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6448A -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 Google Patents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6448A
KR20040056448A KR1020020082655A KR20020082655A KR20040056448A KR 20040056448 A KR20040056448 A KR 20040056448A KR 1020020082655 A KR1020020082655 A KR 1020020082655A KR 20020082655 A KR20020082655 A KR 20020082655A KR 20040056448 A KR20040056448 A KR 20040056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data
home location
location regist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철
김종수
Original Assignee
텔코웨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코웨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코웨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6448A/ko
Publication of KR2004005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4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변경시,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에 의거하여 백업요청데이터를 도출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에서 도출되는 백업요청데이터의 순서에 준하여 공유메모리버퍼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백업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과정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파일로 설정된 경우,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백업파일로 기록한 후, 그 백업파일을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전달하는 제3과정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데이터로 설정된 경우,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전달하는 제4과정과, 제3과정 또는 제4과정에서 전달되는 백업파일 또는 백업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에 저장된 가입자데이터를 변경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백업할 데이터 양을 최소화하여 네트웍상의 과부하를 최소화시키면서, 백업할 데이터의 실시간 백업을 통한 상용-홈위치등록기와 백업-홈위치등록기간 가입자데이터의 불일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Method for multiple backup subscriber's data of home location register}
본 발명은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홈위치등록기에 저장된 가입자데이터의 변경시,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에 한하여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시키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란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변화에 관계없이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망에 도입된 시스템이다.
홈위치등록기는 소정 지역을 관할하고, 그 지역에 위치한 가입자단말기로부터 그 가입자들의 가입자번호와 단말기 고유번호 및 부가서비스 선택정보에 이르기까지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관리한다. 따라서, 홈위치등록기는 고도의 신뢰성을 필요로 하며, 항상 정상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이동통신망 사업자들은 이동통신 가입자의 증가에 따라 원활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위치등록기를 늘려가고 있다.
이러한, 홈위치등록기들 중 임의의 한 홈위치등록기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이동통신망 내의 다른 망 요소들은 그 홈위치등록기에 위치등록을 한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장애가 발생한 홈위치등록기에 위치등록을 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착신호가 불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홈위치등록기의 장애는 이동통신서비스의 품질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사업자에게도 커다란 손해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홈위치등록기 장애로 인한 서비스 품질 저하 및 사업자의 손해 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사업자의 대부분은 홈위치등록기의 백업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백업시스템은 통신망(예컨대, LAN)(도시생략)을 통해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도시생략)에 연결된 백업-홈위치등록기(도시생략) 및 그 백업-홈위치등록기를 운영하기 위한 운용자터미널(도시생략)을 채택하고 있다.
상용-홈위치등록기는 기 구비된 가입자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의 영역을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영역(이하, 분할영역이라 함)에 다수의 가입자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소정의 가입자데이터가 변경되면 가입자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분할영역에 저장된 가입자데이터를 변경한 후, 해당 가입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가입자데이터를 백업-홈위치등록기로 전달한다.
이때, 백업-홈위치등록기는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로부터 가입자데이터베이스의 모든 가입자데이터를 전달받아 기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에 저장함으로써 가입자데이터를 백업한다.
