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839A -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 Google Patents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839A
KR20040052839A KR1020040032555A KR20040032555A KR20040052839A KR 20040052839 A KR20040052839 A KR 20040052839A KR 1020040032555 A KR1020040032555 A KR 1020040032555A KR 20040032555 A KR20040032555 A KR 20040032555A KR 20040052839 A KR20040052839 A KR 2004005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healing
light source
power
light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임원봉
최홍란
김옥준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102004003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2839A/ko
Publication of KR2004005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8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6Egg-turning appliances for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2Heating arrangements
    • A01K41/023Device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4Controlling humidity in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5/00Other aviculture appliances, e.g. devices for determining whether a bird is about to lay
    • A01K45/007Injecting or otherwise treating hatching eg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3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zoolo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Zo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출력 광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치유 촉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다이오드와 엘이디(LED)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600nm에서 890nm까지의 선택적 파장과 1~500mW 급의 저출력의 세기의 선택적 조절을 통한 상처 난 조직의 재생 촉진 효과를 갖는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LED)의 특정 파장과 출력을 선택하여 질환 이환 부위 연조직(Soft tissue) 재생을 촉진하여 외과적 수술 및 화상 치료 시 주변 연조직(Soft tissue)이 빠르게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현재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로서 엔디 야그 레이저 기기나 이산화탄소 레이저 기기처럼 조직 절개에 사용되는 레이저 기기가 아닌 저출력 광조사로서 광 생체 자극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광화학적 생체 자극을 위한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LED)가 내장된 광원 출력부(1)와 조사광의 순간출력과 조사시간을 설정해 주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사광을 제어하여 전원의 공급과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4),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부(3),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 그리고 선택 스위치로 구성된 기능선택부(5)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Accelerator for wound healing using low level light irradiation equipments}
본 발명은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치유 촉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와 엘이디(LED)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600nm에서 890nm까지의 선택적 파장과 1~500mW 급의 저출력의 세기의 선택적 조절을 통한 상처치유 촉진을 위한 생체 자극 효과를 갖는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치유 촉진기에 관한 것이다.
저출력 광 조사를 통한 상처치유 촉진을 위한 생체 자극 효과는 세포나 생체 조직에 빛이 조사되면 특정요소의 에너지 준위가 높아지고 세포나 조직 단위가 활성화 되어 세포분열 촉진, 조직 재생 촉진, 조직 대사 촉진 등의 생리적 결과를 갖는다.
이러한 여러 생리적 요인 중 안토니오 엘 비(Antonio L.B. Pinheiro)의 연구에 따르면 저출력의 레이저 치료는 항염증 효과와 통증감소, 세포 성장 등의 효과를 갖으며 특히 이러한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고 밝히고 있다. 그중에서 특히 상처 치유에 관한 효과는 전체 광조사량 뿐만 아니라 조사 시간과 조사 모드(CW or PLS)에 따라 차이를 갖으며, 이를 위한 연구 중 욕창성 조직 괴사의 치료에 904nm, 8mW급의 저출력 레이저의 광조사를 통하여 조직의 치유를 가속화시켰다고 보고 하였다. (C. Lucas1, The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LLLT) on Stage III Decubitus Ulcers (Pressure Sores); a Prospective Randomised Single Blind, Multicentre Pilot Study,Lasers Med Sci(14)94-100 (2000))
이러한 상처난 조직의 재생은 저출력의 레이저 치료가 정상 세포에서 보다 일정 정도의 손상된 세포에서 이러한 유도 작용을 갖는다고 연구되어지고 있다.(Pinheiro, A.L.B, Nascimento, S.C, Vieira, .A. L.B et al.(2001), Effects of LLLT on malignant cells; Study in Vitro. Rechman, P., Fried, D, Haning, P. Lasers in Dentistry Ⅶ, Billingham : SPIE.56-60)
또한 몇몇 연구에서는 저출력의 레이저 조사가 손상된 연조직의 주변에 미세혈관을 형성 촉진과 혈류 속도의 변화를 매개하여 손상된 조직의 회복을 가속화 하였다고 보고하였다.(Trelles, M.A., Mayayo, E.. Bone fracture consolidates faster with low-power laser. Lasers Surg. Med. 7, 36-45(1987), J. Kubota, Effects of Diode Laser Therapy on Blood Flow in Axial Pattern Flaps in the Rat Model,Lasers Med Sci,(17) 146-153(2002))
