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058A -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058A
KR20040054058A KR1020020080642A KR20020080642A KR20040054058A KR 20040054058 A KR20040054058 A KR 20040054058A KR 1020020080642 A KR1020020080642 A KR 1020020080642A KR 20020080642 A KR20020080642 A KR 20020080642A KR 20040054058 A KR20040054058 A KR 20040054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oad
base station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overloa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552B1 (ko
Inventor
정철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55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04W16/08Load shed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과부하가 발생한 프로세서의 부담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과부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어떤 프로세서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제어 레벨을 결정하고 제어 레벨의 정도에 따라 하위 또는 상위 프로세서로 제어 레벨을 보내, 이러한 제어 레벨에 따라 발신 호 또는 착신 호가 각각 제어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기지국에는 트래픽 량을 반영한 서로 다른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ing overloa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과부하상태인 프로세서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에 따라 상위 및 하위 프로세서에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 과부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은 하나의 이동통신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에 다수의 기지국 시스템(BSS:Base Station Subsystem)이 접속되고, 기지국 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에 의해 다수의 기지국(BTS: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이 제어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시스템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감시하며, 호접속의 통신 경로를 연결하는 스위칭 기능의 이동통신 교환기(MSC, 10)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0)에 연결되어 인가받은 신호를 고주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수신된 신호를 다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0)에 인가하는 기지국 시스템(BSS, 50)과, 상기 기지국 시스템(50)의 정상 운용 상태 감시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 관리부(BSM:Base Station Manager, 60)와, 상기 기지국 시스템(50)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MS:Mobile Station, 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시스템(50)은 기지국 전체를 제어하고 호 처리(Call Process)을 수행하는 주처리 장치인 CCP(Call Control Processor, 22)가 포함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 관리부(60)와 연결되어 상기 기지국 시스템(50)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제어기(20)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20)와 연결되어 인가 받은 신호를 상향 변환하여 송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하향변환한 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20)로 다시 인가하는 등의 작용을 제어 및 관장하는 BSP(Base StationProcessor, 32)가 포함되는 기지국(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과부하 제어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 제어기의 CCP와 기지국의 BSP의 점유율을 바탕으로 과부하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 211). 즉, CCP와 BSP 각각의 부하를 2초 단위로 측정하여 4회 연속 목표 점유율 이상인 경우에는 과부하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S 211에서 과부하로 판단되면, CCP와 BSP의 점유율에 따라 분류된 제어 레벨들 중 하나를 결정한다(S 214).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부하 제어 테이블에는 CCP 및 BSP의 점유율에 따라 24단계로 제어 레벨을 분류하고, 각 제어 레벨에서의 착/발신 호에 대한 허용 또는 기각 정보를 백분율로 나타낸 정보들이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다.
상기 S 214에서 제어 레벨이 결정되면, 상기 과부하 제어 테이블에서 상기 제어 레벨에 상응하는 착/발신 호의 허용 및 기각율에 따라 과부하 제어를 수행한다(S 217).
예를 들어, 상기 S 214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이 -6인 경우, 상기 과부하 제어 테이블에서 제어 레벨 -6에 해당하는 발신 호의 허용률 48.2%과 기각율 51.8%에 따라 상위 프로세서로 호 시도되는 발신 호를 제한한다. 또한, 하위 시스템으로부터 호 시도되는 착신 호에 대해서는 허용율이 100%이므로 모두 수용한다.
CCP와 BSP의 각각의 과부하가 정상으로 해제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아직도 과부하 상태인 경우에는 S 214로 이동하여 반복적으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된다(S 220).
