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6486A -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및 ggsn선택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및 ggsn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6486A
KR20040056486A KR1020020082873A KR20020082873A KR20040056486A KR 20040056486 A KR20040056486 A KR 20040056486A KR 1020020082873 A KR1020020082873 A KR 1020020082873A KR 20020082873 A KR20020082873 A KR 20020082873A KR 20040056486 A KR20040056486 A KR 2004005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gsn
sgsn
dns
gprs
ggs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801B1 (ko
Inventor
이승규
박남훈
김대식
조충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82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801B1/ko
Priority to US10/438,114 priority patent/US7372838B2/en
Publication of KR2004005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2Routing based on the source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7Selecting a data network PoA [Point of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중 GGSN을 이용한 GPRS 시스템은, 상기 패킷 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대한 연결동작을 제어하고, 연결된 세션에 따라 패킷 전송을 처리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 상기 SGSN에 의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따라 선택되고, 패킷 송수신을 위해 상기 GPRS 시스템 망과 외부망간의 게이트웨이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서브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을 포함하는 다중 GGSN부; 상기 SGSN의 선택에 따른 상기 다중 GGSN부의 다수의 서브 GGSN에 DNS(Domain Name System) 이름 및 IP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DNS; 상기 다중 GGSN부와 상기 외부망간에 연결되어 상기 DNS과 통신을 관리하는 운용자망; 및 상기 GPRS 시스템의 최종 종단점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망간의 패킷 라우팅 동작을 수행하는 경계 라우터를 포함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GPRS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서브 GGSN을 구성하도록 하여, 고장에 강하고 변동 트래픽에 대해 유연성을 갖도록 하여 GPRS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및 GGSN 선택방법{GPRS system with multi GGSN and method of selecting GGSN}
본 발명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에서의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산화를 통한 시스템 가용성 증가와, 트래픽 변화에 따른 유연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및 GGSN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GPRS 시스템은 2000년도에 사용 가능하게 된 패킷 기반의 무선통신 서비스로서 휴대폰 및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56~114 Kbps의 데이터 속도로 지속적인 인터넷 접속을 보장한다.
이러한 GPRS 시스템의 고속 데이터 전송으로 말미암아 사용자들은 화상회의에 참가할 수 있고, 노트북컴퓨터는 물론 휴대용 장치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웹사이트 등과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다.
한편, GGSN은 GPRS 시스템에서의 GPRS 내부망과, 외부 공중망과의 연동을 담당하는 노드로, 이동국이 송신한 모든 패킷들은 GGSN을 거쳐 외부망으로 나가며, 반대로 외부망의 모든 패킷들도 GGSN을 통하여 이동국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GGSN은 내부망과 외부망간의 라우팅(Routing)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의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이다.
도 1은 일반적인 GPR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GPRS 시스템은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101)와, GPRS 망(102)과, GGSN(103)과, 운영자망(104)과 FA(Foreign Agent)(105)와, DNS(Domain Name System)(106)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107)와, 경계 라우터(Edge Router)(108)와, 외부망(109)을 포함한다.
상기 SGSN(101)은 단말기의 세션 요청에 대하여 선택된 GGSN(103)과 세션 연결을 맺고, 연결된 세션 하에서 패킷 전송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GGSN(103)과, 외부망(108)사이에 운영자 망(104)이 존재하는 것은 GGSN(103)이외에 DNS(106)와, DHCP(107)와, FA(105)와 같은 보조 장치를 두고 이와 통신을 하기 위함이다.
또한, 외부망(109)과 인접하고 있는 경계 라우터(108)는 GPRS 시스템의 최종 종단점으로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와 BGP(Border Gateway Protocol)와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동작하며, 방화벽(Firewall)이나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protocol)과 같은 보안 기능을 한다.
한편, 도 1과 같은 GPRS 시스템에서는 GGSN(103)에 대하여 다음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먼저, GGSN(103)는 외부망(109)과 GPRS 망(102)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노드로, GGSN의 고장이 발생하면 GPRS 시스템의 서비스가 불가능하며, 특히 정적 IP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세션 설정이 불가능하다.
상기한 문제를 위하여, GGSN(103)을 고장에 강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구현하고, 이중화 개념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대기중인 GGSN의 구축을 위한 비용증대와, 대기중인 GGSN은 처리기능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원이 낭비된다.
