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127A -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127A
KR20040058127A KR1020040038603A KR20040038603A KR20040058127A KR 20040058127 A KR20040058127 A KR 20040058127A KR 1020040038603 A KR1020040038603 A KR 1020040038603A KR 20040038603 A KR20040038603 A KR 20040038603A KR 20040058127 A KR20040058127 A KR 2004005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ing
movie
information
repor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오
신승식
이종환
Original Assignee
김건오
신승식
이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오, 신승식, 이종환 filed Critical 김건오
Priority to KR102004003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8127A/ko
Publication of KR2004005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1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화업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화업무의 자동화를 제공하고, 각종 서류 작성 시 입력되는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며, 영화업무와 관련한 서류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영화상영일수 감경신고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화상영 신규/변경 접수요청에 의해 업로드되는 영화상영 신규/변경신고서 정보를 DB부에 저장하고, 영화상영 승인요청에 의해 그 DB부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신고서 양식으로 자동작성하는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심의필증 이미지 및 그 심의필증 이미지에 기재된 영화상영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영화사단말기(3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의 DB부에 등록된 심의필증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심의필증 이미지 중 필요로 하는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신고서를 작성하여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접수요청하고, 인가된 영화상영의 신규/변경 승인신고서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이 구비된 극장단말기(4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등록된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신고서를 열람한 후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신고서의 승인을 요청하고, 그 승인요청에 의해 인가된 영화상영의 신규/변경 승인신고서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이 구비된 관할구청단말기(5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Vicarious system of a cinema business using a internet}
본 발명은 영화업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화업무의 자동화를 제공하고, 각종 서류 작성 시 입력되는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며, 영화업무와 관련한 서류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영화상영일수 감경신고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외화의 경우 통관절차 이후)가 극장에서 상영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심의절차를 거쳐야한다.
먼저, 제 1절차로 영화사(제작사, 배급사, 홍보사 및 마케팅사를 통칭하여)는 상영하고자 하는 영화의 심의를 영상물 등급위원회에게 신청한다. 영상물 등급위원회는 영상물 관련법에 의한 심의규정을 근거로 영화사에서 심의 신청한 영화의 심의를 진행한다.
이후, 영상물 등급위원회에서 심의 승인인 인가되면 영화사는 영상물 등급위원회로부터 심의필증을 배부 받고, 그 배부 받은 심의필증을 영화가 상영될 해당 극장측에 전달한다.
제 2절차로 극장측은 영화상영 신고서 중의 하나인 영화상영 신규신고서를 각각 2부를 작성한다. 여기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의 양식은 영화상영 변경신고서의 양식과 동일하기 때문에 영화상영 신고서의 상단에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또는 영화상영 변경신고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난이 구비되어 있어 해당난에 체크한다.
신고인이 영화상영 신규신고서에 기재해야할 정보에는 극장의 상호(또는 법인명), 극장영업소 소재지, 대표자 성명, 대표자 주민등록번호, 대표자주소로 이루어진 신고인 정보사항과, 영화의 제목(외화의 경우 영화원제목 포함)과, 영화상영기간 및 영화상영장소와, 관람요금과, 상영등급분류번호, 상영등급, 원작자/제작자/감독의 이름(국적포함)과, 영화의 종별 등이 기재된다.
이와 같이, 영화상영 신규신고서의 각 입력난에 정보를 기재한 후 극장측 신고인은 직인을 날인하여 영화상영 신규신고서의 작성을 완료한다.
이후, 극장측은 작성된 2부의 영화상영 신규신고서에 심의필증을 첨부하여 관할구청의 담당부서에 제출한다.
제 3절차로 구청의 담당부서 직원은 제출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및 심의필증을 참조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 2부의 영화상영 신규신고서에 구청장 직인을 날인하여 승인한다. 이와 같이, 구청장 직인이 날인된 2부의 영화상영 신규승인신고서중 1부는 구청에 비치하고 나머지 1부는 극장측에 가지고가 영화가 상영될 해당 상영관에 비치하여 영화상영을 진행한다.
