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754A - 비누방울 제조기 및 장난감 세차 세트 - Google Patents

비누방울 제조기 및 장난감 세차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754A
KR20040054754A KR10-2004-7006404A KR20047006404A KR20040054754A KR 20040054754 A KR20040054754 A KR 20040054754A KR 20047006404 A KR20047006404 A KR 20047006404A KR 20040054754 A KR20040054754 A KR 20040054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tation
maker
soap
car 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안알. 페인
트레버제이. 헤이즈
로버트에이. 붓키비츠
제르미에스. 로보탐
Original Assignee
마텔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텔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텔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5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44Toy garages for receiving toy vehicles; Fill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8Soap-bubble toys; Smoke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Landscapes

  • Toy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회전 디스크(532)를 구동시키는 모터(561)를 구비하는 비누방울 제조 장치(53)와 팬(565)이 장난감 세차 놀이 세트(10, 10')에 내장되며, 이 장난감 세차 놀이 세트는 컨베이어 벨트(520)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세척 롤러(523, 524)를 구비하는 장난감 세차 스테이션(14), 및 장난감 자동차를 세차 스테이션으로 들어올리는 승강기(12, 40), 린스 스테이션(16, 16'), 팬(75, 75')을 구비하는 건조 스테이션(18, 18') 및 회전 테이블(82)을 구비하는 수동 조작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누방울 제조기 및 장난감 세차 세트{Bubble Making Apparatus and Toy Car Wash Play Set}
본 발명은 종래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1/64 비율의 장난감 자동차(예를 들어, 핫 휠즈(Hot Wheels®) 및 매치박스(Matchbox®) 장난감 자동차)와 함께 사용하여 이들 자동차의 오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난감 놀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 및 그 하우징 내에 배치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편평한 디스크가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디스크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디스크는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서 디스크를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구멍을 갖는다. 터브(tub)가 마련되는데, 이 터브는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있는 구멍을 구비하는 디스크의 바깥쪽 부분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깊고, 적어도 1개의 구멍은 사용하는 동안 터브에 마련된 비누방울 형성용 용액으로 코팅된다. 비누방울 제조기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과 이 팬을 둘러싸는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팬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팬 수용부는 디스크를 관통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구멍의 회전 경로와 정렬되는 팬 아웃렛을 구비하며, 이로써 상기 적어도 1개의 구멍을갖는 디스크의 일부분이 팬 아웃렛을 통과하도록 회전되면 공기가 상기 적어도 1개의 구멍을 통하여 유동하고, 비누방울이 형성된다.
전술한 발명의 요지 및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읽으면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현 시점에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구체적인 배열과 설치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누방울 제조기 및 장난감 세차 놀이 세트의 제1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놀이 세트의 좌측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놀이 세트의 우측 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난감 세차 놀이 세트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이 제2 실시예는 도 1의 놀이 세트로부터 파생된 2세대 놀이 세트이고,
도 5는 도 4의 놀이 세트의 주된 조립 및 연결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트윈 나선 엘리베이터 유닛의 구성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세차 컨베이어/비누방울 유닛의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a는 도 7의 모터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의 컨베이어/세차기의 구성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린스 유닛의 구성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4의 팬 드라이 유닛의 구성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4의 턴테이블 유닛의 구성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세차 롤러가 제거된 도 4의 컨베이어/비누방울 제조기의 측면 입면도이며,
도 12는 바닥 덮개가 제거된 도 11의 컨베이어의 밑면도이고,
도 13은 기어 구동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12의 컨베이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 즉, 조립된 상태의 장난감 세차 놀이 세트가 나타나 있으며 대체로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놀이 세트의 주된 구성 요소로서는 승강기(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입구 경사로(21)는 대체로 참조부호 14로 표시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세차/컨베이어/비누방울 제조기로 이어지고, 대체로 참조부호 16으로 표시되는 자동차 린스 스테이션으로 연결된다. 경사부(22)는 승강기(12)의 출구를 세차 컨베이어/비누방울 제조기(14)의 입구와 연결한다. 경사부(23)는 컨베이어의 출구를 자동차 린스 스테이션(16)과 연결한다. 자동차 린스 스테이션(16)은 다른 경사부(25)에 의하여 또 다른 경사부(26)와 연결되고, 이 경사부는 세차 컨베이어/비누방울 제조기(14)를 지지하는 높은 위치에 있는 베이스(59)로 연장되며 대체로 참조부호 18로 표시되어 있는 "건조기" 스테이션으로 연장된다. 경사부(26)의 배출 단부는 대체로 참조부호 20으로 표시되어 있는 배출 스테이션의 중앙 경사부(27)로 연결되며, 승강기로 연장되는 경사부(28)와 대향하는 출구 경사부(29)를 구비한다.
