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907A -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907A
KR20040061907A KR1020020088209A KR20020088209A KR20040061907A KR 20040061907 A KR20040061907 A KR 20040061907A KR 1020020088209 A KR1020020088209 A KR 1020020088209A KR 20020088209 A KR20020088209 A KR 20020088209A KR 20040061907 A KR20040061907 A KR 20040061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uring agent
resin
powder coating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수
현재규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to KR102002008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1907A/ko
Publication of KR2004006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90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 유색안료, 체질안료 및 통상의 첨가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당량이 300 ∼ 600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 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첨가하고, 경화제로 당량이 80 ∼ 90인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드계 경화제를 사용하여 무독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저온 경화성, 기계적 물성, 내후성이 우수하며, 내식성이 크게 개선된 무독성 저온 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Non toxic low temperature curable polyester powder coatings composition}
본 발명은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 유색안료, 체질안료 및 통상의 첨가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당량이 300 ∼ 600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 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첨가하고, 경화제로 당량이 80 ∼ 90인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드계 경화제를 사용하여 무독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저온 경화성, 기계적 물성, 내후성이 우수하며, 내식성이 크게 개선된 무독성 저온 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제조시 경화반응에 이용되는 경화제로는 일반적으로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뉴레이트(T.G.I.C)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왔다. 상기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뉴레이트는 내후성 및 기계적 물성 뿐만 아니라 저온 속경화가 다른 경화제에 비해 비교적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화제는 유전자 변이성이 강한 독성물질로 그 사용 범위가 점점 제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뉴레이트 경화제가 가진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독성문제로 사용에 제한을 받아 독성문제 개선을 위해 새로운 경화제로 도입에 관한 여러 가지가 선보이고 있다.
새로운 여러 경화제중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가 무독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경화제로 알려져 있으나, 무독성인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는 기존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뉴레이트에 비해 저온 경화가 어렵고, 내식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어온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의 독성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은 기본수지에 무독성인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드계 경화제를 도입하여 해결하였으나, 상기 경화제는 저온경화의 어려움과 내식성 저하 등의 결함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경화제와 함께 저온에서 반응성이 우수하고 가교도를 높일 수 있는 저당량의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를 첨가하여 분체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으로 제조하여 무독성이면서, 기계적 물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저온경화성과 내식성이 크게 향상되어 유아용 완구, 의료기기, 주방용 설비 및 기구 뿐만 아니라 건자재 내외부용, 기타 철구조물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무독성 저온 경화형 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 유색안료, 체질안료 및 통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체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당량이 300 ∼ 600 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 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5 ∼ 25 중량% 포함되고,
상기 경화제로 당량이 80 ∼ 90인 하이드록시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 5 ∼ 10 중량% 포함된 저온 경화성 무독성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55 ∼ 70 중량%, 유색안료 15 ∼ 30 중량%, 체질안료 5 ∼ 10 중량%, 첨가제 1 ∼ 2 중량%, 당량이 300 ∼ 600 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 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5 ∼ 25 중량% 및 당량이 80 ∼ 90인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 5 ∼ 10 중량%부를 경화반응 시켜 제조된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로 무독성이며, 또한 상기 경화제와 함께 저당량의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의 선택사용으로 저온 속경화가 가능하고 내식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한 저온 경화성 무독성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함께 경화제로 인체에 무해한 무독성의 당량이 80 ∼ 90인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경화제의 당량이 80 미만이면 도막 형성시 레벨링에 문제가 있고, 90을 초과하면 속경화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화제는 예를 들면 롬맨하스사의 XL-552 제품이 있으며, 이는 분자량이 320, 용융온도가 120 ℃이다. 