만일 제어 레벨이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12가 10회 연속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과부하가 해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방법은 기지국 제어기가 기지국이나 이동통신 교환기와의 연동없이 스스로 과부하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기지국 제어기가 직접 무수히 들어오는 착/발신 호 각각에 대하여 제어하는 것 자체가 과부하 상태인 기지국 제어기에 추가적인 부하를 주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한편, 기지국은 기지국이 설치된 지역의 트래픽(traffic) 량에 따라 1FA/Omni-12FA/6Sector까지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설치된다. 이러한 기지국은 주변 상황에 따라 처리해야 할 트래픽 량이 서로 다르다. 하지만, 종래의 과부하 제어 방법은 트래픽 량이 많은 기지국과 적은 기지국을 구분하지 않고, 기지국 제어기에서 일률적으로 발신 호를 제어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며 공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과부하가 발생한 프로세서 자체적으로 과부하를 제어함으로써 추가적인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지국에 트래픽 량을 반영한 서로 다른 과부하 제어 테이블을 구비함으로써, 과부하 제어가 보다 효율적이면서 공평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과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과부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과부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과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트래픽 양이 큰 기지국에 구비된 과부하 제어 테이블.
도 6은 트래픽 양이 작은 기지국에 구비된 과부하 제어 테이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기지국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동되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기지국 및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각각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는 각 기지국의 트래픽 상황을 반영한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이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의 프로세서에 과부하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점유율에 따라 제어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레벨을 이용하여 과부하 제어할 착/발신 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발신 호가 선택되는 경우, 하위 프로세서에 상기 제어 레벨을 보내 상기 발신 호에 대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착신 호가 선택되는 경우, 상위 프로세서에 상기 제어 레벨을 보내 상기 착신 호에 대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현재의 프로세서는 다수의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 중 하나에 구비된 프로세서이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는 각 기지국의 트래픽 상황을 반영한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제어기에 구비된 CCP에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에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과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 제어기에 구비된 CCP가 과부하인지를 판단한다(S 311). 즉, 즉, CCP와 BSP 각각의 부하를 2초 단위로 측정하여 4회 연속 목표 점유율 이상인 경우에는 과부하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S 311에서 과부하로 판단되면, CCP와 BSP의 점유율에 따라 분류된 제어 레벨들 중 하나를 결정한다(S 314). 이미 종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S 314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이 0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 317). 이는 제어 레벨에 따라 연동되는 프로세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 레벨이 0보다 작은 경우에는 기지국에만 상기 제어 레벨이 통보되는 반면에, 제어 레벨이 0보다 큰 경우에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교환기에도 상기 제어 레벨이 통보되도록 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레벨이 0보다 작은 경우에는 발신 호만 제어하면 되고, 착신 호는 100% 허용이 가능하므로 제어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 레벨이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 레벨로 보내 기지국에서 발신 호에 대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S 323).
반면에, 제어 레벨이 0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레벨은 기지국과 이동통신 교환기로 동시에 보내져 기지국에서 발신 호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착신호에 대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된다(S 320). 이때,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다수 연결된 기지국들은 각 기지국이 처리할 수 있는 트래릭 량을 반영한 서로 다른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구비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지국의 트래픽 양에 따라 각 기지국에 구비된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다르게 된다. 도 5는 트래픽 양이 큰 기지국에 구비된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고, 도 6은 트래픽 양이 작은 기지국에 구비된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과부하 제어 테이블에도 모두 24단계의 제어 레벨과 그에 따른 허용율과 기각율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314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L)이 -2인 경우, 상기 제어 레벨은 0보다 작게 되므로, 상기 제어 레벨(L) -2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접속된 모든 기지국으로 통보된다. 이때, 하나의 기지국(A)에는 트래픽 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도 5와 같은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구비되고, 다른 기지국(B)에는 트래픽 량이 상대적을 적어 도 6과 같은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구비된다고 하자. 물론,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에는 도 3과 같은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구비된 기지국도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 레벨(L) -2를 받은 도 5의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구비된 기지국(A)은 발신 호에 대해 모두 기각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어 레벨(L) -2를 받은 도 6의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구비된 기지국(B)은 발신 호에 대해 32.4%는 허용하고, 나머지 67.6%는 기각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동일한 제어 레벨을 받더라도, 각 기지국의 트래픽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비된 과부하 제어 테이블에 의해 발신 호에 대한 과부하 제어가 서로 다르게 수행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 레벨이 0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레벨은 기지국뿐 만 아니라 이동통신 교환기에도 보내져 각각에서 발신 호 또는 착신 호에 대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된다.
