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865A -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865A
KR20040052865A KR1020040033145A KR20040033145A KR20040052865A KR 20040052865 A KR20040052865 A KR 20040052865A KR 1020040033145 A KR1020040033145 A KR 1020040033145A KR 20040033145 A KR20040033145 A KR 20040033145A KR 20040052865 A KR20040052865 A KR 2004005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foot
user
physical therapy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907B1 (ko
Inventor
이상준
박태진
안덕현
Original Assignee
박태진
이상준
안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이상준, 안덕현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102004003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90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1Should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팔의 운동 속도, 운동 시간, 팔 운동의 정확성, 팔의 각도, 팔의 이동 거리, 운동중인 사용자의 전체 모습에 대한 3차원 형상등의 운동 상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하면서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어깨의 물리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는 팔의 운동 궤적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며, 벽면에 부착되는 패드와; 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패드가 부착되는 벽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닥에 위치시키는 발판과; 상기 패드와 발판의 각 센서의 정보를 분석,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Physical Therapy Equipment For Shoulder Exercise}
본 발명은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깨 질환자가 각 가정에서 스스로 어깨 관절운동을 함에 있어서 본인의 운동상태, 즉 팔의 운동 속도, 운동 시간, 팔 운동의 정확성, 팔의 각도, 팔이 이동한 거리, 운동중인 사용자의 전체 모습에 대한 3차원 영상등을 디스플레이로 확인하면서 보다정확한 자세로 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 줄 뿐만아니라 치료의 진행과정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어깨의 운동을 위한 물리치료 장치들은 물리 치료 및 재활 치료를 요하는 사용자가 단순히 장비를 사용하는 데에 그치고 사용자가 장치들을 자율적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정확한 자세로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 혹은 운동의 정도, 또는 치료의 진전 정도에 관해서 알기가 어려워 정확하고 효율적인 치료 및 평가가 곤란하여 치료의 진전이 상대적으로 더디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아니하면 경보음을 울리게 하여 정확한 자세로 물리치료에 임할 수 있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리치료 실행 동안 사용자가 본인의 운동 상태를 계속 확인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의 진행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자료를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주도록 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관한 기록을 병원에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자 메일로 송신하고, 의사가 이를 분석하여 내린 처방을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자 메일로 수신하여 원격 진료가 가능한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운동 물리치료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과 사용자간의 원격 진료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패드 11 : 센서
20 : 발판 30 : 제어부
40 : 디스플레이 50 : 병원용 컴퓨터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팔의 운동 궤적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며, 벽면에 부착되는 패드와; 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패드가 부착되는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바닥에 위치시키는 발판과; 상기 패드와 발판의 각 센서의 정보를 분석,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센서는 다수의 동심원상에 일정 간격으로 반복 배치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는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움직여야 할 궤적을 표시해 주는 다수의 램프가 더욱 부가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여야 할 곳을 표시해 주는 램프가 더욱 부가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판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발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받아, 상기 발의 위치가 제어부에서 지시한 발의 위치와 상이한 경우 경보음을 내는 부저가 더욱 부가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와 발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팔의 운동 속도, 운동 시간, 운동의 정확성, 팔의 각도, 팔이 이동한 거리, 운동중인 사용자의 전체 모습에 대한 3차원 형상등의 자가 훈련 정보를 연산하여 