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403A - 병마개 - Google Patents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403A
KR20040057403A KR1020020084138A KR20020084138A KR20040057403A KR 20040057403 A KR20040057403 A KR 20040057403A KR 1020020084138 A KR1020020084138 A KR 1020020084138A KR 20020084138 A KR20020084138 A KR 20020084138A KR 20040057403 A KR20040057403 A KR 20040057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 cap
cap
nu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650B1 (ko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102002008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650B1/ko
Priority to AU2003289515A priority patent/AU2003289515A1/en
Priority to US10/540,566 priority patent/US7740145B2/en
Priority to GB0512312A priority patent/GB2411168B/en
Priority to CNB2003801076050A priority patent/CN100513268C/zh
Priority to PCT/KR2003/002805 priority patent/WO2004058587A1/en
Publication of KR2004005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4Weigh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for initially filling and for preventing subsequent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12Devices or means with relatively-moving parts co-operating with abutments on bottle or j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번 병마개를 열게 되면 개방된 표시가 됨은 물론 다시 액체를 부을 수 없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병 주둥이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나사와 반대방향이고 피치가 큰 역나사가 형성된 역나사봉을 갖는 마개와, 상기 역나사봉이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되고 나사방향으로만 상하 이동되고 회전되지 않는 봉 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개를 열게되면 너트에 밀려 하부로 이동하여 일부분이 병 주둥이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열린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한번 마개를 개방하게 되면 개방된 상태가 확실하게 표시되는 동시에 내용물을 병 속으로 부을 수 없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병마개 {Bottle cap}
본 발명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번 병마개를 열게 되면 개방된 표시가 됨은 물론 다시 액체를 부을 수 없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등의 내용물을 넣어 판매되는 상품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 바, 가장 보편적인 상품은 유리, 플라스틱, 금속으로 이루어진 병에 내용물을 넣고 병마개로 봉인함으로써 완성되는 상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병 종류의 상품은 통상 병과 병마개로 이루어지고, 병마개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즉, 오프너(opener)를 사용하여 열 수 있는 간단한 것에서부터 병 주둥이 외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병마개의 내면에 병 주둥이의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되어 병마개를 회전시킴으로써 병마개를 개방하도록 된 것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병마개를 사용하여 상품은 그 내용물이 저가의 상품인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나, 그 내용물이 고가의 상품인 경우에는 고가의 내용물을 빼내고 저가의 내용물을 넣어 다시 병마개를 체결함으로써 내용물을바꿔치기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내용물의 바꿔치기를 막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병마개의 봉인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행위를 막을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번 병마개를 돌려 개방하게 되면 개방된 표시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병 속에 내용물을 다시 삽입할 수 없는 병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가 병에 설치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선에 의한 단면도로서 병마개가 잠긴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과 같은 단면도로서 병마개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Ⅴ-Ⅴ선에 의한 단면도로서 병마개가 잠긴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와 같은 단면도로서 병마개가 열려 병 속의 유체가 나오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병마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요소인 베어링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병 2 : 병마개
3 : 가이드 부재 4 : 너트
5 : 역나사봉 6 : 베어링
7 : 베이스 8 : 걸림부재
9 : 스프링 10 : 볼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병 주둥이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에 연결되어 상기 마개가 회전되어 하강함에 따라 그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는 역이동수단과, 상기 역나사봉이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되고 나사방향으로만 상하 이동되고 회전되지 않는 봉 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개를 열게되면 너트에 밀려 하부로 이동하여 일부분이 병 주둥이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열린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역이동수단이 상기 마개의 중앙 하부에 고정되고, 그 내측에 상기 마개의 나사와 반대방향이고 피치가 마개의 나사 피치보다 큰 역나사가 형성된 역나사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마개에 상기 역사나봉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역나사봉의 상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접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표시수단이 양단에 턱이 형성된 일자형의 홈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 