한편,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 중 하나의 상용-홈위치등록기에 장애가 발생하면, 운영자는 운영자터미널을 통해 백업-홈위치등록기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장애가 발생한 상용-홈위치등록기의 백업된 가입자데이터를 백업-홈위치등록기에 로딩(loading)한 후, 그 백업-홈위치등록기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재 기동시킴으로써 해당 백업-홈위치등록기를 장애가 발생한 상용-홈위치등록기의 대체시스템으로 운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으로 가입자데이터를 백업할 경우, 백업할 때마다 상용-홈위치등록기에 저장된 모든 가입자데이터를 백업시킴으로써 자원의 활용면에 있어서 변경되지 않은 가입자데이터의 백업으로 인한 CPU의 자원낭비를 초래하고, 백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입자데이터(예컨대, 가입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의 백업에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용-홈위치등록기에 장애가 발생하면, 그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를 백업한 백업-홈위치등록기의 기동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일시적인 서비스 중단을 가져다주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에 저장된 각 가입자데이터를 하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만 백업시킴으로써 백업-홈위치등록기가 임의의 상용-홈위치등록기(상용-홈위치등록기#1)의 장애 발생으로 인해 그 상용-홈위치등록기(상용-홈위치등록기#1)에 대체되어 기동중이면, 타 상용-홈위치등록기(상용-홈위치등록기#2)의 장애 발생시, 그 상용-홈위치등록기(상용-홈위치등록기#2)에 대하여 대체 기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용-홈위치등록기에 저장된 가입자데이터가 변경되면,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에 한하여 실시간으로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되도록 하는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의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백업할 데이터에 대한 필드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백업할 데이터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용-홈위치등록기가 백업할 데이터를 생성/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백업-홈위치등록기가 백업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a, 100b : 상용-홈위치등록기 110 : 호처리부
120 : 데이터베이스관리부 130 : 가입자데이터베이스
141, 142, 143 : 실시간백업처리부 150 : 공유메모리버퍼
200, 210, 220 : 백업-홈위치등록기
201a 내지 201c, 211a 내지 211c, 221a 내지 221c : 실시간백업처리부
202, 212, 222 : 데이터베이스관리부
203, 213, 223 : 가입자데이터베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은 이동통신망에서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변경시,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에 의거하여 백업요청데이터를 도출하되, 상기 백업요청데이터는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의 어트리뷰트를 가지도록 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에서 도출되는 백업요청데이터의 순서에 준하여 공유메모리버퍼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백업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과정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파일로 설정된 경우,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백업파일로 기록한 후, 그 백업파일을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전달하는 제3과정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데이터로 설정된 경우,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전달하는 제4과정과, 제3과정 또는 제4과정에서 전달되는 백업파일 또는 백업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에 저장된 가입자데이터를 변경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제 운용중인 홈위치등록기(이하, 상용-홈위치등록기라 함)(100, 100a, 100b)와 각 상용-홈위치등록기(100, 100a, 100b)와 TCP/IP 통신포트로 각각 연결된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200, 210, 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100, 100a, 100b)는 유사한 백업과정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100, 100a, 100b) 중 첫 번째 상용-홈위치등록기(100)를 예로 들어, 백업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용-홈위치등록기(100)는 호처리부(110), 데이터베이스관리부(120), 가입자데이터베이스(130),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141, 142, 143) 및 공유메모리버퍼(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141, 142, 143) 및 공유메모리버퍼(150)를 제외한 나머지 장치들은 통상적인 상용-홈위치등록기들이 공통적으로 갖추고 있는 구성요소들이다. 다만, 그 장치들간의 통신방식은 구현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호처리부(110)는 SS7망(도시생략)과 연결된 인터페이스(도시생략)를 통해 수신되는 호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응답을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호에 의거하여 소정 가입자의 데이터 변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가입자의 데이터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이하, 변경요청메시지라 함)를 생성하고, 변경된 가입자의 데이터(즉, 가입자데이터라 함)를 백업시키기 위한 메시지(이하, 백업요청메시지라 함)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호처리부(110)에서 생성되는 변경요청메시지로는 가입자의 위치변경에 따라 해당 가입자의 위치데이터 변경을 요청하는 위치변경요청메시지, 가입자단말기의 전원상태 변경에 따른 단말기상태변경요청메시지, 단문메시지 관련정보 변경에 따른 단문메시지변경요청메시지 등이 있다. 여기서, 각 변경요청메시지(예컨대, 위치변경요청메시지, 단말기상태변경요청메시지, 단문메시지변경요청메시지)는 변경시키고자 하는 가입자데이터의 값(value)을 기록하기 위한 필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예컨대, 수신된 소정의 호를 분석한 결과, 소정 가입자단말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호처리부(110)는 단말기 전원상태 변경에 따라 가입자식별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에 해당되는 값(value)과 단말기 전원상태(MS_Status : Mobile Station Status)에 해당되는 값을 두 개의 필드에 순차적으로 기록함으로써, 단말기상태변경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각각의 값이 기록되는 필드의 위치는 사전에 지정되어 있다. 즉, 가입자단말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되면, 두 개의 필드가 필요로 하며, 첫 번째 필드에는 반드시 가입자식별번호에 해당되는 값이 기록되어야 하고, 두 번째 필드에는 단말기 전원상태에 해당되는 값이 기록되어야 한다.