또한, 극장측은 상영하고 있는 영화의 조기 종영 또는 연장상영을 하고자 할 경우 영화상영 신고서 중의 하나인 영화상영 변경신고서를 상술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에 기재하는 정보와 동일하게 기재하여 각각 2부를 작성한다. 단, 영화상영변경신고서 작성 시 별도로 입력되는 정보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먼저, 영화상영기간에 변경 전 영화상영기간 및 변경 후 영화상영기간을 병기 기재하고, 영화상영장소가 변경(예를 들어, 극장 내 상영관 중 제 1관에서 제 3관으로 변경되는 경우) 될 경우 그 변경되는 영화상영장소를 기재하며, 변경사유 기재난에 변경사유(예를들어, 기간연장)를 기재한다.
이와 같이, 기재된 영화상영 변경 신고서를 상술한 제 3절차와 동일하게 구청에 제출하여 배부 받은 영화상영 변경승인신고서를 극장측에 비치한다.
또한, 극장측은 특정주기(1년)마다 상영일수 감경 신고서를 구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영일수감경 신고서란 추석 또는 설과 같은 특정연휴에 방화를 상영할 경우 방화의 연간 의무상영기준일수(스크린 쿼터제)를 감경하여 주는 신고서로서, 극장은 이 기준일수에 미달된 경우 미달된 일 수 만큼 영업정지와 같은 제재가 가해지기 때문에 정확하게 기재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영화사, 극장측 및 관할구청 간에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의 접수및 승인 및 상영일수 감경 신고서의 제출과 같은 영화업무를 진행하고자 할 경우 담당자들이 직접 해당 사무소(또는 구청) 등을 직접 방문하여 접수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업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극장측은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를 작성할 때마다 일일이 극장측의 신상정보(신고인정보)와 영화상영 관련정보를 항시 기재하고, 극장측의 직인도 항시 날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전국 각지의 수십 또는 수 백개의 영화관에서 동일한 영화를 상영하는 경우가 많아 모든 극장측 담당자들에게 폐해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전국 각지의 수십 또는 수 백개의 영화관에서 동일한 영화가 상영되는 경우 해당 상영관마다 상영예정중인 영화의 영화상영 신규신고서에 심의필증을 첨부해야 되기 때문에 영화사는 영상물 등급위원회로부터 해당 상영하는 영화관 수만큼 심의필증을 발급 받거나 또는 심의필증 원본을 해당 상영하는 영화관 수만큼 복사한 후, 원본/카피본을 일일이 전국각지에 분포된 수십 또는 수 백개의 영화관에 우편으로 송달을 해야 하는 절차상의 복잡함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우편을 이용한 송달은 우편분실의 폐단까지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화사, 극장측, 구청간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들 간의 영화업무를 중계하는 서버를 구축하여 영화업무의 자동화를 제공함으로써,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영화업무의 처리가 가능하여 업무효율이 극대화된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를 작성 시 그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에 기재해야 하는 극장측의 신상정보와 영화상영 관련정보를 사전에 검색추출하고 그 검색추출된 정보를 취합하는 모듈을 구비한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영화를 상영하는 전국 각지의 수십 또는 수 백개의 영화관에 구비한 단말기(PC)로 심의필증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심의필증을 전달 받는 시간이 거의 실시간으로 행해지고, 더욱이 분실의 염려가 없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화상영일수 감경신고를 자동적으로 연산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극장측에서 별도로 영화상영일수 감경신고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는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은 영화상영 신규/변경 접수요청에 의해 업로드되는 영화상영 신규/변경신고서 정보를 DB부에 저장하고, 영화상영 승인요청에 의해 그 DB부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신고서 양식으로 자동작성하는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심의필증 이미지 및 그 심의필증 이미지에 기재된 영화상영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영화사단말기(3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의 DB부에 등록된 심의필증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심의필증 이미지 중 필요로 하는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신고서를 작성하여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접수요청하고, 인가된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승인신고서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이 구비된 극장단말기(4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등록된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신고서를 열람한 후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신고서의 승인을 요청하고, 그 승인요청에 의해 인가된 영화상영의 신규/변경 승인신고서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이 구비된 관할구청단말기(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DB부는,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 작성, 그 작성된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 열람,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신고서 작성, 상영일수 감경신고서 작성및 상기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신고서 출력양식을 포함하는 각종 서식정보(웹페이지)가 저장된 서식정보 DB(110)와, 영화사, 극장, 관할구청으로 각각 구분되는정보로서, 가입한 회원의 ID/패스워드로 이루어진 인증정보와 신상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DB(120)와, 극장 및 관할구청의 직인이 이미지로 저장된 직인이미지정보 DB(130)와, 영화상영의 신고정보가 신규 및 변경으로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영화상영신고서정보 