병 주둥이를 벗어나게 되면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베이스의 턱에 걸리게 되는 마주보는 두 개의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베이스에 병 내부의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통로가 너트의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통로의 직경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그 통로에는 볼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통로의 일측에 상기 볼이 일정위치까지만 너트 쪽으로 이동하도록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표시수단과 상기 너트 사이에 상기 역이동수단의 회전에 따라 표시수단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베어링에 병 속의 내용물이 이동되는 통로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통로가 상하를 가로질러 형성되되, 상기 마개의 회전축에 대하여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병 주둥이의 내측면에 상기 너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너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가이드에 상하를 관통하게 되는 다수개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상기 가이드와 상기 표시수단 사이에 상기 표시수단의 급격한 하강이 방지되도록 인장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가 병에 설치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선에 의한 단면도로서 병마개가 잠긴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과 같은 단면도로서 병마개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Ⅴ-Ⅴ선에 의한 단면도로서 병마개가 잠긴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와 같은 단면도로서 병마개가 열려 병 속의 유체가 나오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병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요소인 베어링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도 1 내지 도 6에 그 구성요소들이 잘 나타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 부분의 부분 절개도로서, 병마개 내부의 구성부품들이 잘 도시되어 있다. 병마개(2)는 병(1)의 주둥이(1a)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제품과 동일하다. 상기 병마개(2)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상단부가 끼워지는 병 주둥이(1a)의 나사와 반대방향이고 피치가 큰 역나사(5a)가 형성된 역나사봉(5)이 결합되어 있다. 이 역나사봉(5)은 조립시에 너트(4)에 나사 결합되어 설치된 다음 마개(2)가 병 주둥이(1a)에 체결되어 그 상단부가 마개(2)의 구멍에 끼워진 후, 접착제 또는 열융착 방식에 의해 마개(2)에 고정되어 마개(2)와 함께 회전되고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역나사봉(5)에는 상하로만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는 동시에 상기 역나사봉(5)에 맞물리는 나사(4b)가 내부에 형성된 봉 형상의 너트(4)가 맞물려 있다. 그 너트(4)의 외면에는 상기 너트(4)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가 병 주둥이(1a)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는 바, 이 가이드 부재(3)에는 하부로부터 일정높이까지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a)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3a)는 상기 너트(4)의 외면에 형성된 홈(4a)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며, 이 구조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4)는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되지는 않는다.
또한, 너트(4)와 역나사봉(5)의 하부에는 모자 모양의 베어링(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6) 상부면 중앙에는 상기 역나사봉(5)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홈(6a)이 형성되어 있고, 역시 너트(4)와 마찬가지로 회전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3)의 돌출부(3a)가 끼워지는 홈부(6b)가 형성되어 회전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너트(4)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너트(4)에 밀려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베어링(6)에는 도 2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속의 내용물이 이동되는 통로(6c)가 중앙의 역나사봉(5)의 하단과 접하게 되는 홈(6a) 부분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6)의 하부에는 한 번 열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턱(7b)이 형성된 일자형의 홈(7a)을 갖는 베이스(7)와, 상기 베이스(7)의 홈(7a)에 일단이 끼워지고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 병 주둥이를 벗어나게 되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턱(7b)에 걸리게 되는 마주보는 두 개의 걸림부재(8)와, 상기 걸림부재(8)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9)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7)의 홈(7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중앙에 대하여 대칭으로 각각 세 개씩의 통로(7c)가 병 속의 내용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통로(7c)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통로(7c)에는 각각 볼(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볼(10)은 병 주둥이(1a)를 통하여 내용물을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통로(7c)의 상부 일측에는 돌출부(7d)가 형성되어 볼(10)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 통로(7c)는 상기 베어링(6)의 통로(6c)와 각각 연통되도록 위치한다. 참조번호 8a는 걸림부재(8)의 스프링(9)이 일부 삽입되는 홈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병마개(2)를 사용자가 개봉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마개(2) 전체는 상부로 이동되는 동시에 역나사봉(5)에 맞물린 너트(4)는 반대방향, 즉 하부로 가이드 부재(3)의 안내에 따라 회전되지 않으면서 이동된다. 너트(4)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베어링(6)도 가이드 부재(3)의 안내에 따라 회전되지 않으면서 하부로 이동되고, 결국 걸림부재(8)와 베이스(7)로 구성된 표시기를 하부로 밀게 된다.
