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197A -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197A
KR20040042197A KR1020020070368A KR20020070368A KR20040042197A KR 20040042197 A KR20040042197 A KR 20040042197A KR 1020020070368 A KR1020020070368 A KR 1020020070368A KR 20020070368 A KR20020070368 A KR 20020070368A KR 20040042197 A KR20040042197 A KR 2004004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ata
path
base st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561B1 (ko
Inventor
안병익
박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2-007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5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561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망을 통해 발신측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고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세션 호 서버와 결합되는 기지국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통화 요청 신호 또는 타 기지국으로부터의 음성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통화 요청 신호 또는 타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데이터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 또는 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가 데이터 신호인 경우 상기 설정된 데이터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nnecting Multimedia Call Through Different Transmission Path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세션의 경로와 데이터 세션의 경로를 개별로 구비하여 음성통화는 종래의 음성 경로를 통하고, 화상, 문자 등의 데이터는 데이터 경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통화 품질이 우수하고, 멀티미디어의 통화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수가 천만명을 넘어섰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단순한 음성 통화 외에 문자 메시지, 파일 전송, 화상 통화 등의 멀티미디어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이러한 멀티미디어 통화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음성, 화상,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차세대 통신방식인 IMT-2000이 제안되어 현재 개발 완료단계에 이르렀는데, IMT-2000의 데이터 통신속도는 이동시에 144 ~ 384Kbps, 정지시에는 2Mbps의 통신속도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전화통화자의 얼굴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이를 현재 호접속 상태에 있는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망에 의한 음성 및 데이터 통화 연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 19) 간에 화상 통화를 할 경우에는, 발신자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음성 신호 및 화상 전화 데이터가 PSTN망(13) 및 데이터 망(15)을 통해 각각 수신자 휴대 단말기(19)로 전송된다.
발신측 기지국(11)은 상기 발신자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PSTN망(13)을 통해, 화상 데이터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망(15)을 통해 수신측 기지국(17)을 거쳐 수신자 휴대 단말기(19)로 전송하는데, 하나의 음성 신호의 전송시에는 상기 데이터 망(15)은 이용되지 않으며, 데이터 신호의 전송시에는 상기 PSTN망(13)이 이용되지 않는다. 즉, 상기 발신측 기지국(11)에서는 한번에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중 하나의 신호만을 전송한다.
이러한 현재의 이동통신망은 음성만을 가정한 망이라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서, 데이터 세션을 열기 위해서는 별도의 서버를 거치거나 전송로의 예약 알고리즘에 의해 데이터 세션의 품질은 음성에 비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호는 기존의 음성통화에 비해 음성의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망의 불합리를 극복하고, 우수한 품질의 멀티미디어 통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음성 세션의 경로와 데이터 세션의 경로를 개별로 구비하여 음성통화는 종래의 음성 경로를 통하고, 화상, 문자 등의 데이터는 데이터 경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통화 품질이 우수하고, 멀티미디어의 통화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데이터 경로 상에 데이터 세션호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데이터호 통신 연결처리의 수행 및 데이터호 통신의 관리를 통해 보다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기 데이터 세션호 서버에서 데이터 호의 통화 패킷에 대한 과금처리를 수행하여 음성 통화 과금과 데이터 통신 과금을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신망에 의한 음성 및 데이터 통화 연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세션 호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세션 호 서버에서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 내에서 수신한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음성 통화중 데이터 전송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중 데이터 전송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화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20 : 발신자 단말기, 21 : 발신측 기지국,
29 : PDSN, 31 : 데이터 망,
33 : 데이터 세션 호 서버, 33-1 : 망 연동부,
33-2 : 정합부, 33-3 : 호 연결 처리부,
33-4 : 호 상태 관리부, 35 : 수신측 기지국,
37 : 수신자 단말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무선망을 통해 발신측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고,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세션 호 서버와 결합되는 발신측 기지국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통화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통화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데이터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가 데이터 신호인 경우 상기 설정된 데이터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무선망을 통해 수신측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고,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세션 호 서버와 결합되는 수신측 기지국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측 기지국으로부터의 음성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데이터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로 전송된 것임- 및 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가 데이터 신호인 경우 상기 설정된 데이터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망을 통해 발신측 기지국 및 수신측 기지국과 결합되는 데이터 세션 호 서버에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승인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수신측 기지국 간에 데이터 호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망을 통해 발신측 기지국 및 수신측 기지국과 결합되고, 데이터 통신을 관리하는 데이터 세션 호 서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망 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연동부, 상기 데이터 망과의 프로토콜을 정합시키기 위한 정합처리를 수행하는 정합부, 휴대용 단말기 간의 호 연결이 시도될 때 수신자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위치 및 수신가능여부를 확인하여 호 연결을 처리하기 위한 호 연결 처리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 간에 호 연결중 호의 상태를 일정 주기마다 확인하기 위한 호 상태 관리부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및 상태, 호 상태 및 과금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션 호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 간에 개별의 경로를 통해 멀티미디어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 휴대 단말기 및 수신자 휴대 단말기와 무선망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음성 통신장치 및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간의 데이터 호 연결을 생성 및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은 크게 기지국(21, 35), 음성 통신장치(200) 및 데이터 통신장치(300)으로 구성된다.
