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033A - 조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033A
KR20040048033A KR1020020075785A KR20020075785A KR20040048033A KR 20040048033 A KR20040048033 A KR 20040048033A KR 1020020075785 A KR1020020075785 A KR 1020020075785A KR 20020075785 A KR20020075785 A KR 20020075785A KR 20040048033 A KR20040048033 A KR 20040048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heating device
heat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철
보리스
김태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8033A/ko
Priority to US10/397,222 priority patent/US6881936B2/en
Priority to CNB031103251A priority patent/CN1249382C/zh
Priority to EP03252504A priority patent/EP1427257A3/en
Priority to JP2003166744A priority patent/JP2004184065A/ja
Publication of KR2004004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03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캄폿을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일관된 최적의 캄폿 조리 품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는 건조된 조리물이 물과 함께 적재되는 조리실과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가열 장치의 미리 설정된 초기 출력을 통해 조리물을 가열하고, 조리물이 끓으면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켜 고온의 수분이 조리물에 흡수되도록 하며, 가열 장치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켜 물의 양이 감소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 및 방법{COOK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조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조시킨 과일을 물에 넣고 끓여서 만드는 과일 음료를 캄폿(compote)이라고 하는데, 이 캄폿을 조리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용기에 건조 과일과 적당량의 물, 설탕을 넣고 가열하여 조리는 것이다. 건조 과일을 물에 넣고 비교적 오랜 시간 끓이면 건조 과일의 과육이 수분을 흡수하면서 먹기 좋은 상태로 되고, 여기에 설탕과건조 과일에서 배출되는 당분이 가미되어 맛을 더욱 좋게 한다. 단, 캄폿을 조리할 때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장시간 가열하면 최적의 조리 품질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양호한 조리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화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키면서 조리해야 한다. 또 각 단계별 화력의 지속 시간도 조리 결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캄폿을 조리할 때 용기를 가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쿡탑과 같은 개스/전열 기기가 사용된다. 캄폿을 조리함에 있어 화력과 시간의 정밀한 조절이 조리 품질을 좌우하는 절대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단순히 조리자의 감각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균일한 최적의 조리 품질을 획득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캄폿을 조리할 때 조리자가 조리기 옆에 항시 대기하여 화력을 조절하고 캄폿의 조리 상태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다른 일을 할 수 없다. 즉, 조리 시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캄폿을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일관된 최적의 캄폿 조리 품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캄폿 조리 특성을 나타낸 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캄폿 조리 알고리즘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캄폿 조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는 건조된 조리물이 물과 함께 적재되는 조리실과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가열 장치의 미리 설정된 초기 출력을 통해 조리물을 가열하고, 조리물이 끓으면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켜 고온의 수분이 조리물에 흡수되도록 하며, 가열 장치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켜 물의 양이 감소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조리 장치는 건조된 조리물이 물과 함께 적재되는 조리실과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개스 센서는 조리실 내부 공기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는 가열 장치의 미리 설정된 초기 출력을 통해 조리물을 가열하면서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을 획득하고,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켜 고온의 수분이 조리물에 흡수되도록 하며, 가열 장치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켜 물의 양이 감소하도록 한다.
또한, 건조된 조리물이 물과 함께 적재되는 조리실과,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를 구비하는 조리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방법은 가열 장치의 미리 설정된 초기 출력을 통해 조리물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조리물이 끓으면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켜 고온의 수분이 조리물에 흡수되도록 하고, 가열 장치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켜 물의 양이 감소하도록 한다.
건조된 조리물이 물과 함께 적재되는 조리실과,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 조리실 내부 공기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개스 센서를 구비하는 조리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조리 방법은 가열 장치의 미리 설정된 초기 출력을 통해 조리물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조리물이 가열될 때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을 획득하고,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켜 고온의 수분이 조리물에 흡수되도록 한다. 가열 장치의 출력을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켜 물의 양이 감소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평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본체(102)는 격벽(114)으로 구획되는 조리실(104)과 전장실(106)을 구비한다. 본체(102)의 전면에는 도어(108)와 조작 패널(110)이 설치된다.