만일 제어 레벨이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12가 10회 연속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과부하가 해제되게 된다(S 327).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 제어기에 구비된 CCP에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 구비된 BSP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제어 레벨이 일정 레벨 이하인 경우 N/A를 이용하여 자신의 발신 호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제어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레벨을 상위 CCP가 구비된 기지국 제어기로 보내 BSP의 발신 호 및 CCP의 착신 호를 각각 제어한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기(MSC)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제어 레벨이 결정되고, 결정된 제어 레벨은 하위 CCP가 구비된 기지국 제어기로 보내져 CCP의 발신 호가 제어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 중 어느 하나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각각에 연결된 하위 또는 상위 프로세서로 제어 레벨이 보내 발신 호 및 착신 호가 일정 비율로 기각되어 과부하가 발생된 프로세서의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이와 연동된 상위 또는 하위 프로세서에 제어 레벨을 보내 미리 발신 호 또는 착신 호를 제어함으로써, 과부하가 발생된 프로세서의 추가적인 부담을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인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결정된 제어 레벨을 받은 복수의 기지국에 각 기지국의 트래픽 량을 반영한 서로 다른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구비되어, 기지국에서 동일한 제어 레벨을 받았다 하더라고, 서로 다른 과부하 제어 테이블에 의해 차등적으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됨으로써, 효율적이면서 공평한 과부하 제어 방법이 실현될 수 있다.

Claims (8)

  1. 다수의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통신 교환기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동되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기지국 및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각각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는 각 기지국의 트래픽 상황을 반영한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이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결정된 제어 레벨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5. 현재의 프로세서에 과부하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점유율에 따라 제어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레벨을 이용하여 과부하 제어할 착/발신 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발신 호가 선택되는 경우, 하위 프로세서에 상기 제어 레벨을 보내 상기 발신 호에 대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착신 호가 선택되는 경우, 상위 프로세서에 상기 제어 레벨을 보내 상기 착신 호에 대한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프로세서는 다수의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 중 하나에 구비된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에는 각 기지국의 트래픽 상황을 반영한 과부하 제어 테이블이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KR10-2002-0080642A 2002-12-17 2002-12-17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KR100525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642A KR100525552B1 (ko) 2002-12-17 2002-12-17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642A KR100525552B1 (ko) 2002-12-17 2002-12-17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058A true KR20040054058A (ko) 2004-06-25
KR100525552B1 KR100525552B1 (ko) 2005-10-31

Family

ID=3734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642A KR100525552B1 (ko) 2002-12-17 2002-12-17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5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552B1 (ko) 200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9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이동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
EP1135946B1 (en) Cell load control method and system
JP4109695B2 (ja) 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ルーティング手順
EP1060629B1 (en) Load balancing of ongoing calls between different base station controllers
US6405045B1 (en) Dynamic overload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B2328589A (en) Semi-soft handoff using multiple common frequencies
MXPA03006592A (es) Sistema y metodo para minimizar el hardware y maximizar la capacidad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inalambricas.
CN1233138A (zh) 无线电信网软越区切换期间优化正向链路功率电平的方法
CN101142766A (zh) 用于管理网络节点过载的方法和其系统
JPH10150686A (ja) トラヒック過負荷制御システム
US20080311924A1 (en) Method for Allocating Communication Resources and Radio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CN1276953A (zh) 基站网络中分配传输系统容量的方法
KR100318914B1 (ko) 이동교환시스템의 부하 분담방법
KR100525552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과부하 제어 방법
US6577866B1 (en) Method of co-operation between entities of a cellular mobile radio network during call handover
US20060046724A1 (en) Soft handoff management
GB2435150A (en) Load control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92390A (ko) 통신 시스템의 용량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10105921A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트래픽 채널할당방법
KR100400727B1 (ko) 통신 시스템의 과부하 처리 방법
EP1921884B1 (en) Cell load control method and system
KR20020034530A (ko) 호처리 프로세서의 부하 분산장치 및 그 방법
KR100372053B1 (ko) 시디엠에이 방식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 과부하제어방법
KR100210786B1 (ko) 개인 휴대 통신 교환기의 이동 착호 과부하 제어 방법
KR10074937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