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0528A -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방법 및 그 자성종자 - Google Patents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방법 및 그 자성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0528A
KR20040060528A KR1020020087334A KR20020087334A KR20040060528A KR 20040060528 A KR20040060528 A KR 20040060528A KR 1020020087334 A KR1020020087334 A KR 1020020087334A KR 20020087334 A KR20020087334 A KR 20020087334A KR 20040060528 A KR20040060528 A KR 20040060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hemp
male
seed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027B1 (ko
Inventor
문윤호
오양호
정병춘
이봉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2-008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0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0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6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및 그 자성종자에 관한 것으로, 삼 암그루의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조건으로 처리하여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고 상기 유도된 수꽃의 꽃가루를 인공바람에 의하여 삼 암그루에 수분시켜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및 그 자성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으로 생산된 자성종자를 이용하여 채종재배하면 100% 삼 암그루가 나오므로 별도의 성 감별 과정이 필요없고, 생산된 종자 수량도 암수딴그루를 이용한 채종재배보다 40% 이상 증수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및 그 자성종자{PRODUCING METHOD OF FEMALE SEED WITH USING INDUCTION OF MALE FLOWER ON FEMALE HEMP AND HEMP FEMALE SEED}
본 발명은 100% 삼 암그루를 생산하는 삼의 자성종자 생산방법 및 그 자성종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 암그루의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조건으로 처리하여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고 상기 유도된 수꽃의 꽃가루를 삼 암그루에 수분시켜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및 그 자성종자에 관한 것이다.
삼은 주로 섬유를 얻기 위해 재배되는데, 섬유로 이용되는 것 외에 삼 종실에는 GLA(r-Linolenic acid)가 함유되어 있어 식용유와 화장품 등의 공업원료로서 가치가 높다.
삼은 암수딴그루 식물로서 암그루와 수그루의 성비는 1:1로 전체 삼의 50% 정도가 종자가 맺히지 않는 수그루이다. 이 수그루는 꽃이 피어 꽃가루가 완전히날리기 전까지 생존하여 암그루의 생육공간을 침해하므로 종자를 산업적으로 이용하거나 1대잡종 생산에 장애요인이 되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대에 모두 암그루만 나오도록 자성종자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삼은 일시적으로 암수한그루가 출현하기도 하는 데, 유럽에서는 삼 암수한그루의 꽃가루를 암수딴그루 품종의 암그루에 수분시켜 채종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줄기와 종자를 동시에 수확할 때에는 적합하지만 암수한그루의 품종 유지가 어렵고 자식열세로 수량이 10∼20%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삼은 일장 변화에 따라 성전환이 가능하므로 일장을 변화시킴으로써 암그루에서 수꽃을 발생시켜 이 꽃가루를 암그루에 수분시켜 채종하는 방법도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그 후대에는 모두 암그루만 나오지만 재현성이 낮고 암꽃과 수꽃의 개화기 불일치 등의 불안 요인이 있었다.
또한 삼 종자에 X선을 조사하여 암그루의 비율을 높이는 방법도 있는 데, 이 방법은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10% 정도의 수그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심혈을 기울여 연구한 결과, 삼 암그루의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조건으로 처리하여 수꽃을 발생시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후대에 100% 암그루가 나오는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의 종실을 산업적으로 이용하고 효율적인 1대 잡종 생산을 위하여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100% 암그루를 생산하는 삼의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의 자성종자 생산방법의 공정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 암그루의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조건으로 처리하여 삼 암그루에서 수꽃을 유도하고 이 수꽃의 꽃가루를 삼 암그루에 수분시켜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수딴그루 식물의 암꽃 및 수꽃의 형성에는 내생 식물호르몬인 에틸렌이 관여한다. 즉, 삼이 장일조건에서 영양생장을 하고 일장이 짧아지면 생식생장기로 접어들어 꽃눈이 형성되는 데, 이때 암그루에는 내생 에틸렌 생성량이 많아 암꽃이 생성되고 수그루는 내생 에틸렌의 생성량이 적어 수꽃이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암그루에 코발트 또는 은 이온을 처리하면 내생 에틸렌 생성을 억제시켜 수꽃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암꽃 및 수꽃봉오리가 형성되어 암그루와 수그루의 판별이 가능할 정도로 생식생장이 진전된 후에 은 이온을 처리하면 이미 생성된 에틸렌의 영향을 받아 수꽃의 발생시기가 늦어지고 발생량도 적어 생식생장기에 은 이온 처리는 효과가 크지 않다.