또한, 호처리부(110)에서 생성되는 백업요청메시지로는 가입자의 위치변경에따라 변경된 위치데이터가 백업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백업요청메시지, 가입자단말기의 전원상태변경에 따라 변경된 단말기상태정보가 백업되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상태백업요청메시지, 단문메시지 관련정보 변경에 따라 변경된 단문메시지가 백업되도록 하기 위한 단문메시지백업요청메시지 등이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요청메시지(즉, 위치백업요청메시지, 단말기상태백업요청메시지, 단문메시지백업요청메시지)는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의 어트리뷰트(Attribute)를 기록하기 위한 어트리뷰트-영역과, 그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의 값(Value)을 기록하기 위한 값-영역과, 그 값의 길이(Length)를 기록하기 위한 길이-영역으로 이루어진 필드(이하, AVL 필드라 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호처리부(110)는 소정 가입자데이터의 변경이 발생하면,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에 의거하여 AVL 필드의 각 영역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백업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
예컨대, 수신된 소정의 호를 분석한 결과, 소정 가입자단말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호처리부(110)는 단말기 전원상태 변경에 따라 가입자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와 단말기전원상태에 대한 데이터 각각을 두 개의 AVL 필드에 각각 기록함으로써, 단말기상태백업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AVL 필드 중 첫 번째 AVL 필드(이하, 제1AVL 필드라 함)(10)를 이루는 어트리뷰트-영역(11)에 가입자식별번호(즉, MIN)를 기록하고, 값-영역(12)에 상기 가입자식별번호에 해당되는 값(예컨대,Value_1)을 기록하고, 길이-영역(13)에 값-영역(12)에 기록된 값에 해당되는 길이(예컨대, Length_1)를 기록하고, 한편, 두 번째 AVL 필드(이하, 제2AVL 필드라 함)(20)를 이루는 어트리뷰트-영역(21)에 단말기전원상태(즉, MS_Status)를 기록하고, 값-영역(22)에 단말기의 전원상태 변경에 따른 값(예컨대, Value_2)을 기록하고, 길이-영역(23)에 상기 값-영역(22)에 기록된 값의 길이(Length_2)를 기록함으로써, 단말기상태백업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각 AVL 필드에 기록될 데이터는 지정되어 있지 않다. 즉, 제1AVL 필드(10)의 각 영역에 단말기전원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고, 제2AVL 필드(20)의 각 영역에 가입자식별번호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AVL 필드가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의 어트리뷰트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
이후, 호처리부(110)는 가입자데이터 변경 발생시, 변경요청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관리부(120)로 전송하고, 변경된 가입자데이터가 백업되도록 하기 위한 백업요청데이터를 생성하여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141, 142, 143)중 어느 하나의 실시간백업처리부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120)는 가입자데이터베이스(130)를 관리하고, 호처리부(110)로부터 생성된 변경요청메시지를 입력받아 그 변경요청메시지에 의거하여 가입자데이터베이스(130)를 갱신한다.
가입자데이터베이스(130)는 상용-홈위치등록기(100)가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이동통신망 가입자의 식별번호(MIN), 가입자단말기번호(ESN : ElectronicSerial Number), 가입자의 이동통신망 내에서의 위치관련데이터, 가입자별 이동통신망 부가서비스 정보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로 되는 정보들이 체계적으로 저장된 정보의 집합이다.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141, 142, 143)는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200, 210, 220)각각으로 데이터를 백업시키기 위해 백업-홈위치등록기(200, 210, 220)의 수만큼 구비된다. 이때, 상용-홈위치등록기(100)는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200, 210, 220) 각각과 TCP/IP 통신포트(300, 310, 320)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141, 142, 143)중 하나의 실시간백업처리부[예컨대, 첫 번째 실시간백업처리부(141)]는 호처리부(110)로부터 생성된 백업요청메시지를 입력받아 공유메모리버퍼(150)에 저장함으로써 백업시킬 백업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실시간백업처리부(141)는 이전 생성된 백업데이터의 다음 위치에 현재 입력받은 백업요청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한편, 백업데이터는 백업요청메시지와 유사한 필드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 실시간백업처리부(141)를 메인(main)-실시간백업처리부라 하고, 해당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을 서브(sub)-실시간백업처리부라 한다. 여기서,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 및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은 사전에 정해져 있어야 한다.
그리고,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 및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은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200, 210, 220) 각각과 관련된 백업파라메터를 저장하는 파라메터저장장치(도시생략)를 바탕으로, 공유메모리버퍼(150)에 저장된 백업데이터의 전달주기와 전달유형을 체크한다.
