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170A -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170A
KR20040046170A KR1020020074008A KR20020074008A KR20040046170A KR 20040046170 A KR20040046170 A KR 20040046170A KR 1020020074008 A KR1020020074008 A KR 1020020074008A KR 20020074008 A KR20020074008 A KR 20020074008A KR 20040046170 A KR20040046170 A KR 20040046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oment
composite beam
concrete
mo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561B1 (ko
Inventor
김회준
서동영
문용현
Original Assignee
(주)스틸엔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417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4617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틸엔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스틸엔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02-007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5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 및 그 합성빔을 연속화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제작할 때 연속화 거동이 이루어 지도록 경간 분할점에서 정모멘트 부재와 부모멘트 부재로 나누어 제작하되 정모멘트 부재의 제작시에는 상향의 솟음을 주어 제작한 강재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재하하여 하향의 솟음으로 변화시킨 후 강재의 하단부에 구속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를 형성하고, 재하된 프리플렉션 하중을 서서히 제거하여 압축력을 도입하게 되며, 부모멘트 부재를 제작할 경우에는 강재에 하단부 콘크리트만을 타설양생하고, 경간 분할점에서 강재를 서로 연결하여 합성빔을 제작하고 있다.
이때, 정모멘트 부재와 부모멘트 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강재의 연결부에 강재를 사선으로 절단한 사선 절단부를 형성하여 "V"자 형태로서 1 ~ 3㎝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연속 합성빔을 제작하기 위하여 정,부모멘트 부재를 서로 연결할때에는 강재에 형성된 사선 절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을 없애게 서로 접하게 한후에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정모멘트 부재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량이 상기 사선 절단부의 연결에 의하여 강재에 발생되는 복원 모멘트에 의하여 일부가 상쇄되므로서 정모멘트 부재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량이 작게되어 안전하고 날렵한 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형 교량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continued prestressed composite beam having a slanted cross-section portion formed in steel and method for continuously constructing the composite beam}
본 발명은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의 경간 분할점에서 강재에 형성된 사선 절단부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연속화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제작할 때 연속화 거동이 이루어 지도록 경간 분할점에서 정모멘트 부재와 부모멘트 부재로 나누어 제작하되 정모멘트 부재의 제작시에는 상향의 솟음을 주어 제작한 강재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재하하여 하향의 솟음으로 변화시킨 후 강재의 하단부에 구속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를 형성하고, 재하된 프리플렉션 하중을 서서히 제거하여 압축력을 도입하게 되며, 부모멘트 부재를 제작할 경우에는 강재에 하단부 콘크리트만을 타설양생하고, 경간 분할점에서 강재를 서로 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제작하고 있다.
이때, 정모멘트 부재와 부모멘트 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강재의 연결부에 강재를 사선으로 절단한 사선 절단부를 형성하여 "V"자 형태로서 1 ~ 3㎝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연속 합성빔을 제작하기 위하여 정,부모멘트 부재를 서로 연결할때에는 강재에 형성된 사선 절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을 없애게 서로 사선 절단부를 접하게 한후에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정모멘트 부재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량이 상기 사선 절단부의 연결에 의하여 강재에 발생되는 복원 모멘트에 의하여 일부가 상쇄되므로서 정모멘트 부재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량이 작게되어 안전하고 날렵한 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형 교량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서로 연결하여 연속화시공을 할 경우에 종전에는 정,부모멘트 부재를 이루고 있는 강재를 서로 연결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에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은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등에 의한 응력 감소분을 보정할 수 없어 단면형태가 과도하게 설계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연속화하기 위하여 정,부모멘트 부재를 연결할 때 정,부모멘트 부재를 이루고 있는 강재의 연결부에 사선 절단부를 형성하고 사선 절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강재에 사선 절단부에 의하여 형성된 2차모멘트에 의하여 정모멘트 부재의 휨모멘트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게되므로 결과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의 단면이 작아지므로서 거더 높이가 줄어들어 통수단면 및 형하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교량이 날렵하게 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에는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은 방법으로 시공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a)는 강재와 콘크리트에 피로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경간 분할점(9)에서 정모멘트 부재(7)와 부모멘트 부재(8)로 나누어 제작하게 되며 그 길이는 교대(11)와 교각(12)사이의 길이를 L 이라하면 2경간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길이는 2L이 된다. 