상기 당량이 80 ∼ 90인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경화제는 5 ∼ 10 중량%를 사용하며, 사용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경화 촉진성이 저하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막 형성시 레벨링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독성의 당량이 80 ∼ 90인 하이드록실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 도입으로 상기 분체도료 조성물의 저온경화와 내식성 문제 해결을 위해, 300 ∼ 600 당량의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를 상기 경화제와 함께 사용한다. 상기 저당량의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는 반응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도막의 가교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상기 경화제 도입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수지의 당량이 300 미만이면 도막 형성시 레벨링에 문제가 발생하고 600을 초과하면 경화 촉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사용된 아크릴 수지 중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수지는, 연화점이 90 ∼ 120 ℃(메틀러 에프피-83), 유리전이온도가 50 ∼ 70 ℃(디에스씨. 듀퐁), 에폭시 당량이 300 ∼ 600인 것으로 예를 들면 지.엠.에이 300(월리사), 존크릴 1850(존슨 폴리머사)등의 제품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할 수 있다.또한 상기의 글리시딜 수지와 선택 사용되는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수지는 연화점이 100 ∼ 130 ℃, 산값이 90 ∼ 150 mg KOH/g, 유리전이 온도는 50 ∼ 80 ℃인 것으로 예를 들면 존크릴 819, 존크릴 820, 존크릴 821, 존크릴 822, 존크릴 839(존슨 폴리머사)등의 제품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는 5 ∼ 25 중량% 사용되며, 5 중량% 미만이면 경화촉진에 문제가 있고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도막 형성시 레벨링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글리시딜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에서 제시한 연화점, 산값, 유리전이 온도, 에폭시 당량 등의 제한된 범위를 벗어난 범위, 즉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경화촉진 효과가 저하되고 충분한 가교를 기대할 수 없어 내식성의 저하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가 촉진되어 소부시 충분한 흐름을 가질 수 없어 외관이 지극히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를 수지 제조에 이용되는 내후성이 우수한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산값이 20 ∼ 60 mg KOH/g, 용융점도는 20 ∼ 50 poise(200 ℃, 아이.시.아이 점도계), 유리전이온도는 50 ∼ 70 ℃(디에스씨. 듀퐁), 연화점은 100 ∼ 130 ℃(메틀러 에프피 83) 중량 평균 분자량은 6,000 ∼ 10,000인 것이며 예를 들면 P812, P8580(디.에스.엠사), 레아프리 4703(크레이벨리사)등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값이 20 mg KOH/g 미만일 경우 저온에서 반응성이 떨어져 물성이 저하되어 기계적 물성 및 내후성의 저하를 가져오고, 60 mg KOH/g을 초과할 경우에는 반응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어 외관이 저하 및 저장성 불량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용융 점도가 20poise 미만이며 저장성불량이 나타나고, 50 poise를 초과할 경우 외관불량의 원인이 된다.
상기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수지는 55 ∼ 70 중량% 사용되며, 상기 사용량이 55 중량% 미만이면 도막 형성시 레벨링에 문제가 발생하고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저온경화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도료의 착색을 위한 안료 중 유색안료는 백색에는 예를 들면 티타늄 디옥사이드의 통상의 것을 사용하며, 체질 안료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하이드로옥사이드 계통, 실리카 계통, 바륨설페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분체도료의 물성 향상을 위한 일반적인 첨가제의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흐름성 향상제, 핀홀 방지제 등이 있으며, 1 ∼ 2 중량%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저온 경화성 무독성 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은 3 단계로 이루어진다.
제 1 단계는 프리믹싱 단계로서,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당량이 80 ∼ 90인 하이드록실기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 당량이 300 ∼ 600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 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 유색안료, 체질안료, 첨가제를 프리믹싱 탱크에 삽입하고 프리믹싱 시킨다.
제 2 단계는 분산단계로서, 상기 프리믹싱한 도료를 익스트루더 및 니더(PLK-46, PCM-30, ZSK-25)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80 ∼ 120 ℃ 용융 분산시켜 분쇄에 문제되지 않을 정도 두께의 칩으로 제조한다.
제 3 단계는 분쇄단계로서, 상기 칩을 고속믹서로 분쇄하고 100 ∼ 340 매시포 평균입도 40 ∼ 60 ㎛, 입자분포10 ∼ 100 ㎛인 분체도료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 제조된 분체 도료 조성물을 인산 아연으로 전처리된 0.7 mm 냉간 압연강판에 소면표지온도 기준으로 170 ℃ ×15분 조건에서 경화시켜 도막두께가 60 ∼ 80 ㎛인 도막 시편을 제조한 후 물성 테스트를 실시한다.
상기 과정으로 제조된 조성물은 무독성이면서, 기계적 물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저온경화성과 내식성이 크게 향상되어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분체도료는 절대적으로 무독성이 요구되는 유아용 완구, 의료기기, 주방용 설비 및 기구 뿐만 아니라 건자재 내외부용, 기타 철구조물 등의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제 1 단계는 프리믹싱 단계로서, 다음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으로 프리믹싱 탱크에 삽입하고 프리믹싱 시킨다.
제 2 단계는 분산단계로서, 상기 프리믹싱한 도료를 익스트루더 및 니더(PLK-46, PCM-30, ZSK-25)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80 ∼ 120 ℃ 용융 분산시켜 분쇄에 문제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칩으로 제조한다.
