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001A -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001A
KR20040051001A KR1020020078819A KR20020078819A KR20040051001A KR 20040051001 A KR20040051001 A KR 20040051001A KR 1020020078819 A KR1020020078819 A KR 1020020078819A KR 20020078819 A KR20020078819 A KR 20020078819A KR 20040051001 A KR20040051001 A KR 20040051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gb
germanium
biotite
germanium biot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권
Original Assignee
(주)서봉바이오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봉바이오베스텍 filed Critical (주)서봉바이오베스텍
Priority to KR102002007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1001A/ko
Priority to TW092101810A priority patent/TW200412857A/zh
Publication of KR2004005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축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제조사료에, 항생제 대신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배합함으로써, 다량의 항생제를 배합하였을 때와 같은 우수한 성장률과 면역력을 갖는 가축을 생산하면서도, 가축과 그 육제품을 섭취한 인체에 해를 끼치는 항생제의 사용을 전부/일부를 배제시켜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 육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축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옥수수, 대두박, 당밀, 소금,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를 포함하는 기초사료에, 36ppm 의 게르마늄과 흑운모, 백운모, 장석, 전기석, 저콘, 석류석, 인회석, 불투명광물을 함유하며, 5∼20 ㎛의 원적외선 파장 범위에서 0.93%의 방사율과 4.31×102W/㎡·㎛의 방사에너지를 나타내는 게르마늄 흑운모를 0.1%∼3.0%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Feed Composition of Growing Livestock for Replacing Antibiotics}
본 발명은 가축 사육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 고기를 생산함은 물론, 분뇨에 의한 환경오염 원인을 저감시켜 소화율 개선과 살모넬라균 및 식중독균 발생억제력을 제공하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에 따른 국민 식생활의 서구화 경향으로 인하여 국민들의 축산물 섭취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동물성 지방의 섭취로 인한 축산식품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동물성 지방의 섭취는 순환기계 질병중 하나인 동맥경화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 지적되고 있으며, 특히 콜레스테롤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최근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비만과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고 보다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목적으로 여러 가지 건강식품들이 개발되어 상용적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축산가에서는 사료에 한약재나 항균제 등 다양한 첨가물을 투입하여 건강식 육제품을 생산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료에 투입된 항생제는 2∼3 달이 지나야 완전히 소화 배출되는데, 이러한 휴약기간 전에 출하 식용될 경우 가축내 잔여 항생제로 인하여 그 육제품을 섭취한 인체의 면역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세균에서 내성을 함유한 유전물질인 플라스미드의 접합이라는 전달에 의해 다른 세균으로 전이될 수 있으며, 이는 살모넬라균과 식중독균 등의 발생을 유발하는등 보건 위생에 매우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항생제 내성 세균의 증가는 인체에 전이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최근에는 육제품 내의 항생제 잔류와 함께 이러한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항생제 대체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항생제 대체물질로서 가축의 체내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카오리나이트(kaolinite), 제올라이트(zeolite), 벤토나이트(bent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등의 규산염(silicate) 점토광물이 가지는 고유의 성질을 이용하여 일반 농업, 수산, 환경정화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축산업에서도 가축의 발육촉진, 소화율 및 사료효율 개선, 축분의 수분조절 및 악취제거 등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그 중에서도 제올라이트의 첨가는 돼지와 닭의 근육과 지방 특성에 유리한 영향을 준다는 보고도 있다(Pond 등, 1988; Hagedorn 등, 1990; Kovar 등 1990).
현재까지의 광물질 사료 첨가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를 보면, Son 과 Park(1997)은 육계사료내 0.3% 맥반석 첨가가 배설물의 수분 함량 감소 및 사료 영양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Kwon(1999)은 육성돈에 있어서 원적외선방사물질을 첨가함에 따라 증체율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Yang(1999)은 적갈색을 갖는 다공성 화산쇄설물인 스코리아(scoria)를 육성·비육돈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도체등급에 대한 A등급의 출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음을 보고하였다.
참고적으로 흑운모 편마암은 다공질의 구조를 가지며 회색의 바탕에 흑색의 반점이 박혀있는 형상을 지닌다. 구체적인 구성 성분을 보면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12O3), 산화철(Fe2O3), 산화칼슘(Ca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티타늄(TiO2), 오산화인(P2O5), 산화칼륨(K2O), 산화나트륨(Na2O), 삼산화망간(MnO3) 등과 같은 산화물로 이루어지고 93% 정도의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을 갖는다. 이와 함께 냄새를 흡착하고, 이온 교환에 의해 물을 정화하며, 실내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지니며, 특히 체내에 유해한 카드뮴, 수은, 납 등의 유해한 중금속을 이온 조정 작용으로 흡착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해독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게르마늄은 회백색의 반금속원소로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면역력 강화, 인터페론 생성·자극으로 암세포를 방어하는 기능을 하며, 독성물질,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체나 가축에 해로운 가스에 대한 탈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각종 건축용 자재의 이용뿐만 아니라 돈사내의 암모니아 가스의 흡착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기초사료에, 분말상태로 분쇄된 소정량의 게르마늄 흑운모를 배합함으로써, 급여시 혈청내 면역증진 및 콜레스트롤 감소효과를 가져와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 육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생제 내성 세균의 발생 억제를 통해 면역력을 크게 증가시켜 설사로 인한 폐사율 감소와 함께 암모니아가스로 인한 호흡기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축산사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산 분뇨에 의한 환경오염 원인을 저감시켜 소화율을 현저히 개선하며, 사료효율의 증가와 육질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축산사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르마늄 흑운모의 원적외선 방사율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르마늄 흑운모의 방사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축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옥수수, 대두박, 당밀, 소금,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를 포함하는 기초사료에, 36ppm 의 게르마늄과 흑운모, 백운모, 장석, 전기석, 저콘, 석류석, 인회석,불투명광물을 함유하며, 5∼20 ㎛의 원적외선 파장 범위에서 0.93%의 방사율과 