기지국(21, 35)은 발신자 휴대 단말기(20)에 무선망을 통해 결합되는 발신측 기지국(21)과 수신자 휴대 단말기(37)와 무선망을 통해 결합되는 수신측 기지국(35)이 있으며, 단말기들(20, 37)로부터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을 개별 경로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음성 통신장치(200)는 발신측 기지국(21)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측 기지국(35)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PSTN망(25)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2 개의 교환기(MSC)(23)으로 구성된다. 교환기(23)는 양측 기지국(21, 35) 간의 음성 호 경로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 통신장치(300)는 발신측 기지국(21)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측 기지국(35)으로 전송하고, 양측 기지국(21, 35) 간의 데이터 호 경로 연결을 생성 및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킷 제어기(27), PDSN(29),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로 구성되어 있다.
패킷 제어기(27)는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PDSN(29)은 기지국과 데이터 망 간의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데이터 망을 통해 PDSN(29)과 결합되고, 양측 기지국(21, 35) 간의 데이터 호 연결 처리 및 호 상태 제어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에 관해서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코덱(CODEC)(51), 보코더(VOCODER)(53), 저장부(55), RF 송수신부(57), 촬상부(59), 키 입력부(61), 출력부(63), 표시부(65), MSM칩(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덱(CODEC)(51)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압축 데이터로 부호화하고, 수신된 압축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것이다.
보코더(VOCODER)(53)는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부(55), RF 송수신부(57), 키 입력부(61), 출력부(63) 및 표시부(65)의 구성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촬상부(59)는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통화자의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상된 이미지는 코덱(51)에서 압축된 후 수신자 휴대 단말기(37)로 전송된다.
MSM칩(50)은 상기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통상적인 기능 외에 데이터 변복조시 복수개의 채널을 변복조하고, 출력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각각의 채널에 해당하는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개별의 경로를 통해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망 연동부(33-1), 정합부(33-2), 호 연결 처리부(32-3), 호 상태 관리부(32-4) 및 데이터베이스(33-5내지 33-8)로 구성된다.
망 연동부(33-1)는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와 데이터 망 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정합부(33-2)는 데이터 망(31)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예를 들면, SIP, H.323 등)을 수용하는 정합처리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호 상태 관리부(33-4)는 일단이 정합부(3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휴대용 단말기 간 또는 서버간에 진행되고 있는 호의 상태를 일정 주기마다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의 시도, 호의 종료 여부, 호가 사용중인가 등을 확인한다.
호 연결 처리부(33-3)는 일단이 호 상태 관리부(3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휴대용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이 시도될 때 수신자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위치 및 수신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호 연결을 처리하기 위한 부분이다.
데이터베이스(33-5 내지 33-8)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및 상태, 호 상태 및 과금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휴대 단말기 기능 데이터베이스(33-5), 휴대 단말기 상태 데이터베이스(33-6), 호 상태 데이터베이스(33-7), 과금 데이터베이스(33-8)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 기능 데이터베이스(33-5)는 휴대 단말기가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 호의 종류 및 데이터 호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 상태 데이터베이스(33-6)는 현재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저장하고 있으며, 그외에 데이터 망에의 접속 여부, 데이터 망에 접속시 해당 주소(IP등)등을 저장하고 있다.