제 3 단계는 분쇄단계로서, 상기 칩을 고속믹서로 분쇄하고 320 매시포 평균입도 40 ∼ 60 ㎛, 입자분포 10 ∼ 100 ㎛인 분체도료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 제조된 분체 도료 조성물을 인산 아연으로 전처리된 0.7 mm 냉간 압연강판에 소면표지온도 기준으로 170 ℃ ×15분 조건에서 경화시켜 도막두께가 60 ∼ 80 ㎛인 도막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도료에 대한 물성은 다음 표 2와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나타낸 성분들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P812 : 폴리에스테르수지, 디.에스.엠 사의 제품명
2) REAFREE 8580 : 폴리에스테르수지, 크레이벨리 사의 제품명
3) CC 3301 : 폴리에스테르수지, 에스.케이.유.씨.비 사의 제품명
4) XL-552 :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드 경화제, 롬엔하스 사의 제품명
5) TGIC : 트리글리시딜 이소안우레이트 경화제, 닛산 케미칼의 제품명
6) PV-5 : 폴리아크릴레이트 레벨링제, 에스트론사의 제품명
7) BENZION : Outgassing제, 미원사의 제품명
8) CR-80 : 유색안료, 이시하라사의 제품명
9) W-5HB : 체질안료, 마운틴사의 제품명
10) SCX586 : 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 존슨폴리머사의 제품명
11) GMA300 :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 수지, 에스트론사의 제품명
구분 (g)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P812 100 100 - - 100 - 100 100
REAFREE 8580 - - 100 100 - - - -
CC 3301 - - - - - 100 - -
XL-552 10 10 10 10 10 - 10 -
TGIC - - - - - 7 - -
PV-5 1 1 1 1 1 1 1 1
BENZION 0.5 0.5 0.5 0.5 0.5 0.5 0.5 0.5
CR-80 40 40 40 40 40 40 40 40
W-5HB 10 10 10 10 10 10 10 10
SCX586 15 7 - 20 - - - 4
GMA300 - 7 10 - - - 2 -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경화조건 170 ℃ ×15분(소지표면온도)
충격성 DUPONT 충격시 1 ㎏/40 ㎝ 1 ㎏/40 ㎝ 1 ㎏/40 ㎝ 1 ㎏/30 ㎝
굴곡성 3/16" 크랙없음 크랙없음 크랙없음 크랙없음
신장성 에릭센(신장성 테스터기) 6 ㎜ 6 ㎜ 6 ㎜ 6 ㎜
부착성 1㎜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저장안정성 35 ℃ ×2주 뭉침없음 뭉침없음 뭉침없음 뭉침없음
내용제성 XYLENE24시간 침적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내알칼리성 5 % NaOH24시간 침적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내비등수 100 ℃ 증류수1시간 침적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내후성(QUV313B) 300시간광택유지율 83 % 84 % 75 % 73 %
내식성 편측 2 mm이내 1.3 ㎜ 0.4 ㎜ 1.2 ㎜ 0.9 ㎜
소지/0.7 ㎜ 냉간 압연강판, 인산아연피막처리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경화조건 170 ℃ ×15분(소지표면온도)
충격성 DUPONT 충격시 500 g/10 ㎝ 500 g/20 ㎝ 500 g/30 ㎝ 500 g/30 ㎝
굴곡성 3/16" 크랙없음 크랙없음 크랙없음 크랙없음
에릭센 신장성 테스터기 2 ㎜ 1 ㎜ 2 ㎜ 2 ㎜
부착성 1㎜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저장안정성 35 ℃ ×2주 뭉침없음 뭉침없음 뭉침없음 뭉침없음
내용제성 XYLENE24시간 침적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내알칼리성 5 % NaOH24시간 침적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내비등수 100 ℃ 증류수1시간 침적 광택저하 박리 광택저하 광택저하
내후성(QUV313B) 300시간광택유지율 45 % 30 % 48 % 53 %
내식성 편측 2 ㎜이내 6.4 ㎜ 8.1 ㎜ 5.3 ㎜ 5.9 ㎜
소지/0.7 ㎜ 냉간 압연강판, 인산아연피막처리
상기의 표 2와 표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이드록시 알킬 아미드 경화제인 XL-552과 당량이 300 ∼ 600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수지를 가지는 아크릴 수지를 동시에 도입한 실시예 1과 상기의 성분을 도입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결과를 나타낸 표 2와 표 3을 보면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하여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상기의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독성 경화제인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뉴레이트를 사용한 비교예 2도 실시예에 비하여 그 물성이 낮은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3과 비교예 4는 상기의 경화제와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지만 그 량이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이 또한 낮은 물성을 보였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유색안료, 체질안료, 통상의 첨가제에 80 ∼ 90 당량의 하이드록시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 300 ∼ 600 당량의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무독성이며 반응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도막의 가교도를 높여 저온에서 경화가 가능하고 기존의 내식성 문제를 개선하게 되었다.