따라서 삼 암그루의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함으로써 수꽃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의 자성종자 생산방법은 삼 암그루를 선발하여 장일조건하에서 재배하면 이춘화(異春化; Rejuvenation)가 일어나 영양생장을 재개하고 이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조건으로 처리하면 암그루에서 성전환이 일어나 수꽃이 피고 이 수꽃의 꽃가루를 인공바람에 의하여 암그루에 수분시켜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생산된 자성종자를 이용하여 채종재배하면 그 후대가 100% 암그루이므로 별도의 암그루 선발 과정을 거침 없이 자성종자를 생산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방법으로 생산된 자성종자를 파종하여 시원화(始原花: Primordia)가 형성되기 전인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조건으로 처리하여 삼 암그루에서 수꽃을 유도하고 이 수꽃의 꽃가루를 삼 암그루에 수분시켜 자성종자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일 및 장일처리 시설 설치
유리온실 또는 비닐하우스에 국화 촉성 또는 억제재배 비닐하우스와 같은 단일 및 장일처리 시설을 설치한다. 일장이 긴 봄과 여름에는 단일 시설이 필요하지만 일장이 짧은 가을과 겨울에는 어느 정도 영양생장기를 거쳐야 하므로 장일조건을 위한 점등시설과 적정온도 유지를 위한 난방기구를 설치한다.
단일처리에 이용되는 차광재료로는 빛의 완전차단이 가능한 0.15㎜ 두께의 흑색 비닐 또는 원예용 차광 커튼을 사용한다. 가을과 겨울철에 삼이 정상적인 생육을 하려면 최소한 1500FC의 빛과 15℃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므로 점등설비로는 ㎡당 50W의 전등을 설치하고 온풍기 등 가온장비를 구비한다.
또한 삼은 풍매화이므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온풍기 또는 대형선풍기를설치하고 단일 및 점등 시설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개폐 및 점소등이 가능한 타이머를 설치한다.
암그루 육성 및 선발
1. 성 감별용 재료육성
암수딴그루 품종은 모두 성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품종을 재료로 선택한다. 파종 시기는 봄, 여름 재배일 경우는 3월 상순, 가을, 겨울 재배일 경우는 10월 상순경이다. 파종 전 질소, 인산, 칼리질 비료를 각각 10, 4, 8㎏/10a를 사용하여 경운 및 정지 후 삼 종자를 100 X 50㎝의 간격으로 3∼4립씩 점뿌림한다. 파종 후 10일 정도 지나면 삼이 발아하는데 성 감별 전까지 솎지 않고 그대로 수시 관수하면서 관리한다.
2. 조기개화 유도 및 성 감별에 의한 암그루 선발
삼을 그 품종의 꽃눈 형성 일장 이하의 단일조건하에서 재배하면 파종 40일 후면 꽃눈이 형성되어 꽃봉오리가 형성된다. 삼 암그루는 3∼5㎜ 길이의 반투명실 모양의 암술이 나오고 삼 수그루는 직경 1㎜ 정도의 단방형 꽃봉오리가 형성되어 암수 구별이 가능하며 이 때 수그루는 모두 제거하고 암그루만 선발하여 계속 재배한다.
3. 장일처리에 의한 이춘화
선발된 암그루를 다시 꽃눈형성 일장 이상의 장일조건하에서 1개월 정도 재배시키면 이춘화가 일어나 영양생장을 재개한다. 이때 이미 생성된 암꽃은 퇴화되고 새로 나온 잎은 크기가 커진다. 삼의 키가 1∼1.5m정도 자랄 때까지 장일조건에두어 영양 생장을 지속시켜 성전환 작업에 들어가지만 시설 여건에 따라 키를 더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다.
질산은(AgNO 3 ) 용액 살포후 단일조건하에서 삼 암그루의 수꽃 발생 유도
1. 질산은 용액 조제
질산은 용액은 사용되는 용기 또는 물에 염소 이온 등의 불순물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백색침전이 생겨 효과가 떨어지므로 질산은 용액 조제를 위한 메스플라스크와 질산은 용액 살포용 분무기 등을 깨끗이 세척하고 증류수로 5회 정도 휑군다. 300∼500ppm 농도의 질산은 용액을 조제하고 용액이 잎 표면에 잘 묻도록 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인 Tween #80을 0.5㎖ 정도 첨가하여 잘 흔들어 혼합하여 보관한다. 질산은 용액의 농도가 낮으면 효과가 적어 수꽃이 적게 피고, 너무 높으면 잎이 말라 죽으므로 300∼500ppm이 바람직하다.