여기서,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데이터를 백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백업파라메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백업파라메터로는 백업-홈위치등록기의 IP를 구분하기 위한 IP 파라메터와, 백업-홈위치등록기의 TCP/IP 통신포트를 구분하기 위한 TCP/IP 통신포트 파라메터와,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백업 온(on)/오프(off) 파라메터와,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전달유형 파라메터와,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주기를 나타내는 데이터전달주기 파라메터 및 공유메모리버퍼(150)의 크기를 나타내는 공유메모리버퍼크기 파라메터 등이 있다. 이때, 데이터전달유형 파라메터 항목에 기재되는 각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유형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데이터전달주기 파라메터 항목에 기재되는 각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주기도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200, 210, 220)로의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데이터로 설정된 경우와, 백업파일로 설정된 경우에 대하여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 및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2)의 동작과정은 다소 차이점이 있다.
먼저,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데이터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 및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은 파라메터저장장치를 바탕으로 공유메모리버퍼크기와 데이터전달주기를 체크하여, 공유메모리버퍼(150)가풀(full)이거나 또는 공유메모리버퍼(150)에 저장된 백업데이터의 발생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 경과하면, 이전까지 백업이 이루어진 시점 이후의 시점부터 현 시점까지에 해당되는 모든 백업데이터를 공유메모리버퍼(150)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들인 후, 그 읽어들인 순서에 준하여 백업데이터를 백업-홈위치등록기(200, 210, 220)로 각각 전달한다.
여기서, 공유메모리버퍼(150)가 풀(full)이라는 것은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의 수가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 가능한 최대 백업데이터 개수에 도달한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 및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 각각이 백업데이터를 백업시키기 위한 백업-홈위치등록기는 운용자에 의해 사전에 매칭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 및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 각각은 백업파라메터들 중 IP 파라메터 항목에 기재된 정보에 의거하여 매칭된 백업-홈위치등록기를 파악하고, TCP/IP 통신포트 파라메터 항목에 기재된 정보에 의거하여 백업데이터를 전달할 경로를 파악한 후, 백업데이터를 전달한다.
그리고,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파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는 공유메모리버퍼크기와 데이터전달주기를 체크하여 공유메모리버퍼(150)가 풀(full)이거나 공유메모리버퍼(150)에 저장된 백업데이터의 발생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 경과하면, 이전까지 백업이 이루어진 시점 이후의 시점부터 현 시점까지에 해당되는 모든 백업데이터를 공유메모리버퍼(150)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들인 후, 그 읽어들인 순서에 준하여 각각의 백업데이터를 백업파일로 기록한다.
이후,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가 각 백업데이터의 백업파일로의 기록을 완료하면,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 및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은 백업파일의 생성된 순서에 준하여 백업파일들을 사전에 매칭된 백업-홈위치등록기(200, 210, 220)로 각각 전달한다.
또한,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 및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은 백업파라메터들 중 백업 온/오프 파라메터 항목에 기재된 정보에 의거하여 사전에 매칭된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의 전달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 중 어느 하나의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예컨대, 첫 번째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142)에 매칭되는 백업-홈위치등록기(예컨대, 두 번째 백업-홈위치등록기)(210)로의 백업이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142)는 매칭된 백업-홈위치등록기(210)로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전달하지 않는다. 여기서,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 전달여부는 운영자에 의해 사전에 결정된다.
한편,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는 네트웍 장애 또는 백업-홈위치등록기의 장애 발생시, 공유메모리버퍼(150)를 바탕으로 이전까지 백업이 이루어진 시점 이후의 시점부터 순차적으로 백업데이터를 읽어들여 그 읽어들인 순서에 준하여 각각의 백업데이터를 백업파일로 기록한다. 이러한 과정은, 네트웍 장애 또는 백업-홈위치등록기의 장애가 극복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후, 네트웍 장애 또는 백업-홈위치등록기의 장애가 극복되면,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에 의해 순차적으로 생성된 백업파일들을 메인-실시간백업처리부(141) 및 서브-실시간백업처리부들(142, 143)이 각각의 백업-홈위치등록기(200, 210, 220)로 전달한다.
