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825B1 -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825B1
KR100606825B1 KR1020040046057A KR20040046057A KR100606825B1 KR 100606825 B1 KR100606825 B1 KR 100606825B1 KR 1020040046057 A KR1020040046057 A KR 1020040046057A KR 20040046057 A KR20040046057 A KR 20040046057A KR 100606825 B1 KR100606825 B1 KR 10060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igital
analog
channels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934A (ko
Inventor
김해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825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합 저장하여 채널간 전환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은, 물리 채널을 통해 방송 채널이 선국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가상 채널을 통해 방송 채널이 선국되는 디지털 티브이의 방송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티브이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설정 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의 리모콘 채널 업/다운 버튼 순서를 통합시켜 동작되도록 하는 통합저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맵 메모리에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은 상기 물리채널 순서로 할당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은 상기 가상채널 순서로 상기 물리채널 사이에 할당시킴으로써 리모콘 채널 업/다운 버튼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간의 채널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채널 순서 할당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order in digital televis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할당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채널 할당 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물리채널로 분리저장한 채널 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물리채널과 가상채널로 통합저장한 채널 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서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의 채널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 및 채널 디코더부 20 : 데이터 처리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채널 맵 저장부
50 : 리모콘 키 입력부 6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합저장하여 채널간 전환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디지털 티브이(이하, DTV) 방송 현황을 살펴보면, 2000년 시험방송을 거쳐 수도권 지역은 2002년 본방송을 실시하고 있으며, 광역시는 2004년에 예정되어 있고, 2010년까지 DTV 방송 전환을 모두 완료할 예정이다.
종래의 아날로그 TV와 DTV의 채널할당 방법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아날로그 TV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채널만 탐색하여 채널정보를 저장하는 반면, DTV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혼재되어 있는 방송환경 하에서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을 모두 탐색하여 채널정보를 저장한 다음 시청자의 선택조건에 따라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을 모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TV와 DTV의 경우 채널 운용방식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는데, 아날로그 TV는 지역마다 송신소에서 송출되는 각각의 채널로 TV를 시청함으로 인해 서울지역과 지방에서 동일한 방송이지만 채널이 서로 다르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시청자가 어떤 방송을 시청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 방송국의 채널 번호를 알아야 한다.
반면 DTV의 경우 송신소의 물리적인 채널과는 별개로 방송국마다 정해진 가 상채널 번호로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하게 되는데 이렇게 가상채널 개념을 둠으로써 동일 방송국 채널의 경우 전국 어디에서나 동일하므로 시청자는 물리채널은 몰라도 되고 가상채널만 알면 되기 때문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할당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다른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채널 할당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의 채널 할당 순서는 수도권 지역의 DTV 방송에 대한 물리적인 채널과 가상채널을 나타내고 있는데, 물리채널은 각 송신소마다 다르고, 또한 지역별로 다르지만 가상채널은 전국에서 동일하다.
이러한 가상채널 정보는 DTV 신호인 트랜스포트 스트림(TP)에서 패킷(Table Packet)내에 존재하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에 실려있으며, DTV 선국과정에서 섹션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이러한 가상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종래의 DTV에서 사용된 채널 맵(map) 구현 방식은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을 단순히 분리하여 채널 메모리 맵에 저장한 후 시청자가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을 분리하여 선택하도록 구현된 방식이다.
종래의 채널 맵으로 구현되었을 경우 시청자가 채널을 선택하는 방식의 문제 점을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혼재된 어느 지역의 시청자가 채널 선국을 한 결과가 도 2와 같다고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DTV의 경우 아날로그 방송은 물리채널 기준으로 순서대로 채널 맵에 저장되며,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채널 이후부터 저장되는데 물리채널 순서대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가상채널의 순서대로 저장된다. 즉 종래의 DTV의 경우에는 자동채널을 선택하면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부터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까지 일시에 선국을 한 다음 아날로그 채널 정보와 디지털 채널 정보를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였다.