제어부에 내장된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하고, 상기 자가훈련의 이력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에 영상으로 표시해 주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관한 기록이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자 메일로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된 병원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송신되고, 상기 기록을 분석하여 내린 의사의 처방을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자 메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로 확인 가능하게 해주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에 의한 병원과 사용자간의 원격 진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는 패드(10), 발판(20), 제어부(30), 디스플레이(40)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10)는 벽면에 부착되며, 팔의 운동 궤적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후술할 제어부(30)에 보내주는 센서(11)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10)는 후술할 제어부(30)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움직여야 할 궤적을 표시해 주는 다수의 램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램프는 사용자가 상기 램프를 따라 팔 운동시 상기 움직여야 할 궤적을 벗어나는 정도를 상기 센서(11)가 더욱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11)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10)의 중앙을 중심점으로 하는 다수개의 각 동심원과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나오는 직선들과의 교차점마다 반복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나오는 직선들 중 인접한 직선간에 이루는 각은, 사용자의 운동을 더욱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 5°~ 10°정도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20)은 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패드(10)가 부착되는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바닥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상기 발판(20)은 상기 제어부(30)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여야 할 곳을 표시해 주는 램프가 더욱 부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판(20)의 상면에는 패드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위치의 발 모양 표시A(21)과 상기 패드(10)와 90°가 되는 측면을 바라보는 위치의 발 모양 표시B(22)가 형성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정면으로 팔을 뻗어 팔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 후술할 제어부(30)에 정면 운동의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30)가 그 신호를 발판에 보내어 상기 발 모양 표시A(21)의 램프가 켜지고, 사용자가 왼팔 또는 오른팔을 측면으로 뻗어 팔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 후술할 제어부(30)에 측면 운동의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30)가 그 신호를 발판(20)에 보내어 상기 발 모양 표시B(22)의 램프가 켜지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판(20)의 상면에는 정면으로 바라보는 위치의 발 모양 표시A(21)과 상기 패드(10)와 90°가 되는 측면을 바라보는 위치의 발 모양 표시B(22)뿐만 아니라, 상기 패드(10)와 45°가 되는 측면을 바라보는 위치의 발 모양 표시등 다양한 각도의 발 모양 표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30)에 상기 다양한 각도에서의 운동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발 모양 표시의 램프가 켜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30)는 부저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정면 또는 측면 운동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그 신호를 상기 발판(20)에 보내어 사용자가 위치하고 서야 할 발 모양 표시A(21) 또는 발 모양 표시B(22)의 램프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램프가 점등된 발 모양 표시A(21) 또는 발 모양 표시B(22)에 사용자가 발을 위치시켰을 때 발의 위치가 상기 발 모양 표시A(21) 또는 발 모양 표시B(22)에서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30)에 보내고 그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30)는 사용자에게 발의 위치가 틀렸음을 알려주는 경보음을 내도록 상기 부저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물론, 상기 정면 운동 및 측면 운동뿐만 아니라, 상기 다양한 각도에서의 운동에도 상기 제어부(30)의 경보 기능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발판(20)의 센서에 의해 입력된 발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패드(10)의 센서(11)에 의해 입력된 팔의 운동에 관한 정보를 연산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 즉 팔이 이동한 거리, 팔의 이동 시간, 팔의 운동 속도, 운동의 정확성, 팔의 각도, 운동중인 사용자의 전체 모습에 대한 3차원 형상등의 자가 훈련 정보를 상기 제어부(30)에 내장된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하고, 또한 이를 후술할 디스플레이(40)에 영상으로 표시해 주게 된다.