따라서, 네트웍 장애 또는 백업-홈위치등록기의 장애 발생시, 공유메모리버퍼(150)에 저장된 백업데이터를 백업파일로 기록함으로써, 가입자데이터의 변경요청에 따라 생성되는 백업요청메시지를 공유메모리버퍼(150)에 오버라이트(overwrite)함에 따른 이전 백업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백업-홈위치등록기(200)는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100, 100a, 100b)로부터 전달되는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201a, 201b, 201c)와, 데이터베이스관리부(202) 및 가입자데이터베이스(203)를 구비한다. 여기서, 백업-홈위치등록기(200)에 구비된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201a, 201b, 201c)는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100, 100a, 100b)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입력받기 위해, 상용-홈위치등록기의 수만큼 구비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타 백업-홈위치등록기(210, 220)도 상기 백업-홈위치등록기(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되므로, 이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백업-홈위치등록기(200)에 구비된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201a, 201b, 201c)는 사전에 매칭된 각 상용-홈위치등록기(100, 100a, 100b)로부터 전달되는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관리부(202)로 전달한다. 즉,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201a, 201b, 201c) 중 첫 번째 실시간백업처리부(이하, 제1실시간백업처리부라 함)(201a)가 TCP/IP 통신포트(300)에 의거하여 상용-홈위치등록기(100)에 연결되면, 상기 제1실시간백업처리부(201a)는 상용-홈위치등록기(100)로부터 전달되는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입력받는다. 마찬가지로, 타 실시간백업처리부들(201b, 201c)도 각각의 TCP/IP 통신포트(도시생략)를 통해 연결된 각 상용-홈위치등록기(100a, 100b)로부터 전달되는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입력받는다. 이후, 백업-홈위치등록기(200)의 각 실시간백업처리부(201a, 201b, 201c)는 입력받은 각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202)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202)는 각 실시간백업처리부(201a, 201b, 201c)로부터 전송되는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입력받아, 그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전송한 실시간백업처리부(201a, 201b, 201c)에 의거하여 해당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백업시킨 상용-홈위치등록기(100, 100a, 100b)를 판단하고, 가입자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된 해당 상용-홈위치등록기(100, 100a, 100b)의 가입자데이터를 상기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변경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의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용-홈위치등록기(400)는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500, 510)로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각각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500, 510) 수만큼 실시간백업처리부(401, 402)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타 상용-홈위치등록기(410)도 상기 상용-홈위치등록기(400)와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이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백업-홈위치등록기(500)는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400, 410)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입력받기 위해,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400, 410) 수만큼 실시간백업처리부(501, 502)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타 백업-홈위치등록기(510)도 상기 백업-홈위치등록기(500)와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이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400, 410)는 각각의 TCP/IP 통신포트(600, 610, 620, 630)를 통해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500, 510)에 각각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용-홈위치등록기가 백업할 데이터를 생성/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용-홈위치등록기는 외부로부터 가입자데이터 변경요청이 수신되기를 기다린다(s100). 즉,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베이스에 변경이 가해질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사건을 기다린다. 이처럼,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베이스에 변경을 가할 수 있는 외부 사건으로는 가입자 위치변경에 의한 관련 데이터변경, 단말기 전원 온(on)/오프(off)상태 변화에 의한 가입자데이터베이스 변경, 단문서비스 관련 가입자데이터베이스 변경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소정 가입자데이터 변경요청이 수신되면(s105), 그 요청에 따라 가입자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s110). 즉, 가입자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을 유발하는 사건이 상용-홈위치등록기에 접수되면, 상용-홈위치등록기는 접수된 사건에 해당되는 적절한 가입자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을 수행한다.
또한, 상용-홈위치등록기는 변경 요청된 가입자데이터를 백업시키기 위해 해당 가입자데이터에 의거한 백업요청데이터를 도출하여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함으로써 백업할 데이터(즉, 백업데이터)를 생성한다(s115). 즉, 상용-홈위치등록기는 외부로부터 가입자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을 유발하는 사건이 접수되면, 그 사건에 의거하여 변경이 발생된 가입자데이터를 인지한 후, 그 가입자데이터에 의거하여 백업요청메시지를 도출한다. 이후, 상기 백업요청메시지를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함으로써 백업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네트웍 또는 백업-홈위치등록기의 장애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120), 공유메모리버퍼가 풀(full)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5).
상기 판단결과(s125), 공유메모리버퍼가 풀(full)이 아니면 해당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의 발생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30), 공유메모리버퍼가 풀(full)이면 기 구비된 파라메터저장장치(도시생략)를 바탕으로 데이터전달유형을 분석한다(s135).