기존의 빛을 이용한 의료 공학용 치료기는 레이저의 열 발생 작용을 이용하여 조직의 세밀한 절개 및 수술용 기기로서 이용되어 왔으며, 피시술자에게 비접촉식으로 두려움이 적게 유발되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술의 원리상 고 에너지를 국부위치에 조사함으로 조직의 변형 및 경화가 진행되어 부작용이 야기 되고, 기기의 특성상 고가의 대형화 장치가 요구되며, 시술시 전문가에 의한 주의가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외과 수술 및 화상 치유시 주변 연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되는 약품은 상처주위의 병원균의 오염이나 염증의 발생을 막기 위한 항생제 및 소염제의 사용에 머무르고 있어 환자의 조직 재생은 순전히 환자 자신의 자연 치유력에 의존하였고, 환자 특성에 따라 조직 재생 기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릴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최근 엘엘엘티/엘이디티의 저출력 광조사를 이용한 생체 광화학 반응의 연구 중 광 조사에 의한 생체자극 효과에 대한 학계의 보고와 문헌에서는 특정 파장 및 세기의 광 조사에 의해 세포내 광화학 반응이 발생하여 세포의 대사 시스템을 자극하고 이는 상처 치유 효과를 갖는다고 보고 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광 의료기기를 이용한 상처치유(wound healing)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특히 광화학 반응의 생체 대사기작 규명에 많은 연구가 수행중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Z. Landau, Topical hyperbaric oxygen and low energy laser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s, Arch Orthop Trauma Surg(117) 156-158 (1998), Tony Zeinoun, Myofibroblasts in Healing Laser Excision Wounds, 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 (28) 74-79 (2001), Luis A. Santana-Blank, Short-Term Bioeffects of an Infrared Pulsed Laser Device on Burned Rat Skin Monitored by Transverse Relaxation Times (NMR), 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 (27) 411-419 (2000), Mark D. Walker, Effect of Low-Intensity Laser Irradiation (660nm) on a Radiation-Impaired Wound-Healing Model in Murine Skin,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26) 41-47 (2000)등 다수의 학회지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인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생산되는 의료용 레이저에 사용되는 헬륨-네온 레이저기기나 이산화탄소 레이저 기기보다 훨씬 작고 사용이 용이하며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다이오드와 엘이디(LED)를 복합적으로 이용하고, 600nm에서 890nm까지의 선택적 파장과 1~500mW 급의 저출력의 세기의 조절을 통하여 상처 치유 촉진을 위한 생체 자극 효과를 발생시키는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치유 촉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광화학적 생체 자극을 위한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LED)가 내장된 광원부(1)를 통하여 저출력의 광원을 환자의 환부에 조사하여 빛이 상처 조직에 생체 자극을 발생시키고, 이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사광을 제어하는 제어부(2)와 광원부의 현재 파장과 세기, 조사 시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선택 표시부(4)가 있으며 또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 그리고 위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부(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조사광의 선택적 파장과 세기 및 조사 시간을 설정해 주면 원하는 환부의 상처 난 연조직의 성장을 촉진하여 치료에 선택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생체 자극 효과를 파장과 세기 및 조사 시간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발명의 정면도
도2는 발명의 제어장치 정면 부분 확대도
도3은 발명의 시스템 블록도
도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서의 초기 상처 부위
도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장면
도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서의 실험 후 상처 부위의 육안 사진
도7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서의 실험 후 상처 부위의 조직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원부 1a: 광원소자 레이어
1b: 엘이디(LED)또는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2 : 제어부 2a: 제어장치 본체
2b: 제어장치 본체 높이 고정용 손잡이
3: 기능 선택부 3a: 전원 스위치
4 : 선택 표시부
5 : 전원부 5a : 전원 플러그
6 : 회전 및 각도 조절자 7 : 높이 조절용 이음새
8,9 : 각도 조절자 10 : 받침대
11 : 이동용 바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출력 광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 정면 부분 확대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시스템 블럭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광화학적 생체 자극을 위한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LED)가 내장된 광원부(1)를 통하여 저출력의 광원을 환자의 상처난 환부에 조사하여 생체 자극을 발생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사광을 제어하는 제어부(2)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부(3), 광원부의 현재 파장과 세기, 조사 시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선택 표시부(4),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로 구성된다.