호 상태 데이터베이스(33-7)는 현재 진행중인 데이터 호의 종류에 대한 상태를 저장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현재의 발신측, 수신측, 접속시간, 데이터 호의 종류, 전송된 데이터의 크기/회수 등을 저장하고 있다.
과금 데이터베이스(33-8)는 종료된 호에 대한 과금을 위한 기록을 저장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종료된 호의 발신측, 수신측, 접속시간, 데이터 호의 종류, 전송된 데이터의 크기/회수 등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성능 및 망 구현상의 이유로 별도의 서버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기지국(21)에서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발신측 기지국(21)은 발신자 휴대 단말기(20)로부터 음성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10). 즉, 발신자가 발신자 휴대 단말기(20)를 통해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누르면 음성 통화 요청 신호가 발신측 기지국(21)으로 전송되게 된다.
그 다음, 발신측 기지국(21)은 음성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교환기(MSC)(23)로 전송하고(S20), 교환기(23)를 통해 수신측 기지국(35)과 음성 호 경로가 설정된다(S30). 음성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PSTN망(25)을 통해 복수개의 교환기(23)를 거쳐 수신측 기지국(35)으로 전달된다.
그 다음, 발신측 기지국(21)은 발신자 휴대 단말기(20)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40). 화상 통화의 예를 들면, 발신자 휴대 단말기(20)가 화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화상 통화 기능 설정 또는 화상 통화 선택을 하면 상기 과정은 발신자 휴대 단말기(20)내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만일 미리 화상 통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발신자는 통화키를 누르면 자동적으로 상기 과정이 수행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음성 통화 연결과 데이터 통화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처럼 인식하게 된다.
그 다음, 발신측 기지국(21)은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패킷 제어기(27) 및 PDSN(29)을 거쳐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로 전송한다(S50).
그 다음,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패킷 제어기(27) 및 PDSN(29)을 거쳐 수신측 기지국(35)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호 경로를 연결한다(S60).
상기 단계에 의해 음성 신호를 PSTN망(25)을 통해 수신측 기지국(35)과 송수신하고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세션 호(33)를 경유하여 PDSN망(27)을 통해 수신측 기지국(35)과 송수신하게 된다. 즉, 양 휴대 단말기(20, 37) 간에 음성 호 및 데이터 호가 모두 연결되고, 음성 통화와 동시에 데이터 통화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화상통화의 경우 음성은 음성 호 경로를 따라,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호 경로를 따라 별개로 전송되어 통화 품질이 향상되게 된다.
그 다음, 발신측 기지국(21)은 발신자 휴대 단말기(20)로부터 음성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70). 즉, 발신자가 발신자 휴대 단말기(20)를 통해 종료키를 누르면 음성 통화 종료 요청 신호가 발신측 기지국(21)으로 전송되게 된다.
그 다음, 발신측 기지국(21)은 음성 호 경로 단절 종료 요청 신호를 교환기(23)로 전송하고(S80), 교환기(23) 통해 수신측 기지국(35)과의 음성 호 경로가 단절된다(S90). 음성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는 PSTN망(25)을 통해 복수개의 교환기(23)를 거쳐 수신측 기지국(35)으로 전달된다.
그 다음, 발신측 기지국(21)은 발신자 휴대 단말기로(20)부터 데이터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100).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통화 종료 요청은 발신자가 통화 종료키를 누르면 음성 통화 종료처리 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 다음, 발신측 기지국(21)은 데이터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패킷 제어기(27) 및 PDSN(29)을 거쳐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로 전송한다(S110).
그 다음,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패킷 제어기(27) 및 PDSN(29)을 거쳐 수신측 기지국(35)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호 경로를 단절시킨다(S120).
상기 과정에서는 음성 통화 종료 요청 후 데이터 통화 종료 요청을 하는 단계를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데이터 통화 종료 요청이 먼저 이루어진 후 음성 통화 종료 요청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에서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발신측 기지국(21)으로부터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200).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도 5에서의 데이터 통화 요청 신호와 동일한 것이다.
