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969B1 -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969B1
KR100572969B1 KR1020040041150A KR20040041150A KR100572969B1 KR 100572969 B1 KR100572969 B1 KR 100572969B1 KR 1020040041150 A KR1020040041150 A KR 1020040041150A KR 20040041150 A KR20040041150 A KR 20040041150A KR 100572969 B1 KR100572969 B1 KR 10057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p
opening
bottle
cap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751A (ko
Inventor
윤광호
이후영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텍 filed Critical (주) 에이텍
Priority to KR102004004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96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6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initial opening or unauthorised access being indicated by a visual change using indicators other than tearable means, e.g. change of colour, pattern or o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병입구에 고정된 병마개로부터 병뚜껑을 회전개봉함에 의해 가압부재가 상승하여 개봉확인판을 파괴함으로써 병뚜껑이 병마개로부터 개봉됐음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양주와 같은 고가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병의 입구에 고정되며, 중심부에 토출공을 구비하고, 외주면으로는 상부측에 제1숫나선이 그리고 하부측에 제1숫나선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의 제2숫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병마개와; 내부에 저면부가 개구된 소정공간을 마련하고, 병마개의 제2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암나선부를 개구부와 인접한 내면에 마련한 병뚜껑; 병뚜껑의 내부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되 개구부를 통해 이탈하지 않도록 장착되며, 저면부가 개구된 통형으로 그 내면에는 제1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상부암나선부가 형성된 가압부재; 및 병뚜껑의 내면과 가압부재의 상면이 이루는 공간내에서 병뚜껑에 고정되며, 병뚜껑의 회전에 의해 병뚜껑 내부에서 상승하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파괴되는 개봉확인판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병뚜껑, 병마개, 양주병, 위조방지

Description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APPARATUS FOR INDICATING THE OPENED CONDITIONS OF A CAP OF A BOTTLE FOR PREVENTING FABR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의 조립단면도 및 그 A-A선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a에서의 가압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개봉확인판의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가압부재의 다른 실시예들로, 가압부재의 상면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마개부분 110 : 하부캡(cap)
112 : 유동로 114 : 하부걸림턱
116 : 수직돌조 118 : 장착턱
120 : 개폐볼 130 : 상부개폐판
140 : 상부캡 142 : 상부통형부
142a : 제1숫나선 144 : 하부통형부
144a : 제2숫나선 146 : 토출공
200 : 뚜껑부분 210 : 병뚜껑
212 : 하부암나선부 214a,214b : 이동공간
216 : 안내홈 220 : 가압부재
222 : 플랜지부 224 : 몸체부
226 : 안내돌기 228 : 상부암나선부
230 : 개봉확인판 232 : 파괴선
본 발명은 병의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뚜껑의 내측에 그로부터 수직승강가능한 가압부재를 고정시키고 이 가압부재의 상면과 병뚜껑의 내면이 이루는 공간내에 파괴가능한 개봉확인판을 고정시켜 병뚜껑의 회전개봉에 의해 가압부재가 상승하여 개봉확인판을 파괴함으로써 병뚜껑이 개봉됐음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양주와 같은 고가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기호의 다변화로 주류문화가 다양해짐에 따라 양주의 판매 및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양주는 국산주류에 비해 고가이고, 그 제조회사나 숙성도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로 산정되므로 소비자는 양주를 소비시 양주병에 부착된 상표(brand mark)나 캡(cap)의 봉인시 부착되는 봉인지의 표장, 양주병의 디자인 등을 통해 양주병에 담긴 양주를 식별하여 그 양주를 신뢰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제조업자들은 이를 악용하여 한번 소비한 고급 양주병에 저가 양주를 넣거나 맛과 향이 비슷한 다른 술이나 음용액을 혼합하고 재포장하여 시중에 불법 유통시킴으로써 사회적으로 큰 무리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고가의 양주가 위조되어 사용되는 문제를 예방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병마개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병마개의 개폐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조로서, 주로 병마개의 하단에 절단선이 미리 가공된 커버링을 장착하거나 또는 병마개의 외부에 비닐이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커버지를 부착시키는 방식이 적용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병마개 구조는 외관의 저급함으로 인하여 고가의 양주병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커버링이나 커버지의 모조 및 부착이 용이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결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병뚜껑의 내측에 그로부터 수직승강가능한 가압부재를 고정시키고 이 가압부 재의 상면과 병뚜껑의 내면이 이루는 공간내에 파괴가능한 개봉확인판을 고정시켜 병뚜껑을 회전개봉할 때 가압부재가 빠르게 상승하여 개봉확인판을 파괴함으로써 병뚜껑의 개봉여부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양주와 같은 고가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는 