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023A -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 Google Patents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023A
KR20040064023A KR1020030001268A KR20030001268A KR20040064023A KR 20040064023 A KR20040064023 A KR 20040064023A KR 1020030001268 A KR1020030001268 A KR 1020030001268A KR 20030001268 A KR20030001268 A KR 20030001268A KR 20040064023 A KR20040064023 A KR 20040064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extrusion
coating
diffusion groove
uni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772B1 (ko
Inventor
민웅기
Original Assignee
민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웅기 filed Critical 민웅기
Priority to KR10-2003-000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7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6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각종 건축자재, 가구자재 등의 제품을 압출성형토록 하는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금형의 내부에 재료를 고르게 분배토록 하는 분배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성형품의 외표면을 코팅하는 코팅액을 다단계로 고르게 확산토록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폭이 큰 평판재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표면을 일정하게 코팅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평판재의 성형품으로 압출성형토록 하는 금형구조에 있어서, 가열된 성형재료가 투입되는 주입구가 좁고 토출구가 넓은 나팔형의 압출캐비티를 가지고, 이의 내부에는 성형재료를 다단으로 분배하여 토출토록 하는 다수의 분배수단을 갖춘 압출부재와; 상기 압출부재의 전단에 다수개의 단위부재가 다단으로 적층설치되고, 상기 단위부재들의 중심부에는 성형재료로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와 근접되는 외측에는 외부에서 코팅액이 주입되어 다단으로 점차 고르게 확산되도록 확산홈을 갖추어 이루어지는 코팅처리부재와; 상기 코팅처리부재의 전단에 설치되고 성형하고자 하는 성형품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의 성형공을 가지면서 코팅처리부재의 확산홈과 연결되는 성형캐비티를 갖춘 성형다이;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Mold structure for extrusion molding of flat board material}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각종 건축자재, 가구자재 등의 제품을 압출성형토록 하는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금형의 내부에 재료를 고르게 분배토록 하는 분배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성형품의 외표면을 코팅하는 표면처리액을 다단계로 고르게 확산토록 구성함으로써 폭이 넓은 평판재의 제품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표면을 일정하게 표면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압출성형토록 하는 압출성형은 주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파이프, 필름, 전선관, 전선피복, 건축판재, 시트 등 여러 가지 봉재(俸材), 판재(板材), 형재(形材)의 동일단면을 가진 성형품으로 연속성형토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압출성형은 종래에도 이미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예를 들어 종래의 압출성형과정을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1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압출기(1)의 호퍼(2)을 통하여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S) 등 열가소성 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펠릿(pellet) 형태의 재료가 투입되면, 압출기(1)내의 가열실린더내에서 히터에 의해 히팅되어 겔상태로 용해됨과 동시에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면서 그 전단의 금형으로 압출된다.
압출되는 재료는 사이징(sizing)(4)을 통과하면서 정확한 칫수와 설정된 형상의 제품으로 성형되며, 이어서 냉각기(5)를 통과하는 동안 수냉 또는 공냉의 냉각과정을 거쳐 고화됨으로써 성형품을 얻는다.
또한, 상기의 공정으로 성형품이 성형되면, 나란히 설치된 전사기(6)(7)를 통과시켜 표면에 원목 또는 특정무늬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늬지를 전사시키거나 또는 조각기(8)를 거치는 동안 표면이 특정형태로 성형되고, 마지막으로 인출기(9)에 의해 절단기(10)를 통과하는 동안 설정되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압출성형기는 주로 PS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주로 평판재를 성형토록 하는 것으로, 이 경우 PS는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로서 수급이 용이하며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각종 건축자재, 가구자재, 액자틀 등 여러 가지 제품으로 성형하여 활용되고 있다.