이어서, 공유메모리버퍼가 풀(full)이 아닌 상태에서, 백업데이터의 발생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s130), 데이터전달유형을분석하는 단계(s135)를 수행하고, 백업데이터의 발생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s130), 가입자데이터의 변경요청을 기다리는 단계(s100)로 복귀하여 각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전달유형을 분석한 결과(s135),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데이터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전까지 백업이 이루어진 시점 이후의 시점부터 현 시점까지에 해당되는 모든 백업데이터를 공유메모리버퍼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들인 후, 그 읽어들인 순서에 준하여 해당 백업데이터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각각 전달한다(s140).
한편, 데이터전달유형을 분석한 결과(s135), 데이터전송유형이 백업파일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전까지 백업이 이루어진 시점 이후의 시점부터 현 시점까지에 해당되는 모든 백업데이터를 공유메모리버퍼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그 읽어들인 순서에 준하여 각 백업데이터를 백업파일로 기록한 후, 각 백업파일들을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각각 전달한다(s145).
마지막으로, 네트웍 또는 백업-홈위치등록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s120), 공유메모리버퍼를 바탕으로 이전까지 백업이 이루어진 시점 이후의 시점부터 백업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그 읽어들인 순서에 준하여 각 백업데이터를 백업파일로 기록한다(s150). 이후, 네트웍 또는 백업-홈위치등록기 장애가 극복되면(s155), s150단계에서 생성된 백업파일들을 해당 백업파일이 생성된 순서에 준하여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각각 전달한다(s16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백업-홈위치등록기가 백업된 데이터를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백업-홈위치등록기는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이 수신되기를 기다린다(s200). 즉, 백업-홈위치등록기는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 각각과 연결된 TCP/IP 통신포트를 통해 각 상용-홈위치등록기로부터의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 수신을 기다린다.
이때,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이 수신되면(s205), 해당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전달한 상용-홈위치등록기를 식별하여 해당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에 의거하여 가입자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s210). 즉, 백업-홈위치등록기는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이 수신되면, 해당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수신한 TCP/IP 통신포트를 바탕으로 상기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을 전달한 상용-홈위치등록기를 식별하여, 가입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를 상기 백업데이터 또는 백업파일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변경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상용-홈위치등록기에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를 구비하여, 변경된 가입자데이터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시킴으로써 하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만 변경된 가입자데이터를 백업시킨 복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 장애 발생시, 각 상용-홈위치등록기 모두를 FailOver 할 수 없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용-홈위치등록기의 변경된 가입자데이터를 AVL 필드구조를 갖는 데이터형태로 구성하여 백업-홈위치등록기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전송량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네트웍의 과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유메모리버퍼를 이용하여 다량의 호 처리로 인한 변경된 가입자데이터를 변경이 발생한 순서에 준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그 발생순서에 준하여 데이터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시킴으로써 백업된 데이터베이스와 실제 운용중인 데이터베이스의 불일치 정도를 최소화하고, 백업할 데이터의 백업주기를 획기적으로 줄여, 백업에 있어서의 실시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트웍 장애 또는 백업-홈위치등록기 장애 발생시, 백업할 데이터를 파일로 기록하여 관리함으로써 백업할 데이터의 장기적 저장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망에서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변경시,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에 의거하여 백업요청데이터를 도출하되, 상기 백업요청데이터는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의 어트리뷰트를 가지도록 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에서 도출되는 백업요청데이터의 순서에 준하여 공유메모리버퍼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백업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과정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파일로 설정된 경우,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백업파일로 기록한 후, 그 백업파일을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전달하는 제3과정과,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의 데이터전달유형이 백업데이터로 설정된 경우,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전달하는 제4과정과,
    제3과정 또는 제4과정에서 전달되는 백업파일 또는 백업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에 저장된 가입자데이터를 변경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요청데이터는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의 어트리뷰트를 기록하기 위한 어트리뷰트-영역과,
    상기 변경된 가입자데이터의 값을 기록하기 위한 값-영역과,
    상기 값에 대한 길이를 기록하기 위한 길이-영역을 포함하는 필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의 수가 기 설정된 소정 개에 도달하거나, 백업데이터의 발생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1과정과,