4.31×102W/㎡·㎛의 방사에너지를 나타내는 게르마늄 흑운모를 0.1%∼3.0%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는 100∼350메쉬 입도 범위로 분쇄된 게르마늄 흑운모 석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통상의 가축사료로 사용되어 가축에게 게르마늄 흑운모를 투여함으로써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어 청정 육제품을 생산하여 국민 건강을 지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는, 36ppm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는 게르마늄 흑운모를, 가축의 성장상태에 따라 해당 가축사료에 일정비율로 배합시킴으로써, 가축사료에 배합되는 항생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된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는, 게르마늄, 흑운모, 백운모, 석영, 장석, 전기석, 저콘, 석류석, 인회석, 불투명광물 등이 포함된 것으로서, 여기에는 미량의 칼슘과 마그네슘, 요오드, 코발트, 셀렌, 바나듐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면역력 강화, 인터페론 생성·자극으로 암세포를 방어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그 밖에 항균, 방균, 항곰팡이, 유해가스 흡착분해작용을 함으로써 독성물질과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분뇨에서 발생되는 질소 성분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한편, 인 성분의 소화율을 증가시켜 그 배출량을 감소시킴으로서 환경오염을 예방하게 되며, 살모넬라균 등 식중독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50℃의 실온에서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게르마늄 흑운모는 5∼20 ㎛의 원적외선 파장 범위에서 0.93%의 방사율과 4.31×102W/㎡·㎛ 의 방사에너지를 나타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파장에 따른 방사 에너지에 있어서 게르마늄 흑운모의 방사 에너지(실선)가 생체의 방사에너지와 매우 유사한 분포도를 갖음으로써, 게르마늄 흑운모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파장이 가축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소, 돼지 닭 등 가축에서의 흡수가 매우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가축사료에 배합되는 게르마늄 흑운모는, 200 메쉬의 입도로 분쇄된 석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한 100∼350메쉬 입도 범위로 분쇄된 게르마늄 흑운모 석분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는 100 메쉬이하로 큰 게르마늄 흑운모의 이용시에는, 큰 입자의 게르마늄 흑운모가 완전히 소화되지 않아 미네랄 흡착력이 떨어져 사료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350 메쉬 이상 작은 게르마늄 흑운모의 이용시에는, 게르마늄 흑운모를 미세한 입자로 분쇄하기 위한 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게르마늄 흑운모 자체의 분자구조 및 물성이 변하게 되어 미네랄의 손실을 초래하고 게르마늄 흑운모의 효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 대신에 보조(단미)사료로서 맥반석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그 효능이 상기 36ppm의 게르마늄을 함유한 게르마늄 흑운모에 미치지 못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게르마늄 흑운모가 가축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시킬 뿐만 아니라, 항균, 방균, 항곰팡이, 유해가스 흡착분해작용을 함으로써 독성물질과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기 작용하며, 더불어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에 함유된 게르마늄이 유해가스 중화작용 및 음이온 방출작용을 함으로써 별도의 항생제 투입없이도, 가축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켜 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육되는 가축들은 많은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백신을 투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백신으로 인해 성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축산가들에게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온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게르마늄 흑운모를 첨가하면 면역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질병에 걸릴 빈도수가 감소되어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게르마늄 흑운모 자체의 천연항균 작용에 의하여 가축의 장기내 미생물의 균형을 유지하고 중금속을 흡착하고 독소를 제거하기 때문에 인위적인 항생제 및 소염제 등의 사용을 소량으로 제한하여도 가축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가축을 섭취한 인체에도 유해물질의 농축현상을 유발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우량한 가축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1에서는, 육성돈의 배합사료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먼저, 3원 교잡종(Duroc×Yorkshire×Landrace) 육성돈 54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32.47±090㎏ 이었다. 사양시험은 단국대학교 부설 시험농장에서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표 1과 같이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에, 항생제 무첨가 구, 항생제를 첨가한 구, 게르마늄 흑운모를 각각 0.1%, 0.3%, 0.6%, 0.8% 첨가한 구 등, 6개구로 처리하여 처리당 3반복, 반복당 3마리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는 36ppm의 게르마늄이 함유된 것이다.
성 분 함 량 (w%)
옥 수 수 (CP 48%) 66.23
대 두 박 26.07
우 지 3
석 회 석 0.52
인 산 칼 슘 1.16
당 밀 2.5
소 금 0.25
비타민 프리믹스 0.12
미네랄 프리믹스 0.10
산화방지제(Antioxidant) 0.05
일반적인 사료의 옥수수와 소맥은 에너지 공급원이고 콩에서 기름을 뺀 대두박은 단백질 공급원이다. 우지는 가축의 지방에서 추출한 기름으로 에너지를 보충해주는 원료이며 인산칼슘제와 석회석은 뼈를 구성하는 칼슘과 인을 공급하는 원료이다. 비타민 및 미네랄 프리믹스의 구성물은 소량의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리보프라빈, 나이아신, 망간, 철 아연, 칼슘, 구리, 코발트, 세레니륨 등으로 조성된다.
또한, 상기 기초사료에는 NRC(1998) 사양표준을 기초로 하여 3,380㎉ ME/㎏, 18.00% CP, 0.96% 라이신(lysine), 0.70% 칼슘(Ca), 0.60% 인(P)을 함유토록 하였다. 시험사료는 가루사료의 형태로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체중 및 사료섭취량은 시험 개시시와 종료시에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사료효율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영양소 소화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종료 7일전에 표시물로서 산화크롬(Cr2O3)을 0.2% 첨가하였다. 크롬사료 급여 4일후 분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또한, 화학분석 및 통계처리를 위하여, 사료의 일반성분과 표시물로 혼합된 Cr은 AOAC(1994)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SAS(1988)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처리하여 평균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35일간 시험사료를 급여한 육성돈에 대한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사료효율은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NC(Negative Control)는 무항생제 첨가구, PC(Positive Control)는 항생제 첨가구, WGB(Wangam Germanium Biotite)는 게르마늄흑운모 첨가구를 의미한다.
항 목 NC PC WGB 0.1 WGB 0.3 WGB 0.6 WGB 0.8
일당증체량 (g) 385 451 398 438 431 412
일당사료섭취량 (g) 1191 1371 1213 1318 1298 1264
사료효율 0.323 0.329 0.328 0.332 0.332 0.326
평균 초기체중 32.47±090㎏의 육성돈 54두를 0-35일간 시험한 후, 일당증체량에 있어 무첨가구(NC)와 비교하였을 때, PC 구가 17%, WGB 0.3 첨가구가 14%, WGB 0.6 첨가구가 12%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이들 PC구와 WGB 0.3 및 WGB 0.6 첨가구간에는 일당증체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WGB 0.1 첨가구와 WGB 0.8 첨가구에서는 각각 3%와 7%로 저조한 성장률을 보였다.
