum이 35.3%의 덱스트로스, 20.8%의 조 섬유(Crude fiber), 2.1g의 조 단백질(Crude protein), 1.6%의 순수 단백질, 5.5%의 지방, 23.8%의 애쉬(Ash)로 조성되고 있으며 100g의S. sagamianum성분 중 919.31mg의 칼슘, 4.35mg의 인, 0.72mg의 철이 분포한다 하였다.S. sagamianum의 유리 아미노산 건조 중량 100g 중 2.71mg의 알라닌, 2.15mg의 아스파트 산, 1.98mg의 글루탐산, 1.14mg의 프롤린, 0.91mg의 트레오닌, 0.60mg의 페닐알라닌, 0.56mg의 발린, 0.40mg의 시스테인이 존재한다고 하였다.
프랫(Pratt; 1951)는 미국 캘리포니아 연안에서 채취한Ulva linza등 3종 류의 공시균에 항균작용이 있다고 하였으며
바카(Vacca; 1954)는Ascophyllum nodosum의 알코올 추출물이E. coli등 10종의 공시균에 항균작용이 있음을 보고 하였다.
사이토(Saito; 1955)는 일본연안에서 채취한Ulva pertusa등 8종의 해조류 추출물이Bacillus subtilis등 5종의 공시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버크홀더(Burkholder; 1960)는 푸에리토 리코 연안에서 채취한 150종류의 해조류 추출액이Staphylococcus aureus등 4종류의 공시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보고한바 있다.
코노버(Conover; 1963)는 미국의 로드 섬(Rhode Island) 연안에서 채취한S. natens등 2종류의 해조류 추출물이 비브리오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보고한바 있으며,
글롬비차(Glombitza; 1969)는 41종류의 해조류 추출액이 4종류의 그람 포지티브 세균과 2 종류의 그람 네가티브에 항균 반응이 있음을 보고한바 있다.
혼세이(Hornsey; 1974·1976)는 영국산 151종류의 해조류 추출물이Staphylococcus aureus등 5종의 공시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나카자와(Nakazawa; 1974·1976-a·1976-b)는 일본연안에서 채취한 150종의 해조류 추출물이 항 종양작용이 있음을 보고한바 있으며,
에레스만(Ehresmann; 1977)은 미국 캘리포니아 연안에서 채취한 28종류의 해조류 추출물이 항 비루스력이 있음을 보고한바 있다.
이런 효능이 알려져서 이를 배경으로하여 항균제로 선정 시험하게 되었다.
* 모자반(이하 동속 식물포함)의 물 추출액으로 항균효능이 검증된 인체 소 화기 장관내 세균 10종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E. coli
E. coli균(-)은 사람 및 척추동물의 소화기 장내 세균으로 운동성이 있 는 단간균이다. 1.1∼1.5um × 2.0∼6.0um 크기인 그람 음성균이며 장내 이상 발효를 일으켜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포도당과 유당을 발효시켜 산과 가스를 발생시키며 메틸적 시험은 양성 분변 속에서 발견된다.
인체내 감염되거나 병원성을 획득하여 대장염, 방광염을 일으키며 담낭, 방광으로 이행하여 담낭궤양 방광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나)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 (Staphylococcus aureus)
황색의 포도상구균이며 그람 양성균이다. 한천배지에서 백색 황색을 띄 며 0.5∼1.0um 직경을 갖는 용혈성 화농균이다. 인체 소화기관내에서 병원성이 가장 강한 장염, 녹농균이다. 세포벽에는 펩티도글리칸 및 타이코닉산이 분포하고 있으며 L-리신의 디 아미노산도 함유되어 있다. 10%의 NaCl, 18∼40℃ 배지에서 잘 자라며 호흡 발효대사의 화학 향(向) 장기성을 가진 균이다.
다)클렙시엘라 뉴모니애균 (Klebsiella pneumoniae)
지름 0.3∼1.0um, 길이 0.6∼6.0um, 막대모양, 비 운동성인 균이다. 배지에서 진한 점액모양으로 발육하며 협막이 있는 그람 음성균이다.
인체의 장관, 호흡기, 요로에서 분리되고 폐염, 비강염, 부 비강염, 장관 염, 요도염을 일으키는 균이다.
라)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 (Bacillus subtilis)
장내 간균이며 그람 양성균이다. 호온성이고 당류를 발효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부패균으로 동물체에 기생하고 병원성을 가진다. 세포벽은 메조-디아미노피멜산이 연관된 병원성분을 가지는 장내 부패균이다.
마)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균 (Pseudomonas aeruginosa)
단모 또는 군모를 가진 막대모양의 그람 음성균이며 극성 플라젤라를 가진 장내 녹농균이다. 장내 화농소에 침입하여 농을 녹색화하고 소량의 피오시아닌, 피오시아나아제 등의 물질을 생성하는 균이다.
바)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지름 0.4∼0.8um, 길이 1.0∼3.0um인 그람 음성균이다. 편모 운동성의 고 도다현성 변형균이다. 부폐 변형균이며 프로테우스 속내균은 요도염, 방광염, 간농양 병원성을 가진다.
사)바실러스 서브틸리스Do4균 ( Bacillus subtilis Do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변종균으로 셀룰로오즈, 헤미셀룰로오즈,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오즈(CMC), 크실난, 리그닌, 리그노설페이트 등에 분해능이 강한 장내 세균이다.