병의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뚜껑의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병의 입구에 고정되며, 중심부에 토출공을 구비하고, 외주면으로는 상부측에 제1숫나선이 그리고 하부측에 상기 제1숫나선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의 제2숫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병마개; 내부에 저면부가 개구된 소정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병마개의 제2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암나선부를 개구부와 인접한 내면에 마련한 병뚜껑; 상기 병뚜껑의 내부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이탈하지 않도록 장착되며, 저면부가 개구된 통형으로 그 내면에는 상기 제1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상부암나선부가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병뚜껑의 내면과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이 이루는 공간내에서 상기 병뚜껑에 고정되며, 상기 병뚜껑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병뚜껑 내부에서 상승하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파괴되는 개봉확인판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 껑의 개봉표시장치는 병의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뚜껑의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병의 입구에 고정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내부에 유동로를 마련하고 내측하부에는 하단측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볼이 수용되어 그 하단부에 걸리게 구비되며 내측상부에는 상단측개구를 개폐하는 상부개폐판이 안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하부캡;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상기 하부캡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며, 그 폐쇄된 상면의 중심부에 토출공을 구비하고, 외주면으로는 상부측에 피치가 비교적 큰 제1숫나선이 그리고 하부측에 상기 제1숫나선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의 제2숫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캡; 내부에 저면부가 개구된 소정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캡의 제2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암나선부를 개구부와 인접한 내면에 마련한 병뚜껑; 상기 병뚜껑의 내부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이탈하지 않도록 장착되며, 저면부가 개구된 통형으로 그 내면에는 상기 제1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상부암나선부가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병뚜껑의 내면과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이 이루는 공간내에서 상기 병뚜껑에 고정되며, 상기 병뚜껑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병뚜껑 내부에서 상승하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파괴되는 개봉확인판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a에서의 가압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개봉확인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병입구(10)에 장착되어 내용물의 불법적인 주입을 막는 마개부분(100)과, 이 마개부분(100)을 포위하며 나사결합되는 뚜껑부분(200)을 구비한다.
먼저, 마개부분(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병입구(10)에는 대략 원통형의 하부캡(110)이 내측으로 진입되어 압입고정된다. 이 하부캡(110)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내용물의 유동로(112)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부걸림턱(114)이 중심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내벽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돌조(116)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수직돌조(116)는 내벽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하부캡(110)의 상단외주연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그 표면에는 장착턱(118)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병입구에 진입시 병입구(10)에 걸리게 되어 있다. 특히, 하부캡(110)의 내측으로는 개폐볼(120)이 수용되어 그 하단의 하부걸림턱(114)에 걸림으로써 하부캡(110)의 하부측개구(112a)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하부캡(110)의 수직돌조(116) 위에는 링(ring;117)이 장착된 후, 그 위에 상부개폐판(130)이 안착되어 하부캡(110)의 상부측개구(112b)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하부캡(110)은 그 하부내측에는 개폐볼(120)이 그리고 상부내측에는 상부개폐판(130)이 진입되어 내용물 유동로(112)의 상하구간을 통제하게 된다. 이렇게 개폐볼(120)과 상부개폐판(130) 이 수용된 상태에서 하부캡(110)의 상부를 포위하며 병입구(10)의 외측으로 상부캡(140)이 씌워진다.
상부캡(140)은 작은 직경의 상부통형부(142)와 그 하단부로부터 단차가 형성되면서 연장된 큰 직경의 하부통형부(144)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부통형부(142)의 외주면에는 피치(pitch;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큰 제1숫나선(1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통형부(144)의 외주면에는 제1숫나선(142a)보다 피치가 작은 제2숫나선(144a)이 형성되어 있다. 피치는 제1숫나선(142a)이 제2숫나선(144a)보다 적어도 1.5배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배이상이 좋다. 그리고, 상부캡(140)의 상면인 상부통형부(142)의 상면은 폐쇄되어 그 중심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작은 토출공(1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캡(140)의 하면인 하부통형부(144)의 저면은 완전히 개방되어 병입구(10)의 외측으로 씌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 상부캡(140)의 외측에는 뚜껑부분(200)이 장착되어 나사결합된다.
