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673A -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673A
KR20040049673A KR1020020077507A KR20020077507A KR20040049673A KR 20040049673 A KR20040049673 A KR 20040049673A KR 1020020077507 A KR1020020077507 A KR 1020020077507A KR 20020077507 A KR20020077507 A KR 20020077507A KR 20040049673 A KR20040049673 A KR 2004004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home bar
storag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321B1 (ko
Inventor
박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7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3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홈바의 하부도어 개방시 하부도어 상부에 저장물을 진열할 수 있으며, 저장물의 인출입시 램프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전력의 낭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홈바(60)의 도어를 전방으로 회동가능한 상부도어(64)와 하부도어(66)로 나누고, 상기 상부도어(64)의 이면에는 램프(68)를 부착하며, 상기 하부도어(66)의 이면에는 저장물을 안전하게 전시할 수 있는 다수의 안착홈(83)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64)의 측면에는 상부도어(64)의 개폐를 제어하는 코일스프링(73)이 장착되고, 상기 하부도어(66)의 측면에는 상부도어(64)의 전방회동을 제어할 걸림돌기(89)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도어(64)의 램프는 상부도어(64)의 오픈시에만 켜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도어(64)의 이면에는 저장물을 잡아주는 홀더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home bar door 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홈바도어가 상,하부도어로 이루어지고, 하부도어의 상단에는 저장물의 진열이 가능한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병립형 냉장고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1)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인 냉동실과 냉장실이 베리어(2)에 의해 구획되어 나란히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좌측에는 냉동실(3)이 위치하고 우측에는 냉장실(5)이 위치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냉동실(3)이 냉장실(5)의 좌우에 나란히 형성되는 경우 외에도 냉동실(3)과 냉장실(5)이 상하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냉장실(5)의 하부에는 별도로 야채실(7)이 마련되기도 하며, 상부 후면에는 냉기가 토출되는 냉기토출구(9)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토출구(9)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동실(3)과 냉장실(5) 후단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인 증발기로부터 생성되는 냉기가 냉동실(3)과 냉장실(5)로 공급되는 출구가 되며, 상기 냉기토출구(9)를 통해 공급된 냉기는 냉장고 내부공간을 순환하며 저장물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5)에는 각각 저장물을 얹어 놓기 위한 선반(11)이 설치된다. 상기 선반(11)은 저장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저장공간을 구획하여 보다 많은 저장물이 보관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11)은 냉장고내의 후면 양측단에 상하로 구비되는 선반받침대(13)에 형성된 걸이홈(15)에 걸어져 장착된다. 상기 걸이홈(15)은 상기 선반(11)의 후단에 구비된 고리(도시되지 않음)를 걸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공간인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5)을 외부와 차폐하고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실도어(21) 및 냉장실도어(23)가 각각 냉장고본체(1)의 선단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도어(21) 및 냉장실도어(23)의 이면에도 저장물을 보관하기 위한 도어바스켓(25)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바스켓(25)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되며, 여기에는 캔, 병 또는 비교적 소형의 식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도어바스켓(25) 중 최하단부에 있는 도어바스켓(25)은 상부에 위치하는 도어바스켓(25)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냉장실도어(23)에는 홈바(home bar)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홈바는 냉장실 내부에 위치하여 저장물이 저장되는 대략 사각통상의 홈바케이스(30)와, 상기 홈바케이스(30)의 전방에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냉장실도어(23)에 형성된 인출구(33)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는 홈바도어(3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홈바가 구비된 냉장실 도어(23)의 전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도어(23)에는 소정높이에 사각형상의 인출구(33)가 형성되고, 이러한 인출구(33)를 통해 내부에 저장물을 저장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인출구(33)의 하단에는 힌지(35)가 형성되어 이를 축으로 상기 홈바도어(31)가 회동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출구(33)의 상단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램프(lamp)가 구비된다. 상기 램프(lamp)는 상기 홈바도어(31)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오픈(open)될 때는 온(on) 되고, 홈바도어(31)가 닫혀져 상기 인출구(33)가 차폐되면 오프(off)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에서는 홈바케이스(30)에 저장물을 꺼내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홈바도어(31)의 상단부를 잡아당겨 홈바도어(31)가 수평으로 되도록 한 후, 저장물을 꺼내거나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홈바도어(31)는 도어(23)의 일정위치에 구비되어 냉장고 내부의 저장물을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파티(party)등의 행사시 상기 홈바도어(31)를 오픈(open)한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31)의 상부에 술잔이나 캔 등을 간단히 올려놓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홈바도어(31)의 이면에 놓여지는 술잔이나 캔 등이 미끄러져 낙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홈바도어(31)가 오픈(open)될 때마다 상기 인출구(33)의 상단부에 구비된 램프가 온(on) 된다. 