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765A -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765A
KR20040048765A KR1020020076736A KR20020076736A KR20040048765A KR 20040048765 A KR20040048765 A KR 20040048765A KR 1020020076736 A KR1020020076736 A KR 1020020076736A KR 20020076736 A KR20020076736 A KR 20020076736A KR 20040048765 A KR20040048765 A KR 2004004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nozzle
auxiliary
main
suction
intak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8765A/ko
Publication of KR2004004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흡입노즐를 상이한 청소목적부위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착탈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흡입노즐(100)은 저면에 흡입구(102)가 형성되어 있는 주흡입노즐(110)과, 상기 주흡입노즐(1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흡입노즐(120)를 포함한다. 상기 주흡입노즐(110)의 선단 좌우 양측에는 지지축(110')이 돌출되게 성형되어 상기 보조흡입노즐(1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축(110')과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110')과 대응되는 장착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흡입노즐의 저면에, 카펫트의 먼지를 털어낼 수 있는 브러시가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Suction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면의 환경에 따라 충분한 공기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0)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흡입노즐(20)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12)와, 상기 흡입호스(12)의 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14)와, 상기 손잡이(14)와 흡입노즐(20)을 연결하는 연장관(16)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1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서, 흡입노즐(20) 및 그 주변의 연결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흡입노즐(20)의 외형을 이루는 주흡입노즐(22)의 후면에는 흡입파이프(2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파이프(24)의 후방에는 연결관(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파이프(24)는, 연결관(26)을 통하여 상기 연장관(16)에 결합되어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흡입노즐(22)의 저면에는, 청소하는 바닥면의 먼지 등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8)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28)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파이프(24) 및 연결관(26) 등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것이다.
상기 흡입파이프(24)는, 흡입노즐(20)과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파이프(24)는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24')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주흡입노즐(22)에 장착된다. 따라서 흡입노즐(20)을 통하여 청소하는 바닥면을 따라, 상기 흡입파이프(24)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청소하기 가장 적합합 각도를 선택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흡입노즐(20)은, 연장관(16)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청소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흡입노즐은, 단순히 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뿐이고, 예를 들어 카펫트 등과 같은 부분의 청소기 먼지를 털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이렇게 청소하는 부분의 먼지를 털어내기 위해서는 별도의 흡입구를 장착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종래의 흡입노즐은, 그 사용상태에 있어서 일정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의 흡입이라는 기본적인 기능밖에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흡입노즐은, 실질적으로 그 저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하는 대상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지 않으면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연장관을 이용하여 보다 경사진 상태로 흡입노즐을 조작하게 되면 흡입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노즐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상이한 청소목적부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 보조흡입노즐를 상기 흡입노즐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흡입노즐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흡입노즐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흡입노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입노즐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흡입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흡입노즐102: 흡입구
110: 주흡입노즐110': 지지축
112: 흡입파이프114: 연결관
116: 바퀴120: 보조흡입노즐
120': 장착공122: 보조흡입공
124: 브러쉬126: 보조바퀴
128: 스퀴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하는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연장관을 경유하여 청소기 본체로 보내는 흡입노즐어셈블리로써; 저면에는 흡입구가 성형되는 주흡입노즐; 그리고 상기 주흡입노즐의 선단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저면에는 상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보조흡입공이 성형되는 보조흡입노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흡입노즐의 저면 선단에 브러쉬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흡입노즐의 저면 후단에는 연질의 스퀴즈가 장착될 수 있다.
보조흡입노즐을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흡입노즐의 양측에는 지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흡입노즐의 양측에는 장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이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흡입노즐이 주흡입노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흡입노즐의 저면에는 상기 주흡입노즐이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때 바닥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흡입노즐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며, 흡입노즐의 동작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과 동일한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흡입노즐(100)은, 저면에 흡입구(102)가 형성되어 있는 주흡입노즐(110)과, 상기 주흡입노즐(1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흡입노즐(1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입노즐은, 저면에 흡입공(102)가 형성된 주흡입노즐(110)과, 상기 주흡입노즐(110)의 선단에 설치되는 보조흡입노즐(120)로 구성된다.
상기 주흡입노즐(110)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02)로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 본체(10)로 안내하는 주흡입노즐(110)의 후방에는 흡입파이프(112)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파이프(112)의 후단에는 연장관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14)이 설치된다.
상기 주흡입노즐(110)의 후단부 좌우 양측에는, 상기 흡입노즐(100)이 청소를 수행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주흡입노즐(110)이 바닥면을 따라 전후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바퀴(116)가 설치된다.
상기 주흡입노즐(110)의 선단부 좌우 양측에는 지지축(110')이 돌출되게 성형되어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에 대하여 상기 주흡입노즐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파이프(112)가 상방으로 더 이상 회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주흡입노즐(110)이 상기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청소기의 손잡이(14)를 수직에 가깝게 세워서 청소를 할 수 있어 편리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조흡입노즐(120)는 주흡입노즐(110)의 전면에 상기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축(110')과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110')과 대응되는 장착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120')이 지지축(110')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보조흡입노즐(120)는 주흡입노즐(1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축(110')에 대하여, 보보흡입구(120)를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120')의 일측은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측이 개구된 장착공(120')을 구비하는 보조흡입노즐(120)는, 주흡입노즐(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상기 보조흡입노즐(120)를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의 저면 중앙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구(102)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흡입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흡입공(122)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흡입구(102)를 경유하여 상기 주흡입노즐(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의 저면 선단에는 브러쉬(12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124)는 흡입노즐(100)의 흡입력만으로는 카페트와 같은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카펫트와 같은 바닥면의 먼지를 털어내어 이물질이 포함되는 공기가 상기 보조흡입노즐(1220) 및 흡입구(102)를 통하여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의 저면 후단에는 상기 좌우 양측으로 보조바퀴(126)가 설치될 수 도 있어, 상기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노즐(100)이 상방으로 조절된 상태에서도, 상기 보조흡입노즐(120)가 바닥을 따라 전후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에는 스퀴즈(12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퀴즈(128)는 흡입노즐(100)의 흡입력만으로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기 어려운 경우, 바닥면과 밀착되어 먼지가 흡입되기에 적당한 위치에 모아주거나 바닥면에 눌러붙은 이물질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그리고 상기 스퀴즈(128)는 상기 보조흡입공(122)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을 통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와의 사이에서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주흡입노즐(110)의 선단부에, 상기 브러쉬(124)가 부착된 보조흡입노즐(120)를 대응시키고, 상기 장착공(120')에 상기 지지축(110')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장착공(120')의 개구되어 있는 부분을 상기 지지축(110')에 밀어 넣으면, 상기 지지축(110')이 상기 장착공(120')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축(110')이 상기 장착공(120')에 안착되었으면, 상기 흡입노즐(100)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14)를 잡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노즐(100)의 저면에는 바퀴(116)가,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의 저면에는 보조바퀴(126)가 회전하면서, 먼지가 쌓인 바닥의 표면을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공간이 협소하여 청소기의 손잡이(14)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에 가깝게 세워서 청소를 해야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를 위로 들어올리면, 상기 흡입파이프(112)가 상방으로 더이상 회동할 수 없는 시점에서 연장관(16)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에 가깝게 세워지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에 대하여 상기 흡입노즐(100) 자체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보조흡입노즐(120) 저면에는 보조바퀴(126)가 회전하여 바닥을 이동하기 때문에 바닥에 대한 청소는계속하여 원활하게 진행되고, 원하는 부분의 청소를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흡입노즐(100)의 선단에는 착탈가능하게 청소대상면에 따른 다양한 기능의 보조흡입노즐(120)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노즐(100)이 상기 보조흡입노즐(120)에 대하여 상기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목적대상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조흡입노즐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기대된다.