따라서 MBC의 경우 물리채널은 61채널로 SBS인 68채널보다 낮지만 고유의 가상채널 번호가 11-1 이어서 6-1인 SBS 보다 뒤이므로 나중에 저장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을 단순히 분리하여 채널 맵에 저장한 후 시청자가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을 분리하여 선택하도록 구현되어 있는 경우 아날로그 채널 내에서만 채널 전환하거나 디지털 채널 내에서 채널 전환시에는 큰 불편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시청자가 리모콘의 채널 업/다운 버튼을 눌러서 디지털 채널에서 아날로그 채널로 이동하거나, 아날로그 채널에서 디지털 채널로 이동할 때에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모든 방송사가 아날로그 방송을 중단하고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기 전까지는 시청자가 아날로그 방송채널과 디지털 방송채널을 왔다갔다 전환하면서 시청해야 할 경우가 많다. 즉 HD급 고화질 방송의 경우에는 디지털 채널로 시청하고, 아날 로그 카메라로 제작되어 단순히 포맷변환하여 디지털 채널로 송신해주는 SD급의 방송인 경우에는 포맷변환시 화질 열화나 칼라 색농도 등이 변화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오히려 아날로그 채널에서 방송을 시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청자의 편리성 도모 면에서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간의 전환이 쉽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 예에서 디지털 채널 중 KBS1(가상채널:9-1)을 시청하다가 아날로그 채널의 KBS1(9-0) 채널이나 MBC, SBS 채널 등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종래의 DTV의 경우 리모콘의 채널 업/다운 버튼을 눌러서 이동할 경우 매우 많은 횟수를 눌러야 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게 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디지털 KBS1에서 아날로그 KBS1으로 이동시 채널 다운(DOWN) 버튼으로 이동한다면 리모콘의 채널 다운(DOWN) 버튼을 누를 때 마다 KBS1(9-1) -> KBS2(7-1) -> SBS(6-1) -> 아날로그 유선(125-0) -> … -> EBS(13-0) -> MBC(11-0) -> KBS1(9-0)의 순서로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채널 업(UP) 버튼을 눌러서 이동할 경우 채널 업(UP) 버튼을 누를때 마다 KBS1(9-1) -> MBC(11-1) -> EBS(13-1) -> 아날로그 2-0채널 -> … -> SBS(6-0) -> KBS2(7-0) -> KBS1(9-0)의 순서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 사이에는 매우 많은 채널들이 존재하므로 이동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점은 아날로그 채널에서 디지털 채널로 이동시에도 역시 동일하게 발생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리모콘의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이동하면 채널전환을 바로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에도 시청자는 각 방송 채널이 몇 번인지 기억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또한 디지털 채널의 가상채널들과 구분하기 위해 단순히 아날로그 채널 번호만 누르면 되는 것이 아니라 아날로그 채널인 경우에는 6-0, 7-0, 9-0 등의 대시(dash) 0(- 0) 버튼을 더 눌러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디지털 채널인 경우에는 6-1, 7-1, 9-1 등의 대시 1(- 1) 버튼을 더 눌러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시청자들이 채널 이동시 채널 업/다운 버튼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관점에서 볼 때에 여간 불편한 사항이 아니다.
이와 같은 종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할당을 이용한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아날로그 방송 채널에서 디지털 방송 채널로 이동하거나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 이동하는 경우 채널 업/다운 버튼을 이용하는 경우 채널 전환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모되었다.
둘째, 아날로그 방송 채널에서 디지털 방송 채널로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방송의 가상채널번호와 디지털 방송의 가상채널번호를 모두 외우고 있어야 한다.
셋째, 아날로그 방송의 가상채널번호와 디지털 방송의 가상채널번호 모두를 외우고 있더라도 기본적으로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을 구분하는 대시(dash) 키를 입력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채널 맵 저장부에 통합저장하여 동일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채널간 전환을 리모콘의 채널 업/다운 버튼으로 구현하여 채널 전환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은, 물리 채널을 통해 방송 채널이 선국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가상 채널을 통해 방송 채널이 선국되는 디지털 티브이의 방송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티브이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설정 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의 리모콘 채널 업/다운 버튼 순서를 통합시켜 동작되도록 하는 통합저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맵 메모리에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은 상기 물리채널 순서로 할당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은 상기 가상채널 순서로 상기 물리채널 사이에 할당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의 리모콘 채널 버튼 순서를 분리시켜 동작되도록 분리저장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맵 메모리에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들과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들을 분리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의 물리채널과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 의 가상 채널을 각각 별도로 할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는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와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디코딩하는 채널 디코더로 구성된 튜너 및 채널 디코더부(10)와, 상기 전송 스트림 형태로 디코딩된 데이터를 재생 및 저장할 수 있도록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하는 데이터 처리부(20)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각각 물리채널 순서대로 분리저장하거나,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물리채널과 가상채널의 순서로 통합저장하는 채널 맵 저장부(40)와, 리모콘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리모콘 키 입력부(50)와, 디지털 티브이를 제어하며 상기 리모컨 키 입력부(50)로부터의 채널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채널 맵 저장부(40)에 저장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 순서에 따라 전환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60)는 초기에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분리저장(도 4 참조)과 통합저장(도 5 참조)을 판단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분리 또는 통합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중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물리채널로 분리저장한 채널 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중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물리채널과 가상채널로 통합저장한 채널 맵을 나타낸 도면이이다.
도 4는 실질적으로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방식과 동일한 분리저장 모드에 따른 채널 맵 저장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통합저장 모드에 따른 채널 맵 저장 예를 보여 주고 있다.
도 4와 같은 경우에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분리하여 저장할 경우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이 채널 맵 저장부(40)에 서로 분리되어 저장되어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간에 전환 시 채널 전환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버튼을 많이 눌러야 한다.
그러나 도 5와 같은 경우에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합하여 채널 맵 저장부(40)에 저장하므로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이 서로 인접해 있어 리모콘을 채널 업/다운 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채널 전환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디지털 KBS1에서 아날로그 KBS1으로 이동시 채널 다운(DOWN) 버튼으로 이동할 때에 종래의 방식인 분리저장 모드로 저장된 경우에는 KBS1(9-1) -> KBS2(7-1) -> SBS(6-1) -> 아날로그 유선(125-0) -> … -> EBS(13-0) -> MBC(11-0)-> KBS1(9-0) 채널의 순서로 이동하게 된다.
