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0632A - 무방부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방부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0632A
KR20040060632A KR1020020087631A KR20020087631A KR20040060632A KR 20040060632 A KR20040060632 A KR 20040060632A KR 1020020087631 A KR1020020087631 A KR 1020020087631A KR 20020087631 A KR20020087631 A KR 20020087631A KR 20040060632 A KR20040060632 A KR 2004006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extract
preservative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1637B1 (ko
Inventor
조자운
윤여필
임태형
유성수
김현수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풀무원
풀무원건강생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풀무원, 풀무원건강생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풀무원
Priority to KR10-2002-008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6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작용(Antimicrobial activity) 기능을 갖는 원료를 혼합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화장품 조성물은 방부제(표시지정 성분)를 첨가하지 아니하고 제조하였을 시 미생물 오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부안전성에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표시지정 성분이란 인체에의 유해성을 우려하여 사용할 경우 식품의약품 안전청에서 반드시 그 성분을 표기하도록 하고 허용 함량을 법적으로 지정해 놓은 성분들을 말하며 타르색소, 방부, 살균제, 항히스타민제, 자외선차단제, 금박, 두발제품에 한해서 전인산염의 항목으로서 인산염이 있다.
본 화장품 조성물은 방부제(표시지정 성분)를 첨가하지 않고 방부 효과와 피부에 안전한 화장품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무방부제 화장품 조성물{Non-Preservativ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균 작용(Antimicrobial activity) 기능을 갖는 원료를 혼합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화장품 조성물은 방부제(표시지정 성분)를 첨가하지 아니하고 제조하였을 시 미생물 오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화장품 조성물은 방부제(표시지정 성분)를 첨가하지 않고 방부 효과와 피부에 안전한 화장품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은 기름이나 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거기에 미생물의 탄소원이 되는 글리세린이나 솔비톨 등 질소원으로는 아미노산 유도체, 단백질 등이 배합된 것이 많으므로 곰팡이나 세균 등의 미생물이 침투하기 쉽다.
그래서 사용 중에 손가락 등으로부터 오염되어 미생물이 일으키는 변패, 변취등으로부터 화장품을 장기간 보호하기 위해 방부제를 첨가하지 아니할 수가 없다.
방부제(Preservatives)는 화장품에 배합되어 외부로부터 화장품을 오염시키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며, 시간 경과와 함께 사멸되며 제품의 변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방부제(Preservatives)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작용을 정균 작용(microbiostasis)이라 하며, 방부제(Preservatives)는 화장품 중에서 정균 작용에 의해 변화를 방지하고 있다. 단독의 방부 효과는 그다지 강하지는 않지만 화장품의 성분과 융합되기 쉬워서 오염된 기존 미생물을 시간을 두고 사멸시켜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것은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와 이미다졸린계 방부제 등이 있다.
이처럼 방부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화장품을 사용할 때 각종 세균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시 피부트러블인 뾰루지 같은 피부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작용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균 작용(Antimicrobial activity) 기능을 갖는 원료로 대치하여 피부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방부제 사용을 아니하여 보다 안전한 고품질의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항균 작용(Antimicrobial activity) 기능을 갖는 원료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테트라아세틸파이토스핑고신, 펜틸렌 글라이콜(Hydrolite-5), 폴리글리세릴-2라우레이트/글리세릴카프레이트/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자몽 종자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을 각 처방에 맞게 첨가한 것으로 특징 되어진다.
여러가지 항균 작용을 하는 원료들을 스크리닝하고, 각 원료를 복합 처방하여 CTFA의 가이드라인(CTFA Microbiology Guidelines) 시험법을 통한 미생물 균주를 사멸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균 작용(Antimicrobial activity) 기능 갖는 원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테트라아세틸파이토스핑고신(Tetraacetyl phytosphingosine; Taps) 스핑고지질은 스핑고신 또는 파이토 스핑고신을 기본골격으로 하고, 세라마이드는 여기에 유리 지방산이 연결된 형태를 띄고 있다.