그리고, 일당 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PC구가 가장 높았으며, WGB 0.3과 WGB0.6 첨가구가 상기 PC구와 비슷한 일당 사료섭취량을 보인 반면에, WGB 0.1과 WGB 0.8 첨가구에서는 상기 PC구에 비해 낮은 사료섭취량을 보였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NC 구, PC 구, WGB 0.1, WGB 0.3 WGB 0.6 WGB 0.8 첨가구 모두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기초사료에, 항생제 대신 게르마늄 흑운모(WGB)를 0.3∼0.6% 혼합시키는 경우, 게르마늄 흑운모가 방출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이를 섭취한 육성돈의 면역력이 강화됨으로써, 항생제를 투여하였을 때와 같이 육성돈의 성장율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건물 소화율과 질소 소화율은, 표 3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항 목 NC PC WGB 0.1 WGB 0.3 WGB 0.6 WGB 0.8
건물 소화율 77.01 88.44 80.34 86.02 85.12 78.53
질소 소화율 76.20 88.03 79.32 84.87 84.63 77.95
건물 소화율에 있어서 PC구, WGB 0.3 및 WGB 0.6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평가되었으며, 게르마늄흑운모의 함량이 0.3∼0.6% 범위를 벗어난 경우 건물 소화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냈다. 즉, 상기 기초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WGB)를 0.3∼0.6% 혼합시키는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였을 때와 같이, 육성돈이 우수한 소화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도, PC구, WGB 0.3 및 WGB 0.6 처리구가 대조구(Von)에 비교하여 높게 평가된 반면에, WGB 0.1 구와 WGB 0.8 구는 상기 PC 구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상기 기초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WGB)를 0.3∼0.6% 혼합시키는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였을 때와 같이, 높은 질소 소화율을 갖게 됨으로써, 돈사내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낮출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청정 돈육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1에서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게르마늄흑운모를 육성돈 사료내에 0.3%∼0.6% 첨가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기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의 실시예 2에서는, 비육돈의 배합사료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본 실험은 개시시 체중이 평균 78.65㎏의 3원 교잡종(Duroc ×Yorkshire ×Landrace) 비육돈 80두를 공시하였고, 사양시험은 단국대학교 부설 시험농장에서 50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표 4과 같이,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에 NRC(1998)의 영양소 요구량에 따른 대조구(Con; basal diet), 대조구 사료내 왕암게르마늄흑운모 1.0%(WGB 1.0), 왕암게르마늄흑운모 3.0%(WGB 3.0) 및 왕암게르마늄흑운모 5.0%(WGB 5.0)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5마리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성 분 wt%
옥 수 수대 두 박 (47.5)수지(Tallow)당 밀T C P석 회 석소 금비타민 프리믹스미네랄 프리믹스산 화 방 지 제라이신 (Lysine) 76.7415.823.002.500.830.610.200.120.100.050.03
100.00
화학적 성분ME (㎈/g)천연단백질(%)라이신(%)칼 슘(%)인 (%) 339014.000.700.600.50
상기 대조구(Con)인 기초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서 3,400㎉ ME/㎏, 14.00% 조단백질(CP), 0.67% 라이신을 함유하였고,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 채식토록 하였다. 체중 및 사료섭취량은 시험종료시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사료효율을 계산하였다.
또한, 영양소 소화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종료 7일전에 표시물로서 산화크롬을 사료내 0.2%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크롬사료 급여 3일후 2일간 분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사료와 분뇨 중 일반 영양소의 함량 분석은 AOAC(1994)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고, 혈액채취는 시험개시시 및 종료직후 경정맥(Jugular)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4℃에서 핼액을 응고시킨 후에, 응고된 혈액을 4℃에서 2,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 조사는 처리당 체중이 유사한 비육돈 5마리를 7일간격으로 3회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왕암게르마늄의 첨가가 혈액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T. chol kit (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HDL-C kit (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이용하였다. 성인병예방인자(Triglyceride) 농도는 T.G kit(BOEHRINGER MANNHEIM, Germany)에 반응시켜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등지방 두께 측정은 디지털 등지방 인디케이터(Renco lean-meter,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상의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는 SAS(1988)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 Duncan`s multiple range test(Duncan, 1955)로 처리하여 평균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다.
항 목 Con WGB 1.0 WGB 3.0 WGB 5.0
실험 개시시 체중(㎏) 78.48 78.26 78.74 78.54
실험 종료시 체중(㎏) 113.90 116.09 114.51 112.35
일당증체량 (g/d) 708 757 715 676
일당사료섭취량 (g/d) 3108 2789 2620 2631
사료 효율 0.228 0.271 0.273 0.257
일당증체량에서는 WGB 1.0이 대조구(Con)에 비해 752(g/d)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일당사료섭취량은 대조구(Con)가 3,108(g/d)로 WGB 1.0의 2,789(g/d), WGB 3.0의 2,620(g/d), WGB 5.0의 2,631(g/d)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여 대조구와WGB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는 양(1999)의 시험에서 스코리아(scoria)와 제올라이트(zeolite)를 각각 3% 급여한 시험에서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는 것과는 첨가의 효과는 같지만,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수준이 3%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WGB 1.0과 WGB 3.0에서 0.271과 0.273으로 대조구(Con)의 0.231보다 향상된 경향을 보였다. 이는 Komdo 등(1968)이 비육돈에 제올라이트를 5% 첨가한 경우 사료효율이 6%정도 개선되었다는 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건물(DM)의 소화율 및 질소(N)의 소화율은 표 6에서 제시된 바와 같다.
항 목 Con WGB 1.0 WGB 3.0 WGB 5.0
건물 소화율 70.99 71.26 70.53 70.37
질소 소화율 64.31 67.65 67.92 65.09
건물의 소화율은 대조구(Con), WGB 1.0, WGB 3.0, WGB 5.0이 각각 70.99, 71.26, 70.53 및 70.37%로 서로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질소의 소화율에서도 대조구(Con)는 64.31%, WGB 1.0은 67.65%, WGB 3.0은 67.92%, WGB 5.0은 65.09%로 대조구(Con)에서보다 첨가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밸러드와 에드워드(Ballard, Edwards, 1988), 댈리(Daly, 1990) 등의 시험에서 제올라이트 급여는 영양소 이용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보고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 것이다. 하지만, 본 시험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건물의 소화율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WGB 1.0과 WGB 3.0에서 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이는 비육돈의 사료 내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1.0∼3.0% 배합하는 경우 질소의 이용성이 높아지므로 돈사내 암모니아 개스의 농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측정된 등지방 두께는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다.
항 목 Con WGB 1.0 WGB 3.0 WGB 5.0
등지방 두께(㎜) 27.19 25.71 22.81 26.38
등지방 두께에서는 WGB 1.0과 WGB 3.0이 각각 25.71㎜와 22.81㎜로 대조구(Con)의 27.19㎜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는 폰드(Pond) 등(1988)과 코발(Kovar) 등(1990)의 시험에서와 같이 규산염 광물질 급여가 돼지의 근육과 지방특성에 유리한 영향을 준다는 보고와 유사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왕암게르마늄흑운모(WGB)를 급여한 경우, 분중 암모니아 가스 농도의 비교는 표 8에서 나타난 바와 같다.
항 목 Con WGB 1.0 WGB 3.0 WGB 5.0
암모니아 가스농도(㎎/㎏) 17.0 6.1 6.5 12.3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WGB 1.0과 WGB 3.0이 각각 6.1과 6.5㎎/㎏으로 대조구(Con)의 17㎎/㎏보다 크게 낮은 값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비육돈의 사료 내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1.0∼3.0% 배합하는 경우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실험의 개시시(d0)와 종료시(d50), 혈청내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성인병예방인자(Triglyceride),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의 함량은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다.