아)살모넬라 파라티파이A균 (Salmonella paratyphiA)
포도당을 발효시키고 비 운동성을 가진 간균이다. 파라티푸스균이라는 명칭을 가진 그람 음성균이다. 장내 유사 티푸스 병원균이다.
자)시겔라 손네이균 (Shigella sonnei2)
막대모양의 그람 음성균이고, 비 운동성이며 KCN에서는 성장하지 않는 균이며, 포도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지만 H2S 기체는 발생시키지 않는 설사균이다.
차)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균 (Yersinia entercolitica)
지름 0.5∼0.8um, 길이 1∼3um의 그람 음성균이다. 37℃에서는 비 운동성 을 가지나 30℃에서는 편모운동을 하는 독소균이다. 가끔 경기지방의 약수터에서 발견되는 설사균으로서 회장염, 결장염, 전신임파선증, 임파성 백혈병, 패혈증 등의 독소병을 일으키는 균이다.
상기 세균 10종에 대한 종래의 공지된 항균제는 다음과 같다.
(가)E. coli
a) 설파제가 설파제 Cu 착화합물보다 항균력이 민감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왕규, 1965년 역학회지 Kor. J. Pharm. Vol.9. No.1)
b) 아미노 벤젠 설포닐-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이 1×103/16mcg/ml에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상록, 1977년 약학 연구지 Vo.11. No.1 부산대 약대)
c) 아스트로마이신 3.13ug/ml, 토브라마이신 0.78ug/ml, 젠타마이신 1.56ug/ml이E. coil균에 대한 최저 저지농도(MIC)였음을 확인한 바 있다. (육창 수 1989년 Bull. K. H. Univ. No.18 p.591∼638 경희대 약대)
d)Gleditschia sinensis의 추출액이E. coli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Hata Kiyosi, 1947년 Pharm. Bot. & Drug Vol.3. (No.3, 4) p.127∼128 Kyoto Univ.)
e) 클로람페니콜 1-128ug/ml, 목사락탐 0.12-128ug/ml, 테트라사이클린 0.5-128ug/ml, 코-트리목사졸 1-128ug/ml가E. coli에 대해 항균 감수성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석종성, 1985년 J. Kor. Medical Assoc. Vol.28. No.1 서울대 의대)
f) T-이소니코티닐-4-시클로헥실-3-티오세미카바 지바가E. coli에 살균력 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조윤성, 1970년 J. Pharm. Soc. Kor. No.14, p.1∼14 서울대 약대)
상기 중에서 b)·f)등은 다소의 항균력이 인정되나 항균제 생합성의 난점이 있으며, c)·e)등은 항균 감수성이 인지되나 수년에서 수십년간 임상 항균제로 쓰이면서E. coli의 항생제 면역이 제고될 가능성이 크다. a)의 경우는 생장기원이 다른Gleditschia sinensis조각자 일부 부위 추출액의 항균력을 입증한것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a) 조각자의 자, 경, 수피 추출액이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에 대해 50ug/ml에서 발육 저지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소갑석. 1986년 Bull. K. H. Univ. 경희대)
b) 사포닌이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 등에 대한 항염증 작용이 있음을 보고 한 바 있다. (Sakachi Yamahara 등, 1975년 Vol.95. No.10, p.1179∼1182, 교토대 약대)
c) BP. 30 120-140℃에서 추출한 미삼(尾蔘) 및 白蔘 타르 에테르 추출물이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유중렬, 1986년 B.K. H. Pharm. Sci. Vol.14. p.89∼92, 경희대 약대)
d) 아스트로마이신 12.5ug/ml, 토브라마이신 50ug/ml가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에 대한 최소 저지농도(MIC)임을 시험 보고한 바 있다. (육창수 등, 1989년 Bull. K. H. Univ. No.18 p.591-638 경희대 약대)
e) 해조류의 아크릴 산 0.039-2.5mg/ml가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에 대해 최소 저지력(MIC)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J. M. Sieburth, 1961년 J. Bact, No.82, p.72∼79 Virginia Polytechnic Inst.)
f) 조각자(Gleditschia sinensis)가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 등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 (Hata Kiyosi, 1947년 Pharm. Bot. & Drug Vol.3 p.127∼128 Kyoto. Univ.)
g) 클로람페니콜 0.12-128ug/ml, 목사락탐 1-128ug/ml, 페니실린 G 0.12-128ug/ml, 테트라사이클린 0.25-128ug/ml 가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에 대한 최소 항균 저지력(MIC)이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 (석종석, 1985년 J. Kor. Medical Assoc. Vol.18. No.1 서울대 의대)
h) 황련해독탕 7.1-37.5ug/ml 이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홍남득, 1982년 Kor. J. Pharmcog. Vol.13. No.1, p.26∼32, 경희대 약대)
b)·c)의 경우 사포닌 및 인삼 타르의 항균력 최소 저지농도(MIC)를 규명하였으며 d)·g)는 아스트로마이신 등 항생물질의 MIC를 시험한 바 있다. e)의 경우는 해조류의 아크릴산이 항균력이 있음을 시험한 경우이며, h)은 황련해독탕의 7.1mg/ml의 농도가 MIC임을 확인한 경우이다. 반면에, a)·f)는 조각자를 재료로하여 항균반응을 시험하였고 특히 a)는 조각자 3개 부위에서 추출한 추출액 50mg/ml가 최소 발육 저지력이 있음을 확인한 경우이다.