이상 설명한 마개부분(100)에 씌워지는 뚜껑부분(200)은 상부캡(140)에 나사결합되는 병뚜껑(210)과, 병뚜껑(210)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 가압부재(220) 및, 병뚜껑(210)의 내부에 고정되어 가압부재(220)의 상승가압에 따라 파괴되는 개봉확인판(230)을 구비하고 있다. 이제부터 이상의 뚜껑부분(200)을 이루는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병뚜껑(210)은 하방쪽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내면의 하단측에는 전술한 상 부캡(140)의 제2숫나선(144a)에 나사결합되는 작은 피치(pitch)의 하부암나선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병뚜껑(140)의 내부에는 또한 그 높이방향으로 대략 중간위치에 병뚜껑(140)의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결합된 가압부재(2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220)는 상단에 플랜지부(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와 연장된 몸체부(224)는 플랜지부(222)보다 작은 직경이다. 그리고, 이 가압부재(220)가 삽입되는 병뚜껑(210)의 내면에도 플랜지부(222)가 수용되는 내측상부는 넓은 직경의 이동공간(214a)을 형성하고, 가압부재(220)의 몸체부(224)가 수용되는 병뚜껑(210) 내부의 아래측은 작은 직경의 공간(214b)을 형성한다. 특히, 가압부재(220)는 그 외주면에 축선과 평행한 직선의 안내돌기(226)들이 마련되어 있고, 그와 대응되는 병뚜껑(210)의 내면부에는 안내돌기(226)들이 끼워지는 안내홈(216)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병뚜껑(210)의 회전에 의한 간접적인 외력에 의해 가압부재(220)는 병뚜껑(210)의 내부에서 직선으로 승강하게 된다. 물론, 안내돌기(226)와 안내홈(216)은 서로 반대로 가압부재(220)와 병뚜껑(210)의 대응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안내돌기(226)와 안내홈(216)은 가압부재(220)의 몸체부(224)와 그와 접촉하는 병뚜껑(210)의 대응면에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재(220)도 그 저면쪽이 개구된 통형으로서 작은 직경의 뚜껑의 역할을 하며, 그 내면에는 전술한 상부캡(140)의 제1숫나선(142a)과 나사결합되는 상부암나선부(22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재(220)의 중심에는 상부캡(140)의 토 출공(146)에 진입되어 폐쇄하는 한편 전술한 상부개폐판(130)을 가압하여 유로를 차단하게 하는 폐쇄돌기(229)가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220)의 상면과 그와 대면하고 있는 병뚜껑(210)의 내면이 이루는 공간에는 가압부재(220)에 의해 파괴되는 개봉확인판(230)이 고정되어 있다.
이 개봉확인판(230)은 가압부재(220)의 상면과 대략 평행하게 병뚜껑(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병뚜껑(210)의 내면과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가압부재(220)의 외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개봉확인판(230)은 파괴가 잘 되는 재질로 제조되며, 일정압력에 의해 파괴되도록 가로 및/또는 세로방향으로 파괴선(232)들이 형성되어 있다. 개봉확인판(230)의 파괴동작을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서 개봉확인판(230)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재(220)의 상면의 형상구조를 평면을 기본으로 하여 적절하게 변형설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병뚜껑(210)은 개봉후 파괴된 개봉확인판(230)의 부서진 조각들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전체가 투명하거나, 적어도 개봉확인판(230)이 보일 수 있는 부분은 투명하게 제조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가압부재의 다른 실시예들로, 가압부재의 상면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가압부재(220a)는 그 상면의 형상을 도 4a에서와 같이 중심부가 약간 돌출하게 하여 개봉확인판(미도시)과의 접촉시 개봉확인판의 중심부분에 먼저 점접촉하여 가압하면서 그 가압력이 점차로 외곽으로 퍼져나가게 함으로써 개봉확인판에 대한 파괴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 한 방식으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220b)의 상면에 돌기(221)들을 돌출시켜 개봉확인판의 가로 및/또는 세로로 구획분할된 각 부분들이 각각 점접촉하게 함으로써 개봉확인판에 대한 가압부재의 파괴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220b)의 돌기(221)들을 개봉확인판의 가로 및/또는 세로로 구획분할된 각 부분들과 대응되는 개수로 대응되게 위치시키면 보다 효과적이다. 가압부재(220b)의 돌기(221)는 원추형, 반원형, 다각뿔형, 다각기둥형 등의 엠보싱(embossing)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이다. 특히, 도 5a는 병뚜껑의 회전에 의한 가압부재의 상승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원리도이고, 도 5b는 가압부재가 상승하여 개봉확인판을 파괴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양주병에 본 장치가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양주를 마시기 위하여는 병뚜껑(210)을 돌려 개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병뚜껑(210)을 회전시키면 병뚜껑(210)의 하부암나선부(212)가 그와 맞물린 상부캡(140)의 제2숫나선(144a)으로부터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병뚜껑(210)내에 장착된 가압부재(220)도 그와 맞물린 제1숫나선(142a)으로부터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숫나선(142a)의 피치(P1)는 제2숫나선(144a)의 피치(P2)보다 크기 때문에 병뚜껑(210)의 1회전시 그 내부에 장 착된 가압부재(220)는 병뚜껑(210)보다 상승폭이 크게 되고, 그 결과 병뚜껑(210)의 안내홈(216)에서 가압부재(220)의 안내돌기(226)가 안내되어 가압부재(220)는 병뚜껑(210)의 내부를 상승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숫나선(142a)의 피치(P1)가 제2숫나선(144a)의 피치(P2)보다 2배의 크기를 갖는다면, 병뚜껑(210)의 1회전에 의해 병뚜껑(210)이 1mm상승한다면 가압부재(220)는 2mm상승하게 되고, 그 차이인 1mm만큼을 병뚜껑(210) 내부에서 가압부재(220)가 상승하게 된다. 