이에 광화학적 생체 자극을 위한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LED)가 내장된 광원부(1)의 경우, 600nm에서 890nm까지의 선택적 파장과 1~500mW 급의 저출력의 세기를 가진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엘이디(LED)(1b)를 광원소자 레이어(1a)에 배열하여 저출력 광이 발생하게 한다.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LED)의 구성은 조직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게 한다. 예를 들어 국소적 치료에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이용을 통하여 세밀한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광범위의 환부 치료를 요할 때에는 엘이디(LED) 광원을 이용하여 넓은 조직에 충분히 광원이 공급되어 조직세포가 골고루 생체 자극이 되게 한다. 엘이디(LED) 광원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저 출력이고 발산성이 있으며 레이저에 비하여 저 에너지로서 조직의 손상 염려가 적다. 따라서 엘이디(LED)의 이용은 레이저 보다 자극이 덜한 안전한 생체 자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2)에서는 제어장치 본체(2a)내에 내장하여 전원 공급부의 전원 분배를 제어하고 기능 선택부(3)의 동작 제어에 의해 조절되는 전원의 단속, 광원 출력부의 파장 선택, 광원 출력부의 세기 조절, 광원 출력부의 조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내장하여 상처 치유 촉진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제어장치 본체(2a)는 제어장치 높이 고정용 손잡이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촉진기의 동작은 기능 선택부(3)을 통하여 제어부(2)에서 전원과 기능 및 광원부(1)의 동작을 제어하며 전체 전원의 차단용 스위치(3a)와 기능 선택부의 스위치에 의해 시술자가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이에 상처치유 촉진기의 현재 상태를 선택 표시부(4)를 통하여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발명에 따른 치료기의 동작은 AC 전원의 전원 플러그(5a)를 통한 전원부(5)로의 공급에 의해 동작한다.
또한 이러한 치료 효과를 위한 광원부(1)가 부착된 광원 소자 레이어의 환자에의 원할한 접근을 위하여 회전 및 각도 조절자(6)와 높이 조절용 이음새(7), 그리고 각도 조절자(8,9), 받침대(10)와 이동용 바퀴(11)에 의해 환부에 접근 시킨다.
도 2에서는 발명의 제어장치 정면부분 확대도를 나타내었다.
기능선택부(3)는 치료하고자 하는 목적의 환부 및 질환 이환 부위에 가장 적합한 파장이 광원 출력부에서 공급 되도록 600nm에서 890nm 사이의 파장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과 설정된 파장의 세기가 1mW에서 500mW사이의 세기를 가진 광이 발생하도록 조절하고, 광원 출력부의 동작시간을 최대 60분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작 환부의 위치를 그림으로 쉽게 확인하여 선택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처 치유 촉진기의 기능 선택에 따라 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선택 표시부(4)에서 한눈에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기기의 전원상태에 따른 동작, 대기, 정지 상태를 구분하고, 선택된 파장, 세기, 시간, 환부가 및 환자의 이름과 번호가 상태 표시창을 통해 나타나게 한다.
<발명의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를 아래의 간이 임상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처 치유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생후 6주째의 백서의 양쪽 귀에 러버댐 펀치를 이용하여 지름 mm의 상처를 가하고, 각각 대조구와 실험구로 나누어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구에서 주 1회 1시간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실험을 시행 하였다.
실험 개시 2 주후 대조구와 실험구에서 각각 양쪽 귀를 절개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처 부위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각각의 대조구와 실험구를 Control과 Irradiation으로 표기 하였고, 대조구인 Control에서는 에서는 결손 부위가 관찰되는 반면 실험구인 Irradiation에서는 결손부의 수복이 관찰되었다.