DB(140)와, 영상물 등급위원회에서 심의 승인된 영화관련 심의필증 이미지 및 그 심의필증 이미지에 기재된 영화상영관련정보가 저장된 심의필증정보 DB(150)와, 승인된 영화상영의 신고정보가 신규 및 변경으로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영화상영 승인신고서정보 DB(160)와, 소정주기마다 자동적으로 산정되는 방화의 의무상영기준일수가 누적저장되는 상영일수 감경신고서정보 DB(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화업무대행서버(100)에는, 상기 영화사단말기(300)에서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 작성 시, 상기 관할구청단말기(500)에서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 열람 시, 또는 상기 영화사단말기(300) 및 상기 관할구청단말기(500)에서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신고서 출력 시 해당 신고서마다 삽입되는 정형화된 영화상영관련 정보 및 해당 회원의 신상정보를 상기 DB부에서 검색하여 추출하는 검색추출모듈(180)과, 상기 검색추출모듈(180)에서 추출된 영화상영관련 정보를 해당 신고서의 각 표시난에 취합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취합모듈(190)를 포함한다.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과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소정주기마다 영화상영 승인 신고서정보 DB(160)에 저장된 영화의 상영일수중 특정연휴(설/추석 등)에 상영한 방화의 상영일수만 체킹하여 추출하고, 그 추출된 특정연휴에 상영한 방화의 상영일수를 참조하여 방화의 연간 의무상영기준일수의 감경일수를 연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영화업무대행서버가 운영하는 DB부 및 각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극장단말기가 로그인 시 출력되는 극장용 메인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신고서 버튼에 마우스 커서 위치 시 하부에 표시되는 신규/변경 버튼 중 신규버튼을 클릭 시 출력되는 심의필증 선택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심의필증 선택화면 중 특정한 심의필증 버튼을 클릭 시 출력되는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을 작성한 후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출력되는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미리보기 양식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의 신고서 버튼에 마우스 커서 위치 시 하부에 표시되는 신규/변경 버튼 중 변경버튼을 클릭 시 출력되는 영화상영 변경신고서 접수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영화상영 변경 승인신고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방화의 연간의무상영일수 중 특정일에 상영한 경우 일수를 감경 받는 감경신청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심의필증등록 신청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극장용 메인화면 20 : 심의필증 선택화면
30 : 신규신고서 접수화면
40 :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미리보기 양식화면
50 : 영화상영 변경신고서 접수화면
60 : 영화상영 변경 승인신고서 양식화면
70 : 감경신청서 접수화면 80 : 심의필증 이미지 등록접수화면
100 : 영화업무대행 서버 110 : 서식정보 DB
120 : 회원정보 DB 130 : 직인이미지 정보 DB
140 : 영화상영신고서 정보 DB 150 : 심의필증정보 DB
160 : 영화상영 승인 신고서정보 DB
170 : 상영열수 감경 신고서정보 DB
180 : 검색추출모듈 190 : 취합모듈
200 : 인터넷망 300 : 영화사단말기
400 : 극장단말기 500 : 관할구청단말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화업무대행서버가 운영하는 DB부 및 각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극장단말기가 로그인 시 출력되는 극장용 메인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신고서 버튼에 마우스 커서 위치 시 하부에 표시되는 신규/변경 버튼 중 신규버튼을 클릭 시 출력되는 심의필증 선택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심의필증 선택화면 중 특정한 심의필증 버튼을 클릭시 출력되는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을 작성한 후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출력되는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미리보기 양식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3의 신고서 버튼에 마우스 커서 위치 시 하부에 표시되는 신규/변경 버튼 중 변경버튼을 클릭 시 출력되는 영화상영 변경신고서 접수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영화상영 변경승인신고서 화면을 나라낸 도면이며, 도 9는 방화의 연간의무상영일수 중 특정일에 상영한 경우 일수를 감경 받는 감경신청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심의필증등록 신청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영화업무대행 시스템을 영화사, 극장 및 관할구청에서 이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회원으로 가입해야 한다. 영화사, 극장 및 관할구청으로 구분되는 각 회원의 가입절차를 극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원 가입을 위해, 극장측은 인터넷서비스가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인 극장단말기(400)에 구비된 웹브라우저를 실행한 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논리적인 주소(예를 들어, www.abc.co.kr)를 URL 입력부에 입력하여 해당 웹사이트 표시를 요청하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서식정보 DB(110)에 저장된 로그인용 메인화면정보(웹페이지)를 추출하여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로그인용 메인화면(도시하지 않음)에는 로그인부 및 영화사, 극장 및 관할구청으로 세분화된 복수의 회원가입버튼이 구비되어 있는데,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은 극장측인 경우에는 해당 회원가입버튼을 클릭하여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회원가입요청을 한다.
