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332A -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 Google Patents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54332A KR20040054332A KR1020020081361A KR20020081361A KR20040054332A KR 20040054332 A KR20040054332 A KR 20040054332A KR 1020020081361 A KR1020020081361 A KR 1020020081361A KR 20020081361 A KR20020081361 A KR 20020081361A KR 20040054332 A KR20040054332 A KR 200400543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connecting shaft
- camera
- sphere
- b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인입 및 인출되며 절곡 가능한 휴대폰연결축과, 상기 휴대폰연결축과 절곡 가능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휴대폰연결축의 말단부에 링크연결 되는 카메라연결축과, 상기 카메라연결축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은 휴대폰에 인입 및 인출 되며 절곡 가능한 휴대폰연결축과, 휴대폰연결축과 일정각도를 이루며 절곡 가능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휴대폰연결축의 말단부에 링크연결 되는 카메라연결축과, 카메라연결축에 연결되어 카메라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바라보고 있을 때도 휴대폰연결축 및 카메라연결축을 절곡시켜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사체 촬영이나 영상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특허출원(출원번호:10-2000-0000915)된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가 닫힌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의 사시도를,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가 열린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의 사시도를,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렌즈 하우징이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은 본체(10)와, 폴더(20)와, 상기 본체(10)와 폴더(20)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장치(30)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20)는 힌지축(A)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본체(10)에서 개폐된다. 상기 본체(10)와 폴더(20)를 결합시키는 힌지장치는 다수개의 힌지 아암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장치(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힌지장치(30)는 본체(10)에 구비된 제1,2사이드 힌지 아암(111,112)(side hinge arm), 상기 폴더(20)에 구비된 센터 힌지 아암(211)(center hinge arm) 및 상기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에 힌지축(A)방향으로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401)(lens hous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사이드 힌지 아암(111,112)은 소정의 공간으로 이격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 센터 힌지 아암(211)이 놓여 결합된다. 상기 제1,2사이드 힌지 아암(111,112)과, 센터 힌지 아암(211) 및 렌즈 하우징(401)은 힌지축(A)에 놓인다. 상기 제1,2사이드 힌지 아암(111,112)과, 센터 힌지 아암(211) 및 렌즈 하우징(401)은 동일한 직경크기를 갖는 원통형이며, 상기 센터 힌지 아암(211)이나 렌즈 하우징(401)의 축방향 길이가 다른 힌지 아암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 하우징(401)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를 실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는 렌즈 하우징(401)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1)는 센터 힌지 아암(211)에 구비될 수 있고, 별도의 힌지수단을 구비하여 폴더(20)쪽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다수개의 번호키와 기능키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101)와, 마이크장치(102)를 포함한다. 상기 폴더(20)는이어 피스(201)와 메인 디스플레이 유니트(202)를 포함한다. 미도시된 안테나 장치는 본체에 내장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어셈블리(40)는 렌즈 하우징(401)에 내장되었기 때문에 렌즈만이 렌즈 하우징(401)에서 외부환경에 노출된다.
도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본체(10)에 메인 보드(120)가 설치되고, 폴더(20)에 스피커(S)와 메인 디스플레이 유니트(202)가 설치된다. 도3에 보여진 카메라 어셈블리(40)는 렌즈와, 렌즈 홀더(405), 서브 보드(406) 및 서브 보드(406)에 설치된 씨씨디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보드(406) 상에 구비된 씨씨디 소자는 렌즈 홀더(405)에 의해 가려져서 도면에서 미도시된다.