PS를 주재료로 하는 평판재는 열전도율이 낮고 보온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단열, 단음, 방음, 방습 등의 효과가 좋으며, 인체에 유해한 요소가 없고 성형기술에 따라 모양과 색상 등을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가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원목을 대체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건축자재, 가구자재 등은 물론이고, 여러 가지 산업분야에서 매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점차 그 적용범위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종래의 압출성형기에 있어서는 금형의 구조적인 특성상 그 폭이 비교적 좁은 크기의 평판재만이 성형이 가능한 것이고, 일정 크기 이상의 넓은 폭을 가지는 평판재를 성형할 경우에는 성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열실린더를 통과하는 동안 가열된 후 금형으로 주입되는 재료는 평판재의 단면과 동일한 다이의 성형공으로 토출되어야만 압출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나, PS 등 열가소성 수지가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좁은 주입구를 통하여 다이의 넓은 성형공으로 충분히 확산되지 못하기 때문에 폭이 비교적 좁은 평판재는 성형이 가능하지만 일정크기 이상의 폭을 가지는 평판재는 성형이 불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압출성형용 금형구조는 그 내부의 압출캐비티가 주입구는 좁고 토출구는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재료가 성형품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넓은 토출구를 향해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금형구조에 있어서는 일정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토출구일 경우 즉, 성형품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주입구로 주입되는 재료가 토출구를 향하여 충분히 확산되지 못하기 때문에 성형이 불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 PS를 주원료로 하는 성형품을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200mm이하의 폭을 가지는 제품만 성형이 가능하고, 그 이상의 폭을 가지는 평판재는 재료가 고르게 확산되지 않기 때문에 성형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PS를 주재료로 하는 성형품은 내구성, 내마모성 등을 감안하고, 또 표면에 각종 무늬지 등으로 전사처리할 경우 작업성의 용이함을 위하여 재활용 재료가 아닌 신재료의 PS를 코팅액으로 하는 표면처리과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에서는 별도의 표면처리기에서 별도의 공정으로 표면처리작업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처리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표면처리액이 성형품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성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는 평판재의 성형품을 압출성형함에 있어서 압출금형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평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건축자재, 가구자재 등 사용범위를 대폭 넓힐 수 있고, 또한 표면의 코팅에 따른 표면처리를 다단으로 행하여 균일한 표면처리가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선된 압출금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즉 압출금형의 내부에는 가열실린더를 통하여 주입되는 재료를 1차 2차로 고르게 분배토록 하는 분배수단을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넓은 평판재의 성형품을 효과적으로 압출성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압출금형의 전단에는 성형품의 표면에 표면처리액을 코팅처리토록 하는 코팅처리금형을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표면처리액을 고르게 확산시켜 코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압출성형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압출성형용 금형구조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도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3의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코팅처리금형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6 내지 도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20:압출부재
21,22:금형 23:주입구
24:토출구 25:압출캐비티
26:제1분배구 27:제2분배구
28:제3분배구 29:연결구
30:조절부재 31:통로
40:코팅처리부재 41:제1단위부재
42:통로 43:주입공
44:확산홈 45:제2단위부재
46:연결공 47:제3단위부재
48:제4단위부재 50:성형다이
51:성형공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압출성형용 금형의 결합단면도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형구조는 펠릿형태로 주입되어 가열실린더에서 1차 가열용융되어 공급되는 재료를 재차 가열용융시켜 압출분배토록 하는 압출부재(20)와, 상기 압출부재(20)의 전단에 설치되어 압을 조절토록 하는 조절부재(30)와, 상기 조절부재(30)의 전단에 다수개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성형품의 표면에 코팅처리토록 하는 코팅처리부재(40)와, 상기 코팅처리부재(40)의 끝단에 설치되어 성형품의 형태를 최종적으로 성형토록 하는 성형다이(50)로 구성된다.
상기 압출부재(20)는 상호 동일한 구조가 서로 맞대어 조립되는 한쌍의 좌.우금형(21)(22)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내부에는 실린더와 연결되어 재료가 주입되는 주입구(23)와 토출되는 토출구(24)를 가지는 압출캐비티(25)가 형성된다.
압출캐비티(25)는 주입구(23)가 좁고 토출구(24)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형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재료가 주입구(23)를 통해 주입되어 토출구(24)로 확산되어 토출된다.
또한, 상기 압출캐비티(25)의 내벽면은 나팔형의 공간을 따라 다단의 턱(25a)을 갖도록 형성되면서도 내부에는 주입구(23)와 근접되는 위치에 재료를 두방향으로 고르게 분배토록 하는 마름모형의 제1분배구(26)가 형성되고, 이의 후방에는 제1분배구(26)에 의해 분배되는 재료를 재차 분배토록 하는 제2 및 제3분배구(27)(28)가 동일한 구조로 나란히 한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분배구(26)는 주입구(23)를 통하여 주입되는 재료를 정확히 양측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전단에는 경사면(26a)을 갖추어 구성됨과 동시에 후단에는 재료의 진행방향으로 가이드면(26b)을 갖추어 구성된다.