회원가입요청에 의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서식정보 DB(110)에서 극장용 회원가입화면정보를 추출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극장용 회원가입화면(도시하지 않음)에는 로그 인수단으로 사용되는 ID/패스워드 입력부와 극장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신상정보입력부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된 신상정보 입력부에는 극장의 상호(또는 법인명)입력난, 극장영업소 소재지 입력난, 대표자 성명 입력난, 대표자 주민등록번호 입력난, 대표자주소 입 력난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극장단말기(400)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해당 극장의 직인이미지도 업로드할 수 있는 극장 직인이미지 업로드난도 구비된다.
영화측은 구비된 각 입력부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후 입력된 극장용 회원가입정보를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전송하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전송된 극장용 회원가입정보를 회원정보 DB(120) 및 직인이미지 정보 DB(130)에 저장함으로써 회원등록을 완료한다. 여기서, 영화사 및 관할구청의 회원가입은 상술한 극장의 회원가입과 동일하나 몇 가지 입력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먼저, 영화사의 경우 회원가입 시 담당자정보 입력부가 구비되는데, 그 구비된 담당자정보 입력부에는 담당자성명 입력난 및 담당자 연락처 입력난으로 구분되고, 영화사 직인의 이미지 업로드난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관할구청인 경우 관할구청 명칭입력난과 담당자성명 입력난 및 담당자 연락처 입력난으로 구분된 담당자정보 입력부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회원가입을 완료한 극장측은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로그인용 메인화면에 구비된 ID/패스워드 입력부에 회원가입 시 발급 받은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전송하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을 운영하여 전송된 ID 및 패스워드를 회원정보 DB(110)와 매칭하여 극장측 ID임을 확인하고, 서식정보 DB(110)에서 극장용 메인화면정보를 추출한다. 이와 동시에, 해당 ID를 영화상영신고서정보 DB(140) 및 영화상영승인신고서정보 DB(160)와 매칭하여 해당 극장에서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 및 변경 신고정보와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 및 변경 승인신고정보도 각각 추출한다. 이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추출된 극장용 메인화면정보에 해당 극장에서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 및 변경 신고정보와 영화상영과관련한 신규 및 변경 승인신고정보를 취합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극장용 메인화면(10)에는 접수된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 및 변경 신고목록이 표시되는 영화상영신규/변경 신고목록표시부(11)와 상기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목록표시부(11)에 표시된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 및 변경 신고목록 중 구청에서 승인된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 신고목록표시부(12)가 구비되어 있어, 극장측에서는 최근에 자신의 극장에서 상영되고 있거나 또는 상영예정중인 영화와 관련한 영화상영 신규/변경신고서 목록을 열람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극장용 메인화면(10)의 상단에는 극장측에서 추가로 상영예정중인 영화 또는 현재 상영진행중인 영화의 상영연장 및 상영단축 등의 영화상영 변경을 신청하는 영화상영 신고서 접수버튼(13)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극장측에서 영화상영과 신규 신고를 하고자 할 경우 영화상영 신고서접수버튼(13)에 마우스커서를 위치시키면 영화상영 신고서 접수버튼(13)의 하부에 " 신규/변경" 으로 표시되는 리스트목록이 표시되고, 표시된 리스트목록 중 " 신규" 를 클릭하여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영화상영 신규신고를 요청하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을 운영하여 서식정보 DB(110)에서 심의필증 선택화면정보를 추출한다. 이와 동시에, 심의필증정보 DB(150)에 저장된 정보 중 영화상영관련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추출된 심의필증선택화면정보에 추출된 영화상영관련정보를 취합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여기서, 영화상영관련정보는 영화의 심의필증번호, 상영등급 분류번호, 원작자, 제작자, 감독, 영화의 종별, 영화제목, 구분, 상영등급 및 신고일자등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정보 중 필요한 정보만 취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심의필증 선택화면(20)에는 영화사에서 등록한 영화 심의필증을 리스트목록으로 표시되어 있어 극장측에서는 표시된 심의필증 리스트목록 중 영화상영 예정중인 해당 심의필증 리스트의 끝단에 표시되는 심의필증 업로드버튼(21)을 클릭하여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의 출력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요청한다. 