조리실(104) 내부의 바닥에는 조리용 트레이(104a)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 트레이(104a) 위에 조리할 음식물이 놓인다. 전장실(106)의 반대쪽에는 또 다른 격벽(116)에 의해 구획되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는데, 이 공간에는 조리실(104) 내부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특정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개스 센서(112)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조리실(104) 내의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습기)의 양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며,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습기)의 양에 반비례하는 전압 신호(S)를 출력한다.
전장실(106)에는 마그네트론(106a)과 냉각 팬(106b), 에어 덕트(106c)가 설치된다. 마그네트론(106a)은 초고주파(Microwave)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냉각 팬(106b)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마그네트론(106a)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냉각 팬(106b)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106)의 에어 덕트(106c)를 통해 조리실(104)로 공급되고, 조리실(104)을 통과한 공기는 개스 센서(112)를 거쳐 본체(102)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2)의 입력 포트에는 입력부(110a)와 개스 센서(112), 저장부(214)가 연결된다. 입력부(110a)는 도 1의 조작 패널(110)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이 입력부(110a)를 통해 조리 조건과 설정 값 등을 선택 또는 입력한다. 저장부(21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조리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일례로 조리 데이터는 캄폿을 조리하는데 필요한 각 단계별 마그네트론 출력 및 조리 시간 등에 대한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202)는 저장부(214)에 저장되어 있는 조리 데이터를 참조하여 마그네트론(106a)의 출력과 조리 시간을 결정함으로서 캄폿을 자동으로 조리한다.
제어부(202)의 출력 포트에는 마그네트론 구동부(204)와 팬 구동부(206), 모터 구동부(208), 표시 구동부(210)가 연결되며, 각각 마그네트론(106a)과 냉각 팬(106b), 트레이 모터(212), 표시부(110b)를 구동한다. 트레이 모터(212)는 조리실(104) 내에 설치되는 트레이(104a)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110b)는 도 1의 조작 패널(110)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조건이나 설정 값, 조리 진행 상태 등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캄폿의 특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조건에서 조리 실험을 실시하여 최적화되고 균일한 조리 품질을 얻기 위한 캄폿의 조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캄폿을 짧은 시간 동안 고온으로 가열하면 건조 과일의 내부까지 충분히 조리되지 않을 뿐 아니라, 건조 과일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캄폿 조리의 초기에는 물이 끓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가열하고, 물이 끓으면 가열량을 줄이되 가열된 수분이 건조 과일의 내부까지 충분히 흡수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 동안 조리해야 한다. 최적의 캄폿 조리 품질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단위 과정마다 다음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적절한 가열량 및 조리 시간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캄폿 조리는 끓이기와 잦히기(simmer down), 찌기, 뜸들이기 과정으로 구분하여 가열 정도와 조리 시간을 설정한다. 즉, 캄폿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캄폿과 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물을 끓이고(끓이기), 물이 끓으면 가열량을 줄이되 물의 온도가 적절히 유지되도록 가열량을 조절하여 고온의 수분이 건조 과일의 내부까지 충분히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잦히기). 잦히기 과정이 완료되면 가열량을 단계적으로 상승시켜서 물의 양이 줄어들도록 한다(찌기). 뜸들이기 과정에서는 잦히기 과정과 동일한 출력에서 장시간 조리되어 캄폿의 맛과 농도가 최적화된다. 즉, 잦히기 과정에서는 건조 과일에 수분이 흡수되고, 찌기·뜸들이기 과정에서는 수분의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캄폿의 맛과 농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은 캄폿의 조리 특성을 도 3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캄폿 조리 특성을 나타낸 표로서, 각각의 단계에서 요구되는 마그네트론 출력과 조리 시간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캄폿의 자동 조리를 위해서는 마그네트론(106a)을 구동하기에 앞서 개스 센서(112)의 초기 출력 값(S0)을 구하는 초기화 과정이 요구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캄폿의 자동 조리에서 끓이기 과정의 조리 시간의 길이는 조리 시 발생하는 수분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개스센서(112)의 초기 출력 값(S0)에 대한 현재 출력 값(S)의 비율에 따라 끓이기 과정의 종료 시점이 결정된다. 개스 센서의 초기 출력 값(S0)을 구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에서는 전장실(106)의 냉각 팬(106b)을 사용하여 외부 공기를 조리실(104) 내부로 일정 시간(예를 들면 50초) 동안 불어 넣어 순환시킴으로써 조리실(104) 내부의 수분을 최소화하고, 송풍이 완료되면 개스 센서(112)의 초기 출력 값(S0)을 획득한다.