또 제2 및 제3분배구(27)(28)는 제1분배구(26)에 의해 분배된 재료를 다시 원활하게 양분토록 하는 것으로 그 전단에 각각 경사면(27a)(28a)을 갖추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입구(23)는 재료가 가열되어 이송공급되는 별도의 가열실린더와 연결부재(29)로서 연결되어 재료를 압출캐비티(25)내로 원활하게 주입하게 되고, 토출구(24)는 성형하고자 하는 성형품의 단면과 대략 비슷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출부재(20)의 토출구(24)에 체결되는 조절부재(30)는 토출구(24)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통로(31)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통로(31)는 중심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는 잘록한 형태의 통로로 구성되어 이를 통과하는 재료의 이송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즉, 조절부재(30)의 통로(31)를 통하여 토출되는 재료는 중심부의 좁은 내경에 의해 부하가 걸려서 압출에 따른 압력을 증가시키게 되어 재료의 고른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30)와 연결되는 코팅처리부재(40)는 압출성형되는 성형품의 외표면에 코팅액을 코팅처리토록 하는 것으로, 이는 다수개의 단위부재들이 다단으로 적층구비된다.
상기 코팅처리부재(40)의 제1단위부재(41)는 중심부에 압출되는 재료가 통과되는 통로(42)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외부의 주입공(43)을 통하여 코팅액이 주입되어 확산되는 확산홈(44)이 형성된다.
상기 확산홈(44)은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만 형성되어 주입공(43)을 통하여 주입되는 코팅액이 일측으로만 확산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단위부재(41)에 결합되는 제2단위부재(45)는 역시 중심부에 동일한 통로(42)를 가지면서 일측면에는 사방향으로 확산홈(44)이 형성됨과 동시에 중심부에는 제1단위부재(41)의 확산홈(44)과 연통되는 연결공(46)이 상,하로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단위부재(41)(45)가 나란히 결합될 경우 상기 연결공(46)에 의해 양측의 확산홈(44)이 서로 연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단위부재(47)는 제2단위부재(45)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확산홈(44)의 상,하 한쌍의 연결공(46)이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는 것이고, 마지막 제4단위부재(48)는 역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상,하 한쌍의 연결공(46)이 중심부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팅처리부재(40)의 끝단에 설치되는 성형다이(50)는 최종적으로 압출성형되는 성형품의 단면과 동일한 성형공(51)이 형성되고, 이 성형공(51)은코팅처리부재(40)의 마지막 제4단위부재(48)의 확산홈(46)과 연통됨으로써 성형품을 최종적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외표면을 코팅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압출시스템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압출기(1)의 호퍼(2)를 통하여 투입되는 성형재료는 실린더를 이송하는 동안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가소화되면서 압출부재(20)의 주입구(23)를 통하여 금형(21)(22)내의 압출캐비티(25)로 주입된다.
압출캐비티(25)로 주입되는 성형재료는 중심부에 형성된 마름모꼴의 제1분배구(26)에 의해 그 양이 양측으로 절반씩 고르게 분배되고, 이어서 나란히 형성된 제2 및 제3분배구(27)(28)에 의해 또다시 절반씩 나란히 분배되어 토출구(12)를 통하여 고르게 토출된다.
즉, 압출캐비티(25)는 주입구(23)측은 좁고 토출구(24)측은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주입되는 성형재료를 1차로 양분하면서 압출하였다가 다시 양분된 성형재료를 재차 양분함으로써 고르게 토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출부재(20)를 통과하는 성형재료는 그 토출구(24)측에 설치된 조절부재(30)의 잘록한 통로(31)를 통과하는 동안 토출압력이 조절됨으로써 고른 분배가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이송의 안정감이 유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조절부재(30)를 통과하는 성형재료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처리부재(40)를 통과한 후, 그 전단에 설치된 성형다이(50)의 성형공(51)을 통과하면서 성형품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성형품은 성형다이(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그 외표면에 코팅액이 코팅되는데, 즉 외부에서 공급되는 코팅액은 주입공(43)을 통하여 먼저 제1단위부재(41)의 확산홈(44)으로 주입된다.