(다)클렙시엘라 뉴모니애
a) 백삼 타르의 에테르 추출물이클렙시엘라 뉴모니애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유중렬, 1986년 B. K. H. Pharm. Sci. Vol.14. p.89∼92, 경희대 약대)
b) 설파제가클렙시엘라 뉴모니애균에 감수성이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 (이왕규, 1965년 J. Kor. Pharm. Vol.9. No.1)
c) 아스트로마이신 6-25ug/ml, 토바마이신 200ug/ml, 젠타마이신 50ug/ml 및 이미페넴 6-25ug/ml가클렙시엘라 뉴모니애균에 최소 항균 저지력 (MIC)이 있음을 확인 시험한 바 있다. (육창수, 1989년 Bull. K. H. Univ. No.18 p.591∼638 경희대 약대)
d) 해조류의 아크릴산이 항균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J. M. Sieburth, 1961년 J. Bact, No.82 p.72∼79 Virginia Polytech. Inst.)
e) 클로람페니콜 0.5-128ug/ml, 목사락탐 0.12-16ug/ml, 테트라사이클린 0.5-128ug/ml, 코-트리목사졸 1-128ug/ml 농도에서클렙시엘라 뉴모니애균에 대한 최소 저지효능이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 (석 종성, 1985년 J. Kor. Medical Ass. Vol.28. No.1 서울대 의대)
상기에서 a)·d)는 백삼 타르 에테르 추출물 및 해조류의 아크릴산 7.5mg/ml가 최소 항균 저지력을 나타냄을 확인한 경우이다. b)·c)·e)는 설파제 및 아스트로마이신 등의클렙시엘라 뉴모니애균에 대한 저지 농도를 규명한 경우이다.
(라)바실러스 서브틸리스
a) bp 30, 140∼160℃에서 제조된 미삼 타르 추출액이Bacillus subtilis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중렬, 1986년 Bull. K. H. Univ. Pharm. Sci. Vol.14. p.89∼92 경희대 약대)
b) 아미노벤젠설포닐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Aminobenzensulfonyl-4, 4-diaminodipenylsulfon) 1×103/ 32mcg/ml가B. subtilis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 (이상록, 1977년 Bull. Pharm. Vol.11, 1 부산대 약대)
c) 2-(5-니트로)푸릴아크릴 글리신이B. subtilis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분석하였다. (고기현, 1966년 J. Pharm. Soc. Kor. No.10 p.15∼19 서울대 약대)
상기중 c)는 2-(5-니트로)푸릴아크릴 글리신의 항균저지력을 분석한 것이며 b)는 아미노벤젠 설포닌-4, 4-디아미노페닐 설폰이 1×103/ 32mcg/ml에 항균력이 있음을 증명한 것이다. a)의 경우 미삼 타르 추출액이B. subtilis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검증한 것이다.
(마)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a) 조각자의 자, 경, 수피의 추출물 25mg/ml가 Pseud. aer. 균에 의한 항 균력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소갑석, 1986년 Bull. K. H. Univ. 경희대)
b) 설파제가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균에 감수성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왕규, 1965년 J. Kor. Pharm.Vol.9. No.1)
c) 아즈트레오남 12.5ug/ml, 젠타마이신 200ug/ml, 암카신 200ug/ml, 토브라마이신 100ug/ml이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균에 대해 최소 저지력(MIC)이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육창수, 1989년 Bull. K. H. Univ. Pharm. Vol.18. p.591∼638)
또한 회화나무(Sophora japonica)의 추출액 0.125ug/ml이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균에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 시험한 바 있다. (Ibid, Bull. K. H. Univ. Pharm. Vol.17. p.75∼87)
d) 목사락탐 1-256mg/ml, 젠타마이신 0.12-256ug/ml, 토브라마이신 0.12-256ug/ml가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균에 최소 저지력(MIC)을 나타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석종성, 1985년 J. Kor. Medical Ass. Vol.28. No.1)
상기중에서 b)가 설파제를, c)·d)가 아즈트레남, 목사락탐 등의 항생제 MIC를 분석한 것에 비해서 a)는 조각자의 자, 경, 수피 등 3부위 추출물 25mg/ml가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균에 대해 최소 저지 능력치가 됨을 분석한 것이다.
(바)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a) 설파제가Proteus vulg.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시험 보고한 바 있다. (이왕규, 1965년 J. Kor. Pharm. Vol.1. No.1)
b) 해조류의 아크릴산 10.0mg/ml는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균에 대한 최소 저지력치(MIC)를 가지고 있다. (J. M. Sieburth, 1961년 J. Bact. No.82 p.72∼79 Virginia Polytech Inst.)
c) 클로람페니콜 4-128ug/ml, 목사락탐 0.12ug/ml, 테트라사이클린 64-128ug/ml, co-트리목사졸 1-128ug/ml가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균에 최소 저지력치(MIC)를 가지고 있음을 시험한 바 있다. (석종성, 1985년 J. Kor. Medicl Ass. Vol.28. No.1)
종래의 항균제는 개발 치료기관의 시간 지체 때문에 유해세균의 면역력을 증가시켰고, 합성비용은 과다하지만 치료효능은 낮았으며, 항균제가 인체 세포성분의 일반 성분이 아닌 특수 단백질 화합물이므로 쇼크사 등의 부작용이 많았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자반으로부터 항균력의 범위가 크고, 인체 소화기 장관내 세균 10종에 대하여 모두 항균력이 있는 종래의 공지된 항균제보다 탁월한 항균력이 있는 항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을 채집, 수집, 선정하고, 기원을 감정한 후 동정하고, 대한 약전 시험법에 따라, 수집한 모자반 생약 세절하고, 생약 중량의 3~9배의 증류수를 상기 생약에 주입하고, 상기 탕액을 중탕시켜서 얻어지는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로 상기 생약 성분으로 장관내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체 소화기 장관내 세균이 대장균(E. coli),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바실러스 서브틸리스Do4(Bacillus subtilisDo4),살모넬라 파라티파이A(Salmonella paratyphi A),시겔라 손네이균(Shigella sonnei2),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Yersinia entercoliti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동해 영일만을 중심한 감포 연해 청정해역에서 모자반을 채집, 수집, 선정하고 기원을 감정 동정하고, 통상적으로 대한 약전 시험법에 따라 생약을 세절하고 증류수 주입한 후 중탕하여 검액을 얻는다.