항 목 Con WGB 1.0 WGB 3.0 WGB 5.0
Total-cholesterol (㎎/㎗)0 일50 일차 이 97.8099.331.53 110.60100.00-10.60 113.2099.00-14.20 105.37102.27-3.10
Triglyceride (㎎/㎗)0 일50 일차 이 48.6035.25-13.35 47.8035.50-12.30 42.0030.00-12.00 48.1036.60-11.50
HDL-cholesterol (㎎/㎗)0 일50 일차 이 41.6042.801.20 44.5050.335.83 43.2550.006.75 42.5049.607.10
LDL-cholesterol (㎎/㎗)0 일50 일차 이 46.4849.483.00 56.5442.57-13.97 59.6043.00-16.60 58.8640.16-18.50
Ig G (㎎/㎗)0 일50 일차 이 515.10530.4715.37 531.20614.8183.61 547.39627.1479.75 538.75604.2465.49
혈청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Con)에서는 증가된 반면에, 게르마늄 흑운모 첨가구에서는 감소되었으며, 특히 WGB 1.0 처리구와 WGB 3.0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된 값으로 나타났다. 혈청내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Con)에 비교하여 게르마늄 흑운모 첨가구들에서 더욱 증가된 값으로 나타났다.
성인병예방인자(Triglyceride)의 혈청내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Con)에 비교하여 게르마늄 흑운모 첨가구들에서 더 작은 감소를 보여 잔여 성인병예방인자의 비율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혈청내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Con)에서는 증가된 반면에, 게르마늄 흑운모 첨가구들에서는 감소된 값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게르마늄 흑운모를 비육돈에 첨가시, 심혈관계 질환의 주된 원인이 되는 고지방혈증을 구성하는 주된 물질인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의 혈청내 함량 감소되며, 이는 돼지고기내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육돈 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1∼3% 첨가하면 저콜레스테롤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혈청내 면역세포증가인자(IgG)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Con)와 비교하여 WGB 1.0 처리구, WGB 3.0 처리구, WGB 5.0 처리구가 각각 444%, 419%, 326% 만큼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따라서, 게르마늄 흑운모가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천연 항생제 대체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0은 등심고기와 지방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보여주고 있다.
항 목 Con WGB 1.0 WGB 3.0 WGB 5.0
등심 고기(㎎/㎏) 495.64 471.52 438.74 431.56
등심 지방(㎎/㎏) 261.21 243.52 204.11 207.51
등심 고기와 등심지방 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Con)에 비하여 게르마늄 흑운모 첨가구에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WGB 1.0 처리구와 WGB 3.0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육돈 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1∼3% 첨가하면 저콜레스테롤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실시예 2에서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게르마늄 흑운모를 비육돈사료내에 1.0∼3.0% 첨가시 저콜레스테롤 돈육의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육돈의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여 항생제 대체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 3에서는, 자돈의 배합사료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예 3)
3원 교잡종(Duroc×Yorkshire×Landrace) 자돈 6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15.09 ±0.18㎏ 이었다. 사양시험은 단국대학교 부설 실험농장사육실에서 28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표 11과 같이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무첨가구(Con),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0.1% 첨가구(WGB 0.1),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0.3% 첨가구(WGB 0.3),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0.6% 첨가구(WGB 0.6),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1.0% 첨가구(WGB 1.0)로 5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3마리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성 분 Con WGB 0.1 WGB 0.3 WGB 0.6 WGB 1.0
옥 수 수 64.36 64.36 64.36 64.36 64.36
대 두 박 28.09 28.09 28.09 28.09 28.09
우 지 3.00 3.00 3.00 3.00 3.00
석 회 석 0.12 0.12 0.12 0.12 0.12
인 산 칼 슘 1.86 1.86 1.86 1.86 1.86
당 밀 2.00 2.00 2.00 2.00 2.00
소 금 0.20 0.20 0.20 0.20 0.20
비타민 프리믹스 0.12 0.12 0.12 0.12 0.12
미네랄 프리믹스 0.10 0.10 0.10 0.10 0.10
산 화 방 지 제 0.05 0.05 0.05 0.05 0.05
항 생 제 0.10 0.10 0.10 0.10 0.10
게르마늄흑운모 - 0.10 0.30 0.60 0.10
기초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서 NRC(1998) 사양표준을 기초로 하여 3,380㎉ ME/㎏, 19.00% CP, 1.00% 1ysine, 0.80% Ca , 0.70% P를 함유토록 하였다. 시험사료는 가루사료의 형태로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체중 및 사료섭취량은 14일령과 시험종료시에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사료효율을 계산하였다.
영양소 소화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종료 7일전에 표시물로서 산화크롬을 0.2% 첨가하였다. 크롬사료 급여 4일후 분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혈액채취는 시험개시 및 14일후 경정맥(Jugular)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4℃에서 핼액을 응고시킨 후에, 응고된 혈액을 4℃에서 3,000rpm 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T. chol kit (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HDL-C kit (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이용하였다. 성인병예방인자(Triglyceride) 농도는 T.G kit(BOEHRINGER MANNHEIM, Germany)에 반응시켜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면역세포증가인자(Immunoglobulin G)의 농도는 IgG kit(BEHRING, Germany)에 반응시켜 네펠로미터(BEHRING Nephelometer,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코르티졸(Cortisol) 농도는 Coat-A-Count Cortisol kit (DIAGNOSTIC Products Cor.)에 반응시켜 Y-counter(COBRA 5010Ⅱ,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료의 일반성분과 표시물로 혼합된 크롬(Cr)은 AOAC(1994)에 의해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1988)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처리하여 평균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과 같다.
사양성적의 고찰을 위해, 시험사료를 급여한 자돈에 대한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사료효율은 표 12와 같다.
항 목 Con WGB 0.1 WGB 0.3 WGB 0.6 WGB 1.0 표준오차
0-14 일일당증체율(g)일당사료섭취량(g)사료효율 4259140.465 4328600.502 4599060.506 4379630.454 4549320.487 25450.015
14-28 일일당증체율(g)일당사료섭취량(g)사료효율 55613020.427 53912400.435 59012840.459 63715320.416 55112130.454 31560.031
0-28 일일당증체율(g)일당사료섭취량(g)사료효율 49111080.443 48610500.463 52410950.479 53712480.430 50210730.468 24560.021
0-14일간의 시험기간을 보면, 일당증체량에 있어서 게르마늄흑운모를 0.3% 첨가한 WGB 0.3 처리구가 증체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WGB 0.6 처리구에서 사료섭취량이 증가하였으며,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대조구(Con)에 비해 WGB 0.3 처리구에서 가장 향상된 값을 보였다.
14-28일간의 시험기간에서는, WGB 0.6 처리구가 일당증체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WGB 0.6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사료섭취량이 높았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WGB 0.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게 나타났다.
전 시험기간을 통해서 보면, 일당증체량에 있어서 게르마늄흑운모를 0.3% 첨가한 WGB 0.3 처리구가 게르마늄흑운모를 첨가하지 않은 Con 처리구보다 6.7%(491g vs. 524g)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WGB 0.6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9.4%(491g vs. 537g)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따라서, 자돈 사료내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0.3∼0.6% 첨가하는 경우 자돈의 일당증체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WGB 0.6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구(Con), WGB 0.3 그리고 WGB 1.0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효율의 경우에는 WGB 0.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평가되었으며, 특히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8%(0.443 vs. 0.479)의 향상을 나타냈다. 따라서, 자돈 사료내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0.3% 첨가하는 경우 사료의 요구량이 감소되어 생산비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사료를 급여한 자돈에 대한 건물과 질소 소화율은 표 13과 같다.
