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793A -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793A
KR20040048793A KR1020030018853A KR20030018853A KR20040048793A KR 20040048793 A KR20040048793 A KR 20040048793A KR 1020030018853 A KR1020030018853 A KR 1020030018853A KR 20030018853 A KR20030018853 A KR 20030018853A KR 20040048793 A KR20040048793 A KR 20040048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nit
sound
mus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8632B1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피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피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피스트
Publication of KR2004004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3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시각을 통한 교육효과를 음악 교육에 첨가하고 또한 첨단장비인 컴퓨터를 교육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시스템이다.
이는 윈도우 운영시스템을 구비한 컴퓨터단말기에 설치되며, 설치된 사운드카드와 미디인터페이스카드를 검색하고 입출력포트를 설정하는 장치인터페이스부와;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음원저장부와; 다수의 음악기호를 저장하고 있는 음악기호저장부와; 각종 음원재생정보를 포함하여 음악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음악파일생성부와; 재생될 음악파일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재생목록저장부와; 음악파일에 포함된 음원재생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파일정보로딩부와; 로딩된 음원재생정보를 상기 장치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악파일재생부와; 음악파일의 재생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제어부와, 상기 재생되는 음악파일의 진행상황과 음원재생정보의 표시를 위한 파일정보표시부를 구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와;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연주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코드변환부를 포함하는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의 제시를 통해 교육환경에 적절한 수단을 제시하여 상기한 목적을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Sound playback system for education}
본 발명은 음원재생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활용 가능한 모든 음원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음원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고성능 컴퓨터가 대량 출시되고 있으며, 이는 사회생활 전반에 걸친 문화의 변화를 촉진시키게 되었다.
이의 일면으로 학습방법과 교육교재에 있어서도 컴퓨터가 이용되고 있는 바, 각종 교육자료의 작성과 저장 및 재생을 통한 교육이 시행되고 있는데, 그 중 음악 교육에 있어서도 컴퓨터가 교육비용의 절감, 보다 상세한 정보의 제공기능의 이점을 이용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컴퓨터를 통한 음원의 재생은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운영체제를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이는 사운드카드와 상기 사운드카드를 운영할 다양한 디지털 음원재생모듈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사운드카드란,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오디오적인 기능과 음원 그리고 미디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한 PC확장카드로써, PC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디지털이기 때문에 사운드에 관련된 데이터도 모두 디지털화하게 되어 있다. 소리는 아날로그 신호이기 때문에 디지털로 바꾸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사운드 카드에서는 샘플링(sampling)이라고 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바꾸면서 실제 음에 가깝게 낼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한다면 성능이 좋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사운드 카드의 16bit, 32bit, 64bit 등등의 숫자는 처리 비트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동시 발음 수를 말한다. 숫자가 클수록 당연히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음원 수가 많아져서 음색이 좋아진다.
사운드 카드의 일반적인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최소 4가지의 기능을 하는데 그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1) 신서싸이저(Synthesizer)2) MiDi 인터페이스
3)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꾸어주는 기능
4)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바꾸어주는 기능
상기 사운드 카드의 기능 중 신서싸이저(Synthesizer)란 사운드 카드로 하여금 음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그 음을 생성하는 종류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FM 합성(Frequency Modulation)이고 다른 하나는 웨이브 테이블(Wave Table)이다. FM 합성은 피아노는 아니지만 피아노에 나는 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내게 하는 것을 말한다. 말하자면 FM 합성은 인공적인 소리이다.