상기 메인 보드(120)와 메인 디스플레이 유니트(202)는 제1연성 회로(115)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메인 보드(120)와 서브 보드(406)는 제2연성 회로(410)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연성 회로(115)의 부분은 센터 힌지 아암과 제2사이드 힌지 아암을 경유하여 본체에 구비된 콘넥터(122)에 접속된다. 상기 제2연성 회로(410)는 렌즈 하우징과 제1사이드 힌지 아암을 경유하여 본체의 콘넥터(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메인 보드(120)에 장착된 콘넥터(121,122)는 거리를 고려하여 모서리 부분이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도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 하우징(401)이 힌지장치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여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에 결합된다. 상기 수단은 마주보는 후크(403)가 적절하다. 상기 후크(403)가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에 힌지축 방향으로 조립되면,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에 힌지축 방향으로 구속되나,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강제적인 외부힘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401)이 놓일 수 있는 슬롯(111a)을 구비한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에서 인출된 제2연성 회로(410)는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을 향하고, 이어서 메인 보드의 콘넥터에 접속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의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게 구성되도록 개구(404)를 구비하며, 일단 방향으로 렌즈 하우징(401)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각도조절용 노브(402)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렌즈 하우징(401)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의 렌즈의 이동이 본체(10)를 중심으로 볼때 상하방향으로만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202)를 바라보고 있을 때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의 렌즈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의 피사체는 촬영이 가능하나 좌우방향은 촬영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에 인입 및 인출 되며 절곡 가능한 휴대폰연결축과, 휴대폰연결축과 일정각도를 이루며 절곡 가능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휴대폰연결축의 말단부에 링크연결 되는 카메라연결축과, 카메라연결축에 연결되어 카메라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바라보고 있을 때도 휴대폰연결축 및 카메라연결축을 절곡시켜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다방향촬영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가 닫힌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의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가 열린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의 사시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렌즈 하우징이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연결축이 인출된 상태의 개략도.
도6은 도5에 있어서 제2휴대폰연결축 및 카메라연결축이 절곡된 상태의 개략도.
도7은 도5에 있어서 관절수단의 결합상태도.
도8은 도5에 있어서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와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의 결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0: 휴대폰 본체
1100: 휴대폰연결축
110: 제1휴대폰연결축 1112: 지지스피어
1112-H: 절곡개구부
1120: 제2휴대폰연결축 1122: 절곡스피어
1122-H: 제3개구부
1124: 휴대폰연결축스피어 1124-H: 제1개구부
1200: 카메라연결축
1204: 카메라연결축스피어 1204-H: 제2개구부
1220: 링크핀
1300: 카메라
본 발명은 휴대폰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한 휴대폰연결축과, 상기 휴대폰연결축과 절곡 가능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휴대폰연결축의 말단부에 링크연결 되는 카메라연결축과, 상기 카메라연결축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연결축 및 카메라연결축은 휴대폰의 메인회로기판과 상기 카메라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카메라회로선이 내장되어 안내 가능하도록 중공축(中空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된 휴대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연결축의 말단부에는 제1개구부를 갖는 속빈 구형상인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연결축의 일측단에는 속빈 구형상으로서 상기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가 내삽되어 링크연결 가능하도록 제2개구부를 갖는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의 제2개구부는, 상기 카메라연결축이 상기 힌지연결축과 90도를 이루며절곡된 경우 상기 카메라연결축이 더 이상 절곡되지 못하도록, 상기 휴대폰연결축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연결축은 휴대폰에 연결되는 제1휴대폰연결축과 상기 카메라연결축에 연결되는 제2휴대폰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휴대폰연결축과 상기 제2휴대폰연결축은 전후좌우로 회동이 자유로운 관절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관절수단은 상기 제2휴대폰연결축에 형성되는 속빈 구형상으로서 제3개구부를 갖는 절곡스피어(sphere)와, 상기 절곡스피어(sphere)가 내삽되어 절곡 가능하도록 상기 제1휴대폰연결축에 형성되는 속빈 구형상으로서 상기 제2휴대폰연결축이 절곡 가능하도록 회동개구부가 형성되는 지지스피어(sphe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연결축이 인출된 상태의 개략도를, 도6은 도5에 있어서 제2휴대폰연결축 및 카메라연결축이 절곡된 상태의 개략도를, 도7은 도5에 있어서 관절수단의 결합상태도를, 도8은 도5에 있어서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와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의 결합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휴대폰연결축(1100), 카메라연결축(1200), 카메라(1300) 등을 갖는다.