물론, 병뚜껑(210)의 하부암나선부(212)가 상부캡(140)의 제2숫나선(144a)으로부터 완전히 회전이탈하기 전에 가압부재(220)가 상승하여 개봉확인판(230)을 가압파괴할 수 있도록 제1숫나선(142a)과 제2숫나선(144a)의 피치차이는 설계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병뚜껑(210)의 계속적인 회전에 따라 가압부재(220)는 병뚜껑(210)의 내부를 상승하고 결국 개봉확인판(230)에 접촉하여 그를 가압함으로써 파괴하게 된다. 그 결과, 양주병의 병뚜껑(210)은 한번 개봉되면 병뚜껑(210)과 가압부재(220)로 구획된 병뚜껑(210)의 내부에 파괴된 개봉확인판(230)의 조각들이 부서진 채로 존재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것을 보고서 양주병이 한번이라도 개봉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는 병뚜껑을 회전개봉할 때 가압부재가 빠르게 상승하여 개봉확인판을 파괴함으로써 병뚜껑이 병마개로부터 개봉됐음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양주와 같은 고가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간접적으로 위조 양주의 제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개봉된 상태는 누구나 쉽게 확인이 가능하므로 양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의 유동로를 개폐하는 수단이 상하 이중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유동로를 통한 위조된 주류액의 주입을 완벽하게 차단하므로 유동로를 통한 위조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병의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뚜껑의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병의 입구에 고정되며, 중심부에 토출공을 구비하고, 외주면으로는 상부측에 제1숫나선이 그리고 하부측에 상기 제1숫나선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의 제2숫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병마개;
    내부에 저면부가 개구된 소정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병마개의 제2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암나선부를 개구부와 인접한 내면에 마련한 병뚜껑;
    상기 병뚜껑의 내부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이탈하지 않도록 장착되며, 저면부가 개구된 통형으로 그 내면에는 상기 제1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상부암나선부가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병뚜껑의 내면과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이 이루는 공간내에서 상기 병뚜껑에 고정되며, 상기 병뚜껑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병뚜껑 내부에서 상승하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파괴되는 개봉확인판을 포함하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2. 병의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병뚜껑의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병의 입구에 고정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내부에 유동로를 마련하고 내측하부에는 하단측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볼이 수용되어 그 하단부에 걸리게 구비되며 내측상부에는 상단측개구를 개폐하는 상부개폐판이 안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하부캡;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상기 하부캡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며, 그 폐쇄된 상면의 중심부에 토출공을 구비하고, 외주면으로는 상부측에 피치가 비교적 큰 제1숫나선이 그리고 하부측에 상기 제1숫나선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의 제2숫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캡;
    내부에 저면부가 개구된 소정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캡의 제2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암나선부를 개구부와 인접한 내면에 마련한 병뚜껑;
    상기 병뚜껑의 내부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이탈하지 않도록 장착되며, 저면부가 개구된 통형으로 그 내면에는 상기 제1숫나선과 나사결합되는 상부암나선부가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병뚜껑의 내면과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이 이루는 공간내에서 상기 병뚜껑에 고정되며, 상기 병뚜껑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병뚜껑 내부에서 상승하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파괴되는 개봉확인판을 포함하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판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재의 압력에 의해 파괴되는 파괴선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판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은 중심부가 돌출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판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은 