항 목 Con WGB 0.1 WGB 0.3 WGB 0.6 WGB 1.0 표준오차
건물 소화율 68.34 69.69 70.12 67.78 63.97 2.91
질소 소화율 65.15 67.09 67.50 56.84 62.58 3.36
건물 소화율에 있어서, 대조구(Con)와 비교하여 WGB 0.1 처리구와 WGB 0.3 처리구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게르마늄흑운모를 0.6% 이상 첨가하면 오히려 건물 소화율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도 WGB 0.3 처리구가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았으며, 대조구(Con)와 비교하였을 때는 3.6% 향상된 소화율을 보였다. 또한 게르마늄흑운모를 0.6% 첨가하였을 경우 대조구(Con)에 비교하여 질소 소화율이 1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볼 때, 게르마늄흑운모를 0.6%이상 자돈 사료내에 첨가하는 것은 오히려 자돈의 질소 소화율을 저하시킴을 알 수 있다.
시험사료를 급여한 자돈에 대한 혈청내 성인병예방인자(Triglyceride),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및 면역세포증가인자(IgG), 코르티졸(Cortisol)의 변화는 표 14와 같다.
항 목 Con WGB 0.1 WGB 0.3 WGB 0.6 WGB 1.0 표준오차
Total-cholesterol(㎎/㎗)0 일14 일차 이 93.00105.0012.00 86.0086.500.50 77.0070.00-7.00 100.0096.00-4.00 89.5086.50-3.00 7.672.775.43
HDL-cholesterol(㎎/㎗)0 일14 일차 이 30.0039.509.50 26.0040.5014.50 41.0063.0022.00 29.0044.5015.50 25.5044.0018.50 1.992.611.99
Triglyceride(㎎/㎗)0 일14 일차 이 41.0055.5014.50 32.5040.508.00 41.0054.0013.00 63.0060.33-2.67 37.3355.3318.00 8.9114.5314.82
LDL-cholesterol(㎎/㎗)0 일14 일차 이 38.2050.6012.40 32.5048.6016.10 38.6043.004.40 41.0048.607.60 34.8054.0719.27 1.454.763.47
Ig G (㎎/㎗)0 일14 일차 이 667.30827.20149.90 615.10894.80279.70 644.80807.00162.15 395.90647.50251.60 459.20627.20168.00 104.5387.9723.60
Cortisol (㎍/㎗)0 일14 일차 이 4.900.654.26 6.202.953.25 9.055.753.30 7.602.005.60 3.671.622.05 1.331.682.39
시험개시 후 14일령에 총 콜레스테롤의 혈청내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Con)에서는 큰 증가를 보였으나, WGB 0.1 처리구에서는 약간의 증가만 보였고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감소된 값을 보였다. 특히 WGB 0.3 처리구에서는 대조구(Con)보다 158%(12.00㎖/㎗ vs. -7.00㎖/㎗)나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내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Con)에 비교하여 게르마늄 흑운모 첨가구들에서 더욱 증가된 값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WGB 0.3 처리구에서는 대조구(Con)와 비교하여 132%(9.50㎖/㎗ vs. 22.00㎖/㎗)나 증가된 값을 보였다.
성인병예방인자(Triglyceride)의 혈청내 함량에 있어서는 WGB 0.6 처리구에서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내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는 WGB 0.3 처리구가 대조구(Con)에 비교하여 182%(12.40㎖/㎗ vs. 4.40㎖/㎗) 감소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게르마늄 흑운모를 자돈에 0.1∼0.3% 첨가시, 심혈관계 질환의 주된 원인이 되는 고지방혈증을 구성하는 주된 물질인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의 혈청내 함량이 감소되며, 이는 돼지고기내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저콜레스테롤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혈청내 면역세포증가인자(IgG)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Con)와 비교하여 WGB 0.1 처리구, WGB 0.3 처리구, WGB 0.6 처리구, WGB 1.0 처리구가 각각 86.6%, 8.2%, 67.8%, 12.1% 만큼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따라서, 게르마늄 흑운모가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천연 항생제 대체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르티졸(cortisol)의 혈청내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Con)와 비교하여 WGB 0.6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코르티졸의 농도는 동물의 경우에 있어서 수송이나 보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측정되고 있다(Benjamins 등, 1992). Baybutt와 Holsbocr(1990)는 코르티졸의 증가로 B세포의 항체생성이나 탐식세포의 기능을 저하시킨다고 보고하였다. 게르마늄흑운모의 자돈 사료내 첨가 수준으로 볼 때, 코르티졸 농도가 0.3%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상기 실시예 3에서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게르마늄 흑운모를 자돈 사료내에 0.3% 첨가시 저콜레스테롤 돈육의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돈의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여 항생제 대체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돈의 경우, 육성돈이나 비육돈에 비하여 그 면역력이 약함을 고려할 때, 항생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는, 상기 실시예 3의 조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르마늄 흑운모와 함께 소량의 항생제를 첨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시예 4에서는, 육성돈 및 비육돈의 배합사료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소화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먼저, 3원 교잡종(Duroc ×Yorkshire ×Landrace) 암돼지 9두를 공시하였으며, 육성기(45㎏)와 비육기(65㎏)로 구분하였다. 소화시험은 대한민국 축산기술연구소 소화시험돈사에서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표 15와 같이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에, 항생제 첨가구와 항생제 무첨가구로 나누고, 상기 항생제 무첨가구는 게르마늄 흑운모(WGB)를 각각 0.6%, 0.9% 첨가하는 등 2군으로 구분하되 3마리씩 3개구로 처리하여 개체별로 대사케이지에 수용하였다.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는 36ppm의 게르마늄(Ge) 및 보조미네랄 성분으로 요오드(I), 코발트(Co), 셀렌(Se) 및 바나듐(V) 등이 함유된 것이다.
일반적인 사료의 옥수수는 에너지 공급원이고 콩에서 기름을 뺀 대두박은 단백질 공급원이다. 어분과 석회석은 뼈를 구성하는 칼슘과 인을 공급하는 원료이다. 비타민 및 무기물제제의 구성물은 소량의 비타민 A(2,000,000IU), 비타민 D3(400,000IU) 등 비타민 E, K3, B1, B2, B6 및 B12, 아연(15,000㎎), 철, 코발트, 마그네슘, 망간, 옥소, 구리, 염화코린, 나이아신, 판토텐산칼슘 및 엽산 등으로 조성된다.
