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0520A -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0520A
KR20040060520A KR1020020087320A KR20020087320A KR20040060520A KR 20040060520 A KR20040060520 A KR 20040060520A KR 1020020087320 A KR1020020087320 A KR 1020020087320A KR 20020087320 A KR20020087320 A KR 20020087320A KR 20040060520 A KR20040060520 A KR 20040060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igital
key
virtual
m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수
김정열
장명덕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2008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0520A/ko
Publication of KR2004006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5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8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mapping a matrix of displayed objects on the screen to the numerical key-matrix of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을 원하는 방송국단축키나 숫자키에 미리 맵핑시켜 놓음으로써 각 방송사의 채널번호를 숙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방송국단축키나 숫자키를 눌러 간편하게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로 이동할 수 있는 맵핑 및 튜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널맵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지털 셋톱박스와, 다수의 키가 구비된 리모콘간에 신호 송수신에 의해 디지털방송 채널을 맵핑하고 튜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방송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의 가상채널 정보를 분석/저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가상채널 정보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가상채널을 리모콘에 구비된 키로 맵핑하여 채널맵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상기 리모콘의 키를 눌러 선택된 키에 대응되는 가상채널을 이용하여 디지털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Mapping and tunning method of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을 원하는 방송국단축키나 숫자키에 미리 맵핑시켜 놓음으로써 각 방송사의 채널번호를 숙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방송국단축키나 숫자키를 눌러 간편하게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로 이동할 수 있는 맵핑 및 튜닝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TV 화면이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규격으로는 시청할 수 없는 고해상도 화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새로운 방송규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디지털 방식의 HDTV 개발이 추진되게 되었다.
방송을 디지털화 함에 따라 주파수 이용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방송 채널 부족이 해결되고 모든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함에 따라 선명한 화질과 음질을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디지털방송 수신기는 영상과 음향이 디지털 데이터로 다루어지게 됨에 따라 데이터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쌍방향 멀티미디어 기기로 변신해 가정용 정보 단말기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이에 따라 디지털방송 수신기는 디지털 기술의 장점을 즐길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풍부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게끔 발전하고 있다.
한편 도 1은 아날로그 방송의 경우에 채널 할당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ttee)에서 지정한 고주파(RF) 채널 대역의 물리채널(1)을 번호로 할당한 것으로 한 채널 당 6MHz의 대역을 차지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채널에서는 예를 들어 C방송국의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리모콘으로 CH16을 선택하면 16번 채널인 482~488MHz 대역의 센터 주파수를 찾은 후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화면에 나타내는 식으로 방송을 볼 수 있었다.
도 1에서 보인 주파수 대역(채널) 할당은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이는 지역마다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예:서울)에서는 A방송국의 방송이 14번 채널에 할당되어 있지만 타지역(예:부산)에서는 18번에 할당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2a에서와 같이, 같은 방송을 제1송신소(2a)에서는 16번 채널로, 제2송신소(2b)에서는 30번 채널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청자들은 거주지에 따라 원하는 방송의 채널번호를 숙지하고 있어야 하고 할당된 번호는 지역마다 상이하므로 다른 지역에서 방송을 시청할 기회가 있을 경우, 그 지역의 채널 할당에 관한 사전 정보가 없다면 원하는 방송을 찾기 위해 채널을 모두 검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또한 시청자가 케이블 TV를 시청하고 있어도 케이블 방송국(SO)에서 재전송 하면서 채널이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보인 것처럼 16번 채널을 제1케이블 방송국(4a)에서는 83번 채널로 재전송하고, 제2케이블 방송국(4b)에서는 44번으로 재전송 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는 케이블 방송국에 따른 방송 채널을 숙지하고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불편함과 혼동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원하는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에 미리 맵핑시켜 놓음으로써 시청자가 각 방송사의 채널번호를 숙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를 눌러 간편하게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방송 채널의 물리채널이 바뀌더라도 가상채널의 정보를 이용해 자동으로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에 재맵핑을 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이전과 동일하게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만 누르면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어 편리한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채널맵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지털 셋톱박스와, 다수의 키가 구비된 리모콘간에 신호 송수신에 의해 디지털방송 채널을 맵핑하고 튜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방송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의 가상채널 정보를 분석/저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가상채널 정보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가상채널을 리모콘에 구비된 키로 맵핑하여 채널맵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상기 리모콘의 키를 눌러 선택된 키에 대응되는 가상채널을 이용하여 디지털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아날로그 방송에 있어서 채널 할당의 일예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송신소와 케이블 방송국에서 채널을 할당하는 일예시도이다.