두 번째로, GGSN(103)은 패킷 라우터라고도 할 수 있는데, GTP(GPRS Tunneling Protocol)에 의하여 터널링된 GTP 메시지들의 최종 종단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GGSN(103) 내에서는 이동국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송수신하는 일반 패킷이 보여지게 되고 이는 IP 계층에 의하여 라우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GGSN(103)은 인터넷 상의 상용 라우터가 가지고 있는 이슈인 성능문제를 가지게 된다.
상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GGSN(103)이 도달되는 트래픽에 대하여 지연 없이 처리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조가 요구된다.
그러나, GGSN(103)에게 요구되는 트래픽은 배치 순간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의 증가 또는 담당하고 있는 외부망(108)에 의해 요구되는 트래픽이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GGSN(103)은 트래픽의 증/감에 대비한 유연한 처리 능력이 필요하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RS 시스템에서 GGSN을 다중으로 구성하여, 외부망을 하나의 노드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노드로 처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분산화를 통한 시스템 가용성을 높이고, 트래픽 증/감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및 GGSN 선택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GPR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2의 다중 GGSN의 업무분담의 기준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2의 경계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 IP를 사용한 GPRS 시스템의 다중 GGSN 선택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적 IP를 사용한 GPRS 시스템의 다중 GGSN 선택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간단한 설명>
101, 201 : SGSN 102, 202 : GPRS망
103, 210-1~210-n : GGSN 104, 204 : 운영자망
105, 203 : FA 106, 205 : DNS
107, 206 : DHCP 108, 207 : 경계 라우터
109, 208 : 외부망 210 : 다중 GGSN부
본 발명이 특징에 따른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은,
외부망과 연결되어 패킷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킷 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대한 연결동작을 제어하고, 연결된 세션에 따라 패킷 전송을 처리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 상기 SGSN에 의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따라 선택되어, 패킷 송수신을 위해 상기 GPRS 시스템 망과 외부망간의 게이트웨이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서브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을 포함하는 다중 GGSN부; 상기 SGSN의 선택에 따른 상기 다중 GGSN부의 다수의 서브 GGSN에 DNS(Domain Name System) 이름 및 IP정보를 가지는 DNS; 상기 다중 GGSN부와 상기 외부망간에 연결되어 상기 DNS과 통신을 관리하는 운용자망; 및 상기 GPRS 시스템의 최종 종단점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망간의 패킷 라우팅 동작을 수행하는 경계 라우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중 GGSN부에서, 각각의 서브 GGSN은 정적 IP 및 유동 IP의 주요영역을 분담하여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계 라우터는, 상기 다중 GGSN부의 서브 GGSN에 할당된 유동 IP 및 정적 IP 주소영역에 따른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가지고, 상기 외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GGSN으로 라우팅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GPRS 시스템의 유동 IP 이용에 따른 GGSN 선택방법은,
패킷 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대한 연결동작을 제어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와, 상기 SGSN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따라 선택되어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을 포함하는 다중 GGSN부와, 상기 SGSN의 선택에 따른 상기 다중 GGSN부의 다수의 GGSN에 DNS(Domain Name System) 이름 및 IP정보를 가지는 DNS를 포함하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에서 유동 IP 이용에 따른 GGSN 선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SGSN에서 상기 무선단말로부터의 세션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DNS 이름을 이용한 GGSN IP 주소를 문의하는 단계; (b) 상기 DNS에서 상기 SGSN으로부터의 GGSN IP주소 문의가 DNS 이름에 의해 수신된 것을 확인하고, 해당 DNS 이름을 가지는 모든 GGSN의 IP주소를 상기 SGSN에 알리는 단계; 및 (c) 상기 SGSN에서 상기 DNS로부터 수신한 GGSN의 IP 주소 중에서 임의로 하나의 GGSN을 선택하여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단말에 패킷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GPRS 시스템의 정적 IP 이용에 따른 GGSN 선택방법은,
패킷 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대한 연결동작을 제어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와, 상기 SGSN에 의해 상기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따라 선택되어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을 포함하는 다중 GGSN부와, 상기 SGSN의 선택에 따른 상기 다중 GGSN부의 다수의 GGSN에 DNS(Domain Name System) 이름 및 IP정보를 가지는 DNS를 포함하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에서 정적 IP 이용에 따른 GGSN 선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SGSN에서 상기 무선단말로부터의 세션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DNS 이름을 이용한 GGSN IP 주소를 문의하는 단계; (b) 상기 DNS에서 상기 SGSN으로부터의 GGSN IP주소 문의가 DNS 이름에 의해 수신된 것을 확인하고, 해당 DNS 이름을 가지는 모든 GGSN의 IP주소를 상기 SGSN에 알리는 단계; (c) 상기 SGSN에서 상기 DNS로부터 수신한 GGSN의 IP 주소 중에서 임의로 하나의 GGSN을 선택하여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성공 응답 메시지 수신을 기다리는 단계; (d) 상기 SGSN에서 상기 성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GGSN을 제외하고, 다른 GGSN을 임의로 선택하여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성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c) 단계를 반복하는 하는 단계; 및 (e) 상기 SGSN에서 성공 응답메시지를 수신한 GGSN과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단말에 패킷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RS 시스템은 SGSN(201)과, GPRS 망(202)과, 다중 GGSN부(210)와, FA(203)과, 운영자망(204)과, DNS(205)와,DHCP(206)와, 경계 라우터(207)와, 외부망(208)을 포함한다.