도 4 및 5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놀이 세트(10)에 기초하여 만들어지고, 대체로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2세대 놀이 세트를 도시하는데, 2세대 놀이 세트의 구성 요소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놀이 세트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형태를 갖거나 동일한 기능을 갖지만 단지 스타일만 다른 것이 많다. 놀이 세트(10')의 구성 요소는 대체로 참조부호 30으로 표시된 승강기 베이스 조립체와, 이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기 조립체를 포함하며, 이들은 함께 승강기(12)를 형성한다. 컨베이어/비누방울 제조기 조립체는 대체로 참조부호 50으로 표시되고, 높은 위치의 세차/컨베이어 비누방울 제조기(14)를 형성하는 대체로 참조부호 59로 표시되는 베이스를 구비한다. 약간 변형된 린스 스테이션(16')은 대체로 60으로 표시되고 린스 터브(65)와 뜰채(66)를 갖는 변형된 린스 유닛 베이스를 포함한다. 변형된 건조기 스테이션(18')은 대체로 참조부호 70'으로 표시되고 팬 조립체(75')를 구비하는 변형된 베이스를 형성한다. 변형된 배출 스테이션은 대체로 참조부호 20'으로 표시된다. 또한, 동일한 경사부 및 지지부(21-29)가 나타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승강기 베이스 조립체(30) 및 승강기 조립체(40)는 각각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승강기 베이스 조립체(30)는 입구 경사부(21)를 포함하며, 이 경사부는 플러그인 연결부재(167)와 같은 적절한 수단으로 베이스 부재(149)에 연결된다. 베이스 부재(149)는 크랭크(159)를 수용하는 제1 홈(149a)을 포함한다. 크랭크(159)는 기어(16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기어는 바닥 덮개(199)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149)의 아래쪽에서 2개의 다른 스퍼어 기어(179)와 맞물린다.
승강기(40)는 주 베이스 부재(149)의 홈(149b)에 수용되는 나선형 베이스 판(117)과, 하부가 역시 홈(149b)에 수용되는 지지부(127)와, 지지부(127)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137)을 포함한다. 구동 기어(147)와 아이들러 기어(157)는 베이스 판(117)과 지지부(127)의 하부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지지부(127)는 각각 1쌍의 상부 및 하부 저널(129a, 129b)을 포함하며, 이들은 1쌍의 상보적인 나선부 또는 나사부(138a, 138b)의 하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데, 나선부는 하나는 왼나사 방향이고 다른 하나는 오른나사 방향이다. 나선부(138a)는 반쪽 쉘(148, 158)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에서 1쌍의 동일한 나선부 설치부재(188)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2 나선부(138b)는 반쪽 나선부(168, 178)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서 1쌍의 설치부재(188)에 의하여 고정된다. 하부 설치부재(188)는 기어(147)와 나선부(138a, 138b)가 서로 맞물리도록 고정됨으로써 나선부(138a, 138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측 나선부(138b)는 상부 설치부재(188)를 통하여 덮개판(10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덮개판은 스포트라이트 모방체(128)가 지붕(137) 위에서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스포트라이트(128) 및 레이다 안테나(138)는 나선부(138a, 138b)와 함께 회전하는데, 이들은 크랭크(159) 및 베이스(149) 내의 좌측 구동 기어(147)와 맞물린 아이들러 스퍼어 기어(179) 중의 하나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우측 기어(147)는 아이들러 기어(157)를 통하여 좌측 기어(147)와 연결된다.