그 다음,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수신한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에서 전송할 수신자 단말기(37)를 인식하여(S210), 수신한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현재 수신자 단말기(37)가 위치한 수신측 기지국(35)으로 전송한다(S220).
그러면, 수신측 기지국(35)은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자 휴대 단말기(37)로 전송하고(S230), 수신자 단말기(37)로부터 승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로 전송한다(S240, S250).
그 다음,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승인 응답 신호에서 전송할 발신자 휴대 단말기(20)를 인식하여(S260) 승인 응답 신호를 발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고(S270), 발신측 기지국(21)과 수신측 기지국(35) 간에 데이터 호 경로를 생성한다(S280).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호 경로의 생성은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의 호상 태 관리부(33-4)에서 수신자 단말기(37)의 현재 데이터 호 사용여부를 확인한 후, 호 연결 처리부(33-3)에서 수행된다.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데이터 호 경로가 생성되면 일정주기마다 데이터 호의 유지 확인 여부를 확인한다(S290).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의 호상 태 관리부(33-4)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다음,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발신측 기지국(21)으로부터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300).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는 도 5에서의 데이터 통화 종료 요청 신호와 동일한 것이다.
그 다음, 데이터 세션 호 서버(33)는 수신한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에서 전송할 수신자 휴대 단말기(37)를 인식하여(S310), 수신한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수신측 기지국(35)으로 전송하고(S320), 데이터 호 경로를 단절하여 데이터 호 통화를 종료시킨다(S330).
상기 과정에서도 5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음성 호 경로 단절 요청 후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을 하는 단계를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이 먼저 이루어진 후 음성 호 경로 단절 종료 요청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20, 37) 내에서 수신한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휴대 단말기(20, 37) 내에서의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처리는 MSM(Mobile Station Modem) 칩(50)에서 이루어진다. MSM 칩(50)은 음성, 문자, 화상 데이터의 변복조 처리 및 휴대 단말기 내의 각종 제어기능을 처리하는 모뎀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호와 데이터 호를 동시에 복조 처리 및 각각의 채널에 해당하는 출력장치와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선, RF 송수신부(57)는 기지국(21, 35)으로부터 수신된 전파를 복조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다(S400).
그 다음, MSM 칩(50)은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 선택 처리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PN 코드와 왈쉬 채널 코드를 이용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실제 정보가 담긴 디지털 신호로 분류한다(S410). 이 경우 채널 선택에 있어 음성 호와 데이터 호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채널이 선택되어야 한다.
그 다음, MSM 칩(50)은 메시지 디코딩 처리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부터 메시지를 분류해 내고 데이터를 추출한다(S420).
그 다음, MSM 칩(50)은 추출된 데이터의 종류를 확인하여, 추출된 데이터가 음성인 경우 보코더(Vocoder)로 전송하고(S430), 추출된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MSM 칩(50) 내의 CPU(미도시)로 전송한다(S440). 이 때, 멀티미디어의 처리가 외부장치, 예를 들면 PC, 노트북 등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UART 포트롤 출력한다.
음성 호 및 데이터 호의 전송의 경우에는 상기 처리 과정이 역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음성 통화중 데이터 전송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발신자 휴대 단말기(20)로부터 수신자 휴대 단말기(37)로 음성 통화 요청 신호가 전송된다(S500). 즉, 발신자가 발신자 휴대 단말기(20)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누르면 음성 통화 요청 신호가 전송된다. 이는 화상 통화 기능 등이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해당된다.
그 다음, 음성 통화가 연결되어 발신자와 수신자 간에 음성 통화가 진행된다(S510).
그 다음, 발신자(또는 수신자)가 휴대 단말기(20, 37)의 표시부(65)에 표시된 메뉴 중에서 데이터 전송 메뉴를 선택한다(S520).
그 다음, 발신자(또는 수신자)가 휴대 단말기(20, 37)의 표시부(65)에 표시된 데이터 항목 중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항목을 선택한다(S530). 이 때 전송가능한 데이터는 문자 메시지,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발신자(또는 수신자)가 전송키를 입력하여 선택된 데이터 항목을 통화중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자동적으로 정해진 주기마다 전송한다(S540).