Claims (6)

  1. 청소하는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연장관을 경유하여 청소기 본체로 보내는 흡입노즐어셈블리로써;
    저면에는 흡입구가 성형되는 주흡입노즐; 그리고
    상기 주흡입노즐의 선단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저면에는 상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보조흡입공이 성형되는 보조흡입노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노즐의 저면 선단에 브러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노즐의 저면 후단에는 연질의 스퀴즈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흡입노즐의 양측에는 지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흡입노즐의 양측에는 장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이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흡입노즐이 주흡입노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노즐의 저면에는 상기 주흡입노즐이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때 바닥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바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은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주흡입노즐의 지지축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KR1020020076736A 2002-12-04 2002-12-04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KR20040048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736A KR20040048765A (ko) 2002-12-04 2002-12-04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736A KR20040048765A (ko) 2002-12-04 2002-12-04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765A true KR20040048765A (ko) 2004-06-10

Family

ID=3734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736A KR20040048765A (ko) 2002-12-04 2002-12-04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87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617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617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659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US7996954B2 (en) Path-conversion valv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JP2001314358A (ja) 真空掃除機
GB2320889A (en) Vacuum cleaner brush head assembly
US8959706B2 (en) Vacuum cleaner
KR100507035B1 (ko) 진공청소기용 보조흡입구
US20070039126A1 (en) Angle control apparatus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20070109390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20040048765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어셈블리
US20110072611A1 (en)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JP2594238Y2 (ja) ハンディークリーナ
JP200114928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3759414B2 (ja) 真空掃除機用ブラシヘッド
JP3066368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KR20030085165A (ko) 청소기
KR200159657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더스트커버설치구조
KR200164816Y1 (ko) 청소기의 흡입 장치
JP2006026201A (ja) 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H114786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KR20010047086A (ko) 진공청소기용 보조흡입구
JP2003339587A5 (ko)
KR200205466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328541Y1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JP2006025980A (ja) 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20013012A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