상기 SGSN(201)과, GPRS 망(202)과, FA(203)과, 운영자망(204)과, DNS(205)와, DHCP(206)와, 경계 라우터(207)와, 외부망(208)은 일반적인 GPRS망의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중 GGSN부(210)가 포함된다.
상기 다중 GGSN부(210)는 내부적으로 여러 개의 서브 GGSN 1~n(210-1~210-n)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GGSN 1~n(210-1~210-n)의 기능을 동일한 시스템이고, 최소 2개에서 최대 n개까지 운용 가능하다.
상기 GGSN 1~n(210-1~210-n)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부하 분산 개념으로 동작하다가, 이중 어느 한 노드가 다운되면 그 노드의 역할을 다른 노드가 분담하여 수행한다.
또한, 외부에서 GGSN 1~n(210-1~210-n)을 볼 때는 하나의 다중 GGSN부(210)로 인식할 뿐, 이들이 여러 노드로 나뉘어 졌다는 것을 알 필요는 없다.
상기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여러 대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가 고장을 일으켜도 GPRS 시스템 서비스를 다른 여러 대의 노드에서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며, 가용성이 높아진다.
또한, 여러 노드가 라우팅을 분산하여 수행하므로, 전체적인 성능 향상과, 트래픽의 양에 따른 구성 GGSN 1~n(210-1~210-n)을 조절함으로써 트래픽 증/감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 다중 GGSN부(210)에서 각각의 GGSN 1~n(210-1~210-n)의 업무 분담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2의 다중 GGSN의 업무분담의 기준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GGSN 1~n(210-1~210-n)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적 IP 또는 유동 IP를 부여할 수 있는데, 어떤 종류의 IP 든 한번 이동국이 할당되면, 해당 세션이 종료될 때까지 해당 IP에 대해서는 할당된 GGSN 1~n(210-1~210-n)에 의하여 라우팅이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GGSN 1~n(210-1~210-n)의 업무 분담을 IP 주소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GGSN부(210)가 유동 IP를 영역 A에서 영역 N까지의 범위를 가지고 있고, 정적 IP에 대하여 영역 a에서 영역 n까지의 범위를 갖는다면, 영역 A와 영역 a는 GGSN 1(120-1)에서 담당하며, 영역 B와 영역 b는 GGSN 2(120-2)에서 담당하는 것과 같이 업무분담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업무분담을 가지게 되는 각각의 GGSN 1~n(210-1~210-n)은 이동국에서 세션 설정을 요구하면 자신에게 부여된 정적 IP 및 유동 IP를 할당해 줄 수 있으며, 할당해 준 IP에 대해서는 세션이 종료될 때까지 패킷의 라우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에서의 경계 라우터에서는 상기 업무 분담된 GGSN 1~n(210-1~210-n)의 패킷 라우팅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2의 경계 라우터(207)의 라우팅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경계 라우터(207)는 외부망(208)(-공중 인터넷망과 같은)에서 도달된 패킷을 상기 다중 GGSN부(210)에 전달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GGSN 1~n(210-1~210-n)을 선택하기 위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세팅하여 저장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IP주소 영역 A와 IP 주소 영역 a는 GGSN 1(210-1)에서 담당하고 있으므로, 패킷이 GGSN 1(210-1)로 보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 홉(Next Hop)을 GGSN 1(210-1)로 가도록 세팅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이 GGSN 1~n(210-1~210-n)이 담당하는 영역이 IP 주소를 가진 패킷이 제대로 담당 GGSN 1~n(210-1~210-n)에 라우팅 되도록 다음 홉으로 세팅한다.