도 7은 베이스(59)를 구비하는 컨베이어/비누방울 제조기(14)의 구성 요소를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베이스(59)에 추가하여, 컨베이어/비누방울 제조기(14)는 구동 조립체(50)를 포함하며, 이 조립체는 대체로 51로 표시된 컨베이어/세차장치, 53으로 표시된 비누방울 제조기, 대체로 54로 표시된 조명 바아 및 표지부(55)를 구비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컨베이어/세차장치(51)는 베이스 부재(511) 및 프레임 부재(512)를 구비하며, 이들 부재 사이에 복수개의 컨베이어 롤러(513) 및 구동 롤러 구성요소(514a, 514b)가 배치되는데, 이들의 각 단부에서는 샤프트(517)와 함께 연결된 구동 기어(516)가 수용된다. 롤러(513) 및 드럼 구성 요소(514a, 514b)는 프레임 부재(512)와 베이스 부재(51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파지되고 연속 컨베이어 벨트(5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수평 롤러 지지부(521) 및 수평 롤러 피봇(522)은 수평 세차 롤러(523)을 지지한다. 수직 세차 롤러(524)는 수직 롤러 설치부(526)에 고정된 수직 롤러 샤프트(525)에 의하여 지지되며, 설치부는 베이스 및 프레임 부재(511, 512) 사이에 설치된 크라운 기어로서 롤러 기어(516)와 맞물린다. 롤러 기어(516)는 스러어 기어(528, 529)에 의하여 구동된다. 스러어 기어(529)는 샤프트 단부(529a)를 구비하며, 이 단부는 도 7 및 7a의 우측에 도시된 구동 소켓(585)와 맞물려 고정된다.
비누방울 제조기(53)는 전방 하우징 쉘(530)과 후방 하우징 쉘(531)에 의하여 형성되는 주 하우징을 구비한다. 비누방울 제조기 디스크(532)는 전방 하우징(530)의 앞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비누방울 터브(533)에 부분적으로 잠긴 상태로 지지된다. 하우징(530/531)은 대체로 56으로 표시된 모터 구동기를 구비하고 수용한다. 후방 하우징(531)은 도어(534)를 수단으로 하여 유지되는 배터리공급부를 구비한다. 대체로 535로 표시된 다양한 커넥터가 후방 하우징(531)에 제공되어 배터리 전원 공급부의 각 배터리를 모터 구동부(56) 및 발광 다이오드(LED)(543)와 연결한다. 스위치 하우징 덮개(536)는 후방 하우징(531)의 한 측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위치 핸들(53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온/오프 스위치(538)을 작동시킨다. 표지부(55)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530, 531)의 사이에 파지되며, 길이가 긴 반쪽 쉘(541, 542)로 이루어진 조명 바아(54)도 같은 방식으로 파지된다. 반쪽 쉘(541, 542)은 그 원단부에서 LED(543) 및 LED 덮개(544)를 지지한다. 모터 구동부(56)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기 모터(561) 및 모터(561)를 수용하는 모터 구동 하우징(562)을 구비한다.
도 7a에는 모터 구동부(56)의 구성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562b)은 그 좌측부에 팬 챔버(564)를 한정하는 돌출 벽부(563)를 구비한다. 팬(565)은 챔버(564) 내에 수용되며 팬 커버(566)에 의하여 파지된다. 팬 커버(566)은 아웃렛(567)을 구비하며, 이 아웃렛은 비누방울 디스크(532)가 회전할 때 이 디스크에 마련된 개구부(532a)와 정렬된다. 후방 하우징(562a)에는 캠(568), 가동 스위치 접촉부(569) 및 고정 스위치 접촉부(570)가 부착된다. 하우징 반쪽(562a, 562b)들 사이에는 일련의 기어와 클러치가 파지되며, 여기에는 모터(561)의 구동 샤프트(561a)에 고정되는 모터 피니언(571)이 포함된다. 3개의 복합기어(572a, 572b, 572c)가 모터 피니언(571)과 맞물리며, 이 복합기어는 잭 샤프트(573a, 573b, 573c) 상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감속 기능을 제공한다. 2개의 클러치를 구비한 출력 구동부가 제공되며, 이들 중 하나는 비누방울디스크(532)를 구동시켜 회전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컨베이어/세차장지(51)을 구동시켜 컨베이어 벨트(520) 및 수직 및 수평 롤러(523, 524)가 회전하도록 한다. 컨베이어/세차장치(51)의 구동부는 샤프트(579) 상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복합기어(578)에 의하여 제공된다. 복합기어(578)의 작은 기어는 제3 기어(572c)의 큰 기어부에 의하여 직렬 구동 트레인 내에서 맞물린다. 복합기어(578)의 큰 기어부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부재(580)과 맞물리며, 이 클러치 부재는 스프링(581)에 의하여 편향되어 제2 클러치 부재(582)에 의하여 지지되며 샤프트(583)에 고정된다. 소켓 연결부(585)가 샤프트(583)에 고정되며, 이 연결부는 컨베이어 구동부와 맞물리도록 전방 하우징 쉘(562b) 상에 노출된다. 비누방울 휠드 클러치(wheeled clutch)의 기어가 형성된 클러치 부재(588)는 제2 복합기어(572b)의 큰 기어부와 맞물린다. 클러치 부재(588)는 스프링(590)에 의하여 편향되어 제2 클러치 부재(589)에 의하여 지지된다. 클러치 부재(589)는 전방 하우징 쉘(562b) 상에 있는 개구부(564c)를 통하여 연장되고 비누방울 휠(532)을 구동시키는 샤프트(591)에 고정된다(도 7).