상기 운동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스템은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 관련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관한 기록이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자 메일로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된 병원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송신되고, 상기 기록을 분석하여 내린 의사의 처방을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자 메일로 수신하여 사용자가 이를 디스플레이(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병원과 사용자간에 원격 진료가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디스플레이(40)는 상기 제어부(30)에서 신호를 받아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운동중에 상기 정보를 보면서 정확한 동작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해주며, 또한 운동후에 상기 메모리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가 운동 기록을 영상으로 보며 물리치료의 진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고안에 따른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판에 제어부가 제시하는 발이 위치하여야 할 곳에 사용자가 발을 위치시키지 않을 경우 경보음을 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자세로 운동에 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의 운동 상태를 디스플레이에 영상으로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자세와 운동 상태를 확인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과정 동안 계속 정확한 자세와 지시된 운동을 지속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물리치료가 가능하며 치료의 진척이 더욱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제어부에 매번 기록됨으로 인하여 물리치료의 진척 상황을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치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관한 기록이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자 메일로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된 병원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송신되고, 상기 기록을 분석하여 내린 의사의 처방을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자 메일로 수신하여 원격 진료가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팔의 운동 궤적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며, 벽면에 부착되는 패드와;
    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패드가 부착되는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바닥에 위치시키는 발판과;
    상기 패드와 발판의 각 센서의 정보를 분석,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다수의 동심원상에 일정 간격으로 반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움직여야 할 궤적을 표시해 주는 다수의 램프가 더욱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여야 할 곳을 표시해 주는 램프가 더욱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판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발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받아, 상기 발의 위치가 제어부에서 지시한 발의 위치와 상이한 경우 경보음을 내는 부저가 더욱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와 발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팔의 운동 속도, 운동 시간, 운동의 정확성, 팔의 각도, 팔이 이동한 거리, 운동중인 사용자의 전체 모습에 대한 3차원 형상등의 자가 훈련 정보를 연산하여 제어부에 내장된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하고, 이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에 영상으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관한 기록이 전자 메일로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된 병원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송신되고, 상기 기록을 분석하여 내린 의사의 처방을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자 메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KR1020040033145A 2004-05-11 2004-05-11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KR100623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145A KR100623907B1 (ko) 2004-05-11 2004-05-11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145A KR100623907B1 (ko) 2004-05-11 2004-05-11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865A true KR20040052865A (ko) 2004-06-23
KR100623907B1 KR100623907B1 (ko) 2006-09-18

Family

ID=3734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145A KR100623907B1 (ko) 2004-05-11 2004-05-11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8394A1 (fr) * 2006-04-17 2007-10-25 Bei Jia Long Technology (Shenzhen) Co., Ltd Machine de culture physiqu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464B1 (ko) 2009-07-14 2010-07-22 이성호 수기요법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982A (ja) * 1993-09-02 1995-03-14 Sanyo Electric Co Ltd 訓練用装置
KR20010092221A (ko) * 2000-03-21 2001-10-24 김성헌 원격 진료 기능을 갖는 헬스기구
KR20020078697A (ko) * 2001-04-09 2002-10-19 김지형 영상증폭 장치의 광학적 지시자
JP2003319920A (ja) 2002-04-30 2003-11-11 Og Giken Co Ltd 関節運動機能評価装置及び評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8394A1 (fr) * 2006-04-17 2007-10-25 Bei Jia Long Technology (Shenzhen) Co., Ltd Machine de culture phys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907B1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624B2 (en) Embedded motion sensing technology for integration within commercial ultrasound probes
US10733866B2 (en) Walker-assist device
US20170136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motion training
CN103889325B (zh) 用于监测用户的设备和用于校准该设备的方法
WO2013059227A1 (en) Interactive physical therapy
US20080281633A1 (en) Periodic evaluation and telerehab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1228752B (zh) 用于自动配置传感器的方法、电子设备和记录介质
JP2015519596A (ja) 自動インテリジェント指導システム(aims)
US20140255890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physical therapy system
KR101578200B1 (ko) 균형 능력의 향상 및 정량적 평가를 위한 기능성 게임 시스템
US20080248871A1 (en) Interface device
CN104983426A (zh) 虚拟现实床旁康复训练系统及方法
KR20170010157A (ko) 인터랙티브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운동동작 유도 방법 및 그 장치
WO20172124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ofitting rehabilitation apparatuses
KR20210106634A (ko) 우울증 및 불면증 해소를 위한 vr기반 인지 훈련 시스템
JP6576218B2 (ja) 作業療法支援装置
KR100623907B1 (ko) 어깨운동 물리치료 장치
KR20220049271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재활운동관리 시스템
JP2013533999A (ja) オプションを提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9024579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7030947A1 (en) Mapping motion sensors to standard input devices
CN109152953A (zh) 将对象的存在通信给计算机的装置和方法
CN113317779A (zh) 体态分析智能穿戴设备及系统
EP3653120A1 (en) A rehabilitation device and a method of monitoring hand positions
TWI559144B (zh) Scale - guided limb rehabili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