효과는 지루성 피부를 악화시키는 원인균 억제, 피부보습 기능 촉진, 피부세포의 활성 촉진, 피부 유해 물질의 침입과 성장을 억제하여 최적의 피부 미생물 분포를 유지시킴, 항균 항염증 효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킴
펜틸렌 글라이콜(Hydrolite-5)는 INCI name, Pentylene Glycol (1,2-pentanediol)로서 에칠렌 옥사이드 프리타입(EO Free Type)의 계면활성제로 피부안전성이 우수하고 강한 항균 특성을 나타냄, 식품 첨가물에도 사용 가능한 순수한 천연 성분으로 구성됨. 효과로는 보습작용, 항-미생물 작용
폴리글리세릴-2라우레이트/글리세릴카프레이트/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Polyglyceryl-2 Laurate/Glyceryl Caprate/Polyglyceryl-10 Laurate)의 원료특성은 Ethylene Oxide Free 계면활성제이고, 강한 항-박테리아 성질을 갖고 있다. 식품첨가제로 사용 가능하며 순수하게 자연에서 채취된 원료로 구성되어 있다.
자몽 종자 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은 Ascorbic acid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 성분은 metal ion들의 환원제로서 산소계 특히, hydroxy radical을 생성시켜 이것이 세포막에 분포되어 있는 효소활성을 저해하여 세포막 기능을 약화시키고, 낮은 농도로도 미생물의 세포 호흡작용을 저해하여 미생물의 정상적인 생육을 억제한다. 즉, 세포막의 투과성 약화와 세포 호흡작용의 억제를 도모함으로써 미생물의 살균을 도모할수 있다.
특히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등의 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강력하게 살균, 살바이러스, 살곰팡이 작용을 한다.
동충하초 추출물은 공정서명(식품공전), 밀리타리스 (C.Militaris) 동충하초로서 누에유충에서 기생하는 균주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전래의 영약으로 코디세핀(Cordycepin 3' deoxyadenosine)성분 함유, 코디세핀의 구조는 핵산물질인 데옥시아데노신의 구조와 유사하며, 세포의 유전자 정보에 관여하면서 저하된 면역기능을 활성화하고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다당체는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역할과 암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 미백 및 노화방지 기능이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험에 필요한 미생물 균주는 이래와 같으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루스(Staphylococcus aureus), 에스케리치아 코리(Escherichia coli), 엔터로박터 크로아카(Enterobacter cloacae),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aeudomonasaeruginosa),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등 이고, 미생물을 접종하여 사멸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Challenge test, inoculum test라고 하고, CTFA의 가이드라인(CTFA Microbiology Guidelines)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진균(곰팡이, 효모)은 제품 1g당 1×105개가 되도록 접종하고 세균은 제품 1g당 1×106개가 되도록 접종하여, 1일 ~ 28일까지 시간 경과 관찰을 하였다.
Challenge test 28일차에 박테리아, 곰팡이 균주가 모두 사멸하였다.
<그림 1> 첼린지 테스트 0일차 (박테리아)
<그림 2> 첼린지 테스트 28일차 (박테리아)
<그림3> 첼린지 테스트 0일차 (곰팡이)
<그림4> 첼린지 테스트 28일차 (곰팡이)
<제품 안정성 평가>
상기 스킨 로션 크림의 화장품 조성물 제형 안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조건을 각각 1개월동안 보관 후 안정도를 평가 하였다.
<인체 피부 일차 자극 실험>
상기 시험은 인체피부 일차 자극 시험으로 인체 첩포시험(human patch test)으로 하였다 건강한 20∼3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 라인(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Safety testing guidelines)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챔버(Finn Chamber)에 준비된 화장품 조성물 각각을 1g을 적하시킨 후 시험 부위인 우측 상완 내측에 첩포검사를 실시 하였다. 첩포는 24시간 도포하며 첩포를 제거한 후는 마킹 펜(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며 30분, 24시간, 48시간 후에 각 시험 부위의 피부반응을 관찰하여 국제 접촉 피부염 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Research Group; 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최종 판독 결과는 모두 음성반응을 보여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이미다졸린계 등의 방부제(Preservatives)를 사용하지 않고 방부 효과와 피부 안전한 화장품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수 있다.