여기서, 심의필증 업로드 버튼(21)은 해당 영화의 심의필증이 업로드 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의 출력요청에 의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을 운영하여 서식정보 DB(110)에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심의필증정보 DB(150)에 저장된 정보 중 영화상영관련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추출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정보에 추출된 영화상영관련정보를 취합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30) 중 영화제목 표시난, 상영등급 분류번호 표시난, 상영등급 표시난, 원작자 표시난, 제작자 표시난, 감독 표시난 및 영화의 종별 표시난은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서 이미 각 표시난에 정보들이 입력된 상태로 전송되기 때문에 따로 극장측에서 기재할 필요가 없어 문서작성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래서, 극장측에서는 해당 극장에서 표시되는 영화의 상영제목 입력난(31), 멀티플럭스 영화관인 경우 상영장소 입력난(32), 상영일 입련난(33) 및 관람요금 입력난(34)만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다.
극장측에서는 입력된 정보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초기화버튼(35)을 클릭하여 재작성을 하거나 또는, 올바르게 작성된 경우 영화업무서대행 서버(100)에 입력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미리보기버튼(36)을 클릭하여 입력된 정보인 영화 상영제목, 상영장소, 상영일 및 관람요금으로 이루어진 영화상영 신규신고정보를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전송하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을 운영하여 서식정보 DB(110)에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미리보기 양식화면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회원정보 DB(120), 직인이미지 정보 DB(130) 및 심의필증정보 DB(150)에서 해당 극장의 신상정보(신고인정보), 해당 극장의 직인이미지 및 영화상영관련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이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전송된 영화상영신규신고정보와 추출된 해당 극장의 신상정보, 해당 극장의 직인이미지 및 영화상영관련정보를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미리보기 양식화면정보에 취합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미리보기 양식화면(40)의 상단에는 영화상영 신규 신고서임을 인지할 수 있게신규/변경 표시난 중 신규 표시난에 심벌표시가 되고, 하단에는 해당 극장의 신상정보가 표시되며, 또 그 하단에는 영화상영 신규신고정보와 영화상영관련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신고인(극장 대표자)의 직인난에는 해당 극장의 극장 직인이미지(41)가 첨부되어 있어 따로 극장측에서 신고인정보 및 직인을 날인할 필요가 없어 추가적인 문서작성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극장측은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미리보기 양식화면(40)을 열람한 후 올바르게 입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보내기버튼을 클릭하여 영화상영 신규신고정보의 등록을 요청한다.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영화상영 신규신고정보의 등록요청에 의해 이전에 전송된 영화상영 신규신고정보를 영화상영신고서정보 DB(140)에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영화상영 신규신고 정보의 등록요청을 완료한다.
또한, 극장측에서는 현재 상영중인 영화의 연장상영 또는 축소상영을 신고하는 영화상영 변경신고서도 실시간으로 등록이 가능하며, 그 영화상영 변경신고서 등록과정은 상술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등록과정과 거의 동일하므로 하기에서는 다른 부분만 언급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극장측은 영화상영 변경신고서 접수화면 정보의 출력요청에 의해 출력된 영화상영 변경신고서 접수화면(50)에는 상술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접수화면(30)에 구비된 각 입력난과 동일하게 영화의 상영제목 입력난(51), 멀티플럭스 영화관인 경우 상영장소 입력난(52), 상영일 입련난(53) 및 관람요금 입력난(54)이 구비되는데, 상술한 상영일 입련난(53)의 입력방식이 다르며 또한, 변경사유 입력난(58)이 추가로 구비된다.