도 8-13에는 세차 놀이 세트(10')의 구성 요소가 다양한 상태로 분해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컨베이어/비누방울 제조기 조립체(50)에서 컨베이어/세차장치(51) 및 비누방울 탱크(533)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비누방울 휠(532)은 그 구동 샤프트(591) 상에 재설치되었다. 블로워 출구측 개구부(567)가 휠(532)의 비누방울 제조용 구멍(532a) 중의 하나와 정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면의 아래 오른쪽 구석에는 소켓 구동부(585)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컨베어이/세차장치(51)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12는 컨베이어/세차장치(51)의 저면도인데, 베이스 부재(511)가 제거되어 다양한 기어 부재(516, 526, 528, 529)가 나타나 있다. 기어(529)의 외측 단부(529a)는 프레임(512)의 뒤쪽으로부터 돌출되고 전방 하우징(530) 상의 소켓(585) 내로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도 11). 도 13은 3개의 기어(516, 528, 529)가 맞물려 있는 것을 도시하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린스 터브(65), 뜰채(66) 및 린스 유닛(16')의 베이스(61)가 린스 유닛(16')의 다양한 구동부 구성 요소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린스 유닛(16')의 구성 요소에는 하부 덮개(62)가 포함되는데, 이것은 베이스(61)의 하부에 부착되고, 액슬(6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로터 기어(612)와, 기어(612)의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 표면(618)을 갖는 벨 크랭크(616)와, 비틀림 스프링(620) 및 벨 크랭크(616)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베이스(61)로부터 슬롯(61c)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핸들(622)을 구비한다. 벨 크랭크(616)는 베이스(61)와 하부 덮개(62)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622)을 사용하여 앞뒤로 선회됨으로써 플로터 기어(612)를 회전시킨다. 플로터 기어(612)는 린스 터브 기어(63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린스 터브 기어는 베이스(61) 내에서 린스 터브 설치부(632)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린스 터브 설치부는 베이스(61)의 위쪽 표면 상에 있는 큰 웰부(61b)의 중심에서 중심 웰부(61a)에 배치된다. 린스 터브 설치부(632)는 자체의 다면 중심홈(632a)을 구비하며, 이 홈은 린스 터브 칼라(639) 상에 있는 동일한 다면부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형성되고, 이 칼라는린스 터브(65)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지 않도록 부착된다. 칼라(639)는 터브(65)를 터브 설치부(632)의 홈(61a)에 고정시킨다. 터브(65)는 베이스(61)의 홈(61b)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622)의 주기적인 작동으로 인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뜰채(66)는 터브(65)의 바닥에 수용된다. 뜰채(66)는 장난감 자동차가 경사부(23)로부터 터브(65) 내로 떨어질 때 충격을 완화시키며 터브(65)로부터 자동차를 들어올릴 때 사용될 수 있고 들어올려진 자동차를 건조기 스테이션(18')으로 이어지는 경사부(25)에 놓을 수 있다. 변형된 린스 스테이션(16')은 위치 및 린스 터브 구동기의 작동의 면에서 원래의 것과 상이하다.
도 9에는 건조기 스테이션(18')의 주요 구성 요소가 나타나 있으며, 베이스 유닛(70') 및 팬 조립체(75')가 포함된다. 베이스 유닛(70')은 베이스 하우징(71)과 팬 구동기를 포함하며, 팬 구동기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 반쪽(720, 722)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동기 하우징(72)(도 5)을 구비하고, 하우징 반쪽은 랙(732)을 지지하여 하우징(72)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랙 핸들(73)을 포함한다. 랙(732)은 복합 가속기어(734)와 맞물려 이를 구동시키며, 가속기어는 이어서 플러터 기어(735)를 구동시켜 액슬(736) 상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핸들(73)은 비틀림 스프링(738)에 의하여 위쪽으로 편향된다. 플로터 기어(735)의 상부는 하우징(72)의 위쪽 구석에 노출되어 있다(도 5). 팬 조립체(75')는 전방 고정 드럼(752), 후방 드럼 덮개부(754) 및 드럼(752) 상에서 회전하도록 복수개의 베어링(758) 상에 설치되는 "팬" 부재(756)를 포함한다. 플로터 기어(735)의 노출된 상부 에지는 팬(756)의 뒤쪽에 일체로 주조된 기어와 맞물려 핸들(73)이 아래로 눌려지고 풀리는 경우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팬(75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건조기 스테이션(18')은 도 1-3에 도시된 원래의 건조기 스테이션(18)과 비교하여 "팬"(75)의 구조 및 팬 구동기의 위치와 구조의 면에서 차이가 있다.
