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117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117A
KR20040054117A KR1020020080841A KR20020080841A KR20040054117A KR 20040054117 A KR20040054117 A KR 20040054117A KR 1020020080841 A KR1020020080841 A KR 1020020080841A KR 20020080841 A KR20020080841 A KR 20020080841A KR 20040054117 A KR20040054117 A KR 20040054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telephone number
call forward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만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4117A/ko
Publication of KR2004005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117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유무선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인식, 해당 유무선 전화번호로의 착신전환을 자동 설정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량을 줄여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착신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착신 전환 기능을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기능은 사용자가 직접 착신 전환하고자 하는 유무선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착신전환을 설정해야 하고, 착신 전환 해제 시에도 사용자의 수동 설정으로 인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송신기를 구비한 유무선 전화기와 수신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위치한 소정의 영역(A)에 진입했을 때 그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한 후 그 유무선 전화기가 위치한 소정의 영역을 이탈한 경우 착신 전환 기능을 해제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착신 전환하고자 하는 유무선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착신전환을 설정해야 하고, 착신 전환 해제 시에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CALL FORWARD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유무선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인식, 해당 유무선 전화번호로의 착신전환을 자동 설정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량을 줄여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착신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착신 전환 기능을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신 전환(Call Forwarding : CFW)은 사용자가 부재 시에 착신되는 전화를 조건별로 등록한 다른 착신번호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착신 전환 방법으로는 무조건 착신전환과 조건 착신전환이 있는데, 상기 무조건 착신전환은 통화중이나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 상관없이 상대방이 전화를 하면 무조건 등록시킨 번호로 전환하고, 조건 착신전환은 통화중일 경우나 설정된 시간 안에 받지 않을 경우에 미리 등록시킨 번호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대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 착신 전환 등록한 후 호출되면, 현재 착신전환 모드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무조건부 전환모드이면, 기 설정된 착신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조건부 전환 모드이면 응답상태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아이들(Idle) 상태 시 응답하면 단말기로 통화하고, 통화중이거나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5초) 동안 아이들 상태 시 상기 기 설정된 착신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통신 가입자는 기지국에 해당 단말기에 대한 무조건부 착신 전환기능 또는 조건부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한다(S110). 물론, 무조건부 또는 조건부 착신 전환 기능에 대한 착신 전화번호를 등록해야 한다. 상기 착신 전화번호는 일반 유무선 전화번호 또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착신 전환 기능이 등록된 단말기로 호출이 되면, 기지국에서 그 등록된 단말기의 착신 전환 기능이 조건부인지 무조건부인지 판단하여(S120), 무조건부일 경우에는 기 설정된 착신전화번호로 바로 착신 전환하게 된다(S130).
한편, 상기 한 과정 S120에서 상기 단말기의 착신 전환 기능이 조건부일 경우에는 단말기로 호신호를 연결하고, 사용자가 아이들 상태 시 응답하면 전화통화가 이루어진다(S150).
반면, 통화중이거나 기 설정된 소정 시간(예를 들어, 15초) 동안 응답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착신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하게 된다(S13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단말기의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하고, 그 착신 전환 기능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전환번호로 통화할 수 있다. 물론, 등록된 착신 전환 기능을 해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기능은 사용자가 유무선 전화를 통해 휴대폰의 착신전화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착신 전환하고자 하는 유무선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착신전환을 설정해야 하고, 착신 전환 해제 시에도 사용자의 수동 설정으로 인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착신전환이 설정된 유무선 전화가 위치한 곳을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전화가 상기 설정된 착신 유무선 전화로 수신되어 사용자가 단말기로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송신기를 구비한 유무선 전화기의 소정 영역 안에 수신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진입했을 경우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하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소정 영역을 이탈했을 경우 착신 전화번호로 등록된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자동으로 해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착신 전환하고자 하는 유무선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착신전환을 설정해야 하고, 착신 전환 해제 시에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기를 구비한 유무선 전화기와 수신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위치한 소정의 영역(A)에 진입했을 때 그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한 후 그 유무선 전화기가 위치한 소정의 영역을 이탈한 경우 착신 전환 기능을 해제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20)를 부착한 유무선 전화기(10)와 수신기(미도시)를 부착한 이동 통신 단말기(30)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순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30)의 수신기에서 유무선 전화기(10)의 송신기(20)에서 송신한 검출신호(①)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검출신호(①)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검출신호(①)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등록된 착신 전환 기능을 해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30)의 수신기에서 검출신호(①) 수신 후 응답신호(예를 들어, ACK)(②)를 송신기(20)로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기(20)에서 상기 응답신호(②)를 수신하여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③)를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기에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③)를 수신하고, 그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30)가 송신기(20)를 구비한 유무선 전화기(10)의 소정 영역(A) 안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송신기(20)에서 송신한 검출신호(①)를 단말기(30)의 수신기에서 수신하게 되고, 그 검출신호(①)를 수신한 수신기에서 그에 대한 응답신호(②)를 상기 송신기(20)로 송신한다(S220).
그럼, 송신기(20)에서 상기 수신기에서 송신한 응답신호(②)를 수신하고, 그 송신기(20)에 내장된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③)를 송신한다(S230). 그리고, 수신기에서 상기 송신기(20)에서 송신한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③)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전화번호를 단말기(30)의 착신 전화 번호로 기지국에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한다(S240).
물론, 송신기(20)가 구비된 모든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수신기를 구비한 단말기(30)에서 수신하여 그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번호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할 수 있는 전화번호들을 리스트로 구비하고, 송신기(20)에서 송신한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수신했을 때 그 수신된 전화번호와 내부 메모리에 구비된 전화번호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존재할 경우에 한해서만 그 수신한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할 수도 있다.