즉, 상영일 입련난(53)은 현재 상영중인 영화의 상영일과 더불어 추가로 상영연장 또는 상영축소되는 상영일정을 추가로 입력해야 하고, 변경사유 입력난(58)에 변경사유(예를 들어, 상영 연장)를 입력해야 한다.
극장측은 이와 같이, 영화상영 변경신고정보를 입력한 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영화상영 변경신고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면, 상술한 영화상영 신규신고정보의 등록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영화상영 변경신고정보의 등록과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극장측에서 영화상영의 신규 또는 변경신고정보를 영화업무대행서버(100)에 등록하면, 관할구청에서는 이를 실시간으로 열람하여 승인을 인가하는 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관할구청단말기(500)는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로그인용 메인화면에 구비된 ID/패스워드 입력부에 회원가입 시 발급 받은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전송하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을 운영하여 전송된 ID 및 패스워드를 회원정보 DB(110)와 매칭하여 관할구청 ID임을 확인하고, 서식정보 DB(110)에서 구청용 메인화면정보를 추출한다. 이와 동시에, 해당 ID를 영화상영신고서정보 DB(140) 및 영화상영 승인신고서정보 DB(160)와 매칭하여 해당 관할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극장측에서 업로드한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 및 변경 신고정보와 해당 구청에서 승인을 인가한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 및 변경 승인신고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이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추출된 구청용 메인화면정보에 해당 관할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극장에서 업로드한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 및 변경 신고정보와 해당 구청에서 승인을 인가한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 및 변경 승인신고정보를 취합하여 관할구청단말기(5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관할구청단말기(5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구청용 메인화면(도시하지 않음)에는 해당 관할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극장에서 접수된 영화상영과 관련한 신규및 변경 신고목록이 표시되는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 접수목록표시부와 해당 구청에서 승인을 인가한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 신고목록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다.
구청담당자는 구비된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 접수목록표시부에 표시되는 리스트목록들 중 하나의 리스트를 클릭하여 관할내 극장측에서 업로드한 영화상영신고서 양식(변경신고서)의 열람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요청하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을 운영하여 서식정보 DB(110)에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양식화면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회원정보 DB(120), 직인이미지 정보 DB(130), 영화상영신고서정보 DB(140) 및 심의필증정보 DB(150)에서 구청에서 열람요청한 극장의 신상정보(신고인정보), 그 극장의 영화상영 신규신고정보, 그 극장의 직인이미지 및 영화상영관련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이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추출된 영화상영신규신고정보, 극장의 신상정보, 극장의 직인이미지 및 영화상영관련정보를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양식화면정보에 취합하여 관할구청단말기(5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여기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양식화면은 상술한 도 6의 영화상영 신규신고서미리보기 양식화면과 동일하다.
구청담당자는 표시된 영화상영 신규신고서 양식화면을 열람한 후 이상이 없으면 승인 인가를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요청한다. 그 요청에 의해 영화업무 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을 운영하여 서식정보 DB(110)에서 영화상영 변경 승인신고서 양식화면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회원정보 DB(120), 직인이미지정보 DB(130), 영화상영신고서정보 DB(140) 및 심의필증정보 DB(150)에서 구청에서 열람 요청한 극장의 신상정보(신고인정보), 그 극장의 영화상영 변경신고정보, 그 극장의 직인이미지, 해당 관할구청의 직인이미지 및 영화상영관련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이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추출된 영화상영변경신고정보, 극장의 신상정보, 극장의 직인이미지, 해당 관할구청의 직인이미지 및 영화상영관련정보를 영화상영 변경 승인신고서 양식화면정보에 취합하여 관할구청단말기(5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도 8을 참조하여, 관할구청단말기(5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영화상영 변경 승인신고서 양식화면(60)의 하단에는 구청장의 승인이 인가되었음을 알리는 구청의 직인이미지(62)가 첨부되어 있어 승인이 인가되었음을 구청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관할구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극장단말기(400)가 업로드한 영화상영 신규 및 변경 신고서의 승인을 완료한다.