따라서, 간단한 저장물을 인출하려 하거나 램프가 켜질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무조건 램프가 온(on) 되므로서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홈바의 하부도어 개방시 하부도어 상부에 저장물을 진열할 수 있는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바에 저장물을 인출입할 때, 램프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므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병립형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홈바(home bar)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홈바도어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도 도어의 이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홈바도어 설치구조의 요부를 구성하는 홈바도어가 오픈된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홈바도어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도 도어의 전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도어52. 도어바스켓
54. 관통구60. 홈바
62. 저장공간64. 상부도어
66. 하부도어68. 램프
69. 냉기통로71. 힌지축
73. 코일스프링81. 도어힌지
83. 안착홈85. 지지대
87. 가이드홈89. 걸림돌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도어와; 상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관통구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의 상부도어와; 이면에는 저장물이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하단의 도어힌지를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관통구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의 하부도어와; 상기 관통구의 후측에 설치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홈바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도어의 하단과 상기 하부도어의 상단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관통구를 차폐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도어의 이면에는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상부도어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된다.
상기 상부도어의 이면에는 저장물을 고정하는 홀더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에 의하면, 오픈(open)된 홈바도어의 상단에 저장물의 진열이 용이하고, 램프(lamp)로 인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 도어의 이면이 부분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홈바도어 설치구조의 요부인 홈바도어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홈바도어가 오픈(open)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이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4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인 냉동실과 냉장실이 베리어(42)에 의해 구획되어 나란히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좌측에는 냉동실(43)이 위치하고 우측에는 냉장실(45)이 위치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냉동실(43)이 냉장실(45)의 좌우에 나란히 형성되는 경우 외에도 냉동실(43)과 냉장실(45)이 상하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냉장실(45)의 하부에는 별도로 야채실(47)이 마련되기도 하며, 상기 냉동실(43)과 냉장실(45)에는 각각 저장물을 얹어 놓기 위한 선반(48)이 설치된다. 상기 선반(48)은 저장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저장공간을 구획하여 보다 많은 저장물이 보관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저장공간인 냉장고의 내부를 차폐하고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5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냉장고의 도어(50)는 냉장고본체(40)의 전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도어(50)의 이면에는 저장물을 보관하기 위한 도어바스켓(5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어(50)에는 냉장고의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관통구(54)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구(54)에는 간단하게 저장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홈바(60)가 설치된다. 상기 홈바(60)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내부의 저장물을 꺼낼 수 있도록 냉장고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홈바(60)는 상기 도어(50)의 이면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홈바(60)는 저장물의 저장공간(62)을 형성하는 홈바케이스(63)와 상부도어(64) 및 하부도어(6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도어(64)와 하부도어(66)에 의해 상기 관통구(54)가 개폐되며, 상기 상부도어(64)의 이면에는 램프(68)가 좌우에 형성된다. 상기 램프(68)는 상기 상부도어(64)가 오픈될 때 온(on)되고, 상기 상부도어(64)가 닫히면 오프(off)된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64)의 하단과 상기 하부도어(66)의 상단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라운드지게 곡률로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홈바케이스(63)의 후면에는 냉기통로(68)가 형성되어 냉장실 내부의 냉기가 홈바케이스(63) 내부로 유동 가능하게 한다.