이때, 상기 GGSN 1~n(210-1~210-n)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운영자망(204)을 통해야 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정보에 운영자망 I/F(Interface)로 세팅한다.
또한, 이러한 라우팅 테이블의 엔트리들은 RIP나 BGP와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하여 외부 라우터들로 전파된다.
본 발명에 따른 GPRS 시스템에서 다중 GGSN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 IP를 사용한 GPRS 시스템의 다중 GGSN 선택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GSN(201)이 APN(Access Point Name) 선택 룰(rule)을 통하여 선택하는 GGSN 1~n(210-1~210-n)은 DNS 이름의 형태로 주어지게 된다.
따라서, SGSN(201)는 이러한 DNS 이름을 가지고 IP주소를 질의하는 요청을DNS(205)로 하는데(S501), 이때 만약 DNS 이름이 ggsn.etri.re.kr 이라면, DNS(205)는 사전에 ggsn.etri.re.kr에 대한 GGSN 1(120-1)의 IP 주소, GGSN 2(120-2)의 IP 주소, ... , GGSN n(120-n)의 IP주소 등으로 바인딩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면, DNS(205)는 ggsn.etri.re.kr에 해당하는 모든 IP 주소들을 응답하고(S502), SGSN(201)은 이중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세션 요청을 보낸다(S503).
이때, 상기와 같이 랜덤하게 어느 하나의 GGSN 1~n(210-1~210-n)을 선택하는 것은 유동 IP의 특성상 어떤 노드에서 IP를 할당받아 세션을 설정하여도,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정적 IP를 이용하는 세션의 경우는 GGSN 1~n(210-1~210-n) 설정 방법이 다르게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적 IP를 사용한 GPRS 시스템의 다중 GGSN 선택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GSN(201)이 APN(Access Point Name) 선택 룰(rule)을 통하여 선택하는 GGSN 1~n(210-1~210-n)은 DNS 이름의 형태로 주어지는 것은 유동 IP 세션 설정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SGSN(201)은 DNS(205)로 특정 DNS 이름을 가지는 GGSN 1~n(210-1~210-n)의 IP 주소를 요구하고(S601), DNS(205)에서는 해당 DNS 이름을 가지는 GGSN 1~n(210-1~210-n)의 IP주소를 모두 SGSN(201)로 알려준다(S602).
그러면, SGSN(201)은 여러 개의 노드 중에서 랜덤하게 GGSN 1~n(210-1~210-n)을 골라서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SGSN(201)이 랜덤하게 처음에 GGSN 1(210-1)을 골라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보내면(S603), GGSN 1(210-1)은 해당 세션을 요구하는 정적 IP가 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영역의 IP 주소인지를 판단하여, 자신이 처리할 수 없다면, 오류처리를 한다.
SGSN(201)은 세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일정 시간동안 성공 응답을 받지 못하면, 이번에는 GGSN 3(120-3)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세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때 GGSN 3(120-3)이 해당 IP에 대한 세션 처리를 할 수 있다면 성공 응답 메시지를 SGSN(201)로 전송하여(S604), 세션 설정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정적 IP를 이용하는 경우 세션 설정은 SGSN(201)에서 세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성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의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및 GGSN 선택방법은, 특정 외부망마다 하나의 GGSN을 구성하던 종래 방식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여러 개의 서브 GGSN을 구성하도록 하여, 이를 분산화하고, 트래픽의 병렬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고장에 강하고 변동 트래픽에 대해 유연성을 갖도록 하여 GPRS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부망과 연결되어 패킷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킷 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대한 연결동작을 제어하고, 연결된 세션에 따라 패킷 전송을 처리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
    상기 SGSN에 의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따라 선택되고, 패킷 송수신을 위해 상기 GPRS 시스템 망과 외부망간의 게이트웨이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서브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을 포함하는 다중 GGSN부;
    상기 SGSN의 선택에 따른 상기 다중 GGSN부의 다수의 서브 GGSN에 DNS(Domain Name System) 이름 및 IP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DNS;
    상기 다중 GGSN부와 상기 외부망간에 연결되어 상기 DNS과 통신을 관리하는 운용자망; 및
    상기 GPRS 시스템의 최종 종단점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망간의 패킷 라우팅 동작을 수행하는 경계 라우터
    를 포함하는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GGSN부에서,
    각각의 서브 GGSN은 정적 IP 및 유동 IP의 주소영역을 분담하여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라우터는,
    상기 다중 GGSN부의 서브 GGSN에 할당된 유동 IP 및 정적 IP 주소영역에 따른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가지고, 상기 외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GGSN으로 라우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GGSN을 가지는 GPRS 시스템.