웨이브 테이블은 사운드 카드에 있어서 가장 고품질의 소리를 내는 것이다. 이것은 사운드 카드에서 나오는 소리가 실제 악기 연주나 음에서 나온 소리를 녹음, 샘플링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아노 연주를 샘플링(sampling)하여 사운드 카드에 저장하고 재생하면 피아노가 없어도 실제 피아노 소리를 듣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운드 카드에 마이크를 연결해서 무엇인가를 녹음하여 PC에서 스피커로 재생한다고 하면 녹음으로 인해 생성되는 디지털 파일이 있는데 그것을 보통 웨이브(Wave)파일이라고 부르며 마이크를 타고 들어온 소리를 디지털화한 것이다. 아날로그 신호인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것이 바로 사운드 카드의 A/D(analog digital)변환기능이다. 소리를 녹음하는 것을 샘플링(sampling)이라고 한다. 샘플링을 하는 기준에 따라 음질이 달라지는 데 샘플링 크기를 8bit로 한 것보다 16bit로 한 것이 음질이 좋아진다. 또한 초당 몇 천 번의 소리가 녹음될 수 있는 알아보는 샘플링 비율이 각각 11, 22, 44 KHz 인데 마찬가지로 숫자가 클수록 음질이 좋은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PC 사운드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원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음원응용모듈이라고 하며, 이러한 음원응용모듈은 미디(MIDI) 등과 같은 다양한 포맷의 음원재생과 합성에 이용되는데, 일예로써 디지털 미디음원이 이용되는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파일에는 음표, 음악의 빠르기 및 음악의 특성들을 나타내는 디지털 명령어가 들어 있는데, 음색은 전문 MIDI 음원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전자키보드에서 '도'키를 누르면, '도 눌러짐' 이라는 메시지가 생성되어 컴퓨터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도'가 떼어지면 '도 떼어짐'이라는 메시지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로 미디 파일이다. 즉, 수천 개의 각각의숫자 형태로 저장된 실제 사운드인 디지털 음향 표현과는 달리, 미디 파일은 신써사이저 등의 장치들이 언제, 어떻게 사운드를 생성하는지를 제어하는 정보들을 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화된 음원의 재생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악기 각각의 특색을 갖춘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원재생모듈은 그 응용에 따라 음악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교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PC와, PC내에 설치된 사운드카드를 이용한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음원재생시스템을 통해 음원의 시각적인 표시를 수행하고, 상기 시각적인 표현과 아울러 청각적인 음원재생을 통해 음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통한 음악의 쉬운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음원재생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블록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세부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자서비스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로딩부에 의한 곡 호출의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음원선택부에 의한 악기별 음원의 선택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악보표시선택부에 의해 악보-가사표시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악보표시선택부에 의해 악보-계명표시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파일정보표시부 중 건반계명표시부의 가사표시화면으로의 전환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사용자제어부 중 코드정보표시부의 코드정보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사용자제어부 중 메트로놈설정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사용자제어부 중 음원조율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사용자제어부 중 연주속도조절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이 장착된 컴퓨터단말기의 키보드 자판과 음원의 매칭을 통한 연주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이 장착된 컴퓨터단말기의 키보드를 대체하는 외부 디지털 연주장치의 연결을 통한 연주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퓨터단말기10 : 음원재생시스템
100 : 장치인터페이스부200 : 음원저장부
300 : 음악기호저장부400 : 음악파일생성부
500 : 재생목록저장부600 : 파일정보로딩부
700 : 음악파일재생부800 : 사용자인터페이스부
900 : 코드변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윈도우 운영시스템을 구비한 컴퓨터단말기에 설치되며, 설치된 사운드카드와 미디인터페이스카드를 검색하고 입출력포트를 설정하는 장치인터페이스부와;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음원저장부와; 다수의 음악기호를 저장하고 있는 음악기호저장부와; 각종 음원재생정보를 포함하여 음악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음악파일생성부와; 재생될 음악파일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재생목록저장부와; 음악파일에 포함된 음원재생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파일정보로딩부와; 로딩된 음원재생정보를 상기 장치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악파일재생부와; 음악파일의 재생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제어부와, 상기 재생되는 음악파일의 진행상황과 음원재생정보의 표시를 위한 파일정보표시부를 구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와;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연주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코드변환부를 포함하는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되는 음원은 미디음원이고, 상기 음원재생정보는 가사, 음계, 재생시간, 음원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제어부는 음악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로딩부, 다수곡의 연속재생 목록작성을 위한 재생목록생성부, 재생 및 정지 제어를 위한 재생선택부, 재생되는 곡의 속도조절을 위한 재생속도조절부, 각 화음별 음정조절을 위한 음정조절부, 각각의 화음에 대한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선택부, 재생곡의 악보 표시를 위한 악보표시선택부, 가사 또는 계명의 표시를 선택할 수 있는 가사/계명표시선택부, 각 화음별 음원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원별음량조절부, 재생되어 출력되는 전체음량의 선택을 위한 전체음량조절부, 강습시 이용하기 위한 연주속도와 박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트로놈설정부, 각 악기음원 및 기타음원에 대한 표준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조율부, 연주곡의 처음과 끝부분의 연주속도의 점차적인 증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주속도자동조절부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부는 재생되는 곡에 대한 악기음원종류, 악보, 가사, 계명을 표시하기 위한 연주정보표시부와, 재생되는 곡의 계명을 피아노건반에 표시하는 건반계명표시부, 로딩된 파일에 대한 장/단조종류 및 기본 코드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코드정보표시부를 더욱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블록도이고,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10)은 마이크로소프트社의 윈도우 운영체제(OS)가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컴퓨터단말기(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장치인터페이스부(100)는 상기 컴퓨터단말기(1)에 설치된 사운드카드 또는 미디인터페이스카드의 사용과, 입력장치(예, 키보드, 디지털건반 등)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사용을 위한 것으로써, 상기 카드의 재원을 이용해 오디오장치, 미디장치 등 외부장치와의 연결, 디지털/아날로그 음원의 입력 및 출력, 스피커 출력을 수행하고, 모뎀, 렌카드 등의 통신장치가 있을 경우 음원의 데이터통신 및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업데이트를 위해 이의 사용도 포함되는 것이 당연하다.