도 3은 디지털방송에 있어서 채널 할당의 예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디지털방송에 있어서 송신소와 케이블 방송국에서 채널을 할당하는 일예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가 구비된 리모콘의 예시도이다.
도 6은 가상채널을 맵핑하기 위한 디지털 셋톱박스와 리모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채널을 맵핑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맵핑 과정중에 검색된 가상채널 목록을 디스플레 장치에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가상채널을 맵핑한 상태에서 튜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리채널 2a,2b : 송신소
4a,4b : 케이블 방송국 10 : 방송국명
12 : 물리채널 14 : 가상채널
20a,20b : 송신소 40a,40b : 케이블 방송국
50 : 리모콘 52 : 단축키
54 : 숫자키 56 : 방송국단축키
60 : 디지털 셋톱박스 62 : 채널맵
64 : 맵핑 및 튜닝 프로그램
70 : 디스플레이 장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디지털방송에 있어서 채널의 할당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디지털 기술의 장점 중에 하나인 가상채널(Virtual Channel) 기능을 이용하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동일채널로 원하는 디지털방송을 손쉽게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시청자의 혼란이 최소화된다.
지금까지 종래 아날로그 방송은 지역마다 송신소에서 송출되는 각각의 채널로 TV를 시청했으나, 디지털방송의 경우 송신소 채널과는 별개의 가상채널로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C디지털방송의 경우 도 4a와 도 4b에 보인 것처럼 직접 안테나로 수신하든 케이블 재전송으로 시청하던 관계없이 전국 어느 곳에서나 가상채널 CH6을 선택하게 되면 C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a에서 제1송신소(20a)의 C디지털방송 물리채널(12)은 CH16이고, 제2송신소(20b)의 C디지털방송 물리채널은 CH30으로 다르다 할지라도, 고유하게 할당된 가상채널(14) CH6을 선택하면 어느 곳에서든지 C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b에서 제1케이블 방송국(40a)의 C디지털방송 물리채널(12)은 CH83이고, 제2케이블 방송국(40b)의 C디지털방송 물리채널은 CH44로 다르다 할지라도, 고유하게 할당된 가상채널(14) CH6을 선택하면 어느 곳에서든지 C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지상파 디지털방송 규격인 ATSC(Advanced Television Service Committee)의 PSIP(Program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규격의 경우, 가상채널(14)은 메이저(Major), 마이너(Minor) 채널번호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메이저 채널번호는 지상파 방송에 사용되는 6MHz 대역에 할당된 채널번호 이고, 마이너 채널번호는 6MHz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서비스 채널에 할당된 채널번호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방송 채널의 경우 채널 튜닝을 위해 아날로그처럼 고주파 채널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 방송국에 할당된 고유 번호인 메이저 채널번호와 해당 방송국이 하나 이상의 멀티 채널을 방송하는 경우 방송사에서 자체적으로 할당하는 마이너 채널번호를 이용하게 된다.
메이저 채널번호는 각 방송사마다 고유한 번호를 할당받게 되어 있는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방송국에 CH6, B방송국에 CH9, D방송국에 CH7, A방송국에 CH11, E방송국에 CH10을 할당하는 식으로 할당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방송은 각 방송국마다 고유한 가상채널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지역마다 이에 대응되는 물리채널이 상이하더라도 사용자는 전국 어디서나 같은 가상채널번호로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방송의 특징을 이용하여 각 방송국의 채널에 대응하는 도 5a와 같은 리모콘(50)의 숫자키(54) 또는 도 5b와 같은 방송국단축키(56)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방송 채널번호를 숙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쉽게 원하는 방송사의 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추후에 물리채널에 변동이 있더라도 디지털방송 수신기 내부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변동된 물리채널을 검색하여 재맵핑(re-mapping) 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추가적인 설정없이 리모콘(50)의 숫자키(54)나 방송국단축키(56)만 누르면 원하는 방송국의 디지털방송을 볼 수 있다.