그와 같은 경우 디지털 KBS1 채널과 아날로그 KBS1 사이에 매우 많은 채널이 존재함으로 인해 채널 다운(DOWN) 버튼을 채널 수만큼 눌러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편하였다.
그러나 도 5에서와 같이, 통합저장 모드로 저장된 경우에는 리모콘의 채널 다운(DOWN) 버튼을 한번만 누름으로써 디지털 KBS1(9-1) -> 아날로그 KBS1(9-0) 채널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사용이 편리하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서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시청자가 채널을 설정하고자 할 때 리모콘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OSD(On Screen Display) 메뉴를 디스플레이 시킨 후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설정항목에 진입한다(S10).
그러면 제어부에서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채널을 분리하여 저장할 것인지, 아니면 통합하여 저장할 것인지를 OSD로 디스플레이시킨다(S20).
이때, 분리저장 모드를 선택하면 종래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이 분리되어 저장되며(S30), 통합저장 모드를 선택하면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이 통합되어 도 5에서와 같이 각각의 아날로그 방송 채널 다음에 동일한 가상채널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채널이 연속하여 저장된다(도 5)(S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에 있어서는 디지털 채널을 시청하다가 아날로그 채널로 이동하고자 할 때 아날로그 방송 채널의 물리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의 물리채널이 서로 인접하게 저장되므로 채널 전환이 매우 용이하게 되어 전환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물리 채널을 통해 방송 채널이 선국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가상 채널을 통해 방송 채널이 선국되는 디지털 티브이의 방송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티브이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설정 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채널 설정 모드에서,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의 리모콘 채널 업/다운 버튼 순서를 통합시켜 동작되도록 하는 통합저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맵 메모리에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은 상기 물리채널 순서로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은 상기 가상채널 순서로, 동일한 방송국별로 그룹핑시켜, 상기 물리채널 사이에 할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디지털 방송 채널의 리모콘 채널 버튼 순서를 분리시켜 동작되도록 하는 분리저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맵 메모리에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들과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들을 분리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의 물리채널과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의 가상 채널을 각각 별도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KR1020040046057A 2004-06-21 2004-06-21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KR10060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057A KR100606825B1 (ko) 2004-06-21 2004-06-21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057A KR100606825B1 (ko) 2004-06-21 2004-06-21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934A KR20050120934A (ko) 2005-12-26
KR100606825B1 true KR100606825B1 (ko) 2006-08-01

Family

ID=3729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057A KR100606825B1 (ko) 2004-06-21 2004-06-21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494A (ko) 2015-08-18 2017-02-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채널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277A (ko) * 1998-05-15 1999-12-06 구자홍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티브이의 채널 운용장치및 방법
KR20000052168A (ko) * 1999-01-30 2000-08-16 윤종용 디지털 및 아날로그 방송신호들의 통합채널리스트를 제공하는 방송신호수상기
JP2001136443A (ja) 1999-11-05 2001-05-18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選局方法
JP2004056178A (ja) 2002-07-16 2004-02-19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277A (ko) * 1998-05-15 1999-12-06 구자홍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티브이의 채널 운용장치및 방법
KR20000052168A (ko) * 1999-01-30 2000-08-16 윤종용 디지털 및 아날로그 방송신호들의 통합채널리스트를 제공하는 방송신호수상기
JP2001136443A (ja) 1999-11-05 2001-05-18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選局方法
JP2004056178A (ja) 2002-07-16 2004-02-19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46057 - 606975
1020040046057 - 60697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494A (ko) 2015-08-18 2017-02-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채널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934A (ko)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33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7788691B2 (en) Terrestrial digital TV broadcast signal receiver
EP1578132A1 (en) Method for diplaying the thread of program in a broadcasting receiver
JP3832516B2 (ja) 選局方法および選局装置
JP4522885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の表示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467790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JPH09182035A (ja) 電子機器
WO2006089022A1 (en) Channel navigation on integrated atsc tuner tv set
KR20050094232A (ko) 디지털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구현 방법
CN1972425B (zh) 广播节目信息显示方法和广播接收器
JP5132579B2 (ja) 放送受信装置
EP1187468A1 (en) Television system
KR100606825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채널 순서 할당 방법
US20050071875A1 (en) Programmable electronic program guide
KR20020076597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선국방법
US20080172699A1 (en) Channel Navigation on Integrated Atsc Tuner Tv Set
JP2001309253A (ja) テレビ受信機
JP2011035629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KR100669619B1 (ko) 티브이의 부가정보데이터 저장방법
KR100793777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17190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프로그램 방송 예정시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10042067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구현 방법
KR10148117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685994B1 (ko) 영상기기 및 그 국가별 채널 운용 방법
KR20050122846A (ko) 텔레비전의 채널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