시험사료 배합율 및 화학 조성분 (단위 : %)
배합율 육성기 비육기
무첨가구 WGB 0.6 WGB 0.9 무첨가구 WGB 0.6 WGB 0.9
옥수수대두박어분석회석인산칼슘소금비타민무기물제제L-라이신항생제바이오친게르마늄흑운모 77.4519.201.200.750.650.250.200.100.100.10- 76.9519.201.200.750.650.250.200.10-0.100.60 76.6519.201.200.750.650.250.200.10-0.100.90 82.1015.30-1.00.920.250.200.13-0.10- 81.5015.30-1.00.920.250.200.13-0.100.60 81.2015.30-1.00.920.250.200.13-0.100.90
100 100 100 100 100 100
화학조성분 육성기 비육기
대조구 WGB 0.6 WGB 0.9 대조구 WGB 0.6 WGB 0.9
수분조단백질조지방조섬유가용무질소물칼슘인 11.6515.592.213.7566.800.820.46 12.2015.702.073.1566.880.850.46 11.5315.802.273.4466.960.840.46 13.9613.572.492.7067.281.020.44 14.0313.032.252.7167.980.820.40 13.8613.212.332.7267.880.850.44
이와 같은 배합사료 중 게르마늄흑운모(WGB)는, 축산기술연구소의 표준분석법에 의해 분석된 바에 의하면, 표 16에서 보는 바와 같은 광물질과 화학성분을 갖는다.
게르마늄흑운모(WGB)의 광물질 조성 및 화학성분
구 분 광물질 조성 화학성분(%)
주요구성 광물 미량구성광물 SiO2Al2O3Fe2O3CaO MgOK2O Na2O TiO2P2O5기타
함 량 석영, 백운모흑운모 장석, 전기석지콘, 석류석 76.7 10.8 2.01 0.12 0.471.69 0.79 0.45 0.11 6.56
이때 표 16의 화학성분 중 기타 성분으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 의뢰하여 ICP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요오드와, 코발트, 셀렌 및 바나듐이 포함되어 있으며, 표 17과 같은 함량을 가지고 있다.
게르마늄 흑운모(WGB)의 기타성분 중 영양성분 (단위 : ppm)
구 분 기타 영양성분
I Co Se V
함 량 0.05 10 5 74.2
이와 같은 성분들을 가지고 있는 시험사료를 투여한 후 예비시험을 7일간 실시하고, 본시험을 7일간 실시한 후에 육성기 및 비육기의 소화율을 측정한 결과 표 18 및 표 19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육성기 영양소 소화율(건물기준) (단위 : %)
구 분 무첨가구 WGB 0.6 WGB 0.9 P값
조단백질조 섬 유칼 슘인 78.870.353.644.6 82.162.544.758.5 85.971.670.357.9 0.00350.0570.00090.20
비육기 영양소 소화율(건물기준) (단위 : %)
구 분 무첨가구 WGB 0.6 WGB 0.9 P값
조단백질조 섬 유칼 슘인 80.363.448.127.7 80.459.145.930.8 86.767.561.250.33 0.0020.510.010.004
위의 표 18 및 표 19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영양소 중 특히 인의 소화율이 게르마늄 흑운모(WGB)를 첨가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현격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육성기 및 비육기에서 모두 게르마늄 흑운모를 첨가한 비율이 높을수록 인의 소화율이 높아진 것이다. 이는 환경오염 요인으로 작용하는 성분이 게르마늄 흑운모의 구성성분에 의해 더 많은 양이 흡수되므로 배출되는 양이 작아지게 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환경오염 요인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0에서는 카테타(Catheter)로 체내의 분뇨를 수집 및 분석하여 질소함량, pH 및 질소이용율을 산출한 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분뇨 중 질소 및 pH는 육성기와 비육기 소화기간 중에 체취한 분과 뇨를 각각 혼합 균질화한 후 'Kjeltec Auto 1035' 질소자동분석기와 'Orion 920pH 미터'로 측정하였다.
표 20에 의하면, 분뇨 중의 질소 및 pH는 거의 일정한 결과를 보이나, 게르마늄 흑운모(WGB)를 0.9% 첨가한 경우는 다른 무첨가구 및 0.6%첨가구인 경우에 비해 월등히 높은 질소이용율을 보인다. 즉, 분뇨 중 질소성분이 적게 나타날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초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0.6∼0.9% 혼합시키는 경우, 항생제를 투여했을 때와는 달리, 높은 질소 소화율을 갖게 됨으로써 돈사내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낮출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청정 돈육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분,뇨 중 질소함량, pH 및 질소이용율
구 분 무첨가구 WGB 0.6 WGB 0.9
질소(%) 3.28 2.88 2.86
0.41 0.32 0.31
pH 8.3 8.1 8.1
질소이용율(이용량/섭취량)(%) 79.55 81.25 86.30
그리고, 표 21에는 혈 중 면역세포증가인자(IgG) 및 콜레스테롤 함량이 개시되어 있다. 혈장 중 면역세포증가인자 및 콜레스테롤은 육성기 및 비육기 소화시험 개시전 및 완료시 각각 채혈하여 3,000rpm으로 원심분리한 후 면역세포증가인자는 면역비탁법의 원리로 340㎚ 파장에서 측정하였고, 콜레스테롤은 'O-퀴노네민 다이(O-Quinoneimine Dye)'를 480~520㎚ 사이에서 'Advia 1650'을 이용하여 비색 측정하였다.
혈장 중 IgG 및 콜레스테롤 함량 (단위 : ㎎/㎗)
구 분 IgG 토탈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무첨가구WGB 0.6WGB 0.9 373.2348.6345.1 75.569.786.3 29.224.731.0 35.536.545.8
또한, 별도로 게르마늄 함량을 측정하였는데, 사료내에서의 게르마늄 함량은 20ppb인 것에 비해서 혈장내에서는 게르마늄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같이 시험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WGB)를 첨가한 경우와 게르마늄 흑운모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 검토하여 본다.
육성기에는 조단백질 소화율이 게르마늄 흑운모를 0.6% 및 0.9% 첨가한 구모두에서 개선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칼슘의 소화율은 게르마늄 흑운모를 0.9% 첨가하였을 때 개선되었다. 그리고, 비육기에는 조단백질, 칼슘 및 인의 소화율이 0.9% 첨가하였을 때 개선되었고, 질소이용율도 게르마늄 흑운모를 0.9% 첨가하였을 때 개선되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5에서는, 육성돈 및 비육돈의 배합사료에 있어서 사양시험을 통해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사양시험을 위하여 3원 교잡종(Duroc ×Yorkshire ×Landrace) 수돼지 16두를 공시하고 돈방당 1두씩 개체 수용하였으며, 자유 채식하도록 하여 25㎡에 8두가 점유하는 면적을 갖도록 하였다. 사양시험은 대한민국 축산기술연구소 온습도 자동제어 돈사에서 92일간 실시하였다. 공시재료는 36ppm의 게르마늄 흑운모(WGB)가 사용되었다.
먼저, 혈액분석을 하여 질병 유무를 판정하였는데, 체중 15~30㎏까지는 순치 및 질병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돼지 생식기호흡기증후군인 PRRS(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는 모두 음성반응을 보였고, 콜레라 예방접종을 실시한 바 정상적인 발육상황을 보였다.