또한, 극장측은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서 상영일수감경 신고서를 온라인을 통해 제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극장측은 로그인을 하여 극장단말기(400)의웹브라우저에 극장용 메인화면(10)을 표시한 후 메인화면(10)에 구비된 영화상영 신고서 접수버튼과 인접되어 있는 버튼들 중 감경신고서 접수버튼을 클릭하여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상영일수 감경신청서 접수화면의 출력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요청한다.
이 요청에 의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을 운영하여 서식정보 DB(110)에서 상영일수 감경신청서 접수화면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회원정보 DB(120), 영화상영 승인 신고서정보 DB(160) 및 직인이미지 정보 DB(130)에서 해당 극장의 신상정보(신고인정보), 해당 극장의 방화상영일수 및 해당 극장의 직인이미지를 각각 추출한다. 이때, 검색추출모듈(180)은 영화의 상영일수 추출 시 특정연휴(설/추석 등)에 상영한 방화의 상영일수만 체킹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
이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극장의 신상정보, 특정연휴 때의 방화상영일수 및 극장의 직인이미지를 상영일수 감경신청서 접수화면정보에 취합한다. 이때, 취합모듈(190)은 특정연휴 때의 방화상영일수를 참조하여 감경되는 상영일수를 연산하여 특정연휴때의 방화상영일수와 병기 표시한다.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취합된 상영일수 감경신청서 접수화면정보를 극장 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도 9를 참조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감경신청서 접수화면(70)에는 감경신청 표시부(71)이 구비되어 있어, 극장측은 그 감경신청 표시부(71)에 표시된 감경일수를 확인하여 이상유무를 체크한 후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접수를 요청한다. 여기서, 극장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서 자동적으로 감경일수를 연산하기 때문에 상술한 감경신고서를 접수하지 않아도 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영화사단말기(300)는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심의필증이미지 및 그 심의필증 이미지에 기재된 영화상영관련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영화업무 대행서비스가 진행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영화사단말기(300)의 심의필증 이미지 등록요청이 있는 경우 서식정보 DB(110)에서 심의필증 이미지 등록접수화면정보를 추출하여 극장단말기(400)의 웹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영화사단말기(300)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심의필증 이미지 등록접수화면(80)에는 영화의 심의필증번호 입력난, 심의필름 일련번호 입력난, 원작자 입력난, 제작자 입력난, 감독 입력난, 영화의 종별 입력난, 영화제목 입력난, 구분 입력난, 상영등급 입력난 및 신고일자(도시하지 않음)등으로 이루어진 각 입력난이 구비되고, 영화사는 해당 입력난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하다.
또한, 하단에는 영화사단말기(300)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심의필증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파일업로드난이 있어, 해당 심의필증 이미지를 업로드한 후 완료버튼을 클릭하여 입력된 영화상영 관련정보 및 업로드된 심의필증 이미지를 영화업무대행서버(100)에 전송하면,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전송된 영화상영 관련정보 및 심의필증 이미지를 심의필증정보 DB(150)에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화사, 극장측, 구청간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들 간의 영화업무를 중계하는 서버를 구축하여 영화업무의 자동화를 제공함으로써,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영화업무의 처리가 가능하여 업무효율이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를 작성 시 그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에 기재해야 하는 극장측의 신상정보와 영화상영 관련정보가 자동적으로 기재되어 정보입력이 간편한 효과도 있다.
또한, 심의필증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심의필증을 전달받는 시간이 거의 실시간으로 행해지고, 심의필증의 분실의 염려가 없는 효과도 있다.
