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2351A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2351A
KR20040062351A KR1020030000163A KR20030000163A KR20040062351A KR 20040062351 A KR20040062351 A KR 20040062351A KR 1020030000163 A KR1020030000163 A KR 1020030000163A KR 20030000163 A KR20030000163 A KR 20030000163A KR 20040062351 A KR20040062351 A KR 2004006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supply member
plan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814B1 (ko
Inventor
김미혜
Original Assignee
김미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혜 filed Critical 김미혜
Priority to KR10-2003-000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8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33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with special means of locking the nail to the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05Heads, i.e. proximal ends projecting from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4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hollow, e.g. with socket or cann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65Nuts
    • A61B2017/867Nuts with integral locking or clamping means
    • A61B2017/8675Nuts with integral locking or clamping means clamping effect due to tapering, e.g. conical thr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적인 용수 공급과 식재의 간편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둘레면 및 하단이 밀봉되어 식재를 수용하는 식재수용함과, 상기 식재수용함 바닥면에 구비되어 식재의 뿌리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부재와, 상기 식재수용함의 내측부에 구비되어 소정 공간을 이루는 용수수용홈과, 상기 용수수용홈에 장착되는 용수통과, 상기 용수통으로부터의 용수를 흡수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재에 상기 용수를 제공하는 용수흡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분{THE POLLEN}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적인 용수 공급과 식재의 간편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초, 또는 인동초 등과 같은 관엽수는 통상 입자로된 배양석을 충전시킨 토기나 도자기에 식재하고 배양석에 흡수된 수분에 의하여 식재된 난초 등의 뿌리 주변의 수분이 조절 공급되게 하여 재배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난초와 같은 관엽수의 경우 화분에 공급되는 수분이나 뿌리 주변의 습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 재배상의 특성이 있어, 과다히 수분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뿌리가 폐사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수분의 공급이 부족할 때에는 난초가 고사되는 현상이 쉽게 나타나 비교적 고가의 난초 등은 그 재배가 어려운 관상수로 인식되고 있어 이의 재배에 많은 정성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방편으로 종래에는 화분내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이중화분을 제시한 바 있다.
이중화분은, 화분의 내부공간에 물수용부를 형성하여 습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이중화분은 식물에 항상 필요한 분량의 수분을 공급하여, 수분 과잉으로 인한 뿌리의 부패를 방지함은 물론 수분부족으로 인한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미국특허공보(4.735.016호)에 의하면, 화분(100)의 바닥면에 물수용부(110)와 오우버플로우관(120)을 설치하여, 물수용부(110)에 수용되는 수분이 과잉되는 경우 오우버플로우관(120)으로 배출하여, 화분(100)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출원된 바 있다.
그런데, 미국특허공보에 의하면, 화분(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물수용부(110)의 증발수분을 이용하여 습도를 유지하므로, 화분(100)내의 전체적인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뿌리가 썩을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분바닥면의 통기불량으로 인해 미생물이 번식하여 비위생적임은 물론 물수용부(110)내 수분존재량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대한민국실용공보(공고번호:71-210호)에 의하면, 화분(200)을 내/외부벽체(210,220)의 이중몸체로 성형하여 그 바닥면에 물수용부 (230)를 형성한 다음, 배수공(240)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을 물수용부(230)에 보관하여, 식물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출원된 바 있다.
그런데, 대한민국실용공보의 화분(200)에 의하면, 내/외부벽체(210,220)의 바닥면에 물수용부(230)가 형성된 상태로서, 예컨대 외부벽체(210)에 다수개의 공기공(250)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물저장부(230)의 통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식물뿌리가 썩을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재에 필요한 용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절결사시도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식재수용함 20 : 용수공급부재
22 : 그물망 24 : 용수흡수판
26 : 비닐면 30 : 수용홈
40 : 용수통 50 : 용수저장함
60 : 용수흡수수단 70 : 보호수단
90 : 부포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화분은, 둘레면 및 하단이 밀봉되어 식재를 수용하는 식재수용함과, 상기 식재수용함 바닥면에 구비되어 식재의 뿌리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부재와, 상기 식재수용함의 내측부에 구비되어 소정 공간을 이루는 용수수용홈과, 상기 용수수용홈에 장착되는 용수통과, 상기 용수통으로부터의 용수를 흡수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재에 상기 용수를 제공하는 용수흡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둘레면 및 하단이 밀봉되어 식재를 수용하는 식재수용함과, 상기 식재수용함 바닥면에 구비되어 식재의 뿌리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부재와, 상기 식재수용함의 내측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는 용수통과, 상기 용수통으로부터의 용수를 흡수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재에 상기 용수를 제공하는 용수흡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식재수용함은 다각형상을 가지며, 특히 종래의 화분과 달리 배수공이 없는 화분으로서, 흙을 초벌구이한 토기화분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수공급부재는 상기 식재수용함 바닥면에 깔리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수흡수수단으로부터의 용수를 흡수하여 측면으로 신속히 고루 퍼지게 하는 용수흡수판과, 상기 용수흡수판 상부에 위치하며 흙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비닐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설명하기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 및 하단이 밀봉된 식재수용함(10)을 제공한다. 상기 식재수용함(10)은 종래의 화분과 달리 배수공이 없는 화분으로서, 흙을 초벌구이한 토기화분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라코타(Terra-Cotta)분으로서, 통기성이 좋은 점토(粘土)를 이용하여 구운 화분이다. 이러한 통기성이 좋은 테라코타분은 통기성이 좋기 때문에 용수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용수공급 시 실내의 가습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식재수용함(1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식재수용함(10) 바닥면에 마련되어 식재의 뿌리로 용수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용수공급부재(20)가 제공된다. 상기 용수공급부재(20)는 식재수용함(10) 바닥면에 깔리는 그물망(22)과, 상기 그물망(22) 상부에 위치하며 용수를 측면으로 신속히 고루 퍼지게 하는 용수흡수판(24)과, 상기 용수흡수판(24) 상부에 위치하며 흙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비닐면(26)으로 구성된다.