이렇게 모자반으로부터 물을 용매로하여 추출한 물 추출성분에는 ①포릭산 ②덱스트로스 ③바이오틴 ④조 단백질 ⑤섬유소 ⑥이노시톨 ⑦살가신 ⑧산화칼륨 ⑨ 5.2산화인 ⑩리보플라빈 ⑪제로니올 ⑫알라닌 ⑬아스탈틱산 ⑭트레오닌 ⑮시스틴 등 15가지 주요 성분이 있다.
이들 성분의 효능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참고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가) 포릭산
① 포릭산(Folic Acid)이 인체 신장질환 혈장 치료효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Fortin MC etc., Department of Intensive Core, Maisonneuve-Rosemont Hospital, Montreal, Quebec, Canada; Intensive care medicine (UNITED STATES) Jun 1999 p.594-8 ISSN:0342-4642)
② 포릭산이 HCA 발암변이 유발소 억제기능있음이 검증되었다. (Eden harder R etc., Department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Medicine, University of Mainz, Obere Zahlbacher Strasse 67, D-55131, Mainz, Germany.; Mutation reesearch (Netherlands) Jul 21 1999 444(1) p235-48 ISSN: 0027-5107)
③ 포릭산 부족시 인체 신경관 발생결위증세 있음이 검증되었다. (Craig j etc, Department of Neurology, Royal Victoria Hospital, Grosvenor Road, Belfast, BT12 6BA, UK.; Seizure(ENGLAND) Jun 1999 8(4) p.253-4 ISSN:1059-1311)
나) 바이오틴은 비타민B 복합체로 난백, 난소, 생식선조정 및 지루성 피부염 억제기능을 갖는다.
E. coli의 바이오틴 합성효소 및 시스테인 탈황화효소(Cysteine desulfurase)가 폐염균 성장억제기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Kiyasu T etc., Department of Applied Microbiology, Nippon Roche Research Center, 200 Kajiwara, Kamakura, Kanagawa 247-8530, japan.tatsuya.kiyasu@roche.com; J. of Bacteriology(UNITED STATES) May 2000 182(10) p.2879-85 ISSN : 0021-9193)
E. coli의 아포 바이오딘 합성효소가 인체 간기능 개선 효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Bui BT etc, Laboratoire de Chimie Organique Biologique - CNRS UMR 7613, Universite Paris VI, France European J. of biochemistry(GERMANY) May 2000 267(9) p.2688-94 ISSN: 0014-2956)
E. coli바이오틴 합성효소가 인체 철, 유황,성분 암분해 잔기(殘期)에 동정 검증되었다. (Mclver L etc, Edinburgh Centre for Protein Technology, Department of Chemistry, Jopeph Black Bulding, the University of Edinburgh, The Kings Buildings, West Mains Road, Edinburgh EH9 3JJ, Scotland, United Kingdom.; J. of biological chemistry (UNITED STATES) May 5 2000 275(18) p.13888-94 ISSN: 0021-9258)
④ 바이오스 바이오틴 R-형태(BioS Biotin Lys R-TYPE)가Sinorhzobium melitoti의 정상대사 조절 억제력 있음이 검증되었다. (Heinz EB etc, Institut fur Mikrobiologie und Genetik, Universitat Gottingen, Germany.; Molecular plant-microbe interactions (UNLTED STATES) Sep 1999 12(9) p.803-12 ISSN: 0894-0282)
⑤ 인슐인-연관 바이오틴-스트렙트아비딘 아가로스(Insulin-linked biotin-streptavidin agarose)가 인체 이슐린 수용체 전구 물질임이 검증되었다. (Tsuda S etc, Department of Medicine, John A. Burns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Hawaii-Manoa, Honolulu 96813, USA.; FEBS letters (NETHERLANDS) AUG 20 1999 457(1) p.13-7 ISSN: 0014-5793)
⑥ 바이오틴 mRNA가Bacillus cereus생리 대사억제에 유의성 있음이 검증되었다. (Bach H J, Institute for Soil Ecology, GSF-National Research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Neuherberg, Germany.Bach@gsh.de ;J. of microbiological methods (NETHERLANDS) Aug 1999 37(2) p.187-92 ISSN: 0167-7012)
⑦ 바이오틴이 아데노바이러스 항원의 성장억제 물질임이 검증되었다. (Smith J etc., Laboratories of Melecular Immunoregulation, National Cancer Institute-Frederick Cance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rederick, MD21702, US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TED STATES) Aug 3 1999 96(16) p.8855-60 ISSN: 0027-8424)
⑧ 바이오틴화된(Biotinylated) 파아지 M13 DNA가Bacillus thuringiensis균주의 성장억제력 있음이 검증되었다. (Oreshkova SF etc., Vector State Research Center of Virology and Biotechnology, Institute of Bioengineering, Novosibirskaya oblast, Russia. oresh@vector.nsk.su; Genetika(RUSSIA) Jun 1999 35(6) p.751-5 ISSN: 0016-6758)
⑨ 바이오 스트렙트아비딘이 인체 임파선 면역기능을 조장하며 면역 결핍 바이러스 백신 조성기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Stokes CR etc., Division of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University of Bristol, UK. Chris. stokes@bris.ac.uk; J. of biotechnology (NETHERLANDS) Aug 20 1999 73(2-3) p.213-21 ISSN: 0168-1656)
⑩ 바이오틴화(Biotinylation)가 W6/32 항체 조성기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Malik P etc., Department of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ssachusetts 02138, USA.; Tissue antigens(DENMARK) Jun 1999 53(6) p.576-9 ISSN: 0001-2815)
⑪ 바이오틴성 PCR 효소면역체가Bartonella henselae쥐 질병원 성장저지력 있음이 검증되었다. (Sander A etc., Abteilung Mikrobiologie and Hygiene, Institut fur Medizinische Mikrobiologie and Hygiene, Klinikum der Universitat Freiburg, Freiburg, Germany. ander@ukl. unifreiburg.de; J. of clinical microbiology (UNLTED STATES) Oct 1999 37(10) p.3097 ISSN: 0095-1137)
다) 조 단백질은 항 병원성 백혈구 생성 면역 조기능을 갖는다.