Claims (3)

  1. 화장수류에서 프로필렌 글라이콜 4.0 ∼ 8.0중량%(이하 '중량' 은 생략), 에탄올 3.0 ∼ 7.0%, 테트라아세틸파이토스핑고신 0.2 ∼ 0.5%, 자몽 종자 추출물0.5 ∼ 1.5%, 동충하초 추출물0.1 ∼ 0.5%의 화장품 조성물
  2. 유액류에서 프로필렌 글라이콜 4.0 ∼ 8.0%, 펜틸렌 글라이콜 2.0 ∼ 8.0%, 테트라아세틸파이토스핑고신 0.2 ∼ 0.5%, 폴리글리세릴-2라우레이트/글리세릴카프레이트/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8 ∼ 1.5%, 자몽 종자 추출물0.5 ∼ 1.5%, 동충하초 추출물0.1 ∼ 0.5%의 화장품 조성물
  3. 크림류에서 프로필렌 글라이콜 4.0 ∼ 8.0%, 펜틸렌 글라이콜 2.0 ∼ 8.0%, 테트라아세틸파이토스핑고신 0.2 ∼ 0.5%, 자몽 종자 추출물 0.5 ∼ 1.5%, 동충하초 추출물0.1 ∼ 0.5%의 화장품 조성물
KR10-2002-0087631A 2002-12-30 2002-12-30 무방부제 화장품 조성물 KR100481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631A KR100481637B1 (ko) 2002-12-30 2002-12-30 무방부제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631A KR100481637B1 (ko) 2002-12-30 2002-12-30 무방부제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632A true KR20040060632A (ko) 2004-07-06
KR100481637B1 KR100481637B1 (ko) 2005-04-11

Family

ID=3735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631A KR100481637B1 (ko) 2002-12-30 2002-12-30 무방부제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6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86B1 (ko) * 2005-08-24 2007-12-12 한국콜마 주식회사 화장료용 방부제 대체물 및 이를 함유한 무방부제 화장료조성물
CN111956548A (zh) * 2020-08-24 2020-11-20 耒阳市刘燕酿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作用的精华液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14B1 (ko) 2015-06-26 2017-07-27 혜전대학 산학협력단 항균/자외선차단 복합 기능성 미립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기능성 미립자
KR102189174B1 (ko) 2019-01-21 2020-12-11 (주)휴앤스킨 산업용 항균제 조성물
KR102085292B1 (ko) 2019-07-08 2020-03-05 주식회사 지에스비신바람홈케어 모하비유카, 모란뿌리, 지치뿌리 및 밀배아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86B1 (ko) * 2005-08-24 2007-12-12 한국콜마 주식회사 화장료용 방부제 대체물 및 이를 함유한 무방부제 화장료조성물
CN111956548A (zh) * 2020-08-24 2020-11-20 耒阳市刘燕酿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作用的精华液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1637B1 (ko) 2005-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2708B2 (ja) 防腐殺菌剤及び人体施用組成物
KR101189344B1 (ko) 자가-보존성 스킨케어 조성물
KR20150049027A (ko)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142194A1 (en) Antimicrobial preservative compositions
KR101852487B1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A3093348A1 (en) Preservation of personal care compositions
KR102272901B1 (ko) 메조-2,3-부탄디올을 방부제로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05175B1 (ko) 방부 상승 효과를 갖는 방부시스템
KR101702648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EP3013311B1 (en) Synergistic preservative blends
KR101779131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60044071A (ko) 활성 성분으로 메칠3-아세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보존제 조성물
KR20220058468A (ko) 알칸디올, 및 카프릴릴글리세릴에터 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81637B1 (ko) 무방부제 화장품 조성물
KR101585795B1 (ko) 활성 성분으로 디에칠렌글라이콜모노벤질에텔을 함유하는 보존제 조성물
KR101788179B1 (ko) 방부력이 우수한 저자극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3195851A1 (en) Composition containing meso-2,3-butanediol
KR101699468B1 (ko) 활성 성분으로 피이지-2 페닐에테르를 함유하는 보존제 조성물
KR101956144B1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89174B1 (ko) 산업용 항균제 조성물
JP2019131481A (ja) 真菌を原因とする皮膚疾患に対する予防・改善剤
KR102363112B1 (ko) 1,2-헥산디올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미생물 증식 억제용 조성물
CN106998684B (zh) 包含阿魏酸乙酯和芳基烷醇的组合物
KR101787983B1 (ko) 천연향료를 함유하여 방부 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KR102227751B1 (ko) 오미자, 백리향 및 꽃향유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대체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