도 10에는 변형된 배출 스테이션(20')의 구성 요소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스테이션은 중앙의 홈 개구부(80a)를 갖는 베이스(80)를 포함하고, 개구부에는 원형 턴테이블 부재(82)가 수용된다. 턴에이블(82)의 외주 에지는 복수개의 기어치(82a)를 구비하고, 이 기어치는 베이스(80) 내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된 기어(83)과 맞물리며 소화전 형태의 핸들(84)과 연결되고, 핸들은 베이스(80) 상부의 전방 우측 영역에 마련된 개구부(80b) 내에 수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80)의 위쪽 좌측 구석에 있는 개구부(80c)는 게이트/게이트 하우스 구동기(85)의 서브-베이스(86)를 수용한다. 서브 베이스(86)는 중앙 포스트(862)를 구비하며, 중앙 포스트는 압축 코일 스프링(87)을 지지하고, 스프링은 게이트/하우스 베이스(88)을 지지하여 포스트(862)의 상하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한다. 베이스(88)는 게이트 하우스(89)를 지지한다. 베이스(88)의 게이트 부분(882)은 하우스(89) 상에서 아래로 눌려짐으로써 베이스(80) 내의 슬롯(80d) 내로 압축된다. 변형된 배출 스테이션(20')은 도 1-3에 도시된 원래의 배출 스테이션(20)과 대비할 때, 원래의 배출 스테이션 턴테이블의 핸들이 출구 경사(29)의 전방이 아니라 뒤쪽에 배치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두 버전의 놀이 세트(10, 10')의 작동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아동은 장난감 자동차를 경사부(21)로 운전하여 승강기 베이스 부재(149)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장난감 자동차를 승강기 조립체(40)의 나선부(138a, 138b) 사이에 수동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나선부는 크랭크(159)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된다. 위쪽에서 보았을 때, 크랭크(159)의 시계방향 회전은 좌측 나선부(138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우측 나선부(138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나선부(138a, 138b)는 장난감 자동차를 끌어서 승강기(40)의 하부에 적재시키고 승강기의 뒤쪽으로 이동시키며, 여기서 자동차는 지지부(127)의 뒤쪽(127a)과 충돌한다. 나선부(138a, 138b)는 계속 자동차를 끌어서 승강기(40)의 내부로 이동시키며, 자동차의 아래쪽에서 나선부(138a, 138b)가 회전할 때 지지부(127)의 뒤쪽에 대하여 자동차를 눌러서 자동차가 이들이 회전함에 따라 위로 올라가도록 한다. 결국, 자동차는 나선부 지지부(127)의 위쪽 중심 뒤쪽에 있는 개구부(127b)를 통하여 통과한다. 자동차는 나선부(138a, 138b)에 의하여 눌려서 경사부(22)로 이동하며, 경사부에 의하여 자동차는 세차장치/컨베이어/비누방울 제조기 스테이션(14)의 컨베이어/세차장치(51)의 좌측 단부에 배치된다(도 3).