상기 음원저장부(200)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을 이용해 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보다 다양한 음원의 출력을 통한 간접적인 악기사용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부분으로써, 다양한 악기의 음원이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민속악기, 효과음 등으로 나눌 수도 있으며, 그 외 드럼, 퍼거션 등 여러 종류의 악기별로도 분류하여 저장 가능하다. 이때 저장되는 음원은 Wave, mp3포맷 등 다양한 포맷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음질, 용량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포맷을 미디(MIDI)파일로 제한하여 설명한다.
상기 음악기호저장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의 사용에 있어서 음악파일에 포함된 정보 중 각 악기에 따른 화음의 시각적 표현을 수행하기 위한 자료가 저장된 곳으로써, 각 음표, 쉼표, 음자리표 및 그 외 보조기호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음악파일생성부(4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장된 곡을 로딩하여 편집하거나 수정하였을 경우 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저장되는 곡에 대한 음계, 가사, 빠르기, 사용음원종류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저장되는 파일은 미디파일(*.mid) 또는 별도의 포맷(예를 들어, *.can)으로 저장 가능하다.
상기 재생목록저장부(500)는 사용자가 두 곡 이상의 곡을 순차 또는 무순차 연주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한 곡에 대한 재생순번, 곡의 저장위치, 제목 등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파일정보로딩부(6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곡된 곡을 재생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곡에 포함된 음원재생정보, 즉 가사, 음계, 재생시간, 음원종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이때 검색되는 정보는 추출하여 이용하고 검색되지 않은 정보는 해당 정보출력 서비스가 불가하게 된다.
상기 음악파일재생부(700)는 상기 파일정보로딩부(600)에 의해 추출된 음원재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장치인터페이스부(100)의 사운드카드에 디지털정보를 전달하여 그 음원의 재생을 수행한다. 상기 재생목록저장부(500)에 저장된 재생목록이 복수개 일 경우 순차적 또는 무순으로 재생한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800)는 도 2의 세부구성블록도와 같이, 크게 사용자제어부(810)와 파일정보표시부(850)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제어부(810)는 사용자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어메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파일정보표시부(850)는 음원재생에 따른 정보표시를 여러 항목에 걸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부분이다.