2. 질산은 용액 살포
삼 암그루의 키가 1∼1.5m정도 자라고 가지가 충분히 발생되었을때 분무기를 이용하여 질산은 용액이 식물체 전체에 묻도록 충분히 살포한다.
3. 질산은 용액 추가 살포
질산은 용액으로 처리한 삼은 처리 당일부터 10시간 일장 이하의 단일조건에 두어 관리한다. 계속 단일조건하에서 재배하면서 최초 질산은 용액 처리후 각각 3일및 6일 후에 각각 질산은 용액을 추가로 살포한다.
4. 암그루에서 수꽃 발생 및 개화
단일조건하에서 질산은 용액 살포 후 10일 정도 지나면 암그루의 암꽃 사이에 수꽃 봉오리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고 20일 정도 지나면 꽃이 피어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한다.
자성종자 채종용 정상 암그루 관리
암그루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조건하에서 재배하면 그 암그루는 한 식물체에 암꽃과 수꽃이 같이 피기 때문에 이것들만 재배하여 채종하면 채종량이 적어지고 자가수정으로 인해 자식열세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암꽃만 피는 암그루(이하, 정상 암그루로 지칭함)를 별도로 재배할 필요가 있다.
정상 암그루 재배는 비교적 간단한 데, 수꽃 발생 유도를 위해 암그루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조건하에서 재배할 때 질산은 용액을 처리하지 않고 단일처리만 하면 그 암그루는 수꽃이 형성되지 않는 정상 암그루가 되어 질산은 용액을 처리한 암그루의 수꽃과 거의 같은 시기에 암꽃이 핀다.
수분 및 채종
삼은 풍매화로서 바람에 의해 꽃가루가 매개되므로 성전환 암그루와 정상 암그루에서 각각 수꽃과 암꽃이 피기 시작하면 바람에 의해 수분된다. 그러나 자연적인 바람이 발생하지 않는 단일처리 시설 내에서는 꽃가루가 충분히 매개될 정도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인공 바람 즉, 온풍기 또는 대형 선풍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순환시켜 수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통 삼의 개화 기간은 15∼20일 정도이므로 이 기간동안 주간에 계속적으로 공기를 순환시켜주어야 한다.
수분 후 약 1주일이면 종자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종자가 맺히기 시작하면 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므로 덧거름을 주고 충분히 관수한다.
꽃이 진 후 약 40일이 지나면 종자가 등숙되는데 종자를 싸고 있는 포엽이 50% 정도 갈변되었을때 낫, 전정가위 등으로 베어 건조시킨 후 종자를 털어내어 수확하고 이듬해 채종재배용 자성종자로 사용한다.
상기 종자를 파종하여 재배하면 모두 암그루이므로 생산과정 중 암수의 성 감별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자성종자를 이용한 대량 채종재배
자성종자를 이용하여 채종재배 하려면 꽃가루친으로서 암수딴그루 품종을 심어야 한다. 자성종자와 암수딴그루 품종의 적당한 재식 비율은 아직 구명되지 않았지만 자웅이주 품종 재식열 곁의 자성종자 재식열과 10열 멀리 떨어진 열간의 수정율 및 종실 수량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어 적당한 재식비율은 10:1 이상일 것으로 보인다.
꽃이 피면 자성종자를 심었던 열은 모두 암그루로서 수꽃이 피지 않아 녹색이지만 암수딴그루 열은 50% 정도가 수그루이므로 황백색으로 웅화가 피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렇게 암컷 종자를 이용하여 채종재배하면 종실을 40% 이상 많이 수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은 하기의 실시예에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삼의 생식생장 유도를 위한 단일시설은 유리온실 내에 설치하였고 직경 15㎜ 철제 파이프로 폭 2m, 길이 7m, 높이 2m의 간이 비닐하우스를 만들고 차광재료로 두께 0.05㎜의 흑색 비닐을 씌웠다. 일장조절은 수동 권취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흑색 비닐을 오전 9시에 개방하고 오후 7시에 폐쇄하여 매일 10시간 일장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숙전토양 1톤과 요소, 용성인비, 염화가리를 각각 89, 75, 57g을 잘 혼합한 다음, 직경 30㎝, 높이 40㎝인 와그너 폿트에 채우고 2001년 5월 10일 저 마약형 품종 "청삼"의 모본 품종인 IH3를 폿트 당 5립씩 파종하였다.