상기 그물망(22)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흙에 의한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용수흡수판(24)의 보습공간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물망(22)은 식재수용함(10)의 바닥면에 직접 맞닿는 면으로서 수분이 화분으로의 유출을 최대한 막고, 가능한 흙쪽으로 수분을 최대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식재수용함(10)의 물구멍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식재의 잔뿌리에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뿌리의 건강한 생장을 최대한 보장한다.
그리고, 상기 용수흡수판(24)은 용수를 간직하고, 측면으로 용수가 고루 퍼지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용수흡수판(24)은 코팅면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후술되는 용수흡수수단으로부터 용수를 신속하게 흡수, 확산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 상기 비닐면(26)은 흙과 직접 맞닿는 면으로 상기 용수흡수판(24)의 흙에 대한 오염을 최대한 방지하고, 수분만을 흙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용수흡수판(24)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도록 하며 용수흡수판(24)의 보습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상기 식재수용함(10)의 내측부에 소정공간을 이루는 용수수용홈(30)을 구비한다. 상기 용수수용홈은 사각공간의 모서리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며, 그 활용모양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등으로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수수용홈(30)에는 용수를 저장하는 용수통(40)이 장착되는데, 상기 용수수용홈(30)과 상기 용수통(40)은 서로 착탈식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에는 용수통(40)이 착탈식으로 이루어진 화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화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용수통(40)은 용수를 저장하는 저장함(42)과, 용수의 통로가 되는 용수토출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수토출부(44)는 용수통(40)이 바닥에 눌려지면 봉(46)을 통해 일정량의 용수가 저장함(42)으로부터 흘러나오게 된다.
이러한 용수통(40) 하단에는 상기 용수통(40)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일정량의 용수를 저장할 수 있는 용수저장함(50)이 구비되며, 상기 용수저장함(50) 내측면에는 상기 용수를 흡수, 전달하는 용수흡수수단(60)이 구비되어 있다.용수흡수수단(60)은 상기 용수공급부재(20)의 그물망(22)과 용수흡수판(24)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용수저장함(50)으로부터의 용수를 신속히 흡수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재(20)의 용수흡수판(24)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수흡수수단(60)은 바람직하게 용수심지를 이용하며, 용수흡수수단(6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용수저장함(50) 및 용수공급부재(20) 이외의 노출되는 부분을 감싸는 보호수단(70)이 장착되게 된다.
상기 보호수단(70)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용수저장함(50) 측부에 일체형으로 금형화하여 상기 용수흡수수단(60)을 끼워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닐호스를 이용하여 용수흡수수단(6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고급으로 사용하기 위해 PVC 파이프용 ㄱ앵글을 용수저장함(50)에 결합하고, 비닐호스를 상기 ㄱ앵글에 결합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수단(70)의 사용으로 인해 용수흡수수단(60)으로 흡수되는 용수를 중간에 최대한 손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중간에 이물질이 흡수되어 용수심지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용수흡수수단(60)은 용수저장함(50)에서부터 용수공급부재(20) 사이에 이를 때까지 흙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C 파이프용 ㄱ앵글 대신 실리콘으로 보호수단(70)의 상부 및 노출된 용수흡수수단(60)을 감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수용홈(30)과용수통(40)이 일체형으로 된 화분에 있어서, 상기 용수통(40) 상단부에 용수흡수수단(6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홈이 파여져 있고, 용수흡수수단(60)이 상기 홈 부분에 끼워져 있다. 또한 용수통(40) 측부에 용수흡수수단(60)을 고정하면서 오염방지를 위한 보호수단(70)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보호수단(70)의 상측 및 용수흡수수단(60)의 노출부위를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리콘을 접착하여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의 용수통(40) 내에 용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삽입함으로써, 용수통(40)에 용수의 공급 여부를 외부에서 간단히 알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통 내에 남은 용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용수량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는 부포(90)를 삽입함으로써, 손쉽게 용수의 저장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부포(90)는 잔류하는 용수의 양을 표시할 수 있도록 디자인이 예쁜 봉(92)과 접착되어 용수의 저장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저면에 배수공이 있는 화분을 이용하여 종래보다 간편히 화분내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용수공급부재(20)의 그물망(22)과 용수흡수판(24)사이에 용수흡수수단(60)을 고정시킨 다음, 상기 용수흡수수단의 끝단부를 화분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분받침대(80)에 용수를 저장하여 놓음으로써, 상기 용수흡수수단(60)의 끝단부를 통해 흡수된 용수가 신속히 용수공급부재(20)로 공급되어 식재의 뿌리에 원활이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존의 화분 상부에서 용수를 공급하던 방식과 달리, 거꾸로 화분받침대에 용수를 항상 저장하여 두면, 자동적으로 수분이 식재의 뿌리까지 전달되어 효과적으로 화분내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용수를 신속히 흡수할 수 있는 용수흡수수단과, 용수흡수판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화분내의 수분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배수공이 없는 식재수용함을 화분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실내용 화분을 꾸밀 때, 종래의 화분 받침대가 필요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화분을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셋째, 용수통 내에 용수 저장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부포를 삽입함으로써, 날씨의 상태에 관계없이 급수 시기를 파악하여 종래의 식물이 고사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식재수용함을 테라코타분을 사용함으로써, 그 둘레면의 면적에 따른가습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둘레면 및 하단이 밀봉되어 식재를 수용하는 식재수용함과,