도 5a는 숫자키(54)를 도 5b에 구비된 방송국단축키(56)의 기능으로 이용하는 리모콘(50)으로, 이 경우에는 단축키(52)를 누른 후 해당 숫자키(54)를 누른다.
도 6은 가상채널을 맵핑하기 위한 디지털 셋톱박스와 리모콘의 구성도이다.
도 5a나 도 5b와 같은 구성의 리모콘(50)과, 상기 리모콘(50)과의 신호 송수신으로 가상채널(14)을 맵핑하고 튜닝하는 디지털 셋톱박스(60)와, 디지털 셋톱박스(60)의 제어에 의해 가상채널 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70)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60)에는 검색된 채널의 정보(가상채널, 물리채널, 방송국명)가 저장되고 채널과 숫자키(54)나 방송국단축키(56)의 맵핑 정보가 저장되는 채널맵(62)이 구비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맵핑과 튜닝을 수행하는 맵핑 및 튜닝 프로그램(64)이 설치된다.
도 7에 상기 리모콘의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에 방송국의 디지털방송 채널을 맵핑시키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셋탑박스(60)를 처음 사용시에 사용자는 원하는 채널을 찾기 위해 채널을 자동으로 검색하거나 수동으로 채널을 전환(튜닝)하게 된다(S602).
이 때 디지털 셋탑박스(60)는 검색된 채널의 디지털 스트림을 분석하여 검색된 채널이 가상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여(S604), 가상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그 가상채널 정보를 채널맵(62)에 저장한다(S606).
상기 가상채널 정보에는 가상채널, 물리채널, 방송국명이 포함된다.
리모콘(50)에 구비된 검색 확인키(미도시)를 누르면 디지털 셋탑박스(60)는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70)에 상기 가상채널 정보를 도 7에서와 같이 가상채널 리스트로 표시한다(S608).
사용자가 리모콘(5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70)에 표시된 가상채널 리스트중에서 맵핑시키려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고(도 8에서 가상채널 CH7의 D방송국)(S610), 사용자는 리모콘(50)의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도 8에서 1번 숫자키)을 누르면 디지털 셋톱박스(60)는 선택된 방송 채널과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를 맵핑시키고 채널맵에 저장한다(S612).
이후 다른 방송 채널을 맵핑할 것인지 판단하여(S614), 다른 방송 채널을 맵핑할 것이면 상기 S610단계를 수행하고, 맵핑하지 않을 것이면 맵핑을 종료한다.
상기 602단계에서 수동으로 채널을 전환(튜닝)하는 경우, 디지털 셋탑박스(60)는 튜닝된 채널의 디지털 스트림을 분석하여 튜닝된 채널이 가상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여(S620), 가상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그 가상채널 정보를 채널맵(62)에 저장한다(S622).
이후 디지털 셋탑박스(60)는 디스플레이 장치(70)에 상기 가상채널 정보를 표시한다(S624).
사용자는 리모콘(50)의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를 눌러 디스플레이 장치(70)에 표시된 방송 채널과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를 맵핑시키고 채널맵(62)에 저장한다(S626).
이후 디지털 셋톱박스(60)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채널을 찾기 위해 수동으로 채널을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여(S628), 수동으로 채널을 전환할 것이면 상기 S620단계를 수행하고, 맵핑하지 않을 것이면 맵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채널로 전환될 때마다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하므로 사용중에 디지털 방송채널의 물리채널이 바뀌는 경우가 있더라도 맵핑 정보가 자동으로 다시 업데이트되므로 사용자는 예전과 동일한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를 눌러 원하는 디지털방송을 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가상채널을 맵핑한 상태에서 튜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디지털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리모콘의 단축키(52)를 누른 후 숫자키(54)를 누르거나 방송국단축키(56)를 눌러, 숫자키나 방송국 단축키를 선택한다(S802).
디지털방송 셋톱박스(60)는 채널맵(62)을 검색하여(S803), 선택된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에 대응되는 디지털 채널 정보가 등록되었는지 판단한다(S804).
만약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에 대응하는 디지털 채널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디스플레이 장치(70)에 아직 등록되지 않았음을 표시하여(S814)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등록이 되어 있으면 등록된 디지털 채널 정보를 참고로 대응되는 물리채널로 튜닝하여(S806), 디지털 스트림이 존재하고 디지털 스트림의 가상채널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808).