결과로서 먼저, 육성기, 비육기 및 시험 전 기간 중 두당 평균증체량과 1㎏증체당 사료섭취량을 측정하였다. 증체량은 21일 간격으로 체중을 측정하여 결정하고 사료요구율은 체중 1㎏ 증체당 섭취한 사료의 중량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표 22를 참조하면, 육성기에서는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고 게르마늄흑운모(WGB)를 0.6% 첨가한 구의 일당증체량과 1㎏ 증체당 사료섭취량 즉 사료요구량은 각각 0.768㎏과 3.00㎏으로서 항생제를 0.1% 첨가한 대조구의 0.767㎏과 2.93㎏과 차이가 없었다. 비육기에서는 게르마늄 흑운모를 0.6% 첨가한 구의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각각 0.850㎏과 3.54㎏로서 대조구의 0.860㎏과 3.63㎏과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사양시험 전 기간동안을 살펴보면, 게르마늄 흑운모를 0.6% 첨가한 구의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은 각각 0.810㎏과 3.31㎏으로서 무첨가구의 0.817㎏과 3.63㎏에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었다.
육성기, 비육기 및 시험 전 기간 중 두당 평균증체량과 1㎏증체당 사료섭취량 (단위 : ㎏/두)
구 분 개시체중 완료체중 증체량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1㎏증체당 사료섭취량
육성기 무첨가구WGB 0.6 30.3331.29 62.5563.55 32.2232.26 94.5096.83 0.7670.768 2.933.00
비육기 무첨가구WGB 0.6 62.5563.55 105.55105.84 43.0042.29 156.00149.88 0.8600.850 3.633.54
전기간 무첨가구WGB 0.6 30.3331.29 105.55105.84 75.2274.55 250.50246.70 0.8170.810 3.333.31
혈장 중 면역세포증가인자(IgG)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는데, 소화시험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육성기 및 비육기 사양시험 개시전 및 완료시 각각 채혈하여 3,000rpm으로 원심분리한 후, 면역세포증가인자는 면역비탁법의 원리로 340㎚ 파장에서 측정하였고, 콜레스테롤은 'O-퀴노네민 다이(O-Quinoneimine Dye)'를 480~520㎚ 사이에서 'Advia 1650'을 이용하여 비색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23을 참조하면, 혈장 중 면역세포증가인자(IgG)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게르마늄 흑운모 0.6%첨가구와 무첨가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혈장 중 IgG 및 콜레스테롤 함량
구 분 IgG 토탈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무첨가구WGB 0.6P값 305.3326.60.21 85.480.60.44 51.147.40.36 24.525.10.82
표 24에는 도체율과 정육율 및 등지방 두께를 측정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도체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도체에서 뼈와 지방을 제거한 부분육의 총중량을 절식 체중과 대비한 정육율 및 흉추 13마디 등심부위의 지방을 측정한 등지방 두께는 별 차이가 없었다.
도체율, 정육율 및 등지방 두께
구 분 도축시체중(㎏) 도체율(%) 거래정육율(%) 등지방 두께(㎝)
무첨가구WGB 0.6 105.55105.84 73.0874.35 51.4147.4 2.362.72
P값 0.91 0.06 0.41 0.15
등심의 육즙, pH 및 명도(CIE L)의 측정결과가 표 25에 제시되어 있다. 게르마늄 흑운모를 첨가함으로써 수분손실량을 나타내는 육즙은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명도는 'Chroma Meter(Minolta Co. Cr 301)'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pH와 함께 무첨가구와 첨가구간에 통계적인 큰 차이가 없었다.
등심의 pH 및 CIE L(명도)
구 분 육즙(Drip Loss) (%) pH CIE L
무첨가구WGB 0.6 6.244.80 5.495.48 60.9764.45
P값 0.22 0.86 0.09
표 26을 참조하면, 전단력은 2㎝의 스테이크 모양으로 근섬유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근육을 절단하여 고기내부 온도를 75℃에서 10분간 유지되도록 가열한 후 5℃ 이하로 24시간 방치한 시료에서 코아를 근섬유 방향으로 하여 제조한 다음 'Warner-Bratzler Shear Force Meter(G-R Elec. Mfg. Co., USA)'로 측정하였다. 지방경도는 등지방을 2㎝ 두께로 절단한 후 샘플높이를 18㎜로 하고 천공직경을 8㎜, 압력을 5㎏, 하강속도를 120㎜/min의 조건하에서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5)'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관능검사는 숙달된 10명의 관능검사요원들이 시료의 연도 풍미 및 다즙성의 기호도를 6점법으로 측정하였다. 나머지 항목들의 분석은 축산기술연구소 표준분석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기의 질김 정도를 판단하는 전단력과 가열시 수분의 손실 정도를 파악하는 가열감량은 모두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등심 육질 및 관능검사
구 분 육 질 관능검사
전단력(㎏/0.5inch2) 보수성(%) 가열감량(%) 지방경도(㎏) 향 미 연 도 다즙성
무첨가구 2.89 35.52 11.09 11.09 4.66 4.73 3.60
WGB 0.6 2.61 33.87 10.22 10.22 4.40 4.06 3.40
P값 0.09 0.06 0.50 0.50 0.37 0.06 0.76
표 27에 제시된 게르마늄 함량은 ICP 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혈장과 등심 모두에서 게르마늄이 검출되지 않았다.