    제3-1과정에서 백업데이터의 수가 기 설정된 소정 개에 도달하거나, 백업데이터의 발생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전달유형의 백업파일 설정에 의거하여, 상용-홈위치등록기에 구비된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 중 메인으로 설정된 실시간백업처리부가 공유메모리버퍼를 바탕으로 이전까지 백업이 이루어진 시점 이후의 시점부터 현 시점까지에 해당되는 모든 백업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그 읽어들인 순서에 준하여 각 백업데이터를 백업파일로 기록하는 제3-2과정과,
    제3-2과정에서 각 백업데이터의 백업파일로의 기록이 완료되면,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가 해당 백업파일들을 백업-홈위치등록기로 각각 전달하는 제3-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의 수가 기 설정된 소정 개에 도달하거나, 공유메모리버퍼에 저장된 백업데이터의 발생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1과정과,
    제4-1과정에서 백업데이터의 수가 기 설정된 소정 개에 도달하거나, 백업데이터의 발생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전달유형의 백업데이터 설정에 의거하여, 상용-홈위치등록기에 구비된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가 공유메모리버퍼를 바탕으로 이전까지 백업이 이루어진 시점 이후의 시점부터 현 시점까지에 해당되는 모든 백업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읽어들여 백업-홈위치등록기로 각각 전달하는 제4-2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백업처리부는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 수만큼 해당 상용-홈위치등록기에 구비되어, 사전에 매칭된 각 백업-홈위치등록기로 백업파일 또는 백업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은
    백업-홈위치등록기에 구비된 다수의 실시간백업처리부가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로부터 전달되는 백업파일 또는 백업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제5-1과정과,
    백업파일 또는 백업데이터를 수신한 실시간백업처리부에 의거하여 해당 백업파일 또는 백업데이터를 전달시킨 상용-홈위치등록기를 식별한 후, 그 상용-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를 상기 백업파일 또는 백업데이터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제5-2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백업처리부는
    다수의 상용-홈위치등록기 수만큼 해당 백업-홈위치등록기에 구비되어, 사전에 매칭된 각 상용-홈위치등록기로부터 전달되는 백업파일 또는 백업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웍 장애 또는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 장애가 발생하면, 공유메모리버퍼를 바탕으로 이전까지 백업이 이루어진 시점 이후의 시점부터 백업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백업파일로 기록하고, 네트웍 장애 또는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 장애 극복시 상기 백업파일들을 다수의 백업-홈위치등록기로 각각 전달하는 제6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KR1020020082655A 2002-12-23 2002-12-23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KR20040056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655A KR20040056448A (ko) 2002-12-23 2002-12-23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655A KR20040056448A (ko) 2002-12-23 2002-12-23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448A true KR20040056448A (ko) 2004-07-01

Family

ID=3734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655A KR20040056448A (ko) 2002-12-23 2002-12-23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64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29B1 (ko) * 2009-07-22 2011-05-17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홈위치등록기의 운용 상태와 중복 정보 변경 요청을 고려한 가입자 정보 전송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29B1 (ko) * 2009-07-22 2011-05-17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홈위치등록기의 운용 상태와 중복 정보 변경 요청을 고려한 가입자 정보 전송 처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3939A (en)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n intelligent networking coprocessor
US80015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open API network having a proxy
EP0396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loading of a data set in a node of a communication network
EP09249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node data synchronization
EP0964563B1 (en) Redundant call processing
US20050083862A1 (en) Data migration method, system and node
AU2005203359B2 (en) Communication system
US5892916A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partial response table
EP1002414A1 (en) Queue system and method for point-to-point message passing
JPH1118120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プロセス制御方式
US5764914A (en) Network system for connecting to a network node from terminal
CN112214377B (zh) 一种设备管理方法及系统
CN113496004A (zh) 一种消息发送方法及装置
KR20040056448A (ko)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다중백업방법
CN113220759A (zh) 大数据存储服务共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0274848B1 (ko)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망관리 방법
CN113312234B (zh) 一种健康检测的优化方法及终端
US20030093536A1 (en) Support interface module
CN113794639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4401164A (zh) 一种api网关的数据处理方法、api网关及储存介质
JP3341707B2 (ja) 自律協調分散処理型管理情報方式
KR0169037B1 (ko) 전기 통신 관리망의 에이전트에서의 메시지 제어 방법
KR100359993B1 (ko) 홈위치등록기의 가입자데이터 백업방법
US20010034797A1 (en) Data transferring method a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7467209B1 (en) Connection management in ATM based network and in ATM network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