디지털 스트림이 존재하고 디지털 스트림의 가상채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채널맵(62)에 저장된 디지털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디지털 채널의 마이너 채널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S810).
상기 마이너 채널이 다수개 존재한다면 각각의 마이너 채널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사용자는 리모콘에 구비된 키를 사용하여 동일한 메이저 채널상에서 해당하는 방송의 마이너 채널로 전환한다(S812).
이와 같은 방법으로 튜닝을 하여 원하는 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지털 스트림이 존재하지 않거나 디지털 스트림의 가상채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 셋톱박스(60)는 방송국 주파수가 변경되거나 수신지역을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채널맵(62)에 등록된 가상채널(14)을 가지고 있는 물리채널(12)을 검색하여 가상채널(12)을 다시 맵핑한다(S816).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원하는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에 미리 맵핑시켜 놓음으로써 시청자가 각 방송사의 채널번호를 숙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를 눌러 간편하게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방송 채널의 물리채널이 바뀌더라도 가상채널의 정보를 이용해 자동으로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에 재맵핑을 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이전과 동일하게 숫자키나 방송국단축키만 누르면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어 편리하다.

Claims (7)

  1. 채널맵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지털 셋톱박스와, 다수의 키가 구비된 리모콘간에 신호 송수신에 의해 디지털방송 채널을 맵핑하고 튜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방송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의 가상채널 정보를 분석/저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가상채널 정보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가상채널을 리모콘에 구비된 키로 맵핑하여 채널맵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상기 리모콘의 키를 눌러 선택된 키에 대응되는 가상채널을 이용하여 디지털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채널 정보는 물리채널, 가상채널, 방송국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과 2과정에서 리모콘에 구비된 키로, 단축키+숫자키나 방송국 전용 단축키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튜닝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을 찾기 위해 채널을 자동으로 검색하는 단계와,
    디지털 셋탑박스에서 검색된 채널의 디지털 스트림을 분석하여 검색된 채널이 가상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가상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그 가상채널 정보를 채널맵에 저장하는 단계와,
    디지털 셋탑박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가상채널 정보를 가상채널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와,
    리모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가상채널 리스트중에서 맵핑시키려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와,
    리모콘의 키를 누르고, 디지털 셋톱박스에서 선택된 방송 채널과 키를 맵핑시키고 채널맵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튜닝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원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을 찾기 위해 수동으로 채널을 전환하는 단계와,
    디지털 셋탑박스에서 전환된 채널의 디지털 스트림을 분석하여 전환된 채널이 가상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가상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그 가상채널 정보를 채널맵에 저장하는 단계와,
    디지털 셋탑박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상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리모콘의 키를 누르고, 디지털 셋톱박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방송 채널과 키를 맵핑시키고 채널맵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튜닝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키를 눌러 매핑된 키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방송 셋톱박스에서 채널맵을 검색하여, 선택된 키에 대응되는 디지털 채널 정보가 등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등록되어 있는 경우, 등록된 디지털 채널 정보를 참고로 대응되는 물리채널로 튜닝하여, 디지털 스트림이 존재하고 디지털 스트림의 가상채널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디지털 스트림이 존재하고 디지털 스트림의 가상채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채널맵에 저장된 디지털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가상채널의 마이너 채널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리모콘에 구비된 키를 사용하여 동일한 메이저 채널상에서 해당하는 방송의 마이너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튜닝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스트림이 존재하고 디지털 스트림의 가상채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에서 채널맵에 등록된 가상채널을 가지고 있는 물리채널을 재검색하여 가상채널을 다시 맵핑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튜닝방법.