상기 사용자제어부(810)는 상기 컴퓨터단말기(1)내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로딩부(811)와, 다수곡의 연속재생 목록을 작성하여 상기 재생목록저장부(500)에 저장하기 위한 재생목록생성부(812)와, 재생시작/중지/일시정지 메뉴를 구비한 재생선택부(813)와, 재생곡 전체에 대한 재생속도를 빠르게/느리게 등으로 설종할 수 있도록 하는 속도조절메뉴를 구비한 재생속도조절부(814)와, 재생되는 음원의 옥타브(octave)변경 및 음정의 올림/내림을 수행하기 위한 음정조절부(815)와, 사용자가 원하는 화음에서 원하는 악기의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선택부(816)와, 재생되는 곡의 정보표시를 악보표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악보표시선택부(817)와, 재생되는 곡의 가사 또는 계명의 표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가사/계명표시선택부(818)와, 재생되는 각 화음별 악기음원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별음량조절부(819)와, 전체음량을 일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음량조절부(820)와, 강습시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연주속도와 박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트로놈설정부(821)와, 각 악기음원 및 기타음원에 대한 표준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조율부(822)와, 연주곡의 처음과 끝부분의 연주속도의 점차적인 증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주속도자동조절부(8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일정보표시부(850)는 재생 또는 연주되는 곡에 있어서 선택된 전체 또는 일부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인데, 재생 또는 연주되는 곡에 사용되는 악기, 악보, 가사, 계명을 표시하기 위한 소정 디스플레이 영역인 연주정보표시부(851)와, 상기 재생되는 곡 또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되는 음정을 피아노 건반과 일치시켜 보여주는 건반계명표시부(852)와, 로딩된 파일에 대한 장/단조종류 및 기본 코드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코드정보표시부(853)로 구성된다. 상기 연주정보표시부(851)는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와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코드변환부(900)는 상기 컴퓨터단말기(1)와 PS2포트, RS-232포트, USB포트 등으로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 키보드 또는 연주용 건반 등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컴퓨터단말기(1)에서 인식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시스템(10)에서 사용가능한 연주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키보드 각 자판기호에 따른 특정신호를 미리 설정된 음원신호로 변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의 동작과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자서비스화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원하는 곡의 재생을 위해 상기 로딩부(811)를 선택하게 되는데, 상기 도 4와 같이 컴퓨터단말기(10) 내의 특정 위치에 저장된 곡들을 보여주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곡(예를 들어, "구슬비")을 선택하면 사용된 음원의 악기종류와 각 악기의 연주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재생선택부(813)의 메뉴 중 연주/일시정지 등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재생속도조절부(814)에서 연주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정조절부(815)에서는 음정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음원선택부(816)를 선택할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다양한 악기음원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음원종류를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 5에서와 같이 악기 음원의 선택화면에서는 각각의 악기화면을 선택할 경우, 해당 악기에 대한 부가설명 또는 상세 사진 등의 정보를 상기 도 5 창의 측면 또는 일면에 부가되는 형식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 대한 교육적인 측면을 더욱 강화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악보표시선택부(817)를 선택할 경우 도 6과 같이, 연주정보표시부(851)에 악보-가사를 표시하고, 하단에 건반계명표시부(852)가 구성되는 화면으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악보-가사 표시는 도 7과 같이 가사/계명표시선택부(818)에 의해 악보-계명이 표시된 화면으로 전환 가능하다.
이때 상기 건반계명표시부(852)는 도 8과 같이, 곡의 재생 진행과 맞추어 노래방 기능과 같이 가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3 도시의 사용자제어부(810) 영역에 도시된 코드정보표시부(853)는 도 9와 같이, 연주되는 곡에 대한 장조/단조의 표시 및 코드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제어부(810)에는 상기 메트로놈설정부(821)와 같은 구성을 추가하여 음악의 레슨 등에서 필수적인 연주속도와 박자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메트로놈(Metronome)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도 10과 같이, 단축 아이콘과 그 정보표시창 사이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그 구성을 더욱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제어부(810)에는 도 11의 좌측도시와 같은 단축아이콘을 더욱 구비하여, 우측정보표시창과 같이 각 악기음원과 기타 음원의 표준음을 조율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조율부(822)를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도 3의 사용자제어부(810)의 일부에는 연주속도조절부(823)를 구성하여 도 12와 같이 연주속도의 점차적인 증가 또는 감소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반복회수까지 더욱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악학습 또는 레슨에 있어 핑거트레이닝의 효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도 13은 상기 컴퓨터단말기(1)에 연결된 키보드 상의 특정 버튼의 문자코드를 상기 코드변환부(900)를 이용하여 피아노건반 등의 특정 음과 1:1 연계시킨 개념을 이용하여 상기 키보드 상의 문자키와 건반 상의 음과의 연계를 통한 연주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방향키로는 옥타브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도 13에서와 같은 키보드의 버튼과 음원과의 매칭을 통한 연주기능과는 별도로 상기 컴퓨터단말기(1)에 상기 장치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직접 디지털 연주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바, 이는 도 14에서와 같이, PS2포트, RS232포트, 적외선 통신포트, USB포트,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전기통신적 연결을 이용하여 연주장치를 연결하고 입력되는 디지털 연주신호에 대응되는 음원을 화면과 스피커를 이용해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은 그 기능을 볼 때 학교, 학원 등에서 음악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재로도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청각적 교육방법의 일환에서 시각적인 교육효과를 가미하여 더욱 입체적인 음악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또한 음에 대한 개념과 악보를 보는 방법까지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세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고있다.