Claims (6)

  1.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 유색안료, 체질안료 및 통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진 분체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수지에, 당량이 300 ∼ 600 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 수지 및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5 ∼ 25 중량% 포함되고,
    상기 경화제로 당량이 80 ∼ 90인 하이드록시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 5 ∼ 10 중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성 무독성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 알킬 아미드계 경화제는 당량이 80 ∼ 90, 분자량이 320, 용융온도가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성 무독성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 상기 카르복실 메타 아크릴 수지는 연화점이 100 ∼ 130 ℃, 산값 90 ∼ 150 mg KOH/g, 유리전이온도 50 ∼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성 무독성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 수지는 연화점 90 ∼ 120 ℃, 유리전이온도 50 ∼ 70 ℃, 에폭시 당량 300 ∼ 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성 무독성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 폴리 에스테르 수지는 산값 20 ∼ 60 mg KOH/g, 용융점도 2,000 ∼ 5,000 cps, 유리전이온도 50 ∼ 70 ℃, 연화점 100 ∼ 130 ℃, 중량 평균 분자량 6,000 ∼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성 무독성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은 카르복실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55 ∼ 70 중량%, 유색안료 15 ∼ 30 중량%, 체질안료 5 ∼ 10 중량% 및 통상의 첨가제 1 ∼ 2 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경화성 무독성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KR1020020088209A 2002-12-31 2002-12-31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KR20040061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209A KR20040061907A (ko) 2002-12-31 2002-12-31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209A KR20040061907A (ko) 2002-12-31 2002-12-31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907A true KR20040061907A (ko) 2004-07-07

Family

ID=3735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209A KR20040061907A (ko) 2002-12-31 2002-12-31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19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70135A (zh) * 2023-10-07 2023-11-17 佛山市南海嘉多彩粉末涂料有限公司 一种耐候的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70135A (zh) * 2023-10-07 2023-11-17 佛山市南海嘉多彩粉末涂料有限公司 一种耐候的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CN117070135B (zh) * 2023-10-07 2024-03-19 佛山市南海嘉多彩粉末涂料有限公司 一种耐候的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105B1 (ko) 열경화성 조성물, 도장마무리방법 및 도장물품
US6077917A (en) Coating resin composition
CN1394922A (zh) 高弹外墙涂料及制备
US4385138A (en) Thermosetting powder resin based water-slurry coating composition
KR101638407B1 (ko) 고투명성 아크릴계 반광 분체 도료
US5212243A (en) A powder coating which is excellent in stain resistance
KR20040061907A (ko) 무독성 저온경화형 폴리 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KR101477852B1 (ko) 자동차 루프랙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5342893A (en) Antipopping agents for powder coating compositions
CN116023827A (zh) 一种大型空调设备用的高固体环保快干抗油底面漆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070202339A1 (en) Epoxy Resin Composition And Epoxy-Polysiloxane Coating Composition
JPH09176292A (ja) 水性エポキシ樹脂硬化性組成物
CA1165556A (en) Corrosion-resistant, improved powder primer surfacer
KR100411714B1 (ko) 저온소부형피씨엠(pcm)용폴리에스터도료조성물
CN114874696A (zh) 一种耐高温喷标用油漆及其制备方法
KR101042044B1 (ko) 저독성 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KR101877635B1 (ko) 수성 도료 조성물
JPH07331167A (ja) 被覆組成物とこれを塗装した塗装金属板
JP2002060681A (ja) 粉体塗料用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粉体塗料
KR101775879B1 (ko) 대전방지용 분체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7218B1 (ko) 부착성이 개선된 근적외선 경화형 분체도료 조성물
JP2000204289A (ja) 粉体塗料組成物
JP2003213203A (ja) 粉体塗料用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粉体塗料
CN116057139B (zh) 粉末涂料组合物
KR20010065808A (ko) 내열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분체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