    상기 식재수용함 바닥면에 구비되어 식재의 뿌리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부재와,
    상기 식재수용함의 내측부에 구비되어 소정 공간을 이루는 용수수용홈과,
    상기 용수수용홈에 장착되는 용수통과,
    상기 용수통으로부터의 용수를 흡수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재에 상기 용수를 제공하는 용수흡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수용함은 다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부재는 상기 식재수용함 바닥면에 깔리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수흡수수단으로부터의 용수를 흡수하여 측면으로 신속히 고루 퍼지게하는 용수흡수판과,
    상기 용수흡수판 상부에 위치하며, 흙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비닐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수용홈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용수통으로부터의 용수를 저장하는 용수저장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흡수수단은 상기 용수저장함 내측 및 상기 용수공급부재 사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통은 용수를 저장하는 저장함과,
    상기 용수의 출입 통로가 되는 용수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용수통을 상기 용수수용홈에 장착하면 상기 용수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용수가 상기 용수흡수수단에 의해 상기 용수공급부재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통은 상기 저장함 내에 용수측정용 부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통과 상기 용수공급부재 사이의 상기 용수흡수수단을 보호하는 오염방지용 보호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용 보호수단의 상부 및 노출된 용수흡수수단을 감싸 오염을 방지하는 보조보호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0. 둘레면 및 하단이 밀봉되어 식재를 수용하는 식재수용함과,
    상기 식재수용함 바닥면에 구비되어 식재의 뿌리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부재와,
    상기 식재수용함의 내측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는 용수통과,
    상기 용수통으로부터의 용수를 흡수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재에 상기 용수를 제공하는 용수흡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통 상단부에 상기 용수흡수수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소정의 홈이 구비되어, 상기 용수통에 저장된 용수가 상기 용수흡수수단에 의해 상기 용수공급부재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통 내부에 용수측정용 부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부재는 상기 식재수용함 바닥면에 깔리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수흡수수단으로부터의 용수를 흡수하여 측면으로 신속히 고루 퍼지게하는 용수흡수판과,
    상기 용수흡수판 상부에 위치하며, 흙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비닐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통과 상기 용수공급부재 사이의 상기 용수흡수수단을 보호하는 오염방지용 보호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10-2003-0000163A 2003-01-02 2003-01-02 화분 KR10051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163A KR100518814B1 (ko) 2003-01-02 2003-01-02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163A KR100518814B1 (ko) 2003-01-02 2003-01-02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351A true KR20040062351A (ko) 2004-07-07
KR100518814B1 KR100518814B1 (ko) 2005-10-04

Family

ID=3735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163A KR100518814B1 (ko) 2003-01-02 2003-01-02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6970A (zh) * 2015-10-19 2017-04-26 杨昆谊 蓄水自动浇灌花盆
CN107568042A (zh) * 2017-10-12 2018-01-12 杭州敦和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层花盆
CN107801522A (zh) * 2017-12-15 2018-03-16 南通理工学院 一种懒人吸水花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814B1 (ko) 200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254B2 (en) Moulded body for improving cultivation conditions for plants
US6918207B2 (en) Moisturized, soilless, root-culture planter
US5836106A (en) Plant watering control device
US103421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rtical hanging plant container
US5329729A (en) Plant irrigation system
US20180084743A1 (en) Pot flower
US4791755A (en) Substrate for a cultivated plant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0518814B1 (ko) 화분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100403830B1 (ko) 식물 재배용 화분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JP6170291B2 (ja) 自動水遣り装置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JP3262724B2 (ja) 栽培装置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KR20080073423A (ko) 외부돌출부 자동급수장치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US20140059929A1 (en) Self contained planter for growing seeds
JP2003102279A (ja) 栽培容器、並びに該栽培容器を用いた栽培装置、栽培設備及び栽培方法
JPH08154509A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KR200246697Y1 (ko) 식물 재배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