끓이기 과정에서 마그네트론(106a)의 출력(Pf)은 900W이며, 조리 시간은 개스 센서(112)의 현재 출력 값(S)에 대한 초기 출력 값(S0)의 비 S/S0가 미리 정해진 계수(ρ)보다 큰 시점(즉, S/S0> ρ)까지이다. 캄폿의 자동 조리 시 계수(ρ)는 0.6으로서 개스 센서(112)의 현재 출력 값(S)이 초기 출력 값(S0)의 60% 이하가 되면 끓이기 과정이 종료된다. 이와 달리, 개스 센서(112)의 현재 출력 값(S)이 미리 설정된 값(ψ) 이하로 감소하면 끓이기 과정이 종료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설정 값(ψ)은 개스 센서(112)의 특성과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어떤 센서를 사용하든 끓이기 과정의 조리 시간을 실험을 통해 획득한 최적의 시간으로 제한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단, 개스 센서(112)의 오동작과 같은 특정 상황 발생시 끓이기 과정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끓이기 과정의 조리 시간(Tf)을 캄폿의 분량에 따라 최대 9분으로 제한한다. 끓이기 과정이 완료되면 잦히기 과정을 실시하기 위해 마그네트론의 출력을 끓이기 과정의 50~70%로 낮추고 캄폿의양에 관계없이 2분간 조리한다.
찌기 과정에서는 마그네트론의 출력을 100W씩 2단계에 걸쳐 높여서 조리한다. 즉, 찌기 과정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600W의 출력에서 2분 동안 조리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출력을 700W로 높여 1분 동안 조리한다. 찌기 과정은 건조 과일을 지속적으로 끓이면서 수분을 증발시켜 캄폿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뜸들이기 과정은 캄폿의 맛과 농도를 최적화하는 과정으로서, 잦히기 과정과 동일한 500W의 출력에서 총 조리 시간이 17분이 될 때까지 진행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캄폿의 총 조리 시간은 17분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캄폿 자동 조리의 뜸들이기 과정은 총 조리 시간에서 끓이기와 잦히기, 찌기 과정에 소요된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동안 실시됨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잦히기 과정이나 찌기 과정이 미리 정해진 조리 시간동안 실시되는 것처럼 뜸들이기 과정의 조리 시간 역시 일정한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캄폿 조리 알고리즘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특성 곡선(402)은 개스 센서(112)의 출력 값(전압)을 나타내고, 특성 곡선(404)은 마그네트론(106a)의 출력(P)과 조리 시간(T)을 나타낸다. 도 4에서 캄폿을 조리하기 위한 끓이기 과정은 900W의 출력에서 5분 가량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이는 조리 시작 후 5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개스 센서(112)의 현재 출력 값(S)이 초기 출력 값(S0)의 60%로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끓이기 과정이 종료되면 곧바로 잦히기 과정이 실시되는데 500W의 출력 하에서 2분동안 진행되고, 이어서 찌기 과정은 600W와 700W에서 각각 2분과 1분씩 진행된다. 뜸들이기 과정은 500W의 출력에서 총 조리 시간이 17분이 될 때까지 진행된다. 즉, 도 4 에 나타낸 캄폿 조리의 경우, 끓이기 과정에 5분, 잦히기 과정에 2분, 찌기 과정에 3분이 소요되었으므로, 뜸들이기 과정은 6분 10초 동안 실시되어 총 조리 시간이 17분으로 한정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캄폿 조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조리실(104) 내부에 바람을 불어넣어 습도를 최소화한 다음 개스 센서(112)의 초기 출력 값(S0)을 획득한다(502). 마그네트론(106a)의 출력을 Pf로 하여 끓이기 과정을 실시한다(504). 끓이기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개스 센서(112)의 현재 출력 값(S)을 획득한다(506). S/S0> ρ 또는 S < ψ의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판별하여(508), 조건이 충족되면 마그네트론(106a)의 출력을 P1로 전환하고 잦히기 과정을 진행한다(512). 만약 위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끓이기 단계의 최대 제한 시간인 Tf가 경과했는지를 판별하여(510), Tf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개스 센서(112)의 현재 출력 값(S) 획득 과정(506)을 반복하고, Tf가 경과하면 마그네트론(106a)의 출력을 P1로 전환하여 잦히기 과정을 진행한다(512). 잦히기 과정 진행 시간인 T1이 경과했는지를 판별하여(514), T1이 경과하면 마그네트론(106a)의 출력을 P2로 전환하여 찌기 과정의 첫 번째 단계를 진행한다(516). T2가 경과하면(518) 마그네트론(106a)의 출력을 P3으로 전환하여 찌기 과정의 두 번째 단계를 진행한다(520). T3가 경과하면(522) 마그네트론(106a)의 출력을 Pe로 전환하여 뜸들이기 과정을 진행한다(524). 총 조리 시간인 Te가 경과하면(526) 캄폿 조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 및 방법은 일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캄폿을 자동으로 조리함으로써 매 조리시마다 일관된 최적의 캄폿 조리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6)

  1. 조리 장치에 있어서,
    건조된 조리물이 물과 함께 적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와;
    상기 가열 장치의 미리 설정된 초기 출력을 통해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고, 상기 조리물이 끓으면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켜 고온의 수분이 상기 조리물에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켜 상기 물의 양이 감소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이 건조된 과일인 조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의 1차 감소된 출력 값이 상기 초기 출력 값의 50~70%인 조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가 고주파 발생 장치이고;