도7에서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서의 실험 후 상처 부위의 조직 사진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대조구와 실험구를 Control과 Irradiation으로 표기 하였고,앞서의 절개한 양쪽 귀를 각각 수직 방향으로 절단 하여 각각의 단면을 왼쪽은 헤마톡실린, 에오신 염색법(H&E Stain)으로 오른 쪽은 트라이크롬 염색법(Trichrom Stain)으로 염색하여 조직을 관찰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인 Control 에서는 중앙 부위의 단절이 관찰되는 반면 실험군인 Irradiation에서는 연속선상으로 수복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험군인 Irradiation의 연골은 아직 회복이 되지 않음을 보여 준다. 대조군은 양쪽 말단 부위의 세포의 밀집이 관찰되는 반면 실험군은 전반적으로 세포 밀집대가 관찰되며, 여러 작은 혈관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 즉 육아조직의 증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섬유아세포가 분비해 내는 콜라겐을 관찰하기 위해 트라이크롬 염색을 시행 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훨씬 많은 양의 콜라겐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저출력 광원을 이용한 상처치유 촉진기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LED)의 특정 파장과 출력을 선택하여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의 상처난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여 외과 수술 및 화상의 치료 시 주변 연조직(Soft tissue)이 빠르게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현재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로서 엔디 야그 레이저 기기나 이산화탄소 레이저 기기처럼 조직 절개에 사용되는 레이저 기기가 아닌 저출력 광조사로서 광 생체 자극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본 발명은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a)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엘이디(LED)(1b)다수를 광원소자 레이어(1a)에 위치시켜 환부에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1)
    b) 파장과 세기 및 시간과 환부의 선택적 이용을 위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
    c) 상기 제어부의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을 하기 위한 제어장치 본체(2a)에 부착된 기능 선택부(3)
    d) 상기 제어부의 기능 표시를 위한 선택 표시부(4)
    e)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5)
    로 구성된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는 엘이디(LED) 또는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1b)다수를 광원소자 레이어(1b)에 위치시켜 시술자의 선택에 의해 600nm에서 890nm까지의 선택적 파장과 1~500mW 급의 저출력의 세기의 선택적 조절을 통한 광 조사를 통해 환자의 환부 조직에 빛이 조사되어 상처난 조직에 생체 활성을 일으켜 연조직의 재생이 가속화되도록 저출력 광 조사 장치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는 조사광의 파장과 세기 및 처리 시간과 환부를 설정하여 시술자의 선택에 따른 기능 선택부(3)의 선택에 따라 특정 파장과 특정 세기 및 처리 시간과 환부에 따라 조사광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KR1020040032555A 2004-05-10 2004-05-10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KR20040052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55A KR20040052839A (ko) 2004-05-10 2004-05-10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55A KR20040052839A (ko) 2004-05-10 2004-05-10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877U Division KR200332739Y1 (ko) 2003-08-01 2003-08-01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839A true KR20040052839A (ko) 2004-06-23

Family

ID=3743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555A KR20040052839A (ko) 2004-05-10 2004-05-10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28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1075A3 (en) * 2008-03-07 2009-11-05 Frank Pellegrini Ultra bright led induced tattoo remov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1075A3 (en) * 2008-03-07 2009-11-05 Frank Pellegrini Ultra bright led induced tattoo remov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533B2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mammalian tissues
US201602208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kin treatment
US8366756B2 (en) Low level laser therapy device with open bore
KR100971358B1 (ko) 침습형 이중 파장 레이저 침
MXPA01004154A (es) Metodo y aparato para tratamiento terapeutico con laser.
KR101845073B1 (ko) 광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050015121A1 (en) Light wand for healing tissue
JP2002537940A (ja) パルス光を利用した皮膚の皺の低減
US20120078328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biological cellular structure with electromagnetic wave energy and electromagnetic field energy sources
US20090132012A1 (en) Method for pretreating patient before surgery
Chagra et al. Gingival melanin depigmentation by 808 nm diode laser: report of a case
KR200332739Y1 (ko)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KR20040052839A (ko)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기
GB2479029A (en) Light treatment device with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ement
KR200405265Y1 (ko) Led를 이용한 의료용 광 조사 장치
Friedmann et al. Localized cutaneous argyria from a nasal piercing successfully treated with a picosecond 755-nm Q-switched alexandrite laser
KR200330548Y1 (ko)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골 조직 재생 촉진기
CN108543231B (zh) 一种可降解的多光谱发光植入物
RU2539535C1 (ru) Матричный лазерный излучатель для физ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KR20040028813A (ko) 저출력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한 골 조직 재생 촉진기
KR20100092077A (ko) 의학 치료용 멀티 레이저 장치
Merigo et al. Auto‐administered photobiomodulation on diabetic leg ulcers treatment: a new way to manage it?
KR101769392B1 (ko) 파장형 led조사기구
KR20160039928A (ko) 레이저 탈모 치료기
Minaev Laser apparatus for surgery and force therapy based on high-power semiconductor and fibre la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