  4. 패킷 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대한 연결동작을 제어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와, 상기 SGSN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따라 선택되어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을 포함하는 다중 GGSN부와, 상기 SGSN의 선택에 따른 상기 다중 GGSN부의 다수의 GGSN에 DNS(Domain Name System) 이름 및 IP정보를 가지는 DNS를 포함하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에서 유동 IP 이용에 따른 GGSN 선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SGSN에서 상기 무선단말로부터의 세션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DNS 이름을 이용한 GGSN IP 주소를 문의하는 단계;
    (b) 상기 DNS에서 상기 SGSN으로부터의 GGSN IP주소 문의가 DNS 이름에 의해수신된 것을 확인하고, 해당 DNS 이름을 가지는 모든 GGSN의 IP주소를 상기 SGSN에 알리는 단계; 및
    (c) 상기 SGSN에서 상기 DNS로부터 수신한 GGSN의 IP 주소 중에서 임의로 하나의 GGSN을 선택하여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단말에 패킷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GPRS 시스템의 유동 IP 이용에 따른 GGSN 선택방법.
  5. 패킷 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대한 연결동작을 제어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와, 상기 SGSN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의 세션 요청에 따라 선택되어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을 포함하는 다중 GGSN부와, 상기 SGSN의 선택에 따른 상기 다중 GGSN부의 다수의 GGSN에 DNS(Domain Name System) 이름 및 IP정보를 가지는 DNS를 포함하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에서 정적 IP 이용에 따른 GGSN 선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SGSN에서 상기 무선단말로부터의 세션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DNS 이름을 이용한 GGSN IP 주소를 문의하는 단계;
    (b) 상기 DNS에서 상기 SGSN으로부터의 GGSN IP주소 문의가 DNS 이름에 의해 수신된 것을 확인하고, 해당 DNS 이름을 가지는 모든 GGSN의 IP주소를 상기 SGSN에 알리는 단계;
    (c) 상기 SGSN에서 상기 DNS로부터 수신한 GGSN의 IP 주소 중에서 임의로 하나의 GGSN을 선택하여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성공 응답 메시지 수신을 기다리는 단계;
    (d) 상기 SGSN에서 상기 성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GGSN을 제외하고, 다른 GGSN을 임의로 선택하여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성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c) 단계를 반복하는 하는 단계; 및
    (e) 상기 SGSN에서 성공 응답메시지를 수신한 GGSN과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단말에 패킷기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GPRS 시스템의 정적 IP 이용에 따른 GGSN 선택방법.
KR1020020082873A 2002-12-23 2002-12-23 다중 패킷 관문 교환장치를 갖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시스템, 및 패킷 관문 교환장치 선택 방법 KR100569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873A KR100569801B1 (ko) 2002-12-23 2002-12-23 다중 패킷 관문 교환장치를 갖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시스템, 및 패킷 관문 교환장치 선택 방법
US10/438,114 US7372838B2 (en) 2002-12-23 2003-05-14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ystem with multiple GGSNS (gateway GPRS supporting nodes) and method for selecting GGS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873A KR100569801B1 (ko) 2002-12-23 2002-12-23 다중 패킷 관문 교환장치를 갖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시스템, 및 패킷 관문 교환장치 선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486A true KR20040056486A (ko) 2004-07-01
KR100569801B1 KR100569801B1 (ko) 2006-04-10

Family

ID=3258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873A KR100569801B1 (ko) 2002-12-23 2002-12-23 다중 패킷 관문 교환장치를 갖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시스템, 및 패킷 관문 교환장치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72838B2 (ko)
KR (1) KR1005698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943B1 (ko) * 2003-04-09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지에스엔 시스템에서 세션 처리 시스템
KR100857614B1 (ko) * 2007-03-28 2008-09-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US8654709B2 (en) 2008-04-29 2014-02-18 Nokia Siemens Networks Oy Decentrallizing core network functionalit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4149B1 (en) * 2004-08-04 2011-07-19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policy server
JP2008517521A (ja) * 2004-10-19 2008-05-2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Sgsnとggsnの統合
KR100813793B1 (ko) * 2004-12-23 2008-03-13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이동 라우터 구조에 의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이동 라우터 대치 방법
EP2456276B1 (en) * 2005-04-26 2014-06-25 Vodafone Group PLC Telecommunications Networks
WO2006133232A2 (en) 2005-06-07 2006-12-14 Nortel Networks Limited Providing a data function in an access gateway node
DE102005037874B4 (de) * 2005-08-10 2008-07-24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K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Kontrolle und Vergebührung von Peer to Peer-Diensten in einem IP-basierten Kommunikationsnetzwerk
US7409201B2 (en) * 2005-08-11 2008-08-05 At&T Mobility Ii Llc Automated provisioning, maintenance, and information logging of custom access point names in packet-based mobile cellular networks