그럼,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그 전화번호를 바로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단말기(30)의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한 후 단말기(30)로 호신호가 연결되면 착신 전화 번호인 상기 유무선 전화기(10)로 연결되어 통화를 할 수 있다(S250).
반면, 상기 한 과정 S210에서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한 단말기(30)가 송신기(20)에서 송신한 검출신호(①)를 수신할 수 있는 소정 영역(A)을 이탈하게 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송신기(20)에서 송신한 검출신호(①)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자동으로 착신 전환 기능을 해제하게 된다(S260). 즉, 단말기(30)로 호신호가 연결되면 단말기(30)를 통해서 직접 통화가 이루어진다(S270).
이와 같이 착신 전화 번호를 등록하지 않은 단말기(30)가 유무선 전화기(10)의 소정 영역(A)에 진입, 이탈함으로써, 자동으로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 및 해제할 수 있다.
그럼, 기 설정된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한 단말기(30)가 유무선 전화기(10)의 소정 영역(A)에 진입, 이탈할 경우에 상기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하고, 해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신기를 구비하고, 기 설정된 착신 전화 번호가 등록된 단말기(30)가 송신기(20)를 구비한 유무선 전화기(10)의 소정 영역(A)에 진입하게 되면, 수신기에서 송신기(20)에서 송신한 검출신호(①)를 수신하게 되고, 수신기에서 송신기(20)로 응답신호(②)를 송신한다.
그러면, 송신기(20)에서 내장된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③)를 송신하고, 단말기(30)에서 그 전화번호를 수신하게 되면, 기 설정된 벨 또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통보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즉,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하게 되고, '아니오'를 선택하게 되면 기 설정된 착신 전화 번호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예'를 선택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단말기(30)에 기 설정된 착신 전화 번호를 내부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10)의소정 영역(A)을 벗어나 수신기에서 송신기(20)에서 송신한 검출신호(①)를 일정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 착신 전환 기능을 해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기 설정된 착신 전화 번호로 다시 전환 할 것인가?"와 같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착신 전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무선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할 때 기 설정된 착신 전화 번호를 삭제하고, 그 유무선 전화기(10)의 소정 영역(A)을 이탈했을 때 사용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자동으로 착신 전환 기능을 해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서 단말기의 착신 전환 기능의 등록 및 해제를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한 송신기(20) 및 수신기는 무선 근거리 통신수단, 예를 들어,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기를 구비한 유무선 전화기의 소정 영역(A) 안에 수신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진입했을 경우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하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소정 영역을 이탈했을 경우 착신 전화번호로 등록된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해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착신 전환하고자 하는 유무선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착신전환을 설정해야 하고, 착신 전환 해제 시에도 사용자가 수동으로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당 유무선 전화번호로의 착신전환을 자동 설정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량을 줄여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송신기를 구비한 유무선 전화기와 수신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위치한 소정의 영역(A)에 진입했을 때 그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등록한 후 그 유무선 전화기가 위치한 소정의 영역을 이탈한 경우 착신 전환 기능을 해제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송신기에서 검출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기에서 상기 검출신호를 받아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송신기에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그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착신 전화 번호로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기에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송신기에서 송신한 검출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착신 전환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전화번호가 그 단말기 내부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일치한 경우에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착신 전화 번호로 착신 전환 기능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KR1020020080841A 2002-12-17 2002-12-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KR20040054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841A KR20040054117A (ko) 2002-12-17 2002-12-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841A KR20040054117A (ko) 2002-12-17 2002-12-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117A true KR20040054117A (ko) 2004-06-25

Family

ID=3734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841A KR20040054117A (ko) 2002-12-17 2002-12-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4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701A (ko) * 2005-02-18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701A (ko) * 2005-02-18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07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обмена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US20060258335A1 (en) Mobile handset capable of transmitting preset voice message and related method thereof
KR940011236B1 (ko) 무선전화장치
KR20030093038A (ko)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JP3169935B2 (ja) 通話制限無線通信装置
KR200600566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5411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KR20030013627A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정보에 따른 이미지전송방법
KR1008509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투 넘버 서비스 방법
KR1004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100406252B1 (ko) 착신 기능 비활성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비활성화 방법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KR100265427B1 (ko) 자동수신 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셀룰러 휴대용전화기의 자동응답방법
JP2000032103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及びその着信拒否機能の設定方法
KR100566231B1 (ko) 교환시스템의 메모 기능 및 그 메모 기능을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KR100602277B1 (ko) 원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및해지 알림 방법
KR100430308B1 (ko)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별 착신 방법
KR2006002614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시간내에서의 선택적 수신 방법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KR100631798B1 (ko) 알림 등록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3858452B2 (ja) 通信端末装置
KR20050072982A (ko) 수신자 상황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10026170A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15

Effective date: 2006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