라) 이노시톨은 인체 근세포내 효소 발육인자를 가지며 근육당을 조성하고 항 탈모기능을 갖는다.
①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이 병원성Protozoa Trypanosomacruzi의 성장을 억제하고 인체 비유세포 성장촉진 기능있음이 검증되었다. (Einicker-Lamas M etc., Insitituto de Biofisica Carlos Chagas Filho, Universidade Federal do Rio de Janeiro, Brasil. einicker@biof.ufrj.br; European J. of biochemistry (GERMANY) May 2000 267(9) p.2533-7 ISSN: 0014-2956)
② 인체 항감각 다핵질의 뇌백질 돌기세포내에 이노시톨이 인입되면 뇌 신경암 세포성장저지 기능 및 혈액 지방분 생성됨이 검증되었다. (Lubrich B etc.,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Freiburg, Germany.; European J. of biochemistry (GERMANY) Apr 2000 267(8) p.2432-8 ISSN: 0014-2956)
③ 글리코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Glycosyl phosphatidyl inositol;GPI)이Trypanosoma brucei의 혈류성 고착 기능이 있음이 확인되어 인체 비누 화장품 항료원(C12H28O2)으로 쓰이고 있다. (Morita YS etc., Department of Biological Chemistry, Johns Hopkins Medical School, Baltimore, Maryland 21205, USA.; J. of biological chemistry (UNITED STATES) May 12 2000 275(19) p.14147-54 ISSN: 4147-54)
④ 이노시톨 1, 4, 5 트리포스페이트(Inositol 1. 4. 5 trisphosphate)가 인체 뇌신경질환을 억제하고 뇌신경 정상기능 내생세포의 증식 효과 있음이 검증되었다. (Yoo SH etc., National Creative Research Initiative Center for Secretioy Granule Research, Biomedical Research center,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Yu Sung Gu, Dae Jeon 305-701, Korea. shyoo@cais.kaist.ac.kr; J. of biological chemistry (UNITED STATES) Apr 28 2000 275(17) p.12553-9 ISSN: 0021-9258)
⑤ 이노시톨 혈장농도가 215㎛ol/L인 경우 인체 유아 체내 망막증의 치료 효능이 있으며 이상세포 발생이 최저치 였다. (Friedman CA etc., Devision of Newborn Medicine, Methodist Medical Center, Jackson, Miss. USA.; J. of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UNITED STATES) Mar-Apr 2000 37(2) p.79-86 ISSN: 0191-3913)
⑥ 이노시톨 포스포글리칸이 인체 당뇨병 및 임신 중독증 임신부 태반 인공항원에 대한 저지기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Kunjara S etc., Department of Molecular Pathology, Molecular Medicine Unit, The Windeyer Building, 46 University College London Medical School, Cleveland Street, London, WIP6DB, England.; Molecular genetics and metabolism(UNITED STATES) Feb 2000 69(2) p.144-58 ISSN:1096-7192)
⑦ 글리코실포스파티딜 이노시톨(Glycosylphosphatidyl inostol)은 인체 면역기능을 일으키며 뇨효소 및 그 수용체 단백질 정상대사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Sendo F etc., Deparment of Immunology and Parasitology, Yamagat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ida-Nishi, Japan. fsendo@med.id.yamagata-u.ac.jp J. of leukocyte biology(UNITED STATES) Sep 1999 66(3) p.369-74 ISSN: 0741-5400)
⑧ 이노시톨 모노포스파타아제는Sccharomyces cerevisiae에서 갈락토오스 혈증의 독성 분비 억제기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Mehta DV etc., Laboratory of Molecular Genetics, Biotechnology Centre,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Powai, Mumbai 400 076, India.;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NETHERLANDS) Aug 30 1999 1454(3) p.217-26 ISSN: 0006-3002)
⑨ 이노시톨 트리포스페이트 생합성 수용체가 인체 샤페론 칼네신(calnexin) 항체 면역 조장기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Joseph SK etc., Deparment of Pathology and Cell Biology, Thomas Jeffers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hiladelphia, PA 19107, USA. josephs@jeflin.tju.edu Biochemical J. (ENGLAND) Aug 15 1999 342(pt1) p.153-61 ISSN: 0264-6021)
마) 알라닌은 대뇌 및 근세포내 보효소 생리활성화로 유해세균 펩토그리칸 세포층을 분해하여 인체 항균력을 제고한다.