컨베이어/세차장치(51) 및 비누방울 제조기(53)는 두 놀이 세트에서 유일한 전동식 구성 요소이다. 컨베이어/세차장치(51) 및 비누방울 제조기(53)는 모터 구동기(56)에 의하여 구동되며, 이 구동기의 작동은 온/오프 스위치(537)에 의하여 제어된다. 모터 구동기(56)는 샤프트(591) 형태의 회전 출력을 제공하며, 샤프트는 비누방울 제조기 디스크(532)가 비누방울 터브(533)에 있는 비눗물 또는 다른 비누방울 형성용 용액을 통과하도록 회전시키고 하우징 덮개(566) 전방의 블로워 출구(567)을 통과하도록 한다. 터브(533)는 충분히 깊어서 디스크(532)의 외주부를수용할 수 있으며, 디스크의 외주부에는 디스크(532)를 관통하여 형성된 1개 이상의 개구부/구멍/틈(532a)이 구비되고, 이로써 비누방울 제조기를 사용하는 동안, 각 구멍(532a)이 디스크(532)의 각 회전 동안 터브(533)를 통과하고, 각 구멍(532a)은 터브(533)에 마련된 비누방울 형성용 용액에 의하여 코팅된다. 모터 구동기(56)는 원심력 팬(565)을 직접 구동시켜 전방 기어 하우징(562b)를 통과하도록 하고, 이로써 팬(565)이 개구부(532a)와 정렬된 출구(567)을 통하여 공기를 불어내고 비누방울 디스크(532)에서 반드시 통과되어야 하는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한다. 컨베이어(520)는 소켓(585)을 통하여 전력을 얻어서 구동된다. 조명 바아(54) 내의 LED(543)는 샤프트(583) 상의 LED 캠(568)의 회전에 의하여 깜빡거리게 된다. 컨베이어(520)는 장난감 자동차를 오버헤드 롤러(523)의 아래쪽으로 운반하고 수직 롤러(524)를 통하여 경사부(23)로 운반하며, 이 경사부는 장난감 자동차가 중력에 의하여 린스 터브(65)로 안내되도록 한다(도 1-3).
린스 터브(65)는 벨 크랭크 핸들(622)의 작동 및 해제에 의하여 (위쪽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플로터 기어(612)는 핸들(622)이 스프링(62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단지 터브 기어(630)와만 맞물린다. 린스 터브(65)는 내부가 비어 있지 않은 벽부를 구비할 수 있지만, 중공식 벽부 구조를 취함으로써 벽부 내에 물과 같은 액체를 추가할 수 있고, 투명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터브 내의 자동차가 실제초 린스용 액체 내에 잠겨있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 자동차는 뜰채(66)를 이용하여 터브(65)로부터 수동으로 들어올려지며 경사부(25) 상에 배치된다. 이 경사부는 높은 위치에 있는 베이스(59)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경사부(26)로 이어지며 건조기 스테이션(18 또는 18')의 팬 조립체를 통과한다. 원래의 팬 유닛(18)의 "팬"은 도 1에 도시된 건조기 스테이션(18)의 우측 전방 구석에 있는 실린더를 누르거나 해제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며, 도 9의 팬 부재(756)는 건조기 스테이션(18')의 우측 뒤쪽에 있는 랙 핸들(73)을 누르고 해제함으로써 회전하게 된다. 또한, 플로터 기어(735)는 핸들(73)이 눌리는 동안 팬(756)과만 맞물린다. 경사부(26) 위의 자동차는 게이트부(882)에 의하여 경사부의 전방 단부에 정지하며, 게이트부는 게이트/하우스(89)를 누름으로써 눌릴 수 있다. 자동차는 경사부(26)로부터 떨어져 중앙 경사부(27)를 가로질러 턴테이블(82)로 이동한다. 턴테이블(82)은 핸들(84)에 의하여 회전하여 자동차를 승강기(12) 또는 출구 경사부(29)로 이어지는 경사부(28)로 인도할 수 있다.
당해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의 넓은 발명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변형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4)

  1.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53)로서,
    하우징(530, 531)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있는 모터(561)와;
    상기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대체로 편평한 디스크(532)로서,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고, 이 디스크를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의 구멍(532a)을 구비하는 디스크와;
    상기 중심을 벗어난 위치의 구멍을 구비하는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 부분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깊은 터브(65)로서, 상기 디스크의 적어도 1개의 구멍이 상기 디스크의 각 회전 동안 상기 터브를 통과하며 상기 적어도 1개의 구멍은 사용 중에 상기 터브에 마련된 비누방울 형성용 용액으로 코팅되는 터브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보다 빠른 회전 속도로 구동되는 팬(565); 및,
    상기 팬을 둘러싸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팬 수용부(564, 566)로서, 이 팬 수용부는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적어도 1개의 구멍의 회전 경로와 정렬되도록 배치된 팬 아웃렛(567)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구멍을 구비하는 상기 디스크의 일부가 상기 팬 아웃렛을 통과하도록 회전되며, 공기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구멍을 통하여 유동되고, 비누방울이 형성되는 팬 아웃렛
    을 포함하는 전동식 비누방을 제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장난감 세차 놀이 세트(10, 10')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모터(561)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컨베이어 벨트(520)를 구비함으로써 장난감 자동차를 제1 위치로부터 비누방울 제조기를 경유하여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난감 세차 스테이션(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실제 크기의 자동자를 위한 세차 장치에서 사용되는 세척 롤러를 모방한 것으로서 상기 모터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세척 롤러(523, 5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놀이 세트의 하부 위쪽에 있는 세차 스테이션의 위치를 높이는 베이스부(5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놀이 세트의 상기 하부로부터 장난감 자동차를 상기 세차 스테이션으로 올리기 위한 승강기(12, 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아래쪽에 있는 린스 스테이션(16, 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린스 스테이션은 수동식 구동장치(622)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건조 스테이션(18, 18') 및 이 건조 스테이션을 상기 린스 스테이션과 연결하는 경사부(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방울 제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건조 스테이션은 팬(75, 7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팬은 수동식 구동장치(73)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놀이 세트의 상기 하부 상에 있는 회전 테이블(8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은 수동식 구동장치(84)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비누방울 제조기.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의 아래쪽에 있는 린스 스테이션과; 건조 스테이션 및 이 건조 스테이션을 상기 린스 스테이션에 연결시키는 경사부, 및 상기 놀이 세트의 상기 하부 위에 있는 회전 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린스 스테이션은 수동식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건조 스테이션은 팬을 구비하며, 상기 팬은 수동식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은 수동식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비누방울 제조기.