표시기는 하부로 밀리면서 걸림부재(8)의 상단이 병 주둥이(1a)의 하단부를 통과하게 되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8)가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에는 턱(7b)에 걸려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병(1)을 깨지 않는 한, 표시기를 외부로 빼 낼 수 없게 된다.
병마개(2)가 제거되면, 사용자가 병 내부로 액체를 부으려고 해도 볼(10)이 베이스(7)의 통로(7c)를 막고 있기 때문에 부을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병(1)을 기울이게 되면, 병(1) 내부의 내용물은 베이스(7)의 통로(7c)와 베어링(6)의 통로(6c) 그리고 역나사봉(5)이 제거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된다. 물론, 볼(10)이 돌기(7d)에 걸려 있기 때문에 통로 사이를 막지 않아 내용물이 수월하게 외부로 부어지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 예의 특징은 가이드 부재(3')에 다수개의 공기통로(3b')를 형성하여 병 속의 내용물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베어링(6')에 홈(6a')을 형성하는 동시에 가이드 부재(3')의 하부면에도 그에 대응하는 홈(3a')을 형성하되 각각의 홈(3a',6a')에 인장스프링(19)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베어링(6')과 베이스(7)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함으로써 마개(2)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의충격에 의해 베이스(7)가 하강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인장스프링(19)의 탄성력에 의해 너트(4)가 하강하는 길이만큼만 하강하도록 정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일부구성요소인 베어링의 사시도로서, 베어링(6")에 형성되는 통로(6c")를 마개(2)의 회전축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한쪽편의 통로(6c")들만을 도시하였다. 이렇게 통로(6c")를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면, 병 속의 내용물이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통로(6c")의 직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나선 모양으로 형성하여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미설명부호 6a"는 역나사봉(5)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홈을, 6b"는 가이드 부재(3)의 돌기(3a)가 끼워지는 홈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는 마개를 개방하게 되면 표시기의 걸림부재가 병 주둥이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 개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 내부로 내용물을 다시 삽입할 수 없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3)

  1. 병 주둥이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에 연결되어 상기 마개가 회전되어 하강함에 따라 그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는 역이동수단과, 상기 역나사봉이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되고 나사방향으로만 상하 이동되고 회전되지 않는 봉 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개를 열게되면 너트에 밀려 하부로 이동하여 일부분이 병 주둥이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열린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이동수단은 상기 마개의 중앙 하부에 고정되고, 그 내측에 상기 마개의 나사와 반대방향이고 피치가 마개의 나사 피치보다 큰 역나사가 형성된 역나사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에는 상기 역사나봉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역나사봉의 상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접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병마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양단에 턱이 형성된 일자형의 홈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 병 주둥이를 벗어나게 되면 외측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베이스의 턱에 걸리게 되는 마주보는 두 개의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병 내부의 액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통로가 너트의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직경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그 통로에는 볼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일측에는 상기 볼이 일정위치까지만 너트 쪽으로 이동하도록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는 상기 표시수단과 상기 너트 사이에 상기 역이동수단의 회전에 따라 표시수단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에는 병 속의 내용물이 이동되는 통로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하를 가로질러 형성되되, 상기 마개의 회전축에 대하여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는 상기 병 주둥이의 내측면에 상기 너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너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상하를 관통하게 되는 다수개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 상기 표시수단 사이에는 상기 표시수단의 급격한 하강이 방지되도록 인장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1020020084138A 2002-12-26 2002-12-26 병마개 KR100884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38A KR100884650B1 (ko) 2002-12-26 2002-12-26 병마개
AU2003289515A AU2003289515A1 (en) 2002-12-26 2003-12-23 Bottle cap
US10/540,566 US7740145B2 (en) 2002-12-26 2003-12-23 Bottle cap