사료, 혈장, 등심 내 게르마늄 함량
구 분 사 료 혈 장 등 심
Ge 함량 20ppb 불검출 불검출
돈사의 암모니아 농도는 표 28에 제시되어 있다. 돈사 암모니아 농도는 가스검지키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돈사 내부 및 배기구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돈사 암모니아 농도 (단위 : ppm)
구 분 NH3 CO2
돈사내부 배기구 돈사내부 배기구
무첨가구 2.60 3.82 741.7 783.3
WGB 0.6 1.65 2.71 783.3 775.0
P값 0.0001 0.0002 0.22 0.88
분 중 살모넬라는 시료가 공기 및 외부와의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돼지의 배설구에서 배설되는 순간의 신선분을 멸균 조건하에서 직접 채취한 후 즉시 분석하였다. 분석은 평판배지법을 이용하여 'SS Agar'에 10진 배수법으로 희석된 시료를 도말하여 30℃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표 29에 제시되어 있으며, 무첨가구에서는 0.55CFU/g이 검출된 반면 게르마늄 흑운모(WGB)를 0.6% 첨가한 첨가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게르마늄 흑운모가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식중독균을 발생을 억제하고 박멸하는 방호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같은 효과는 살모넬라균 이외에도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분뇨 중 살모넬라 (단위 : CFU/g)
구 분 무첨가구 WGB 0.6 P값
살모넬라 0.55 0 0.035
표 29의 경우 육성돈과 비육돈에 대해 실험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으나, 자돈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전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게르마늄 흑운모를 자돈 사료내에 0.3% 첨가시 저콜레스테롤 돈육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돈의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여 항생제 대체효과를 얻었다. 그리고, 자돈의 경우에서도 질소 및 인의 소화율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살모넬라와 같은 식중독균도 검출되지 않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육성돈 및 비육돈에 투여되는 시험사료 성분중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첨가한 경우 질소 및 인의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양돈사료에 국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낙농 또는 양계사료에 적용함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다시말해, 유방염 등의 치료에 항생제를 투여하는 경우 면역력 감소로 인해 체세포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항생제 잔유물질이 원유에서 검출되는 현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같이 오염된 원유는 모두 폐기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낙농가에 커다란 경제적 손실이 발생시키고 있다. 하지만 통상의 축산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WGB)를 첨가하여 급여한 결과, 소들의 면역력이 증가되면서 체세포수가 급격히 낮아지는 효과와 함께 부제병이나 고창증에 있어서도 빠르게 호전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축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제조사료에, 항생제 대신에 게르마늄 흑운모를 배합함으로써, 다량의 항생제를 배합하였을 때와 같은 우수한 성장률과 면역력을 갖는 가축을 생산하면서도, 가축과 그 육제품을 섭취한 인체에 해를 끼치는 항생제의 사용을 전부/일부를 배제시켜 건강식 육제품의 생산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같은 본 발명은 또한, 항생제 내성 세균의 발생 억제를 통해 소화율을 크게 개선시키게 되는 것이며,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살모넬라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질소 및 인의 도체내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높아져서 분뇨와 함께 배출되는 이들 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됨에 따라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가축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옥수수, 대두박, 당밀, 소금,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를 포함하는 기초사료에, 36ppm 의 게르마늄과 흑운모, 백운모, 장석, 전기석, 저콘, 석류석, 인회석, 불투명광물을 함유하며, 5∼20 ㎛의 원적외선 파장 범위에서 0.93%의 방사율과 4.31×102W/㎡·㎛의 방사에너지를 나타내는 게르마늄 흑운모를 0.1%∼3.0%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사료는, 옥수수 66.23%, 대두박 26.07%, 우지 3%, 석회석 0.52%, 인산칼슘 1.16%, 당밀 2.5%, 소금 0.25%와 비타민 프리믹스 0.12%, 미네랄 프리믹스 0.10%, 산화방지제 0.05%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육성돈 사료이며;
    상기 육성돈 사료에 0.3∼0.6%의 게르마늄 흑운모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사료는, 옥수수 76.74%, 대두박 15.82%, 수지(Tallow) 3%, 당밀 2.5%, TCP 0.83%, 석회석 0.61%, 소금 0.20%, 비타민 프리믹스 0.12%, 미네랄프리믹스 0.10%, 산화방지제 0.05%, 라이신 0.03%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비육돈 사료이며;
    상기 비육돈 사료에 1.0∼3.0%의 게르마늄 흑운모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사료는, 옥수수 64.36%, 대두박 28.09%, 우지 3%, 석회석 0.12%, 인산칼슘 1.86%, 당밀 2%, 소금 0.20%와 비타민 프리믹스 0.12%, 미네랄 프리믹스 0.10%, 산화방지제 0.05%, 항생제 0.10%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자돈 사료이며;
    상기 자돈 사료에 0.3%의 게르마늄 흑운모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는, 게르마늄과 흑운모, 백운모, 장석, 전기석, 저콘, 석류석, 인회석, 불투명광물에 더하여, 보조 미네랄 성분으로서 요오드, 코발트, 셀렌, 바나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미네랄 성분이, 요오드 0.05ppm, 코발트 10ppm, 셀렌 5ppm 및 바나듐 74.2p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 흑운모는 100∼350메쉬 입도 범위로 분쇄된 게르마늄 흑운모 석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KR1020020078819A 2002-12-11 2002-12-11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KR20040051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819A KR20040051001A (ko) 2002-12-11 2002-12-11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TW092101810A TW200412857A (en) 2002-12-11 2003-01-28 Antibiotic-free fodder composition for domestic anim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819A KR20040051001A (ko) 2002-12-11 2002-12-11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001A true KR20040051001A (ko) 2004-06-18

Family

ID=3734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819A KR20040051001A (ko) 2002-12-11 2002-12-11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051001A (ko)
TW (1) TW2004128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837B1 (ko) * 2013-03-14 2014-10-13 (주)서봉바이오베스텍 구제역 예방용 면역증강물질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료 조성물
CN115634263A (zh) * 2022-10-20 2023-01-24 东北农业大学 一种防治动物腹泻的组合物、碱性矿物质复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837B1 (ko) * 2013-03-14 2014-10-13 (주)서봉바이오베스텍 구제역 예방용 면역증강물질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료 조성물
CN115634263A (zh) * 2022-10-20 2023-01-24 东北农业大学 一种防治动物腹泻的组合物、碱性矿物质复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634263B (zh) * 2022-10-20 2023-11-21 东北农业大学 一种防治动物腹泻的组合物、碱性矿物质复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2857A (en) 200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367B1 (ko)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US20070036839A1 (en) Phosphorylated glucomannane polysaccharides containing 1-6 and 1-2 linkages increase weight gain in poultry
CN110604226A (zh) 断奶仔猪用防腹泻促生长复合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9990082623A (ko) 동물 사료
Shittu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ha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of broiler chickens given varied concentrations of Polyalthia longifolia leaf extract in place of conventional antibiotics
Nwanna et al. Effect of wet-incubation of dietary plant feedstuffs with phytases on growth and mineral digestibility by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Bakhshizadeh et al. Effect of zinc sources on milk yield, milk composition and plasma concentration of metabolites in dairy cows
KR101204776B1 (ko)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CN105941870A (zh) 一种用于畜禽脱毒防泻的纳米蒙脱石饲料添加剂复合物
Manning et al. Aflatoxins from moldy corn cause no reductions in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performance
CN108142688B (zh) 一种不含氧化锌的保育料
Lebedev et al. Formation of element status at chickens when using enzyme, probiotic and antibiotic agents in food
Hu et al. Effects of Cu2+‐exchanged montmorillonite on intestinal microflora, digestibility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of Nile tilapia
KR20040051001A (ko) 항생제 대체를 위한 가축사료 조성물
KR20010104757A (ko) 소화율 개선 및 살모넬라균과 식중독균 발생 억제력을갖는 가축사료 조성물
CN107960543A (zh) 一种乳仔猪用甘氨酸型添加剂预混合饲料
Lee et al. Influence of fermented fish mea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fecal microflora of weaning pigs
Ali et al. Effects of dietary natural zeolite (clinoptilolite) levels on water quality,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ingerlings
CN112136970A (zh) 一种仔猪保育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11109446A (zh) 不含硫酸根有机微量元素乳仔猪专用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7373032A (zh) 一种绿色生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13826768A (zh) 一种低铜抗腹泻猪配合料及其制备方法
CN107772080A (zh) 小分子有机酸型酸制剂微囊缓释剂
CN107594169A (zh) 一种减少仔猪空肠弯曲杆菌的抗腹泻预混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RU2422506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еревариваемости питательных веществ кормов для лошад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