도5를 참조하면, 휴대폰연결축(1100)은 휴대폰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휴대폰연결축(1100)은 휴대폰 본체(1010)에 설치되는 메인회로기판(도면 미도시)과 카메라(1300)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카메라회로선(도면 미도시)이 내장되어 안내 가능하도록 중공축(中空軸)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5를 참조하면, 휴대폰연결축(1100)은 휴대폰에 연결되는 제1휴대폰연결축(1110)과 카메라연결축(1200)에 연결되는 제2휴대폰연결축(1120)으로 구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제1휴대폰연결축(1110)과 제2휴대폰연결축(1120)은 전후좌우로 절곡 및 회동이 자유로운 관절수단에 의해 연결되는데, 관절수단은 제2휴대폰연결축(1120)에 형성되는 속빈 구형상으로서 제3개구부(1122-H)를 갖는 절곡스피어(sphere)(1122)와, 절곡스피어(sphere)(1122)가 내삽되어 절곡 가능하도록 제1휴대폰연결축(1110)에 형성되는 속빈 구형상으로서 제2휴대폰연결축(1120)이 절곡 가능하도록 절곡개구부(1112-H)가 형성되는 지지스피어(sphere)(1112)로 구성된다. 이때, 제3개구부(1122-H)는 제2휴대폰연결축(1120)의 절곡각에 관계없이 제1휴대폰연결축(1110)에 연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카메라회로선(도면 미도시)이 제3개구부(1122-H)를 통하여 제1휴대폰연결축(1110)에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도5를 참조하면, 제2휴대폰연결축(1120) 말단부에는 제2휴대폰연결축(1120)과 일정각도를 이루며 절곡 가능하도록 카메라연결축(1200)의 일측단이 링크핀(1220)에 의해 링크연결 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2휴대폰연결축(1120)의 말단부에는 제1개구부(1124-H)를 갖는 속빈 구형상인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1124)가 형성된다. 제1개구부(1124-H)는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1124)의 상단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를 참조하면, 카메라연결축(1200)은 휴대폰연결축(1100)과 마찬가지로 휴대폰 본체(1010)에 설치되는 메인회로기판(도면 미도시)과 카메라(1300)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카메라회로선(도면 미도시)이 내장되어 안내 가능하도록 중공축(中空軸)으로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카메라연결축(1200)의 일측단에는 속빈 구형상의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1204)가 형성된다.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1204)는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1124)가 내삽되어 링크연결 가능하도록 제2개구부(1204-H)가 형성된다.
한편, 도8을 참고하면,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1204)의 제2개구부(1204-H)는, 카메라연결축(1200)이 제2휴대폰연결축(1120)과 90도를 이루며 절곡되는 경우 제2휴대폰연결축(1120)에 접촉됨으로써, 카메라연결축(1200)이 더 이상 절곡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8을 참고하면,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1204)의 내경은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1124)의 내경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카메라회로선(도면 미도시)이 제1개구부(1124-H)의 형상에 관계없이 제1개구부(1124-H)를 경유하여 카메라연결축(1200) 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를 참고하면, 카메라연결축(1200)의 타측단에는 카메라연결축(120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메라(1300)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을 참조하면, 제1휴대폰연결축(1110)을 인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도면 미도시)를 바라보면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면, 제2휴대폰연결축(1120)을 제1휴대폰연결축(1110)에 대하여 절곡시켜 카메라(1300)를 적당한 지점에 위치시킨 뒤 카메라(1300)를 카메라연결축(1200)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연결축(1200)을 링크핀(1220)을 중심으로 하여 제2휴대폰연결축(1120)에 대하여 절곡시키면 보다 정확한 촬영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카메라연결축(1200)이 제2휴대폰연결축(1120)과 90도를 형성하면, 제2개구부(1204-H)가 제2휴대폰연결축(1120)에 접촉됨으로써 카메라연결축(1200)이 더 이상 절곡되지 못하게 되므로 카메라(1300)를 카메라연결축(120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손이 카메라연결축(1200)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바라보는 상태에서도 전후좌우 및 상하의 모든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연결축(1100)은 제1휴대폰연결축(1110)과 카메라연결축(1200)에 연결되는 제2휴대폰연결축(112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연결축(1100)은 하나의 연결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할 수 도 있다.
상기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관절수단은 절곡스피어(sphere)(1122)와, 지지스피어(sphere)(1112)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관절수단은 주름관 등 기타의 수단일 수도 있다.