이 길이를 0.825L에서 정모멘트 부재(7)와 부모멘트 부재(8)로 나누어 강재를 제작하되 정모멘트 부재의 강재(2)는 소정의 솟음(1)을 주어 제작하고, 부모멘트부재의 강재(3)는 솟음(1)을 주지 않은 상태로 제작한다. 도 1(b)는 정모멘트 부재 강재(2)에 프리플렉션 하중(4)을 주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조도로서 상향솟음(1)의 반대방향으로 정모멘트 부재의 강재(2)가 휘어지게 제작한다. 도 1(c)는 하향으로 휘어진 정모멘트 부재의 강재(2)에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5)를 타설하여 하향으로 변형된 솟음(1)을 구속하고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5)의 양생이 완료되면 프리플렉션 하중(4)을 서서히 제거하여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5)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정모멘트 부재(7)를 제작하고 부모멘트 부재(8)는 하연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로 제작한다. 도 1(d) 는 제작된 정모멘트 부재(7)와 부모멘트 부재(8)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며, 도 1(e)는 정모멘트 부재(7)와 부모멘트 부재(8)를 고장력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f)는 정모멘트 부재(7) 및 부모멘트 부재(8)의 상판 및 연결부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며, 도 1(g)는 상판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h)는 경간 분할점(9) 및 정모멘트 구간과 부모멘트 구간을 나타내는 구조도로서 경간 분할점(9)은 강재에 작용하는 피로응력을 최소화 하기위하여 정모멘트 구간과 부모멘트 구간을 나누는 0.75L보다 큰 0.825L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 이유는 차량등의 하중이 재하되었을 때 연결부가 일시적으로 정모멘트와 부모멘트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생기는 콘크리트 및 강재의 피로발생을 줄이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빔은 콘크리트 크리프 변형 및 건조수축에 의한 응력 감소분을 추가할 수 없어 과도한 단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연속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시 강재의 연결부에 사선 절단부를 형성하고 연결시 사선 절단부를 서로 접촉시켜 연결하므로서 강재에 2차적으로 발생하는 휨모멘트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연결하고 상판 콘크리트와 연결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정모멘트 부재에 발생되는 휨모멘트량을 감소시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거더의 폭을 줄이므로서 교량이 날렵하게 되며 형하공간 및 통수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b)(c)(d)(e)(f)(g)(h)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연속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b)(c)(d)(e)는 본 발명의 강재에 사선 절단부를 형성한 정모멘트 부재와 부모멘트 부재를 고장력볼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b)(c)(d)(e)(f)(g)(h)는 도 2의 방법으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향의 솟음 2... 정 모멘트 부재의 강재
3... 부모멘트 부재의 강재 4... 프리플렉션 하중
5...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6... 릴리스
7... 정모멘트 부재 8... 부모멘트 부재
9... 경간분할점 11... 교대
12... 교각 20... 사선 절단부
22... 인장력 23... 압축력
24... 간격 30... 연결부
본 발명은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의 경간 분할점에서 강재에 형성된 사선 절단부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연속화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제작할 때 연속화 거동이 이루어 지도록 경간 분할점(9)에서 정모멘트 부재(7)와 부모멘트 부재(8)로 나누어 제작하되 정모멘트 부재(7)의 제작시에는 상향의 솟음(1)을 주어 제작한 강재(2)에 프리플렉션 하중(4)을 재하하여 하향의 솟음으로 변화시킨 후 강재(2)의 하단부에 구속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5)를 형성하고, 재하된 프리플렉션 하중(4)을 서서히 제거하여 압축력(23)을 도입하게 되며, 부모멘트 부재(8)를 제작할 경우에는 강재(3)에 하단부 콘크리트만을 타설양생하고, 경간 분할점(9)에서 강재(3)를 서로 연결하고 상판 및 연결부(30)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 교량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때, 정모멘트 부재(7)와 부모멘트 부재(8)를 형성하고 있는 강재의(2,3) 연결부(30)에 강재(2,3)를 사선으로 절단한 사선 절단부(20)를 형성하여 "V"자 형태로서 1 ~ 3㎝ 크기의 간격(24)이 형성되도록 하고, 연속 합성빔을 제작하기 위하여 정,부모멘트 부재(7,8)를 서로 연결할때에는 강재에 형성된 사선 절단부(20)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24)을 없애고 서로 사선 절단부(20)를 접하게 한후에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판 콘크리트와 연결부(30)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게 되면 정모멘트 부재(7)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량이 상기 사선 절단부(20)의 연결에 의하여 강재에 발생되는 2차 모멘트인 복원 모멘트에 의하여 일부가 상쇄되므로서 정모멘트 부재(7)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량이 작게되어 안전하고 날렵한 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형 교량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b)(c)(d)(e)는 본 발명의 강재에 사선 절단부를 형성한 정모멘트 부재와 부모멘트 부재를 고장력볼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일반적인 연속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고정하중 작용시 모멘트도이며 모멘트 변곡점과 경간분할점(9)표시하였으며 빗금친 부분은 강재(2,3)와 콘크리트의 피로에 대한 여유길이부분을 표시하였다. 위 계산에 의한 여유길이는 0.825L-0.75L=0.075L로 표시될수 있다. 도 2(b)는 정,부모멘트 부재(7,8)의 강재(2,3)에 사선 절단부(20)를 서로 연결하여 발생하는 2차 모멘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강재를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태를 나태는 도면으로서, 사선 절단부가 서로 접하게 연결했을 때 중간지점에 작용하는 하중을 2P라 하면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상단부에는 인장력(22)이 발생하고 하단부에는 압축력(23)이 발생한다.