KR1020020087320A 2002-12-30 2002-12-30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KR20040060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320A KR20040060520A (ko) 2002-12-30 2002-12-30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320A KR20040060520A (ko) 2002-12-30 2002-12-30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520A true KR20040060520A (ko) 2004-07-06

Family

ID=3735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320A KR20040060520A (ko) 2002-12-30 2002-12-30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0520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88B1 (ko) * 2004-08-1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0703877B1 (ko) 2006-04-13 2007-04-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방송 시청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청 방법
KR100710272B1 (ko) * 2006-07-20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예약방법
WO2007064055A1 (en) * 2005-11-29 2007-06-07 Hanaromedia Co., Ltd. Simple and efficient method of performing service change between multiple services including broadcast channel services delivered through broadcasting network and contents services delivered through internet
KR100783795B1 (ko) * 2005-05-26 2007-12-07 주식회사 한국라임티비 핫-키 매핑 데이터에 대한 동적 갱신이 가능한 핫-키 관리서버와 디지털방송 수신 재생 장치 및 핫-키 매핑 데이터갱신 방법
KR100801425B1 (ko) * 2006-11-27 2008-02-05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번호를 이용한 채널선택 서비스 제공방법 및가상번호를 이용한 방송채널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셋탑장치
KR101158049B1 (ko) * 2005-03-07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채널 정보 제공 방법 및 채널 정보 편집 방법
KR101295566B1 (ko) * 2006-10-23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방법
CN104104978A (zh) * 2013-04-07 2014-10-15 北京加维通讯电子技术有限公司 数字机顶盒一键选择系统及方法
CN106101792A (zh) * 2016-08-16 2016-11-09 广东九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顶盒遥控器的按键功能调整方法
KR20200131559A (ko) * 2019-05-14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88B1 (ko) * 2004-08-1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158049B1 (ko) * 2005-03-07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채널 정보 제공 방법 및 채널 정보 편집 방법
KR100783795B1 (ko) * 2005-05-26 2007-12-07 주식회사 한국라임티비 핫-키 매핑 데이터에 대한 동적 갱신이 가능한 핫-키 관리서버와 디지털방송 수신 재생 장치 및 핫-키 매핑 데이터갱신 방법
WO2007064055A1 (en) * 2005-11-29 2007-06-07 Hanaromedia Co., Ltd. Simple and efficient method of performing service change between multiple services including broadcast channel services delivered through broadcasting network and contents services delivered through internet
KR100748856B1 (ko) * 2005-11-29 2007-08-13 하나로미디어(주)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채널 서비스와 인터넷을 통해전달되는 컨텐츠 서비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상호간의 이동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KR100703877B1 (ko) 2006-04-13 2007-04-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방송 시청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청 방법
US8661474B2 (en) 2006-07-20 2014-02-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thereor
KR100710272B1 (ko) * 2006-07-20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예약방법
KR101295566B1 (ko) * 2006-10-23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방법
KR100801425B1 (ko) * 2006-11-27 2008-02-05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번호를 이용한 채널선택 서비스 제공방법 및가상번호를 이용한 방송채널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셋탑장치
CN104104978A (zh) * 2013-04-07 2014-10-15 北京加维通讯电子技术有限公司 数字机顶盒一键选择系统及方法
CN106101792A (zh) * 2016-08-16 2016-11-09 广东九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顶盒遥控器的按键功能调整方法
KR20200131559A (ko) * 2019-05-14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1258B1 (ko) 디지털 방송의 가상 채널 맵핑 및 채널 튜닝방법
KR100233410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갱신방법 및 장치
US6700624B2 (en) Combined terrestrial wave/cable broadcast receiver an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67210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the time required to generate a channel map in a television signal receiver
CA2224926C (en) Navigation among grouped television channels
KR100277952B1 (ko)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티브이의 채널 운용장치및 방법
US7697077B2 (en) Channel number sorting for digital television
KR20040060520A (ko) 디지털방송 채널의 맵핑 및 튜닝방법
KR100694216B1 (ko) 다중 디지털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20034246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튜닝 제어방법
AU2010334365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rogramming a receiver able to receive radio television signals in at least two different formats and related receiver
JP368567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027106B2 (en) Digital/analog broadcast receiver receiving digital/analog broadcast in range of read carrier frequency
KR20030079548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변환 방법
KR100247446B1 (ko)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의 방송 채널 자동 검색 및 절환 방법
KR20010019711A (ko) 데이타방송 자동 저장기능을 갖는 디지탈방송수신시스템
KR100359815B1 (ko) 지상파/케이블 복합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502007B1 (ko)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검색 방법
KR10101083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선호 방송 기억방법
KR10078983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이피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디지털티브이
KR100606825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KR2007001640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자동 채널 설정방법
KR0166564B1 (ko) 잦은 채널선국시의 텔레비젼/유선방송의 방송모드절환장치
KR20050046986A (ko) 2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의 장르별 채널 검색 장치및 방법
KR20010076437A (ko) 티브이의 부가정보데이터 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