GB0512312A GB2411168B (en) 2002-12-26 2003-12-23 Bottle cap
CNB2003801076050A CN100513268C (zh) 2002-12-26 2003-12-23 瓶盖
PCT/KR2003/002805 WO2004058587A1 (en) 2002-12-26 2003-12-23 Bottle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38A KR100884650B1 (ko) 2002-12-26 2002-12-26 병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03A true KR20040057403A (ko) 2004-07-02
KR100884650B1 KR100884650B1 (ko) 2009-02-20

Family

ID=3614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138A KR100884650B1 (ko) 2002-12-26 2002-12-26 병마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40145B2 (ko)
KR (1) KR100884650B1 (ko)
CN (1) CN100513268C (ko)
AU (1) AU2003289515A1 (ko)
GB (1) GB2411168B (ko)
WO (1) WO20040585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890A1 (en) * 2003-06-17 2004-12-23 Hyun-Soo Chung Device for preventing contents from being input again in bottle
WO2005115862A1 (en) * 2004-05-31 2005-12-08 Hyun-Soo Chung Bottle ca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5528B (en) * 2010-11-09 2013-03-06 Petainer Lidkoeping Ab Keg closure with safety mechanism
US8955717B2 (en) 2012-09-17 2015-02-17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Anti-refill dispensing fitment for a container
US10336517B1 (en) * 2018-01-08 2019-07-02 Rodney Laible Tamper-proof container insert
WO2019191670A1 (en) * 2018-03-30 2019-10-03 G3 Enterprises, Inc. A bottle with sensors for probing and optimizing bottling line performan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1937B1 (ko) 1988-05-31 1990-09-14 Bendix France
US5093719A (en) 1989-10-23 1992-03-03 Manx Optical Corporation Endoscopic gradient index optical systems
DE9013730U1 (ko) * 1990-10-02 1992-02-06 Hago-Chemotechnik Gmbh & Co. Kg, 8000 Muenchen, De
KR200143558Y1 (ko) 1996-12-23 1999-06-15 이홍근 용기의 액체 인출장치
KR19990080260A (ko) * 1998-04-06 1999-11-05 이정민 개봉 방법이 특이한 안전 병마개와 그 병의 구조
CN2356003Y (zh) * 1998-06-17 1999-12-29 沈一斌 一次性防伪密封瓶
CN2414021Y (zh) * 2000-01-24 2001-01-10 张志伟 一种瓶盖
DE60009445T2 (de) * 2000-02-28 2005-03-24 Guala Closures S.P.A. Sicherheitsverschluss für Flaschen für Likör oder dergleichen
CN2423231Y (zh) * 2000-03-16 2001-03-14 王景利 升降式防伪瓶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890A1 (en) * 2003-06-17 2004-12-23 Hyun-Soo Chung Device for preventing contents from being input again in bottle
WO2005115862A1 (en) * 2004-05-31 2005-12-08 Hyun-Soo Chung Bottle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11168A (en) 2005-08-24
GB2411168B (en) 2006-09-13
CN100513268C (zh) 2009-07-15
AU2003289515A1 (en) 2004-07-22
US7740145B2 (en) 2010-06-22
GB0512312D0 (en) 2005-07-27
KR100884650B1 (ko) 2009-02-20
WO2004058587A1 (en) 2004-07-15
US20060076307A1 (en) 2006-04-13
CN1732116A (zh)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562A (en) Tamper evident resealable plastic closure
JP5276124B2 (ja) 容器ネックに栓をするための栓装置
US6976610B2 (en) Retractable spout assembly for bottles
KR100884650B1 (ko) 병마개
US6244476B1 (en) Dispenser cap for fluid substance containers
US5947331A (en) Dispensing closure with retracting end for containers
WO2019100015A1 (en) Closure with tether docking
EP1679268A1 (en) Non refillable stopper with double security device
WO2009047626A2 (en) Anti-adulteration closure device for bottles
KR100503761B1 (ko) 병마개
US3433394A (en) Dispensing closure cap
US3319843A (en) Captive closure cap construction
KR20120027261A (ko) 액체 용기용 탬퍼-프루프 삽입부
RU62386U1 (ru) За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3520453A (en) Dispensing closure cap
JP2007069935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101195007B1 (ko) 이탈방지용 병마개
US978712A (en) Bottle-stopper.
KR100572969B1 (ko)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US20110006029A1 (en) Anti-filling anti-spill device for bottleneck, composite sealing cap including said device
US20180072474A1 (en) Bottle closure with means for evidencing a first use
KR19990064788A (ko) 다용도 병의 속 마개
KR20140091676A (ko) 개봉 확인용 폐쇄부
KR100573877B1 (ko)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KR200416616Y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