삼이 발아한 직후 실시예 1의 단일시설에서 10시간 일장에 재배하여 꽃눈 형성을 유도하였던 바, 단일처리 40일 후에 암그루 및 수그루에 각각 꽃봉오리가 형성되어 성을 감별할 수 있었다. 그림 1에 암그루의 암꽃봉오리와 수그루의 수꽃봉오리가 각각 제시되어 있다.
그림 1. 암그루의 암꽃봉오리(좌) 및 수그루의 수꽃봉오리(우)
꽃봉오리가 형성된 직후 수그루는 모두 제거하고 생육상태가 좋은 암그루를폿트 당 1 본씩 남겨 14시간 30분의 6월 하순 자연일장에서 이춘화를 유도하여 영양생장기 상태로 재배하였다. 영양생장기에 삼의 키가 너무 커서 간이 단일시설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시설에 맞도록 상위 5마디에서 전정(剪定)하여 시설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암그루를 한 그룹에 9개씩 확보하여 A, B, C 및 D의 네 그룹으로 구분해두었다. 질산은 용액 살포 후 단일조건하에서의 생육단계별 개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A, B그룹에는 영양생장기로 판단되는 시기, 즉 7월 2일과 7월 12일에 각각 500ppm의 질산은 용액을 식물체 전 부위에 골고루 살포하였다. C그룹에는 삼나무의 생식생장기인 7월 22일에 500ppm 질산은 용액을 살포하였다. 각 처리 시작일의 일장은 각각 14시간 28분, 14시간 19분 및 14시간 8분이었다. A, B, C 각 그룹에 최초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각각 3일 간격으로 2회 추가 살포하였다. D그룹에는 질산은 용액을 살포하지 않고 그대로 생장시켰다. 단일 처리 조건은 오전 9시에 차광비닐을 열고 오후 6시에 닫아 9시간의 일장을 유지시켰고 단일처리 기간은 전 처리 동일하게 1개월로 하였다.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처리한 A와 B그룹의 삼 암그루는 처리 후 10일 정도 지나면 암꽃 사이에 수꽃 봉오리가 형성되어 성이 전환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질산은 용액을 처리하지 않은 암그루와 수그루에는 각각 암꽃과 수꽃만 형성되었다.
질산은 용액 살포후 단일조건 처리한 삼 암그루의 생육단계별 개화 양상은표 1에 제시되어 있는데,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A, B 그룹은 정상 암그루의 암꽃 개화기와 성전환 암그루의 수꽃 개화기의 차이가 각각 1일과 3일로 적었고 수꽃이 발생한 액아의 비율도 각각 63.2%와 61.9%로 많아 정상적인 풍매가 가능하였다.
생식생장기인 7월 22일에 질산은 용액 살포된 C그룹은 암꽃과 수꽃의 개화기가 각각 8월 5일과 8월 21일로 개화기 차이가 16일이나 나고 수꽃이 발생한 액아의 비율도 4.4%로 적어 정상적인 풍매가 어려웠다.
단일 및 질산은 용액 처리를 하지 않고 자연일장에서 재배한 D그룹은 8월 13일에 암꽃만 피었고 수꽃이 피지 않았다.
꽃이 피는 모습은 그림 2에 제시된 것과 같이 각 그룹 모두 상위 마디일수록 수꽃발생 액아가 많고 하위 마디일수록 적어 풍매에 유리하도록 개화하였다.
그림 3에는 암그루의 암꽃과 수그루의 수꽃 및 성전환 암그루에서의 암꽃과 수꽃이 비교 제시되어 있다.