도 2(c)의 (1)은 설계시 계산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모멘트 부재(7)와 부모멘트 부재(8)를 이루고 있는 강재(2,3)의 연결부(30)를 사선으로 하는 사선 절단부(20)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며, 여기서 간격(24)은 1 ~ 3㎝로 하며 바람직한 간격(24)은 2㎝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2(c)의 (2)는 강재(2,3)의 연결부(30)에 형성된 사선 절단부(20)를 서로 접하게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선 절단부(20)를 서로 연결할 때 간격(24)을 두지 않게 사선 절단부(20)가 서로 접하게 하여 볼트로 연결하면 상기 간격(24)만큼 강재(2,3)에 2차 모멘트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함으로서, 이렇게 간격(24)을 두지 않고 강재(2,3)를 연결하면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강재(2,3)의 상부에는 인장력(22)이 강재의 하부에는 압축력(23)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2차 모멘트에 의해 정모멘트 부재(7)에 작용하는 설계 압축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단면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거더의 폭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d)는 강재의 사선 절단부를 서로 연결했을 때의 모멘트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사선 절단부(20)에서 발생되는 모멘트의 양은 거리와 힘의 곱으로 표현되므로 △M=P.L의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L은 지간길이를 나타내고 P는 사선 절단부(20)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나타낸다.
도 2(e)는 강재(2,3)에 사선 절단부(20)를 서로 접촉 연결시켰을 때 모멘트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e)의 1)은 사선 절단부(20)의 접합 연결로 인한 힘 2P를 가했을 때의 모멘트도를 나타내며 △M=P.L의 값으로 표시된다. 도 2(e)의 2)는 2경간 연속보의 고정하중에 의한 모멘트도이며 0.75L에서 모멘트 변곡점이 형성되어 있다. 도 2(e)의 3)은 사선 절단부(20)의 접합 연결로 인한 모멘트와 고정하중에 의한 모멘트의 합을 나타내는 모멘트도이며 도 2(e)의 1)+2)의 결과이다. 이로 인하여 정모멘트 구간의 길이가 고정하중에 의해서는 0.75L에 형성 되었으나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의 크기에 따라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즉 1)과2)의 모멘트를 합하게 되면 정모멘트 구간의 모멘트값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는 단면을 구성할 때 단면크기를 줄일수 있는 요인이 된다. 이것을 수식으로 풀이하면 도 2(e)의 2)는 최대 정모멘트 값이 0.375L 위치에서 발생하며 그 값은
......................[수식1]
로 표시된다. 여기서 w는 등분포하중 재하값이며 교량마다 다를 수 있는 변동 값이다.
그리고 응력은
.......................[수식2]
로 표시되며 Z는 단면계수값을 의미한다. 도 2(e)의 1)의 최대 모멘트 값은 M=P.L이며
△m=-0.375P.L.................[수식3]
으로 표시되며 P는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을 나타내며 L은 지간거리를 나타낸다.