바) 아스팔틱산은 항생물질 바시트란 주성분의 생리기능을 하며 디 카복시라제의도움으로 탈 탄소화 베타 아라닌이 되어 중뇌 및 불수의근 세포내 보효소기능 활성화로 항균 효능을 갖는다.
E-coli기초증식대사에 결정체 L-아스파라지나아제가 유효함이 검증되었다. (Polikarpov I etc., Laboratorio Nacional de Luz Sincrotron, Caixa Postal 6192, CEP 13083-970, Campinas Sp, Brazil.igor@Inls.br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D, Biological crystallography(DENMARK) Sep 1999 55(pt9) p.1616-7 ISSN: 0907-4449)
② 생기질 유사체(Biosubstrate analog) N-포스폰-아세틸L-아스파트산(N-phosphon-acetyl-L-asparate)이E-coil의 대사 기능있음이 검증되었다. (Enddrizzi JA etc., Department of Molecular and Cell Biology and Virus Labora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94720-3206, US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NITED STATES) May 9 2000 97(10) p.5077-82 ISSN: 0027-8424)
사) 글루타민은 장기세포 및 혈구내 아미노기 이전반응 매체 및 아미노산 동화기능 촉성으로 항체 생성기능을 갖는다.
아) 프로린은 생체세포내 티라코이드 아미노 구성 생리대사 및 파라렌내트 카세인 비유조성 항체 항균 생리대사 조정기능을 갖는다.
자) 트레오닌은 생체세포 효소대사중 카제인의 효소분해에 의해 포스포 트 레오닌으로 되며 그 일부분은 그리신관 식초산으로 분해하여 담즙산 해독 항균 작용을 돕는 기능을 한다.
차) 바린은 면역체에 주성분인 알파아미노 이소바레릭산으로 유해세균 항 균기능을 갖는다.
카) 5.2 산화인은 조효소기능 활성화로 핵산 혈액대사 세포호흡기능 조절 제고로 항균력 상승기능을 갖는다.
타) 산화칼륨은 조혈장 조골효소기능 조장 생리활성으로 항균력가를 높이 는 기능이 검증되었다.
파) 리보플라빈
① 리보플라빈은 VB2 플라보조효소의 전구물 임이 검증되었다. (Setoyama C etc., Department of Biochenistry, Kumamoto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ippon rinsho(JAPAN) Oct 1999 57(10) p.2193-8 ISSN: 0047-1852)
② 리보플라빈이 칸디다 구창(口瘡)균주의 억제기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Ito-kuwa S etc., General Research Institute, Nippon Dental University, Niigata, Japan.; Medical mycology(ENGLAND) Oct 1999 37(5) p.307-14 ISSN:1369-3786)
③ 리보플라빈 헥사메린(Riboflavin hexamerin)이 인체 피부 염증균 억제기능있음이 검증되었다. (Pan ML etc., Department of Ecology and Evolutionary Biology,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TN 37996-1610, USA. mpan@utk.edu.; Archives of insect biochemistry and physiology(UNITED STATES) Oct 1999 42(2) p.138-46 ISSN: 0739-4462)
④ 리보플라빈은Vibro harveyi발광효소의 활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기 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Moore C etc., Department of Biology, University of Houston, Houston, Texas, 77204-5513, USA.;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UNITED STATES) Oct 1 1999 370(1) p.45-50 ISSN: 0003-9861)
⑤ 해수중에서 모자반의 리보플라빈이 발광 분해되어 생긴 루미크롬( Lumichrome;C12H10N4O2)이 멍게H. roretzi유생성체 성장 영양원으로 검증되었다. ( Tsukamoto S etc., Fusetani Biofouling Project, Expolratory Research for Advanced Technology(ERATO),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of Japan(JRDC), c/o Niigata Engineering Co. Ltd, Isogo-ku, Yokahama, Japan.; European J. of biochemistry(GERMANY) Sep 1999 264(3) p.785-9 ISSN: 0014-2956)
⑥ 리보플라빈이 리켓치아Bartonella henselae성장억제기능이 있음이 검증 되었다. (Bareswill S etc., Department of Microbiology and Hygience, Institute of Medical Microbiology and Hygience, University of Freiburg, D-79104 Freiburg Germany. beneswil@sunl.ukl.unifreiburg.de; J. of clinical microbiology(UNITED STATES) Oct 1999 37(10) p.3159-66 ISSN: 0095-1137)
⑦ 리보플라빈이Bacillus subtilis성장억제 효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Sauer U etc., Institute of Biotechnology, ETH Zurich, CH-8093 Zurich, Switzerland.;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UNITED STATES) Sep 20 1999 64(6) p.750-4 ISSN: 0006-3592)
⑧ 리보플라빈이E coli균주 생성 저지 효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 Jordan DB etc., E. I. Du Pont de Nemours Agricultural Products, Stine-Haskell Research Center, Newark. Delaware 19714, USA.; J. of biological chemistry(UNITED STATES) Jul 30 1999 274(31) p.22114-21 ISSN: 0021-9258)