표 1. 질산은 용액 살포후 단일처리한 생육단계별 개화 양상
그룹 생육단계(월.일) 개화기(월.일) 개화기 차이(일) 수꽃발생액아비율(%)
정상 암그루의암꽃 성전환 암그루의수꽃
A 영양생장 중기 (7.2) 7.22 7.23 1 63.2
B 영양생장 후기 (7.12) 8.1 8.4 3 61.9
C 생식생장기 (7.22) 8.5 8.21 16 4.4
D 무처리 8.13 - - 0
그림 2. 마디별 수꽃발생 액아비율
그림 3. 삼의 암수 및 성전환 암그루의 꽃봉오리
[실시예 4]
실시예 3의 성전환 암그루에서 생성된 수꽃 꽃가루를 정상 암그루의 암꽃에 수분시키기 위하여 수꽃 개화직후 선풍기 바람으로 정상 암그루의 암꽃에 수분시켰다. 수분 시작 후 1주일 후에 씨방이 커져 종자가 맺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처리 생육단계별 수정율 및 종자수량은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 살포한 A, B 그룹은 수꽃 발생 액아비율이 높고 개화기 차이가 적어 수정율이 각각 74%, 73%로 높았고 종자 수량도 각각 57g/주와 71g/주로 많았다. 그러나 생식생장기에 처리한 C그룹은 수꽃 발생 액아 비율이 낮고 암꽃과 수꽃의 개화기 차이가 많아 수정율이 5%로 극히 낮았고 종자수량도 4g/주로 적었다.
표 2. 질산은 용액 살포 후 단일처리한 생육단계별 수정율 및 종자수량
그룹 생육단계(월.일) 경장(㎝) 평균 분지장(㎝) 수정율(%) 등숙율(%) 종실수량(g/주)
A 영양생장 중기(7.2) 79 71 74 80 57
B 영양생장 후기(7.12) 82 82 73 81 71
C 생식생장기(7.22) 83 86 5 89 4
[실시예 5]
자성종자의 성비 및 종자 생산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자성종자와 암수딴그루 종자를 노지 포장에 채종재배하였다.
시험 재료로서 2000년 겨울 온실에서 채종한 IH3의 자성종자와 암수딴그루 종자를 이용하였다.
시험 포장에 질소, 인산, 칼리, 퇴비를 각각 10, 4, 8, 1000㎏/10a를 사용하고 경운, 정지 후 1m 간격으로 두둑을 세워 흑색 비닐로 피복한 다음 2001년 5월 10일 100 X 50㎝ 간격으로 5립씩 점파하였다. 파종 10일 후 발아하여 45일 후에 5절의 잎이 전개하였던 바 파종 지점 당 충실하게 자란 1개체씩 남기고 솎은 다음 수시 관수하고 재배하였다.
개화기는 모두 8월 13일로 같은 시기에 꽃이 피었고 암수딴그루 종자로 재배한 삼의 암그루와 수그루의 성비는 48:52로 52%가 수그루였지만 자성종자로 재배한 삼은 100% 모두 암그루만 나왔다
그림 4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자성종자를 심은 열은 모두 암그루로서 수꽃이 피지 않아 녹색이지만 암수딴그루를 심은 열은 50% 정도가 수그루이므로 황백색으로 웅화가 피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표 3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자성종자로 생산된 종실 수량은 146㎏/10a였고 암수딴그루 종자로 생산된 종실 수량은 103㎏/10a로, 본 발명의 자성종자를 이용하였을때 생산되는 종실수량이 암수딴그루 종자를 이용하였을때 보다 42% 증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 자성종자와 암수딴그루종자의 성비 및 종실 생산력
구분 조사개체수 개화기(월.일) 성비(%) 종실수량(㎏/10a) 지수(%)
암그루 수그루
자성종자 280 8.13 100 0 146 142
암수딴그루종자 146 8.13 48 52 103 100
그림 4. 자성종자를 이용한 1대 잡종 채종재배
본 발명의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성전환 암그루의 수꽃 형성시기와 정상 암그루의 개화시기가 일치하고 수꽃 발생 액아 비율이 높아 수정률 또한 높으며 수득되는 종실 수량이 기존 암수딴그루를 이용하여 수득된 량에 비하여 40% 이상 증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산방법으로 생산된 자성종자는 100% 암그루가 되므로 별도의 성 감별 과정이 필요없고 삼 1대 잡종 품종 육성 및 종실 목적의 삼 재배에 유용하다.

Claims (4)

  1. 삼 암그루의 영양생장기에 질산은 용액을 살포한 후 단일조건으로 처리하여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고 상기 유도된 수꽃의 꽃가루를 삼 암그루에 수분시켜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의 자성종자 생산방법.
  2. 청구항 1의 방법으로 생산되는 삼의 자성종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된 수꽃의 꽃가루를 단일 및 장일처리 시설 내에서 인공바람을 이용하여 암꽃에 수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의 자성종자 생산방법.