이때의 응력은
.....................[수식4]
으로 표시되고 이는
다시.....................[수식5]
로 표시될 수 있다. △l은 도 2(c)에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을 나타내며 E는 단면의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계수이다. 이 식을 이용하여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에 의해 발생되는 2차모멘트의 양을 결정할 수 있게된다.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을 조정한 상태의 모멘트도인 도 2(e)의 3)은
...........[수식6]
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σ은 수식 5와 같이로 표시되므로
...............[수식7]
으로 변환되며
...................[수식8]
으로 변환되며
.................[수식9]
로 변환되어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를 산정할수 있다. 또
....................[수식10]
이므로
............[수식11]
로 표시되어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을 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을 통하여 정모멘트 구간의 변화가 발생하며 정모멘트 구간의 변화는 수식 1의에 수식 2의 △m=-0.375P.L을 더하여 산정하게 된다. 따라서 모멘트 변화값은 등분포하중에 의한 모멘트-0.375P.L로 산정된다. 즉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에 의해 발생되는 힘 P에 의하여 정모멘트 단면의 감소량이 결정되며 허용응력을 고려하여 산정하면 정모멘트 구간의 길이를 5∼10%를 감소 시킬수 있게 된다. 이 점은 연결부(30)가 압축측으로 이동되어 하부 케이싱 피로파괴를 줄이는 역할이 증대되는 부수적 효과도 있다. 도 2(e)의 3)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m의 크기에 따라 정모멘트 구간의 단면이 변화하며 도 2(e)의 1)에서 정모멘트 구간의 길이는 0.75L이며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을 조정 한후에는 0.6L∼0.70L로 정모멘트 구간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는 2차 포물선인 정모멘트양의 감소를 의미한다. 이렇게 감소된 정모멘트 양은 정모멘트의 단면을 더욱줄여 경제적이고 형하공간이 낮은 형태의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교량으로 제작할 수 있게된다. 실시예로서 2경간 연속보에서의 약간의 부모멘트 지점 단면 보강이 필요하나 교량 전체적으로는 단면감소가 5%정도 이루어진다.
도 3(a)(b)(c)(d)(e)(f)(g)(h)는 도 2의 방법으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정모멘트 부재(7)에는 상향의 솟음(1)을 주어 강재(2)를 제작하고 부모멘트 부재(8)는 솟음을 주지 않은 상태의 강재(3)로 제작하고, 도 3(b)는 정모멘트 부재(7)에 프리플렉션 하중(4)을 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며 도 3(c)는 정모멘트 부재(7)에 프리플렉션 하중(4)을 주어 상향으로 솟아있던 강재(2)를 하향으로 처지게 하여 강재(2)하단에 인장력(22)을 발생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3(d)는 정모멘트 부재(7)에는 구속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미리가한 하중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부모멘트 부재(8)는 콘크리트만을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e)는 정모멘트 부재(7)에 미리 가한 프리플렉션 하중(4)을 제거하여 정모멘트 부재(7)의 강재(2)를 최초의 상향의 솟음(1)상태로 복원 되면서 구속시킨 콘크리트에 압축력(23)이 도입되도록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며 도 3(f)는 제작된 정모멘트 부재(7)와 부모멘트 부재(8)를 교각(12)상에 가설하여 사선 절단부(20)를 서로 접촉 연결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g)와 같이 사선 절단부(20)를 서로 접촉하여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2차 모멘트를 발생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상기의 실제 시공방법은 강재(2,3)제작시 산정된 간격(24)만큼 사선 절단부(20)를 강재(2,3)의 양측 연결부에 형성하여 제작하고 이들 강재(2,3)를 서로 연결 거치단계에서 사선 절단부(20)의 간격(24)을 없애고 사선 절단부(20)를 서로 접촉시켜 연결하여 거치하면 손쉽게 강재(2,3)에 2차 모멘트인 내부응력이 발생되게 된다. 도 3(h)는 사선 절단부(20)를 서로 접촉연결하여 부재에 2차 모멘트인 내부응력이 발생한 상태에서 상판 및 연결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연속하여 제작함으로 인하여 연결부의 위치를 강재 및 콘크리트의 피로에 영향이 없는 곳에서 경간분할을 통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하며 정,부모멘트 부재를 이루고 있는 강재의 연결부에 사선 절단부를 형성하여 이들 사선 절단부를 서로 접촉 연결시키면 사선 절단부의 간격이 없어지므인하여 2차 모멘트인 내부응력이 강재에 발생되어 정모멘트 부재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합성비의 거더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교량의 단면을 감소시키게되므로 외관이 미려한 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시공법인 것이다.