Nitroblue tetracolium리보플라빈이Staphylococcus aureus유방염균 임상환자 치료효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Sato S etc., Ken-nan Veterinary Clinic Center, Miyagi Profectural Federation of Agricultural Mutual Aacid Association, Shiroishi, Japan.; J. of veterinary medical science(JAPAN) May 1999 61(5) p.569-71 ISSN: 0916-7250)
⑩ 리보플라빈 5. 6 디메틸벤즈이미다졸이Salmonella typhimurium성 장저지력 있음이 검증되었다. (Keck B etc., Institut fur Biologische Chemie und Ernahrungs wissenschaft, Universitat Hohenheim, Garbenstrasse 30, D-70599 Stuttgart, Germany.; Archives of microbiology(GERMANY) Dec 1998 171(1) p.66-8 ISSN: 0302-8933)
하) 제노리올
① 제라니올성 정유 방향성분이 12개 진균 그람 양성구균 및 음성 구군에 대한 항균력 있음이 검증되었다. (Pattnaik S etc., Department of Microbiology, Regional Medical Research Centre,(ICMR) Bhubaneswar, Orissa, India.; Microbios(England) 1997 89(358) p.39-46 ISSN: 0026-2633)
② 제라니올 및 시트롤이 인체 AID 및 진균 성장억제기능 있음이 검증되었다. (Viollon C etc., Laboratory of Botany, Faculty of Medicine and Pharmacy, Besancon, France.; Mycopathologia(NETHERLANDS) Dec 1994 128(3) p.151-3 ISSN: 0301-486X)
③ 제라니윰 정유가 인체 알레르기 반응억제력 있음이 검증되었다. (Chaumont JP etc., Laboratoires de Botanique et de Cryptogamie, Faculte de Medecine et de pharmacie, Besancon.; Annales pharmaceutique francaises(FRANCE) 1992 50(3) P.156-66 ISSN: 0003-4509)
거) 시스틴은 생체 세포내에서 메치오닌 세린으로부터 합성되며 시스테인 으로 산화 전환하기도 하고 인체 장내 및 근세포내 유독 방향족 화합물과 축합하여 해독 항균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검액 성분을 추출 규명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가) 메탄올에 의한 포릭산 추출법
안도(Ando)등의 수초화 n-부탄올 분획법에 의했다. 모자반 50g을 평량하여 환류 응축기가 부착된 둥근 플라스크(2중 추출장치: EYELA Evaporator Aspirator a-3s : Tokyo Rikakikai Co. )에 넣고, 50%의 뜨거운 메탄올 500ml를 가해 75∼100℃의 수욕상에서 8.5시간씩 3회 가열 추출여과 한다.
65℃ 수욕상에서 감압시켜 용매를 증류제거시키고 다시 물로 현탁한다.
이를 다시 3회 추출한 다음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수층을 취한다. 다시 n- 부탄올로 2회 분획하여 n-부탄올층을 얻은 다음 75∼85℃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하여 포릭산을 얻는다. 이를 다시 메탄올에 용해시켜 63℃에서 가열, 감압, 여과한다. 다시 63℃ 수욕상에서 가압 농축하여 포릭산을 추출한다.
(나) 증류수에 의한 포릭산 추출법
모자반을 부위별로 각 50g씩 평량하여 둥근 플라스크 2중 추출장치 (상기 가)에 넣고 증류수 50ml를 더해 4.5시간 가열 추출하여 감압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다시 증류수로 현탁한 다음 상기(가)의 방법으로 포릭산을 추출 한다.
(다) 알라닌, 아스파트 산, 글루탐산, 프로린, 트레오닌, 발린, 리날놀( Linalool)
시스테인의 추출은 유 오 리(U. O. Lee; 1965, 1975, 1976,1978, 1979) 도. 아이(1953), 키타자와(1953), 마추시마(1928), 나카미(1909), 다카오(1980, 1981, 1982), 더뷸유 시 커팅(1971)법에 의했다.
*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
예의 범위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자반을 영일만을 중심으로 한 한국 동해연해 청정 해수지역 일원에서 채집, 수집, 선정한후 기원을 감정하고 동정하였다.
대한 약전 시험법에 따라 통상의 생약 세절기로 생약을 5mm로 세절하고, 생약 중량 100g당 300∼900g 범위의 증류수를 주입한후 100g이 될 때까지 대략 3∼6시간 중탕기로 중탕하여 100g의 검액을 수득 했다.
이때 중탕기구는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플라스크형 중탕기 ( 2중 추출장치 : EYELA. Evaporator A-3S : Tokyo Rikakikai Co. Ltd.)를 사용하였고 중탕시간은 5시간 이었다. 상기 검액을 증류수로 1800배 희석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 예 1에서 얻은 생약 검액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항균력 시험을 했다. 국립보건원으로부터 하기 기술한 세균 균주 10종을 분양 받았다.
A. 세균배양
하기의 조성을 가진 브로쓰(broth)를 제조했다.
·펩톤 17.5g
·비프- 추출물 2.0g
·용해된 스타치 1.5g
·증류수로 100ml을 맞춤
상기 조성의 브로쓰를 pH 7.4로 맞춘후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하였 다. 멸균된 브로쓰에 국립보건원에서 분양받은 10종의 균주를 각각 접균하여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배양기(Incubator)는 모델명 VA-120393(Vision Scientific Co. Ltd.)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것을 시험균액으로 하였다.
B. 시험용 평판배지의 제조
뮤엘러 힌톤 아가(Mueller Hinton Agar (GC : H60623)) pH 7.4, 대한 녹 십자사제 직경 8.5cm 페트리디쉬 평판배지를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후 준비하였다.