상기 제1단위부재(41)의 확산홈(44)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만 형성됨에 따라 주입되는 양을 조절하면서 확산의 시작단계를 이루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단위부재(41)의 확산홈(44)으로 주입된 코팅액은 그 전단에 설치된 제2단위부재(45)의 연결공(46)을 통하여 제2단위부재(45)의 확산홈(44)으로 주입되어 전체로 확산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단위부재(45)의 확산홈(44)을 거친 코팅액은 다수개의 연결공(46)을 통하여 제3단위부재(47) 및 제4단위부재(48)를 차례차례로 거치는 동안 재차 삼차 고르게 확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코팅액이 고르게 확산됨은 성형품의 표면에 코팅처리시 고르게 도포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제품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코팅처리부재(40)를 통과하는 코팅액은 성형다이(50)의 성형캐비티내에서 성형다이(50)의 성형공(51)으로 유입되어 상기 성형공(51)으로 통과되는 성형품의 외표면에 코팅처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외표면에 코팅처리까지 완료되어 성형되는 성형품은 사이징(4)을 통과하면서 설정되는 정확한 사이즈와 모양의 제품으로 성형되어 냉각기(5)를 거치는 동안 수냉 또는 공냉식으로 냉각된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전사기(6)(7) 및 조각기(8)를 통과하는 동안 표면에 각종 무늬모양의 전사지가 전사됨과 아울러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로 하는 조각이 성형되고, 인출기(9)에 의해 절단기(10)를 통과하면서 설정된 크기로 절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압출부재(20)의 내부에 재료를 고르게 분산토록 하는 다수개의 분배구를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평판재의 성형품을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고, 또한 성형품의 외표면에 코팅처리를 보다 원활하고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출부재(20)의 내부에 통과되는 재료를 고르게 분배토록 하는 분배구를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전술한 실시예보다는 비교적 폭이 좁은 경우의 성형품을 성형할 시에 적합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7에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압출부재(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배구(26)를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하더라도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재료를 분배토록 하는 분배구를 1차, 2차로 분배토록 2열로 구성한 것이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차단계로 분배할 수 있도록 분배구를 3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스티렌 재질을 이용하여 각종 건축내외장재, 인테리어 용품, 싱크대, 가구제품 등으로 사용되는 평판재를 압출성형함에 있어서, 성형품의 형태를 압출성형토록 하는 금형의 내부에 재료를 원활하게 분배토록 하는 분배구를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폭이 긴 평판재도 성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금형의 내부로 주입되는 재료를 평판재의 폭의 길이만큼 1차, 2차 다단으로 골고루 분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재료의 양을 분배하지 못하여 폭이 넓은 성형품을 성형할 수 없던 단점을 해소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200mm이하의 폭을 가지는 평판재만을 성형할 수 있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그 이상의 폭을 가지는 평판재도 성형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성형품의 외표면에 코팅액을 코팅처리를 함에 있어서, 주입되는 코팅액을 다단으로 분산하여 고르게 확산시킨 다음, 성형되는 성형품에 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코팅액의 고른 분포로 코팅효율의 향상과 제품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재질로 하는 다양한 제품을 재활용할 수 있고, 더욱이 폭이 넓은 평판재의 건축자재를 성형할 수 있음에 따라 재활용의 범위를 보다 폭넓게 적용할 수 있고, 더나아가 값싼 합성수지를 고급스러운 재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열가소성 수지를 평판재의 성형품으로 압출성형토록 하는 금형구조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가열된 성형재료가 투입되는 주입구가 좁고 토출구가 넓은 나팔형의 압출캐비티를 가지고, 이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분배구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재료를 고르게 분배토출토록 하는 압출부재와;
    상기 압출부재의 전단에 다수개의 단위부재가 다단으로 적층설치되고, 상기 단위부재들의 중심부에는 성형재료로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와 근접되는 외측에는 외부에서 코팅액이 주입되어 다단으로 점차 고르게 확산되도록 확산홈을 갖추어 이루어지는 코팅처리부재와;
    상기 코팅처리부재의 전단에 설치되고 성형하고자 하는 성형품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의 성형공을 가지면서 코팅처리부재의 확산홈과 연결되는 성형캐비티를 갖춘 성형다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재내의 압출캐비티는 내부의 양측벽을 직선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재료를 고르게 분배토록 하는 분배구를 적어도 3단계 이상의 다단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캐비티내의 분배구를 마름모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4.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캐비티내의 분배구를 타원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처리부재(40)는 중심부에 재료가 압출되어 통과되는 통로(42)를 가지면서 일측면에는 주입공(43)을 통해 코팅액이 주입되어 확산되는 확산홈(44)을 절반으로 갖춘 제1단위부재(41)와,