KR10-2004-7006404A 2001-10-31 2002-10-18 비누방울 제조기 및 장난감 세차 세트 KR200400547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979901P 2001-10-31 2001-10-31
US60/339,799 2001-10-31
PCT/US2002/033588 WO2003037472A1 (en) 2001-10-31 2002-10-18 Bubble making apparatus and toy car wash play 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754A true KR20040054754A (ko) 2004-06-25

Family

ID=2333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404A KR20040054754A (ko) 2001-10-31 2002-10-18 비누방울 제조기 및 장난감 세차 세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663464B2 (ko)
EP (1) EP1455916B1 (ko)
KR (1) KR20040054754A (ko)
CN (1) CN1313181C (ko)
AT (1) ATE425801T1 (ko)
CA (1) CA2464135C (ko)
DE (1) DE60231644D1 (ko)
HK (1) HK1070011A1 (ko)
MX (1) MXPA04004051A (ko)
MY (1) MY135249A (ko)
TW (1) TW200303229A (ko)
WO (1) WO2003037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6991A1 (en) * 2003-09-19 2005-05-19 Marine Jon C. Plush doll shampoo toy set
WO2006025837A1 (en) * 2004-08-25 2006-03-09 Jakks Pacific, Inc. Wheel spinning launcher and wheel toy
WO2007056481A2 (en) * 2005-11-07 2007-05-18 Mattel, Inc. Toy vehicle carrier having service environment
DE212008000070U1 (de) * 2007-06-02 2010-06-24 Mattel, Inc., El Segundo Aufklapp-Spielset
WO2009089173A1 (en) * 2008-01-04 2009-07-16 Mattel, Inc. Interactive toy with visual and audio feedback
US8734200B2 (en) * 2009-04-24 2014-05-27 Mattel, Inc. Toy playset with a launcher and a material dispenser
CN102458597B (zh) 2009-04-27 2014-02-26 美泰有限公司 玩具
US20110117813A1 (en) * 2009-11-13 2011-05-19 Mattel, Inc. Toy Vehicle Play Set
US8888554B2 (en) 2010-11-15 2014-11-18 Mattel, Inc. Toy playset with sockets
US20130052906A1 (en) * 2011-02-24 2013-02-28 Julian Payne Toy Car Wash Play Set
MX2013011864A (es) 2011-04-13 2014-04-30 Mattel Inc Estante exhibidor para figuras de juguete.