도 4에는 상기 홈바(60)의 상부도어(64)와 하부도어(66)가 오픈된 상태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르면, 상기 상부도어(64)는 양측 상단에 형성된 힌지축(7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며 상기 힌지축(71)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도어(64)가 오픈(open)되었을 때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코일스프링(73)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73) 대신 고무벨트와 같은 다른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코일스프링(73)은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좌측단은 상기 상부도어(64)의 측면에 고정되고 우측단은 상기 관통구(54)의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코일스프링(73)은 장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힌지축(7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73)의 좌측고정부(73')는 상기 상부도어(64)의 측면에 상기 힌지축(71)과 수평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우측고정부(73")는 상기 관통구(54)의 측면 상단부에 적어도 상기 힌지축(71) 보다는 상측에 위치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7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상부도어(64)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코일스프링(73)의 설치상태에서는 상기 상부도어(64)가 닫혀지면 상기 코일스프링(73)이 상기 힌지축(71)의 후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상부도어(64)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도어(66)는 하단부의 양단에 형성된 도어힌지(81)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러한 하부도어(66)의 이면에는 병이나 캔 등의 저장물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83)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66)의 측면에는 하부도어(66)의 전방 회동을 제어하는 지지대(8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85)의 하단은 상기 하부도어(66)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관통구(54)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87)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도어(66)가 닫힐때에는 상기 지지대(85)의 상단이 상기 가이드홈(87)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부도어(66)가 오픈될 때에는 상기 지지대(85)의 상단이 상기 가이드홈(87)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85)의 상단이 상기 가이드홈(87)의 하단에 이르게 되면 상기 하부도어(66)의 전방회동이 멈추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도어(66)가 수평을 이루면서 정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도어(66)의 측면에는 걸림돌기(89)가 구비된다. 이러한, 걸림돌기(89)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관통구(54)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어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89)는 상기 하부도어(66)의 전면에 형성되는 손잡이(91)와 연결되어 있어 손잡이(91)의 작동에 따라 좌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91)를 당기면 상기 걸림돌기(89)가 당겨져 좌측으로 들어가므로 상기 하부도어(66)는 회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하부도어(66)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89)가 상기 관통구(54)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져 있으며, 이때 상기 손잡이(91)를 당기면 상기 걸림돌기(89)가 좌측방으로 당겨져 들어가므로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89)가 빠져나오게 되고, 이렇게 되면 상기 하부도어(66)는 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89)의 끝단은 둥글게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도어(66)를 닫을 때에는 상기 하부도어(66)를 그대로 들어올려 후방으로 밀어 넣어면 상기 걸림돌기(89)가 탄성에 의해 좌측방으로 밀려 들어가다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하부도어(66)가 닫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홈바도어인 상부도어(64)와 하부도어(66)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작은 잔이나 캔등을 꺼내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하부도어(66) 만을 오픈(open)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하부도어(66)의 손잡이(91)를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걸림돌기(89)가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하부도어(66)가 전방으로의 회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은 상기 하부도어(66)의 측면에 구비된 지지대(85)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87)의 하단에 이를 때까지 계속되다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도어(66)는 수평을 이룬다. 그리고, 이때 상기 상부도어(64)에 부착되어 있는 램프(68)는 켜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내부의 저장물이 큰 경우나 많은 저장물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하부도어(66)를 오픈한 다음, 상기 상부도어(64)도 오픈한다. 이때에는 상기 상부도어(64)의 하단을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서 상기 상부도어(64)를 들어올리면 된다.
즉, 상기 상부도어(64)는 상기 코일스프링(73)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부도어(64)를 들어올리는 힘이 상기 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을 능가하게 되면 상기 상부도어(64)는 열리게 되고, 상기 상부도어(64)가 열리면서 상기 코일스프링(73)의 위치가 상기 힌지축(71)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은 상기 상부도어(64)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는 힘이 된다.상기 상부도어(64)가 오픈되면 상기 램프(68)는 온(on) 되고, 사용자는 상기 관통구(54)를 통해 저장물의 인출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66)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하부도어(66)의 상단에 저장물 즉, 병이나 잔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도어(66)의 이면에 형성된 안착홈(83)에 병이나 컵 등을 얹어놓게 되고, 이러한 안착홈(83)에 의해 저장물은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홈바의 도어를 닫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상부도어(64)를 먼저 닫은 후 하부도어(66)를 닫는다. 즉, 상기 상부도어(64)의 선단을 아래방향으로 내리면서 후방으로 밀면 상기 상부도어(64)에 구비된 코일스프링(73)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상부도어(64)가 상기 관통구(54)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66)의 선단을 들어올리면서 후방으로 밀면, 하부도어(66)는 하단에 구비된 도어힌지(81)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관통구(54)에 밀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도어(66)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89)가 상기 관통구(54)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져 상기 하부도어(66)가 고정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관통구(54)는 상기 상부도어(64)와 하부도어(66)에 의해 완전히 차폐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도어(64)의 개폐를 제어하는 코일스프링(73)을 대신 다른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고정수단 없이 상기 상부도어(64)의 측면 힌지축(71)의 조임에 의해 회동 마찰력을 크게 하므로서 상부도어(64)의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66)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89)와 걸림홈 대신 다른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물론이다.