    상기 고주파 발생 장치의 최대 출력을 상기 가열 장치의 초기 출력으로 하는조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가 고주파 발생 장치이고;
    상기 고주파 발생 장치의 상기 초기 출력 값이 900W이고, 상기 1차 감소된 출력이 450~630W인 조리 장치.
  6. 조리 장치에 있어서,
    건조된 조리물이 물과 함께 적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와;
    상기 조리실 내부 공기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개스 센서와;
    상기 가열 장치의 미리 설정된 초기 출력을 통해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켜 고온의 수분이 상기 조리물에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켜 상기 물의 양이 감소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기 전의 상기 개스 센서의 초기 출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조리물을 가열할 때 상기 개스 센서의 현재 출력 값을 획득하여 상기 초기 출력값에 대한 상기 현재 출력 값의 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키는 조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스 센서의 현재 출력 값이 상기 초기 출력 값의 60% 이하일 때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키는 조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이 물과 건조 과일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 센서의 초기 출력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조리실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조리실 내부 습도를 최소화하는 조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열 장치가 구동될 때 상기 송풍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 장치를 냉각시키는 조리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조리실 내부의 습도를 반비례적으로 표현하는 전압 레벨인 조리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의 총 조리 시간이 미리 설정되고;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의 증가 및 감소 동작 시간이 상기 총 조리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로 제한되는 조리 장치.
  14. 건조된 조리물이 물과 함께 적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를 구비하는 조리 장치를 이용한 조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의 미리 설정된 초기 출력을 통해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고, 상기 조리물이 끓으면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켜 고온의 수분이 상기 조리물에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켜 상기 물의 양이 감소하도록 하는 조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이 건조된 과일인 조리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의 1차 감소된 출력이 상기 초기 출력의 50~70인 조리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가 고주파 발생 장치이고;
    상기 고주파 발생 장치의 최대 출력을 상기 가열 장치의 초기 출력으로 하는 조리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가 고주파 발생 장치이고;
    상기 고주파 발생 장치의 초기 출력 값이 900W이고, 상기 1차 감소된 출력 값이 450~630W인 조리 방법.
  19. 건조된 조리물이 물과 함께 적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 상기 조리실 내부 공기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개스 센서를 구비하는 조리 장치를 이용한 조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의 미리 설정된 초기 출력을 통해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켜 고온의 수분이 상기 조리물에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켜 상기 물의 양이 감소하도록 하는 조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이 건조된 과일인 조리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의 가열하기 전의 상기 개스 센서의 초기 출력 값을 획득하고, 상기 조리물을 가열할 때 상기 개스 센서의 현재 출력 값을 획득하여 상기 초기 출력 값에 대한 상기 현재 출력 값의 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키는 조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 센서의 현재 출력 값이 상기 초기 출력 값의 60% 이하일 때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을 1차 감소시키는 조리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 센서의 초기 출력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조리실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조리실 내부 습도를 최소화하는 조리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열 장치가 구동될 때 상기 송풍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 장치를 냉각시키는 조리 방법.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조리실 내부의 습도를 반비례적으로 표현하는 전압 레벨인 조리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의 양에 따라 총 조리 시간이 미리 설정되고;
    상기 가열 장치의 출력의 증가 및 감소 동작 시간이 상기 총 조리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로 제한되는 조리 방법.