C. 생약 검액 페이퍼 디스크의 제조
토요(Toyo) 여과지 No.51을 직경 10mm로 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후 건조시켜 페이퍼 디스크를 제조 했다. 이 디스크에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희석된 생약 검액을 흡수시킨 10개의 디스크를 준비 했다.
D. 디스크 희석법에 의한 항균력 시험
평판배지에 시험균액 0.1ml씩 도말 제습했다. '실시 예 2' 의 C에서 제조된 디스크를 평판배지에 1매씩 수평위치로 부착시켰다. 이를 37±1℃배양기 내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디스크 주변의 항균력가를 측정하였다.
항균력가는 저지직경의 수치로 산정하였고 항균저지직경은 마이크로미터 로 1/1000mm기준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표 1」〈생약에 의한 항균효과〉
표 1의 결과로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물질이E. coli를 비롯한 10개 의 균에 항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발명의 상품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6g의 모자반 추출액 1,000±180 저농도 희석액을 51g/kg 투여량 기준 (1.0∼1.4g)의 가)캡슐제 나)주사제 다)산제 (0.9∼1.4g) 라)환제 마)도포제를 상품화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항균제 모자반은 동해 전 연안에 분포하는 종이며 50% 희석액에서 대장균(E. coli),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바실러스 서브틸리스Do4(Bacillus subtilisDo4),살모넬라 파라티파이A(Salmonella paratyphi A),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2),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Yersinia entercolitica)에 대한 항균력이 높았으며 종자의 포자 번식, 증식, 채취, 추출, 보관, 제약 및 상품화 등이 용이 하다.

Claims (3)

  1.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을 채집, 수집, 선정하고, 기원을 감정한 후 동정하고, 대한 약전 시험법에 따라, 수집한 모자반 생약 세절하고, 생약 중량의 3~9배의 증류수를 상기 생약에 주입하고, 상기 탕액을 중탕시켜서 얻어지는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2. 제1항에서 채집 수득된 모자반 생약 성분이 장관내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소화기 장관내 세균이 대장균(E. coli),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바실러스 서브틸리스Do4(Bacillus subtilisDo4),살모넬라 파라티파이A(Salmonella paratyphi A),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2),예르시니아 엔테르콜리티카(Yersinia entercoliti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KR1020030002054A 2003-01-13 2003-01-13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KR20040064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054A KR20040064462A (ko) 2003-01-13 2003-01-13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054A KR20040064462A (ko) 2003-01-13 2003-01-13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462A true KR20040064462A (ko) 2004-07-19

Family

ID=3735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054A KR20040064462A (ko) 2003-01-13 2003-01-13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44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28B1 (ko) * 2007-11-05 2008-12-02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28B1 (ko) * 2007-11-05 2008-12-02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Enhanced secondary metabolite (tanshinone) production of Salvia miltiorrhiza hairy roots in a novel root–bacteria coculture process
Postma et al. Biological control of Pythium aphanidermatum in cucumber with a combined application of Lysobacter enzymogenes strain 3.1 T8 and chitosan
CN103503930B (zh) 一种植物源农药组合物及其应用
Akinpelu et al. Biocidal effects of stem bark extract of Chrysophyllum albidium G. Don on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P2020506872A (ja) バチルス・サブチリス菌株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急性肝膵臓壊死症(ahpnd)またはホワイトスポット病症候群(wss)の予防または治療用飼料組成物
Narendran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crude extracts from Mangrove-derived Trichoderma species against human and fish pathogens
Shodiyeva et al.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ENDOPHYTIC FUNGI PRODUCING L-ASPARAGINASE IN REPRESENTATIVES OF THE ASTERATCEA FAMILY
KR101877932B1 (ko) 그람미신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henpagam et al. Isolation of endophytic actinomycetes from medicinal plants and its mutational effect in biocontrol activity
CN107836465B (zh) 一种以含有金龟子绿僵菌的发酵液和氟蚁腙为主要活性成分的杀虫组合物
CN1539957A (zh) 淡紫灰链霉菌海南变种及由该菌种制备农用抗生素的方法
Karagoz et al. Antiviral and cytotoxic activity of some lichen extracts
KR20040064462A (ko) 모자반으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균제
Pandey Lichens: a resource chest of herbal antimicrobial compounds
Kaushik et al. Cyanobacteria: antibacterial activity
Ewhea et al. Anti-microbial and anthelminthic activities of Spilanthes filicaulis (Schum. & Thonn.) CD Adams
CN113015432B (zh) 包含硫酸化半乳糖的组合物及其实施方式
Rizk et al.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Oxysporum and Verticillium dahliaeBy Trichoderma harzianum and Gliocladium virens of Two Mint Species
Gherairia et al. Effects of biotic and abiotic factors on th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four Thymus species wild-growing in Northeastern Algeria
Ogbonna et al. Antibacterial Properties of Young and Mature Mango Leaves (Mangifera indica) Extract on Some Clinical Isolates
Pratheeba et al. Studies on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y of Solanum Trilobatum
Jha et al. Hepatotoxicity of Microcystis aeruginosa strains growing as blooms in certain eutrophic ponds
Ordóñez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Plant Species against the Phytopathogens Ralstonia solanacearum, Phytophthora infestans, and Neopestalotiopsis javaensis
Isah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een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 Using Moringa Oleifera Seeds Extracts
Cordero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Endophytic Bacteria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d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