    상기 제1단위부재(41)와 결합되면서 일측면에는 통로(42)의 외주연을 따라 근접되게 사방향으로 확산홈(44)이 형성되고, 중심부의 상,하에는 제1단위부재(41)의 확산홈(44)과 연통되는 연결공(46)을 갖춘 제2단위부재(45)와,
    상기 제2단위부재(45)에 연결되고 동일한 형태의 확산홈(44)을 가지면서 제2단위부재(45)의 확산홈(44)과 좌,우측에 한쌍의 상,하 연결공(46)으로 연통되는 제3단위부재(47)와,
    상기 제3단위부재(47)에 연결되고 동일한 형태의 확산홈(44)을 가지면서 제3단위부재(47)의 확산홈(44)과 좌,우 및 중앙부에 한쌍의 연결공(46)으로 연통되는 제4단위부재(4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KR10-2003-0001268A 2003-01-09 2003-01-09 평판재 압출성형의 코팅장치 KR100538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268A KR100538772B1 (ko) 2003-01-09 2003-01-09 평판재 압출성형의 코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268A KR100538772B1 (ko) 2003-01-09 2003-01-09 평판재 압출성형의 코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627U Division KR200314784Y1 (ko) 2003-01-09 2003-01-09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023A true KR20040064023A (ko) 2004-07-16
KR100538772B1 KR100538772B1 (ko) 2005-12-23

Family

ID=3735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268A KR100538772B1 (ko) 2003-01-09 2003-01-09 평판재 압출성형의 코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7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913B1 (ko) * 2008-08-22 2010-09-03 김기영 다중 공압출 금형
KR20180107831A (ko) * 2017-03-23 2018-10-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난연성 플라스틱 패널의 압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플라스틱 패널의 제조방법
WO2022067234A1 (en) * 2020-09-28 2022-03-31 Neuvotec, Llc Extrusion or mold process and assembly for forming a material incorporating a structural plank interior in combination with a polym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913B1 (ko) * 2008-08-22 2010-09-03 김기영 다중 공압출 금형
KR20180107831A (ko) * 2017-03-23 2018-10-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난연성 플라스틱 패널의 압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플라스틱 패널의 제조방법
WO2022067234A1 (en) * 2020-09-28 2022-03-31 Neuvotec, Llc Extrusion or mold process and assembly for forming a material incorporating a structural plank interior in combination with a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772B1 (ko) 200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779B1 (ko) 동시 압출 장치
CA2738798C (en) Dies for making extruded synthetic wood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6716522B2 (en) Molded article from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5232751A (en) Vinyl sheet article presenting striated color patter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1912775B1 (en) Extrusion die and process for producing an extruded filled polymer composition
GB2338923A (en) Apparatus for extruding plastic multi-layer films, sheets or tubes
KR100918797B1 (ko)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0523128B1 (ko) 표면에 나무질감의 무늬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조하기위한 장치
KR100538772B1 (ko) 평판재 압출성형의 코팅장치
US4015925A (en) Extrusion equipment and especially die structure for making plastic siding
CN201371530Y (zh) 塑料制品生产设备
KR200314784Y1 (ko)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CN111152437A (zh) 一种控制木塑复合材料混色流纹的生产装置
KR100538773B1 (ko) 평판재 발포성형품의 성형장치
KR100845275B1 (ko)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KR200352652Y1 (ko) 압출성형용 금형부재
CN101804690B (zh) 一种生产超高分子量聚乙烯500-2000mm幅宽板材的挤出模具
KR101732805B1 (ko) 타일의 연속 성형장치
KR200258362Y1 (ko) 나무질감의 무늬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압출성형장치 및 그 제품
KR100971234B1 (ko) 이중 피복 금형
KR200314785Y1 (ko) 발포성형품의 성형장치
CN110667071A (zh) 一种用于生产彩条型产品的挤出平模头
KR101219975B1 (ko) 멀티 컬러 목무늬 패턴 압출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압출 성형품
KR20050048583A (ko) 표면에 나무질감의 무늬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조하기위한 방법
CN214726342U (zh) 一种挤出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