도 9는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중 데이터 전송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화면이다. 도 9는 도 8의 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 37)의 화면(80)을 통해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 37)의 화면(80)에는 현재 통화 시간(81)이 우측 상단에 표시되고, 하단에 데이터 전송(83), 음량(84), 검색(85)의 메뉴들이 표시된다.
하단의 메뉴들 중에서 데이터 전송(83)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20, 37)내의 저장부(5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항목들이 휴대 단말기(20, 37)의 화면(80)에 표시되며, 이중에서 전송을 원하는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20, 37)로 전송하게 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를 한정하여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각종 무선 단말기 및 무선 장비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블루투스, 무선랜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자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종료 요청시 음성 및 데이터 통화가 종료되도록 하였으나, 그 외에 수신자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종료 요청시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화가 종료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음성 통화 종료 요청시 음성 통화만 종료하고 데이터 통화는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역으로 데이터 통화만 종료시키고 음성 통화는 계속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음성 세션의 경로와 데이터 세션의 경로를 개별로 구비하여 음성통화는 종래의 음성 경로를 통하고, 화상, 문자 등의 데이터는 데이터 경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성 통화 품질이 우수한 멀티미디어의 통화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이터 경로 상에 데이터 세션호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데이터호 통신 연결처리의 수행 및 데이터호 통신의 관리를 통해 보다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세션호 서버에서 데이터 호의 통화 패킷에 대한 과금처리를 수행하여 음성 통화 과금과 데이터 통신 과금을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21)

  1. 무선망을 통해 발신측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고,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세션 호 서버와 결합되는 발신측 기지국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통화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통화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데이터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가 데이터 신호인 경우 상기 설정된 데이터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통화 종료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음성 호를 단절시키는 단계;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통화 종료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데이터 호 경로를 단절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3. 무선망을 통해 수신측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고,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세션 호 서버와 결합되는 수신측 기지국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의 음성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데이터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로 전송된 것임- ; 및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가 데이터 신호인 경우 상기 설정된 데이터 호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의 음성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음성 호를 단절시키는 단계;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종료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데이터 호 경로를 단절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로 전송된 것임- 가 더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5.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문자, 정지영상, 동영상, 파일,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음성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교환기를 통해수신측 기지국과 음성 호 경로가 설정됨-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상기 데이터 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는 상기 데이터 망을 통해 상기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에 의해 데이터 호 경로가 설정됨-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 경로를 단절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음성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음성 통화 종료 요청 신호는 상기 교환기를 통해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되어 음성 통화가 종료됨-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호 경로를 단절시키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상기 데이터 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는 상기 데이터 망을 통해 상기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에 의해 데이터 호 경로가 단절됨-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음성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자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교환기를 통해 수신측 기지국과 음성 호 경로가 설정됨-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수신자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에 의해 데이터 호 경로가 설정됨-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 경로를 단절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음성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자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호 경로를 단절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수신자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에 의해 데이터 호 경로가 단절됨-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10.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발신측 휴대 단말기 및 수신측 휴대 단말기 간의 음성 호 및 데이터 호의 순차적인 송수신에 의해 수신측 휴대 단말기 및 수신측 휴대 단말기 간에 화상 통화 또는 통화 중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방법.
  11. 데이터망을 통해 발신측 기지국 및 수신측 기지국과 결합되는 데이터 세션 호 서버에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 호 경로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승인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수신측 기지국 간에 데이터 호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 호 경로 단절 요청 신호를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호를 단절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호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들을 통해 수신측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데이터 호의 유지 동안 일정 주기마다 상기 기지국들을 통해 양측 단말기로 응답 요구 신호를 전송하여 호의 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제어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에 대한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처리는
    전송된 데이터의 패킷량의 산출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제어방법.