KR1020020075785A 2002-12-02 2002-12-02 조리 장치 및 방법 KR20040048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785A KR20040048033A (ko) 2002-12-02 2002-12-02 조리 장치 및 방법
US10/397,222 US6881936B2 (en) 2002-12-02 2003-03-27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oking fruit
CNB031103251A CN1249382C (zh) 2002-12-02 2003-04-08 自动烹饪水果的装置和方法
EP03252504A EP1427257A3 (en) 2002-12-02 2003-04-17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oking fruit
JP2003166744A JP2004184065A (ja) 2002-12-02 2003-06-11 自動調理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785A KR20040048033A (ko) 2002-12-02 2002-12-02 조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033A true KR20040048033A (ko) 2004-06-07

Family

ID=3231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785A KR20040048033A (ko) 2002-12-02 2002-12-02 조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81936B2 (ko)
EP (1) EP1427257A3 (ko)
JP (1) JP2004184065A (ko)
KR (1) KR20040048033A (ko)
CN (1) CN124938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2272B2 (en) * 2008-09-29 2013-01-08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xt to speech synthesi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2399B (sv) * 1974-09-05 1982-03-08 Ando Momofuku Sett att framstella snabbkokande ris
GB2033108B (en) * 1978-09-26 1983-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rolling heating apparatus
JPS58220385A (ja) * 1982-06-16 1983-12-2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制御式調理器
US4571341A (en) * 1983-07-27 1986-02-18 Tsuyoshi Sugimura Process for continuous rice cooking by steaming and apparatus therefor
DE3724214C2 (de) 1986-10-04 1989-01-12 Hans Stam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gerfaehigen, ganze fruechte enthaltenden fruchtzubereitungen ohne konservierungsstoffe und deren verwendung
US4791263A (en) * 1987-12-28 1988-12-13 Whirlpool Corporation Microwave simmering method and apparatus
KR930010264B1 (ko) 1991-04-19 1993-10-16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레인지의 밥짓기 제어방법
KR0133476B1 (ko) * 1994-03-18 1998-04-23 구자홍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
US5567458A (en) * 1995-02-02 1996-10-22 Wu; James 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diabatic cooking
SE506605C2 (sv) * 1996-05-31 1998-01-19 Whirlpool Europ Förfarande för styrd kokning i en mikrovågsugn, sådan ugn och dess användning
SE514526C2 (sv) * 1999-06-24 2001-03-05 Whirlpool Co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ett kokningsförlopp i en mikrovågsugn samt mikrovågsugn härfö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9382C (zh) 2006-04-05
EP1427257A2 (en) 2004-06-09
US20040104223A1 (en) 2004-06-03
CN1504684A (zh) 2004-06-16
JP2004184065A (ja) 2004-07-02
EP1427257A3 (en) 2006-08-02
US6881936B2 (en)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6824B2 (en) High-frequency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359647B (ko)
EP0838637B1 (en) Microwave heater
WO2005103570A1 (ja) 加熱調理器
JPH094849A (ja) 加熱調理装置
KR20040048032A (ko) 조리 장치 및 방법
KR101014072B1 (ko) 가열조리기
KR20040048034A (ko) 조리 장치 및 방법
JP6796771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スチーム加熱方法
EP1335634A2 (en) Microwave oven
EP1335633B1 (en) Microwave oven with rice cooking function
KR20040048033A (ko) 조리 장치 및 방법
JP2002253423A (ja) 誘導加熱式炊飯器
JP5531510B2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7287878B2 (ja) 加熱調理器
JP4987570B2 (ja) 加熱調理器
JP2005058150A (ja) 食品解凍装置
JP2009085517A (ja) 加熱調理器
JP2004286439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436264B1 (ko) 전자렌지의 취사방법
JP2023017629A (ja) 加熱調理器
KR100432746B1 (ko) 전자레인지의 가열시간보상방법
JPH0143214B2 (ko)
KR19980021670U (ko) 전자렌지
JP2002306330A (ja) 誘導加熱式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