US20170252660A1 (en) * 2016-03-07 2017-09-07 Kids Ii, Inc. Children's toy playset
US10653970B2 (en) * 2017-06-30 2020-05-19 Global Family Brands, LLC User controllable marble run kit
US11534697B2 (en) 2020-02-10 2022-12-27 Mattel, Inc. Toy vehicle playset with interactive features
US11577175B2 (en) 2020-02-10 2023-02-14 Mattel, Inc. Toy vehicle playset with interactive object
US11839830B2 (en) 2022-01-22 2023-12-12 Stallion Sport Limited Portable electric foam maker
US11957992B1 (en) * 2023-07-25 2024-04-16 Mattel, Inc. Toy vehicle carrier
US12168186B1 (en) * 2023-12-21 2024-12-17 Mattel, Inc. Toy vehicle playset with liquid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2794A (en) * 1946-01-18 1948-11-02 Saachy Thomas Bubble making machine
US3100947A (en) * 1960-12-29 1963-08-20 Werner F Hellman Toy for forming a continuous stream of bubbles
FR1579140A (ko) 1968-02-09 1969-08-22
US4091561A (en) 1977-02-17 1978-05-30 Okuma Seisakusho Co. Ltd. Traveling road system of a toy
US4423565A (en) 1980-12-30 1984-01-03 M & B Toys, S.A. Bubble-blowing device with varying air flow pressure
US4356657A (en) 1981-02-11 1982-11-02 Adolph E. Goldfarb Toy car wash apparatus and method
GB2165022B (en) 1984-09-11 1987-11-04 Dixon Manning Sales And Market Electro-mechanical apparatus, e.g. a motor driven toy
US4775348A (en) 1987-01-14 1988-10-04 Collins Phillip A Bubble machine
DK161497C (da) 1987-12-02 1992-01-27 Lego As Legetoejsvaskehal
US5832969A (en) 1992-01-30 1998-11-10 Schramm; Michael R. Fluid powered bubble machine with spill-proof capability
JP2562205Y2 (ja) 1993-03-24 1998-02-10 株式会社トミー 軌道走行玩具
US5395274A (en) 1994-04-07 1995-03-07 Myers; Jeff D. Remote control bubble dispensing vehicle
US5586923A (en) 1995-02-09 1996-12-24 Mattel, Inc. Toy vehicle playset for thermochromic vehicles
US5871385A (en) 1995-02-10 1999-02-16 Mattel, Inc. Thermochromic toy vehicle playset having robot arm detailer
US5899789A (en) 1997-11-21 1999-05-04 Rehkemper; Jeffrey G. Toy car track assembly with propelling mechanism and collision course
US6250768B1 (en) 1998-04-13 2001-06-26 Raymond Hill Lighting apparatus for a model lighthouse
US6050872A (en) * 1998-04-14 2000-04-18 Cahill; Douglas R. Toy carwash unit
US6200184B1 (en) 1998-10-30 2001-03-13 Oddzon, Inc. Bubble maker toy
US6149486A (en) 1998-12-08 2000-11-21 Placo Corporation Limited Bubble generating assembly
US6223757B1 (en) * 1999-03-15 2001-05-01 Roger C. Horvath Toy car wash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4004051A (es) 2004-09-06
WO2003037472A1 (en) 2003-05-08
TW200303229A (en) 2003-09-01
CN1313181C (zh) 2007-05-02
CA2464135A1 (en) 2003-05-08
ATE425801T1 (de) 2009-04-15
EP1455916A1 (en) 2004-09-15
EP1455916B1 (en) 2009-03-18
DE60231644D1 (de) 2009-04-30
US20030082985A1 (en) 2003-05-01
HK1070011A1 (en) 2005-06-10
EP1455916A4 (en) 2006-01-18
US6663464B2 (en) 2003-12-16
CA2464135C (en) 2011-03-22
CN1582190A (zh) 2005-02-16
MY135249A (en) 200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4754A (ko) 비누방울 제조기 및 장난감 세차 세트
US4775348A (en) Bubble machine
US5084803A (en) Structure of a toy lamp
WO1997020459A1 (en) Cat toy
US20100124867A1 (en) Novelty light-up toy
CN101437587B (zh) 铰接行走玩具装置
US11975273B2 (en) Toy assembly with inner object in housing that performs function
US7367863B2 (en) Toy vehicle having rotatable light display
US6056623A (en) Playset resembling a fanciful anthill
JP3035121U (ja) ゲーム盤
JP2006000251A (ja) 遊技機
US6000988A (en) Fighting UFO toy car
CN219701087U (zh) 具有摆动机构的泡泡机机芯
JP2559230B2 (ja) 遊技機用表示装置
US4538803A (en) Working musical carousel kit with rocking figures
JPS6133985Y2 (ko)
CN114228885B (zh) 一种儿童益智亲子互动广场车
CN220478108U (zh) 一种节能驱动升降车身的玩具车
CN201668954U (zh) 一种能自动挥动翅膀的蝴蝶玩具
CN211502451U (zh) 一种新型多功能的智能家居灯
CN210929125U (zh) 一种宠物玩具
CN220404801U (zh) 玩具精灵羽翼
CN214388891U (zh) 一种飞行玩具
CN201500451U (zh) 人型的玩具基地
CN2428196Y (zh) 一种玩具飞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