  4. 청구항 1의 방법으로 생산되는 삼의 자성종자를 이용하여 삼 1대 잡종 품종 육성 및 삼 재배 방법.
KR10-2002-0087334A 2002-12-30 2002-12-30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KR10049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334A KR100496027B1 (ko) 2002-12-30 2002-12-30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334A KR100496027B1 (ko) 2002-12-30 2002-12-30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528A true KR20040060528A (ko) 2004-07-06
KR100496027B1 KR100496027B1 (ko) 2005-06-16

Family

ID=3735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334A KR100496027B1 (ko) 2002-12-30 2002-12-30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0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8711A (zh) * 2020-04-22 2020-06-26 黑龙江省农业科学院绥化分院 一种诱导纯雌性工业大麻的方法
CN111742838A (zh) * 2020-07-17 2020-10-09 黑龙江润地汉麻科技有限公司 药用工业大麻的人工授粉方法
CN112655548A (zh) * 2020-12-30 2021-04-16 杭州诺莘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工业大麻植株的高效雌化方法
CN112715289A (zh) * 2021-01-29 2021-04-30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巴马火麻雌株鉴别及快速扩繁的方法
CN112841023A (zh) * 2021-01-28 2021-05-28 北大荒垦丰种业股份有限公司 工业大麻的单性结实育种方法及其应用
KR20220033911A (ko) 2020-09-10 2022-03-17 박무순 대마 암그루 비율 증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마 집단에서의 암그루 비율 증가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8711A (zh) * 2020-04-22 2020-06-26 黑龙江省农业科学院绥化分院 一种诱导纯雌性工业大麻的方法
CN111742838A (zh) * 2020-07-17 2020-10-09 黑龙江润地汉麻科技有限公司 药用工业大麻的人工授粉方法
KR20220033911A (ko) 2020-09-10 2022-03-17 박무순 대마 암그루 비율 증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마 집단에서의 암그루 비율 증가 방법
CN112655548A (zh) * 2020-12-30 2021-04-16 杭州诺莘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工业大麻植株的高效雌化方法
CN112841023A (zh) * 2021-01-28 2021-05-28 北大荒垦丰种业股份有限公司 工业大麻的单性结实育种方法及其应用
CN112715289A (zh) * 2021-01-29 2021-04-30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巴马火麻雌株鉴别及快速扩繁的方法
CN112715289B (zh) * 2021-01-29 2022-08-02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巴马火麻雌株鉴别及快速扩繁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027B1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1774A (ko) 청정수삼 및 인삼 엽 생산방법
CN111512806A (zh) 一种月季植物工厂育苗方法
CN109328959B (zh) 一种杜鹃新品种的栽培方法
CN105706724B (zh) 矮牵牛盆花的生产方法
CN107079817A (zh) 兜兰新品种“优优兜兰”组培快繁方法
KR100496027B1 (ko)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CN109819892A (zh) 一种草果优良单株的组织培养方法
KR20010097002A (ko) 화목류의 화아분화된 삽수를 군삽하여 소형 분화를생산하는 방법
KR100717898B1 (ko) 복주머니란 종자의 발아 및 휴면 타파 방법
CN112314381B (zh) 澳洲腊梅盆栽培育方法
CN108781810A (zh) 一种木本植物的高效商品化育苗与定居成活方法
Verboom Alstroemerias and some other flower crops for the future
Tribulato et al. Soilless culture on quality production in lily
CN112616357A (zh) 一种黄杜鹃的种子反常温催芽工艺
Janes et al. The effect of warm root zone temperatures on growth of tomato and poinsettia
JP2021040549A (ja) 果樹の栽培方法
CN105123519B (zh) 地被银桦组织培养的方法
Evgenievna et al. Technologies of Reproduction Terry Varieties of Clematis
CN109258432B (zh) 姜荷花盆花周年培育方法
Cooper et al. Effects of planting stage on fruiting of glasshouse tomatoes
CN108432529A (zh) 一种单品种火棘的提纯繁育方法
Ashok et al. Chapter-1 Recent Trends in Hi-Tech Production of Capsicum (Capsicum annuum L.)
CN116171846A (zh) 一种水培植物培育管理方法
MEHRALIYEV et al. BULLETIN OF SCIENCE AND PRACTICE
Ashok et al. Chapter-4 Recent Trends in Hi-Tech Production of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