상기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연결축(1200)은 제2휴대폰연결축(1120)과 90도를 이루며 절곡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는 카메라연결축(1200)은 제2휴대폰연결축(1120)과 기타의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휴대폰연결축(1120)의 말단부는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1112)로 형성되고 카메라연결축(1200)의 일측단은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1204)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휴대폰연결축(1120)의 말단부 및 카메라연결축(1200)의 일측단은 제2휴대폰연결축(1120)의 말단부 및 카메라연결축(1200)이 일정각도를 이루며 절곡 가능하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은 휴대폰에 인입 및 인출 되며 절곡 가능한 휴대폰연결축과, 휴대폰연결축과 일정각도를 이루며 절곡 가능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휴대폰연결축의 말단부에 링크연결 되는 카메라연결축과, 카메라연결축에 연결되어 카메라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바라보고 있을 때도 휴대폰연결축 및 카메라연결축을 절곡시켜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 휴대폰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한 휴대폰연결축과,상기 휴대폰연결축과 절곡 가능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휴대폰연결축의 말단부에 링크연결 되는 카메라연결축과,상기 카메라연결축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폰연결축 및 카메라연결축은 휴대폰의 메인회로기판과 상기 카메라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카메라회로선이 내장되어 안내 가능하도록 중공축(中空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된 휴대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폰연결축의 말단부에는 제1개구부를 갖는 속빈 구형상인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가 형성되고,상기 카메라연결축의 일측단에는 속빈 구형상으로서, 상기 휴대폰연결축스피어(sphere)가 내삽되어 링크연결 가능하도록 제2개구부를 갖는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연결축스피어(sphere)의 제2개구부는, 상기 카메라연결축이 상기 힌지연결축과 90도를 이루며 절곡된 경우 상기 카메라연결축이 더 이상 절곡되지 못하도록, 상기 휴대폰연결축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폰연결축은 휴대폰에 연결되는 제1휴대폰연결축과 상기 카메라연결축에 연결되는 제2휴대폰연결축을 포함하고,상기 제1휴대폰연결축과 상기 제2휴대폰연결축은 전후좌우로 절곡이 자유로운 관절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관절수단은 상기 제2휴대폰연결축에 형성되는 속빈 구형상으로서 제3개구부를 갖는 절곡스피어(sphere)와, 상기 절곡스피어(sphere)가 내삽되어 절곡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휴대폰연결축에 형성되는 속빈 구형상으로서 상기 제2휴대폰연결축이 절곡 가능하도록 절곡개구부가 형성되는 지지스피어(sphe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1361A KR20040054332A (ko) | 2002-12-18 | 2002-12-18 |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1361A KR20040054332A (ko) | 2002-12-18 | 2002-12-18 |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4332A true KR20040054332A (ko) | 2004-06-25 |
Family
ID=3734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1361A KR20040054332A (ko) | 2002-12-18 | 2002-12-18 |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5433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5363A (ko) * | 2003-09-06 | 2005-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발출형 카메라 장치 |
-
2002
- 2002-12-18 KR KR1020020081361A patent/KR2004005433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5363A (ko) * | 2003-09-06 | 2005-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발출형 카메라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54677B2 (ja) | 携帯端末 | |
US7632025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 |
KR100454965B1 (ko) |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 |
KR100677300B1 (ko) | 휴대용 단말기 | |
JP2006042396A (ja) | カメラ付の携帯電話機 | |
KR20040079203A (ko) | 휴대용 통신 장치 | |
CN115234569B (zh) | 连接模组及显示终端 | |
JP2002543678A (ja) | 携帯用通信装置 | |
KR20040054332A (ko) |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 |
KR100496962B1 (ko) | 다방향촬영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 | |
EP1843589B1 (en) |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 |
EP1489256A2 (en) | Hinge for a portable terminal | |
KR100663504B1 (ko) | 그립감이 향상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 |
JP3704496B2 (ja) | 携帯端末装置 | |
KR100430595B1 (ko) |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 |
KR100535967B1 (ko) |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487600B1 (ko) | 회전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 |
KR10053979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 |
JP2006311140A (ja) | 携帯端末 | |
KR100531936B1 (ko) |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724402B1 (ko) | 회동 가능한 외부엘시디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487599B1 (ko) |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 |
KR200340063Y1 (ko) |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687201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장치 | |
KR200353084Y1 (ko) | 특정 위치에 폴더를 멈출 수 있는 회전 폴더형 이동 통신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