Claims (5)

  1. 윈도우 운영시스템을 구비한 컴퓨터단말기에 설치되며,
    설치된 사운드카드와 미디인터페이스카드를 검색하고 입출력포트를 설정하는 장치인터페이스부와;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음원저장부와;
    다수의 음악기호를 저장하고 있는 음악기호저장부와;
    각종 음원재생정보를 포함하여 음악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음악파일생성부와;
    재생될 음악파일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재생목록저장부와;
    음악파일에 포함된 음원재생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파일정보로딩부와;
    로딩된 음원재생정보를 상기 장치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악파일재생부와;
    음악파일의 재생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제어부와, 상기 재생되는 음악파일의 진행상황과 음원재생정보의 표시를 위한 파일정보표시부를 구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와;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연주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코드변환부
    를 포함하는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되는 음원은 미디음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재생정보는 가사, 음계, 재생시간, 음원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제어부는 음악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로딩부, 다수곡의 연속재생 목록작성을 위한 재생목록생성부, 재생 및 정지 제어를 위한 재생선택부, 재생되는 곡의 속도조절을 위한 재생속도조절부, 각 화음별 음정조절을 위한 음정조절부, 각각의 화음에 대한 음원을 선택할 수있도록 하는 음원선택부, 재생곡의 악보 표시를 위한 악보표시선택부, 가사 또는 계명의 표시를 선택할 수 있는 가사/계명표시선택부, 각 화음별 음원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원별음량조절부, 재생되어 출력되는 전체음량의 선택을 위한 전체음량조절부, 강습시 이용하기 위한 연주속도와 박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트로놈설정부, 각 악기음원 및 기타음원에 대한 표준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음원조율부, 연주곡의 처음과 끝부분의 연주속도의 점차적인 증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주속도자동조절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정보표시부는 재생되는 곡에 대한 악기음원종류, 악보, 가사, 계명을 표시하기 위한 연주정보표시부와, 재생되는 곡의 계명을 피아노건반에 표시하는 건반계명표시부, 로딩된 파일에 대한 장/단조종류 및 기본 코드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코드정보표시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KR10-2003-0018853A 2002-12-03 2003-03-26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KR100468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76126 2002-12-03
KR1020020076126 2002-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793A true KR20040048793A (ko) 2004-06-10
KR100468632B1 KR100468632B1 (ko) 2005-01-27

Family

ID=3734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853A KR100468632B1 (ko) 2002-12-03 2003-03-26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156B1 (ko) * 2004-12-0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156B1 (ko) * 2004-12-0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8300851B2 (en) 2004-12-08 2012-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aging sound source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8632B1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5956B2 (ja) 携帯用音声合成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0560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reation and playback of animated, interpretive, musical notation and audio synchronized with the recorded performance of an original artist
Rothstein MIDI: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JP2000194360A (ja) 音の電子的発生方法及び装置
EP2786371A2 (en)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 of a played chord on a virtual instrument
JP3928529B2 (ja) 電子楽器
CN110335578A (zh) 音乐输入装置及方法
KR100468632B1 (ko) 교육용 음원재생시스템
JPH11194763A (ja) 伴奏補助装置及び伴奏補助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546331B1 (ko)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JP5969421B2 (ja) 楽器音出力装置及び楽器音出力プログラム
JP4236533B2 (ja) 楽音発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94890B2 (ja) 録音した自分の歌声と模範歌唱とを厳しく比較できるカラオケ装置
JP7425558B2 (ja) コード検出装置及びコード検出プログラム
JPH0728462A (ja) 自動演奏装置
JP6076423B1 (ja) 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方法
Young All About--Music Technology in Worship
KR200435595Y1 (ko)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Dvorin Apple Pro Training Series: Logic Pro 8: Beyond the Basics
Dannenberg et al. A Project in Computer Music: The Musician’s Workbench
Dvorin et al. Logic Pro 9: Advanced Music Production
Serra A Project in Computer Music: The Musician’s Workbench
Bianchi et al. Buyer's Guide to Electronic Keyboards
Alty The well-tempered computer [musical applications]
Kortier The MIDI harp: what is a MIDI har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