  17. 데이터망을 통해 발신측 기지국 및 수신측 기지국과 결합되고, 데이터 통신을 관리하는 데이터 세션 호 서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망 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연동부;
    상기 데이터 망과의 프로토콜을 정합시키기 위한 정합처리를 수행하는 정합부;
    휴대용 단말기 간의 호 연결이 시도될 때 수신자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위치 및 수신가능여부를 확인하여 호 연결을 처리하기 위한 호 연결 처리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 간에 호 연결중 호의 상태를 일정 주기마다 확인하기 위한 호 상태 관리부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및 상태, 호 상태 및 과금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션 호 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과금 데이터 처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션 호 서버.
  19. 휴대 단말기 간에 개별의 경로를 통해 멀티미디어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 휴대 단말기 및 수신자 휴대 단말기와 무선망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음성 통신장치; 및
    상기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측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간의 데이터 호 연결을 생성 및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는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제어하기 위한 패킷 제어기;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 망 간의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DSN;
    데이터 망을 통해 상기 PDSN과 결합되고, 상기 기지국간의 데이터 호 연결 처리 및 호 상태 제어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세션 호 서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세션 호 서버는
    상기 데이터 망 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연동부;
    상기 데이터 망과의 프로토콜을 정합시키기 위한 정합처리를 수행하는 정합부;
    휴대용 단말기 간의 호 연결이 시도될 때 수신자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위치 및 수신가능여부를 확인하여 호 연결을 처리하기 위한 호 연결 처리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 간에 호 연결중 호의 상태를 일정 주기마다 확인하기 위한 호 상태 관리부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및 상태, 호 상태 및 과금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KR10-2002-0070368A 2002-11-13 2002-11-13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48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368A KR100483561B1 (ko) 2002-11-13 2002-11-13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368A KR100483561B1 (ko) 2002-11-13 2002-11-13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197A true KR20040042197A (ko) 2004-05-20
KR100483561B1 KR100483561B1 (ko) 2005-04-18

Family

ID=3733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368A KR100483561B1 (ko) 2002-11-13 2002-11-13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5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7045A1 (fr) * 2005-03-17 2006-09-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et systeme de traitement d’appel multimedia
KR101023606B1 (ko) * 2003-12-30 2011-03-21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음성/영상 통화 차등 과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474B1 (ko) 2008-12-22 2011-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0515B2 (ja) * 1999-04-02 2003-02-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における信号判別方法
KR20010087048A (ko) * 2000-03-06 2001-09-1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간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826050B1 (ko) * 2001-05-16 2008-04-28 엘지노텔 주식회사 음성과 데이터의 통신경로를 분리한 이동통신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606B1 (ko) * 2003-12-30 2011-03-21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음성/영상 통화 차등 과금 방법
WO2006097045A1 (fr) * 2005-03-17 2006-09-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et systeme de traitement d’appel multimedia
US7719562B2 (en) 2005-03-17 2010-05-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multimedia c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561B1 (ko) 2005-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6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digital speech and digital pictures
US866714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switching system, and terminal switching method
EP1705856B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N101077030B (zh) 移动通信网络中的视频电话服务方法
RU2359424C2 (ru) Видеотелефонная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номно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телевизионная абонентская приставка и способ видео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US20050089040A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multimedia mail box to support user mobility
EP1033850A2 (en) Data communicating terminal
KR100382862B1 (ko) 에스아이피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분산형 호처리방식의인터넷 전화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WO2009033423A1 (fr) Procédé, central et dispositif pour transfert de conversation entre terminaux
CN101459570B (zh) 移动通信终端、交换站、存储装置以及消息存储方法
JP2008533770A (ja) 通話接続中に第一のサービスから第二のサービスに切り替えるための信号伝送方式
JP2000270026A (ja) ゲートウェイ
CN110290515A (zh) 携号转网的漫游通信方法及呼叫会话控制功能实体
CN100574232C (zh) 一种多媒体呼叫的并行呼叫功能的实现方法
KR100483561B1 (ko)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US84513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telephone communications set up, related equipmen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1217648A (zh) 视频监控信息的传递方法、装置及系统
KR1004385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519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JPH1116435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4138116B2 (ja) 交換機及び交換機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258998A (ja) テレホンアダプタ装置及び回線切り換え方法
US7826832B1 (en) Call storage in removable memory
KR10037038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전환 방법
CN101247441B (zh) 一种通信系统中通话态呼叫代答业务的实现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