또한, 영화상영일수 감경신고를 자동적으로 연산하여 주기 때문에 영화업무가 간소하게 되어 업무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영화상영 신규/변경 접수요청에 의해 업로드되는 영화상영 신규/변경신고서정보를 DB부에 저장하고, 영화상영 승인요청에 의해 그 DB부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신고서 양식으로 자동작성하는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심의필증이미지 및 그 심의필증 이미지에 기재된 영화상영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영화사단말기(3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의 DB부에 등록된 심의필증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심의필증 이미지 중 필요로 하는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신고서를 작성하여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로 접수요청하고, 인가된 영화상영의 신규/변경 승인신고서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이 구비된 극장단말기(400)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에 등록된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신고서를 열람한 후 영화상영의 신규/변경신고서의 승인을 요청하고, 그 승인요청에 의해 인가된 영화상영의 신규/변경 승인신고서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이 구비된 관할구청단말기(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부는,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 작성, 그 작성된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 열람,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신고서 작성, 상영일수 감경신고서 작성및 상기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신고서 출력양식을 포함하는 각종 서식정보(웹페이지)가 저장된 서식정보 DB(110)와,
    영화사, 극장, 관할구청으로 각각 구분되는 정보로서, 가입한 회원의 ID/패스워드로 이루어진 인증정보와 신상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DB(120)와,
    극장 및 관할구청의 직인이 이미지로 저장된 직인이미지정보 DB(130)와,
    영화상영의 신고정보가 신규 및 변경으로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영화상영신고서정보 DB(140)와,
    영상물 등급위원회에서 심의 승인된 영화관련 심의필증 이미지 및 그 심의필증 이미지에 기재된 영화상영관련정보가 저장된 심의필증정보 DB(150)와,
    승인된 영화상영의 신고정보가 신규 및 변경으로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영화상영 승인신고서정보 DB(160)와,
    소정주기마다 자동적으로 산정되는 방화의 의무상영기준일수가 누적저장되는 상영일수 감경신고서정보 DB(1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화업무대행서버(100)에는, 상기 영화사단말기(300)에서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 작성 시, 상기 관할구청단말기(500)에서 영화상영 신규/변경 신고서 열람 시, 또는 상기 영화사단말기(300) 및 상기 관할구청단말기(500)에서 영화상영 신규/변경 승인신고서 출력 시 해당 신고서마다 삽입되는 정형화된 영화상영관련 정보 및 해당 회원의 신상정보를 상기 DB부에서 검색하여 추출하는 검색추출모듈(180)과,
    상기 검색추출모듈(180)에서 추출된 영화상영관련 정보를 해당 신고서의 각 표시난에 취합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취합모듈(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화업무대행 서버(100)는 검색추출모듈(180)과 취합모듈(190)을 운영하여, 소정주기마다 영화상영 승인 신고서정보 DB(160)에 저장된 영화의 상영일수 중 특정연휴(설/추석 등)에 상영한 방화의 상영일수만 체킹하여 추출하고, 그 추출된 특정연휴에 상영한 방화의 상영일수를 참조하여 방화의 연간 의무상영기준일수의 감경일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KR1020040038603A 2004-05-28 2004-05-28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KR20040058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603A KR20040058127A (ko) 2004-05-28 2004-05-28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603A KR20040058127A (ko) 2004-05-28 2004-05-28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127A true KR20040058127A (ko) 2004-07-03

Family

ID=3735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603A KR20040058127A (ko) 2004-05-28 2004-05-28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81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6405B2 (en) Risk management information interfa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7869098B2 (en) Scanning ver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090174768A1 (en) Construction imaging and archiving method, system and program
US200900999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Zoning Information
JP2009505234A (ja) 放送広告財務管理のための方法
WO2005026899A2 (en) Candidate-initiated background check and verification
US20110261186A1 (en) Imaging and Archiving Method, System and Program
US20060155571A1 (en) Automated, multiple order generation to vendors and creation of alerts and reminder using single entry of walkthrough data
KR102328876B1 (ko) 인테리어 시공 인터넷 영업방법
US20140359787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Classifying Data About Entities and for Providing Content Including the Classified Data
WO2017014451A1 (ko) 장학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학금 운영 방법
Greenwood et al. Insights to building a successful e-filing case management service: US Federal Court experience
US737334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security services
Saman et al. E-cou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civil court management
US7305182B1 (en) Process for providing event photographs of an event for inspection selection and distribution
CN116363913A (zh) 一种煤炭教育培训系统及设备
US201401885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viewing and rating scripts to generate a quantifiable score
KR2004005812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영화업무 대행시스템
KR102562186B1 (ko) 건물임대관리 기반 공문발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00250810A1 (en) Reporting Method
TWI838002B (zh) 可自定義之案件創建與管理系統
TWI813066B (zh) 遠距身分認證與對保簽約的方法及其設備
JP2004164041A (ja) セキュリティマネジメント監査に対する支援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支援サービス提供方法
Milumbe Automation of the candidate registration for school examinations in Zambia using the cloud model
CN113342342B (zh) 基于Element UI的可自定义集成操作影像件的标签组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