CN100450090C (zh) * 2005-09-28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接入外部分组网络的方法及系统
US8213412B2 (en) * 2005-09-29 2012-07-03 Comcast Cable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s utilizing a local proxy
CN100466846C (zh) * 2007-01-08 2009-03-04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归属地分组数据网络的方法和系统
ES2569529T3 (es) * 2008-06-11 2016-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lución de APN mejorada
US8605656B2 (en) 2010-11-29 2013-12-10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 gateway assignment in wireless networks
CN103220372B (zh) * 2012-01-19 2016-08-1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数据业务访问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5450B1 (en) * 1998-06-23 2001-09-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mmunication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SE515456C2 (sv) * 1999-12-16 2001-08-06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vid ett kommunikationsnät
WO2002037772A1 (en) 2000-11-06 2002-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442356B1 (ko) 2000-12-26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반 패킷 데이터 전송장치
US20040228347A1 (en) * 2001-08-09 2004-11-18 Tuija Hurtta Enabling active pdp contexts in additional plmns according to home operator information and/or subnetwork information
US6748434B2 (en) * 2001-09-18 2004-06-08 Ericsson Inc. Adaptive node selection
KR100811337B1 (ko) 2002-02-07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ggsn과의 호 설정 방법
TW552815B (en) * 2002-03-05 2003-09-11 Ind Tech Res Inst Reallocation method for a distributed GGSN system
KR100446504B1 (ko) * 2002-08-16 200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호 설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943B1 (ko) * 2003-04-09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지에스엔 시스템에서 세션 처리 시스템
KR100857614B1 (ko) * 2007-03-28 2008-09-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패킷 데이터 통신망의 호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US8654709B2 (en) 2008-04-29 2014-02-18 Nokia Siemens Networks Oy Decentrallizing core network functionalities
US9491789B2 (en) 2008-04-29 2016-11-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ecentralizing core network functionalities
US9794970B2 (en) 2008-04-29 2017-10-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ecentralizing core network functiona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801B1 (ko) 2006-04-10
US7372838B2 (en) 2008-05-13
US20040120296A1 (en)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673B1 (ko) 패킷 호핑 무선 백본과 무선 근거리망을 구비한 데이터 망
RU227053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ip-адреса как идентификатора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8493896B2 (en) Switching between two communication modes in a WLAN
JP3639200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アドレス割り当て方法及び検索サービス方法
EP2274875B1 (en) Scalable wlan gateway
EP2332290B1 (en) Scalable wlan gateway
US77393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CN101218796B (zh) 在无线局域网中支持层3漫游的无线交换机负载平衡的方法、系统和装置
KR100569801B1 (ko) 다중 패킷 관문 교환장치를 갖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시스템, 및 패킷 관문 교환장치 선택 방법
US20040025047A1 (en) Wireless network
US20080261580A1 (en) Controlled Temporary Mobile Network
US20070153738A1 (en) Method for switching the use of an access point (AP)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5192047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WO2002009458A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seamless roaming in a wireless network
KR20060115876A (ko) 모바일 환경에서의 dhcp 풀 공유 매커니즘
TW200425758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resource allocation between time division duplex and frequency division duple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50088441A (ko) 블루투스 베이스 스테이션의 작동 방법과 블루투스 이동단말기의 작동 방법 및 블루투스 베이스 스테이션
EP1290830A1 (en) Call handling device for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s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Carter et al. User devices cooperating to support resource aggregation
CA2376599A1 (en) A call handling device
CN114980243A (zh) 一种数据转发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1811739B1 (en) Home agent apparatus and method of implementing load allo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KR20030054979A (ko) 무선 패킷 서비스망에서의 동적 아이피 주소 할당 방법
KR20040006993A (ko) 패킷 관문교환기에서 apn 라우팅 제어방법
JP2002058052A (ja) 移動体端末群のセグメント化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