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682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682A
KR20040044682A KR1020020072810A KR20020072810A KR20040044682A KR 20040044682 A KR20040044682 A KR 20040044682A KR 1020020072810 A KR1020020072810 A KR 1020020072810A KR 20020072810 A KR20020072810 A KR 20020072810A KR 20040044682 A KR20040044682 A KR 2004004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mpressor
vibration
refrigerant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4682A/ko
Publication of KR2004004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68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기와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는 냉매배관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진동이 상기 케이스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흡수하는 유연관으로 구성되어 공기조화기 작동시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냉매배관을 따라 케이스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The outdoor unit's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유연관을 연결시킴으로 압축기의 진동이 케이스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가열, 냉각, 제습 등의 작용을 이루어 다시 실내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그 구조적 특징에 의해 일체형, 분리형, 천정 매립형, 벽걸이형, 덕트형, 멀티형 등 많은 종류의 공기 조화기가 있는 바, 여기서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한정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부가 절개 도시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되, 상기 실내와 실외기는 서로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와, 열교환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팽창밸브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공기가 흡/토출되는 흡입구(2a) 및 토출구(2b)가 형성된 케이스(2) 내측에 압축기(4)와 응축기(6) 및 팽창밸브(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상기 압축기(4)와 팽창밸브(미도시)는 상기 실내기 측의 증발기(미도시)와 냉매배관(8)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4)와 팽창밸브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금속 재질의 냉매배관(8)은 상기 케이스(2)에 걸림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는 작동시 상기 압축기(4)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냉매배관(8)을 따라 상기 실내기 측으로 전달될 뿐 아니라 상기 케이스(2)로 직접 전달되거나, 상기 압축기(4)가 상기 케이스(2)에 설치된 부분을 따라 전달되어 구조적인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4)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실내기 및 케이스(2)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4)는 방진고무(4a)에 의해 상기 케이스(2)에 설치될 뿐 아니라 상기 압축기(4)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2) 측에 걸림되도록 설치되는 냉매배관(8) 즉 상기 케이스(2) 내측에 위치되는 냉매배관(8)의 길이를 늘리기 위하여 각종 루프가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압축기(4)의 진동이 냉매배관(8)을 따라 케이스(2)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매배관(8)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냉매배관(8)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진동 저감의 효과는 커지나 재료비용이 높아질 뿐 아니라 상기 케이스(2) 내부에 냉매배관(8)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4)의 진동이 상기 케이스(2)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기와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압축기가 작동되는 경우 진동이 냉매배관을 따라 케이스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부가 절개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부가 절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케이스 54 : 압축기
56 : 응축기 58 : 팽창밸브
60 : 냉매배관 62 : 유연관
64 : 서비스 밸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기와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는 냉매배관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진동이 상기 케이스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흡수하는 유연관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부가 절개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배관(60)에 의해 증발기(미도시)가 포함된 실내기(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외곽을 형성함과 동시에 공기가 흡/토출되는 흡입구(52a) 및 토출구(52a)가 형성된 케이스(52)와, 상기 케이스(5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54)와, 상기 압축기(54)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응축기(56)와, 상기 응축기(56)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밸브(58)와, 상기 응축기(56) 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56) 측으로 실외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측 송풍팬(59a) 및 모터(59b)와, 상기 케이스(52) 내측에 위치되는 냉매배관(60) 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54)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유연관(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54)는 하단이 방진고무(54a) 및 볼트(54b)에 의해 상기 케이스(5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54)와 팽창밸브(58)는 상기 실내기 측의 증발기와 상기 냉매배관(60)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냉매배관(60)을 개폐시킬 수 있는 서비스 밸브(64)가 상기 케이스(52)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상기 유연관(62)은 상기 냉매배관(60)이 상기 케이스(52)와 접촉되는 서비스 밸브(64) 근방에 설치되되, 상기 유연관(62)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벨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연관(62)은 유연성과 단열성을 만족하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된다.
그리고, 상기 유연관(62)은 상기 냉매배관(60)에 용접 연결되거나,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다양하게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54)와 서비스 밸브(64) 사이에 위치된 냉매배관(60)은 최단길이로 설치되며, 그 중간에 상기 유연관(62)이 설치된다.
한편, 도 2와 도 3에서 미도시된 도면 부호 59c는 상기 모터(59b)를 상기 응축기(56)에 고정시키는 모터 마운트이고, 64a는 상기 서비스 밸브(64)를 상기 케이스(52)의 일측에 고정시켜주는 서비스 밸브 마운트이며, 65는 상기 압축기(54)에서 방사되는 소음 및 진동이 상기 응축기(56) 및 실외측 송풍팬(59a)과 모터(59b) 측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52) 내부에 상기 압축기(54)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가 작동되고, 냉방부하가 주어지면 상기 압축기(54)가 작동되고, 냉매는 압축기(54), 응축기(56), 팽창밸브(58), 증발기를 따라 순환하게 되며, 상기 응축기(56) 측에는 실외공기가 송풍되어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매를 응축시키고, 상기 증발기 측에는 실내공기가 송풍되어 냉매와 열교환되어 차가워진 다음 실내측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54)는 냉매가 순환되도록 냉매를 압축시키도록 작동됨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압축기(54)의 진동은 상기 압축기(54)의 하단 및 상기 압축기(54)와 연결된 냉매배관(60)을 따라 전달된다.
물론, 상기 압축기(54)의 하단 측으로 전달된 진동은 상기 방진고무(54a)에 흡수되어 상기 케이스(52) 바닥면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압축기(54)와 연결된 냉매배관(60) 측으로 전달된 진동은 상기 냉매배관(60) 중간에 설치된 유연관(62)에 흡수되어 상기 서비스 밸브(64) 및 상기 케이스(52) 측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는 실내기와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압축기가 작동되는 경우 냉매배관을 따라 케이스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케이스 내측에 위치된 냉매배관 사이에 설치된 유연관에 흡수되기 때문에 케이스 내측의 냉매배관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외기의 구조적인 진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기와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는 냉매배관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진동이 상기 케이스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흡수하는 유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관은 벨로우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관은 상기 냉매배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KR1020020072810A 2002-11-21 2002-11-2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KR20040044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810A KR20040044682A (ko) 2002-11-21 2002-11-2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810A KR20040044682A (ko) 2002-11-21 2002-11-2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682A true KR20040044682A (ko) 2004-05-31

Family

ID=3734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810A KR20040044682A (ko) 2002-11-21 2002-11-2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46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1803A1 (en) Horizontal discharge air conditioning unit
EP162808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9821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EP1921389A2 (en) Air conditioner having ventilation system
JP3103144U (ja) 空気調和機の熱放出部、及び空気調和機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KR20040044682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진동저감구조
KR100606733B1 (ko)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68165B1 (ko) 천정형 에어컨의 드레인패널
JPH11270923A (ja) 室外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4004468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소음저감구조
CN219913271U (zh) 空调室外机
CN111412541A (zh) 多功能一体式空调
KR100829132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공기누설 방지구조
CN213300299U (zh) 窗式空调器
KR20010037825A (ko) 소음저감 창문형 에어컨
KR10057306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및 분리형공기조화기용 실외기
JP6909819B2 (ja) 吹出口アダプター
WO2020021678A1 (ja) 室内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379398B1 (ko) 공기조화기의 열방출부
KR10069642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4002070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45405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고정구조
WO2020170363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100582303B1 (ko) 에어컨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