뿐만아니라, 상기 상부도어(64)의 이면에 높이가 큰 병 등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홀더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상부도어(64)의 이면에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다수개의 핀 등을 원형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원통형 또는 테이퍼진 형상을 만든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부도어(64)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는 하방으로 드리워지게 되고, 이러한 원통형의 홀더내에 병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면 병과 같은 저장물의 쓰러짐이 방지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에서는 홈바의 도어를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로 나누고, 상기 상부도어의 이면에는 램프를 부착하고 상기 하부도어의 이면에는 저장물을 안전하게 전시할 수 있는 다수의 홈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하부도어를 오픈한 상태에서 하부도어의 상단에 저장물을 얹어놓고 사용하는 경우 저장물의 미끄러짐이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에 부착된 램프는 상부도어가 오픈될 때에만 켜지고 하부도어의 오픈(open)시에는 켜지지 않는다. 따라서, 간단한 저장물의 인출입이필요하여 하부도어만 오픈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램프가 켜지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냉장고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도어와;
    상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관통구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의 상부도어와;
    이면에는 저장물이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하단의 도어힌지를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관통구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의 하부도어와;
    상기 관통구의 후측에 설치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홈바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도어의 하단과 상기 하부도어의 상단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관통구를 차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의 이면에는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상부도어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의 이면에는 저장물을 고정하는 홀더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KR10-2002-0077507A 2002-12-06 2002-12-06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KR100507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507A KR100507321B1 (ko) 2002-12-06 2002-12-06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507A KR100507321B1 (ko) 2002-12-06 2002-12-06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673A true KR20040049673A (ko) 2004-06-12
KR100507321B1 KR100507321B1 (ko) 2005-08-09

Family

ID=3734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507A KR100507321B1 (ko) 2002-12-06 2002-12-06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8998A1 (de) * 2015-07-16 2017-01-19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r entnahmetür
WO2017016767A1 (de) * 2015-07-24 2017-02-02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r abgabetü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517B1 (ko) 2004-11-01 2011-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홈바도어 작동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043Y1 (ko) * 1991-01-29 1993-0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합 냉장고의 신선실 구조
KR100210101B1 (ko) * 1997-05-24 1999-07-15 윤종용 냉장고용 홈바의 점등장치
KR200165778Y1 (ko) * 1997-11-10 2000-01-15 윤종용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구조
KR200232035Y1 (ko) * 1997-12-31 2001-10-25 윤종용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8998A1 (de) * 2015-07-16 2017-01-19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r entnahmetür
WO2017016767A1 (de) * 2015-07-24 2017-02-02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r abgabetür
US10605517B2 (en) 2015-07-24 2020-03-31 Bsh Hausgeraete Gmbh Refrigeration appliance comprising a delivery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321B1 (ko) 200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6903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US20120036882A1 (en) Refrigerator
KR20130053214A (ko) 냉장고
KR102609768B1 (ko) 냉장고
KR20110060091A (ko) 냉장고 또는 정수기의 디스펜서
KR100507321B1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설치구조
KR100643395B1 (ko) 냉장고용 계란선반
KR101040795B1 (ko) 냉장고의 홈바
KR20040049676A (ko) 냉장고의 홈바 설치구조
KR20050004926A (ko)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냉기공급장치
KR20040082699A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100518411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CN219103469U (zh) 一种防卡死的冰箱冷冻室抽屉
KR20040082705A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20040059044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설치구조
KR100890829B1 (ko) 냉장고의 선반
KR20040082702A (ko) 냉장고의 서랍식 저장박스 구조
KR200340300Y1 (ko) 냉장고의도어포켓지지장치
KR20060040292A (ko) 냉장고 틸팅바스켓
KR20040052135A (ko) 냉장고의 선반 설치구조
KR20040082703A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19990027984U (ko) 냉장고의 선반 구조
KR100255865B1 (ko) 냉장고
KR20040042967A (ko) 도어바스켓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어셈블리
KR20040048772A (ko) 냉장고의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