Claims (4)

  1.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강재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이루고 있는 정모멘트 부재와 부모멘트 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강재의 연결부에 강재를 사선으로 절단한 사선 절단부를 형성하여 "V"자 형태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절단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일정한 간격은 1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사선 절단부를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서로 접촉 연결하여 강재에 발생되는 2차 모멘트에 의하여 교량의 단면감소량이 전체 교량의 단면적에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
  4.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을 연속으로 연결하여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정모멘트 부재에는 상향의 솟음을 준 강재의 연결부에 사선 절단부를 형성하고, 부모멘트 부재는 솟음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강재의 연결부에 사선 절단부를 설치하여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정모멘트 부재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주어 상향으로 솟아있던 강재를 하향으로 처지게 하여 강재 하단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단계;
    d) 상기 정모멘트 부재에는 구속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미리가한 하중을 제거하며, 부모멘트 부재는 콘크리트만을 타설하는 단계;
    e) 상기 정모멘트 부재에 미리 가한 프리플렉션 하중을 제거하여 정모멘트 부재의 강재를 최초의 상향의 솟음상태로 복원하면서 구속시킨 콘크리트에 압축력이 도입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정모멘트 부재와 부모멘트 부재를 교각상에 가설하여 경간 분할점인 강재의 연결부에 설치된 사선 절단부를 서로접촉시켜 고장력 볼트로 연결고정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강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사선 절단부를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강재에 2차 모멘트인 내부응력을 발생시키고, 강재의 상판 및 연결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의 가설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2002-0074008A 2002-11-26 2002-11-26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0478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08A KR100478561B1 (ko) 2002-11-26 2002-11-26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08A KR100478561B1 (ko) 2002-11-26 2002-11-26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335U Division KR200306938Y1 (ko) 2002-11-26 2002-11-26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170A true KR20040046170A (ko) 2004-06-05
KR100478561B1 KR100478561B1 (ko) 2005-03-23

Family

ID=3734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008A KR100478561B1 (ko) 2002-11-26 2002-11-26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5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61B1 (ko) * 2004-11-12 2007-08-01 (주)피에스아이테크놀로지 프리플렉스 연속 합성형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770574B1 (ko) * 2006-10-09 2007-10-26 (주)피에스아이테크놀로지 프리스트레스된 철골철근 콘크리트 합성형 라멘교 및 그시공방법
KR20140065338A (ko) * 2012-11-21 2014-05-29 이현우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61B1 (ko) * 2004-11-12 2007-08-01 (주)피에스아이테크놀로지 프리플렉스 연속 합성형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770574B1 (ko) * 2006-10-09 2007-10-26 (주)피에스아이테크놀로지 프리스트레스된 철골철근 콘크리트 합성형 라멘교 및 그시공방법
KR20140065338A (ko) * 2012-11-21 2014-05-29 이현우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8561B1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704B1 (en)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ulti-step tension prestressed girder
KR10179106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재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KR100478561B1 (ko)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JP2948909B2 (ja) 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その連続梁のための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
KR100525054B1 (ko)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콘크리트 빔
KR200306938Y1 (ko)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프리스트레스트 합성빔
KR100767145B1 (ko)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KR200386508Y1 (ko) 상하부 거더의 하부거더에 압축력을 도입하면서 상부거더에도 인장력이 도입되도록 하면서 상하부거더를강결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강재보
KR101232330B1 (ko) 코아부와 메인빔을 이용하여 제작된 거더,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384817Y1 (ko) 만곡 파형 강판 복부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KR100562758B1 (ko) 프리캐스트 합성빔 제작방법
KR100449230B1 (ko) 고강도 강판과 볼트를 이용하여 제작한 에이치형압연강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에이치형 압연강재보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66541B1 (ko) 콘크리트가 충전된 이중복부판 구조를 갖는 강합성 교량의프리스트레스트 주형간의 연속결합구조
KR100465350B1 (ko) 편심거리가 연장된 피에스씨 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00049712A (ko) 프리플렉스 합성보를 이용한 토류벽용 말뚝 제작 공법
KR100627004B1 (ko) 비대칭 강재빔 및 그 제작방법
KR100514405B1 (ko) 분할형 프리플렉스 연속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03590U (ko) 선압축보를 합성한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거더
KR101476150B1 (ko) 프리토션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0416217B1 (ko) 합성구조재
KR960009273B1 (ko)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960001727B1 (ko) 연속보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연속보교량의 시공방법
KR102051320B1 (ko) Icc 거더
KR20030037258A (ko) 연속 긴장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KR100556190B1 (ko) 프리플렉스 합성형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522

Effective date: 2009120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105

Effective date: 20100812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915

Effective date: 2010120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216

Effective date: 201103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