돌기들이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숫나선의 피치가 상기 제2숫나선의 피치보다 적어도 1.5배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과 그와 접촉하는 상기 병뚜껑의 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안내돌기와 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병뚜껑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재를 직선으로 승강되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상기 제1숫나선이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원통부와, 외주면에 상기 제2숫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원통부로부터 단이 지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상부원통부보다 큰 직경의 하부원통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10. 제 2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은 병입구에 압입시 일정진입위치에서 걸리게 하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와, 그 원통형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개폐볼이 하부개구를 통해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작용을 하는 하부걸림턱과, 그 내벽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까지 연장되는 수직돌조와, 이 수직돌조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개폐판이 안착되는 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KR1020040041150A 2004-06-05 2004-06-05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KR10057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150A KR100572969B1 (ko) 2004-06-05 2004-06-05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150A KR100572969B1 (ko) 2004-06-05 2004-06-05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751A KR20050115751A (ko) 2005-12-08
KR100572969B1 true KR100572969B1 (ko) 2006-04-24

Family

ID=3728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150A KR100572969B1 (ko) 2004-06-05 2004-06-05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814B1 (ko) 2012-06-15 2012-09-07 윤성호 담금 식품 병 용기 및 병 용기 담금 식품
KR20140091676A (ko) * 2011-10-04 2014-07-22 구알라 클로져스 페이턴츠 비.브이. 개봉 확인용 폐쇄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1854A2 (en) * 2007-09-05 2009-03-12 Jeong-Min Lee Thermal transfer printing method
KR100844395B1 (ko) * 2008-04-28 2008-07-14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설치된 병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676A (ko) * 2011-10-04 2014-07-22 구알라 클로져스 페이턴츠 비.브이. 개봉 확인용 폐쇄부
KR102079172B1 (ko) * 2011-10-04 2020-02-19 구알라 클로져스 인터네셔널 비.브이. 개봉 확인용 폐쇄부
KR101180814B1 (ko) 2012-06-15 2012-09-07 윤성호 담금 식품 병 용기 및 병 용기 담금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751A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9101C2 (ru) Колпачок из синтетического полимера,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паковка для напитка
JP2009515782A (ja) 容器
JP2008162679A (ja) 注出口栓及び注出口栓の製造法
KR100844395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설치된 병마개
KR100572969B1 (ko) 내용물의 위조방지를 위한 병뚜껑의 개봉표시장치
CN1792733A (zh) 具有双重安全装置的不可再填充式瓶盖
CN106628575B (zh) 一种防伪酒瓶及其防伪方法
WO2000075033A1 (en) Non-refillable and inviolable stopper for bottles or containers
WO2009047626A2 (en) Anti-adulteration closure device for bottles
EP2088091B1 (en) Capsule for the closure of bottles
JP4947268B2 (ja) 容器蓋及び蓋付き密封容器
RU187605U1 (ru) Пробка для бутылки
JP7236923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084463B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347206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JP2004352360A (ja) ボトルのノズル構造
RU125558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50051589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병뚜껑
CN102653326A (zh) 一种防伪瓶盖
KR100580638B1 (ko) 이중밸브를 갖는 병마개 조립체
FR2670464A1 (fr) Bouchon de securite a vis.
CN218578503U (zh) 防拔高弹起防伪瓶盖
KR200300120Y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KR20110002370U (ko) 위조방지용 캡
KR200240364Y1 (ko) 분리확인용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