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942A -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942A
KR20040041942A KR1020020070052A KR20020070052A KR20040041942A KR 20040041942 A KR20040041942 A KR 20040041942A KR 1020020070052 A KR1020020070052 A KR 1020020070052A KR 20020070052 A KR20020070052 A KR 20020070052A KR 20040041942 A KR20040041942 A KR 20040041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frame
transmission
preamble
division mult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020B1 (ko
Inventor
정수정
김영일
김재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7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0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83Signal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이동 통신 중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다중 접속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단말이 공통 채널을 통해 불연속적이고 가변적인 전송량의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인 임의 접속(random access)에 관한 것으로,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은 후 임의 접속 메세지의 전송에 있어서 그 가능한 위치를 프레임 내의 여러 곳에 지정하고, 메시지 전송을 인디케이션(indication)을 이용해 기지국에 알려주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 인디케이션을 이용하면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프레임 내의 여러 곳 중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받은 곳과 근접한 것으로 선택할 수 있고, 만약 어떠한 응답도 없는 경우에는 트래픽 데이터 전송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A CONFIGURATION METHOD OF FRAME FOR REVERSE RANDOM ACCESS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본 발명은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을 요청하는 임의접속을 위한 메세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함) 방식은 여러 개의 반송파를 사용하는 다수반송파 전송/변조(MCM: Multi-Carrier Transmission/Modulation) 방식의 일종이며, 사용되는 반송파의 수만큼 입력 데이터를 병렬화하여 각 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OFDM 방식은 기본적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속하며, 반송파의 수만큼 각 채널에서의 전송주기가 증가하게 되어 광대역 전송 시에 나타나는 심볼(symbol) 사이의 간섭을 일으키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ading)이 주파수 비선택적 페이딩으로 근사화된다.
이와 관련하여 다채널을 통하여 대역 제한된 신호를 심볼간 간섭 (ISI : Inter Symbol Interference) 및 채널간 간섭 (ICI: Inter Channel Interference) 없이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원리가 제시되었고, 채널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기저대역 필터와 다수의 발진기 뱅크를 함께 사용하는 직교 다중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이 제안되었다. 상기 OFDM 방식은 상호 직교성 있는 부반송파를 사용하므로 주파수 이용효율이 높아지고, 다중경로 채널을 하나의 탭을 갖는 간단한 주파수영역 등화기로 쉽게 극복할 수 있으며, FFT를 사용하여 고속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IEEE 802.11a, HIPERLAN/2 등의 무선 통신시스템과 OFDM 과 유사한 DMT(Discrete MultiTone) 방식이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high 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등과 같은 유선 통신시스템에서 전송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OFDM 기반 다중 접속방식으로는 OFDM-TDMA, OFDM-FDMA('OFDMA' 방식이라고도 함), OFDM-CDMA가 있다. OFDM-TDMA의 경우에는 N 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된 전체 대역을 사용자별로 시간 분할적으로 모두를 사용한다. OFDM-FDMA는 각 사용자가 전체 부반송파 중에서 일부의 부반송파를 시간에 제한 받지 않고 사용하는데, 부반송파의 할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OFDM-CDMA 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시간과 부반송파를 이용하고 각 사용자의 구분은 고유의 확산부호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상기 OFDM-FDMA 방식은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요구하는 전송률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자원분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OFDM-TDMA 와 달리 각 사용자마다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초기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송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OFDM-FDMA 방식은 많은 수의 부반송파를 사용할 경우(즉, FFT 크기가 큰 경우)에 적합하기 때문에 시간지연확산(Time Delay Spread)이 비교적 큰 넓은 지역의 셀을 갖는 무선 통신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frequency-hopping OFDM-FDMA 방식은 무선 채널에서 깊은 페이딩에 빠진 부반송파가 존재하는 경우나 다른 사용자에 의한 부반송파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를 극복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높이고 간섭평균효과를 얻는데 사용된다.
도 1에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임의 접속 방식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방식에서는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복수개의 단말들이 역방향의 공통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preamble signature)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기지국에서 초기 동기 수행에 의해 프리앰블 포착여부를 모든 단말에게 방송하며, 단말에서는 자신이 보낸 프리앰블의 포착 여부를 확인한 후에 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프리앰블을 재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줄여 간섭 신호를 감소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프리앰블만으로 빠른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전력레벨에 빨리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시간 지연이 우수해진다.
상기 설명된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임의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8-0053228호(출원일 : 1998년 12월 5일)에 출원된 바 있다.
또한,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임의접속을 위한 채널 할당 방법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0032711호(출원일 : 2001년 6월 12일)에 출원된 바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서는 동기 코드와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채널과 매시지 전송채널의 변화된 매핑 관계에 의해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임의 접속을 위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임의접속 채널의 트래픽 제어방법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81957호(출원일 : 2000년 12월 26일)에 출원된 바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서는 기지국은 채널의 구조를 프레임 구조로 운영하고, 각 프레임 시간에서의 채널의 사용정도를 기지국이 예측하여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며, 전송 서비스에 따라 전송 시그너쳐를 그룹화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안정된 운영을 도모하고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임의접속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으며, 상기 설명된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이 가지는 장점으로 인해 이러한 시스템에서도 역방향 임의접속 방식의 구현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임의 접속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임의 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임의 접속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의 구성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한 프레임에 다수의 메시지 전송이 있는 경우 인디케이션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한 프레임에 한번의 메시지 전송이 있는 경우 인디케이션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한 프레임에 한번의 메시지 전송도 없는 경우 인디케이션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말 11 : 수신부
12 : 송신부 13 : 임의 접속부
111 : 복조부 112 : 채널 디코더
121 : 변조부 122 : 채널 인코더
123 : 임의접속 관련 전송부 124 : 프리앰블 응답 수신부
125 : 데이터 전송부 126 : 전송 선택부
127 : 프리앰블 전송부 131 : 데이터 처리부
132 : 전송자원 결정부 2 : 기지국
21 : 송신부 22 : 수신부
23 : 임의접속부 211 : 채널 인코더
212 : 변조부 221 : 채널 디코더
222 : 복조부 231 : 데이터 처리부
232 : 프리앰블 처리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임의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은,
각 프레임은 다수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구간은 패킷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각 슬롯구간은 프레임 내의 위치에 따라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과, 임의 접속 프리앰블 전송 구간을 포함하는 슬롯으로 구분되며, 상기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는 슬롯에는 메시지 전송을 알려주는 인디케이션 전송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한 역방향 임의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에서는 상기 각 프레임 구간은 20 ms이고, 각 프레임은 20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슬롯 중에서 짝수번째 슬롯은 임의 접속을 위한 프리앰블 전송과 순방향 전송에 대한 응답 내용을 전송하는 시점과, 데이터 트래픽 전송 시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슬롯 중에서 특정 슬롯을 제외한 홀수번째 슬롯은 역방향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한 프리앰블 전송 시점과, 순방향 전송에 대한 응답 내용을 전송하는 시점과, 데이터 트래픽 전송 시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특정 슬롯은 역방향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한 프리앰블 전송 시점과, 임의접속 메시지 전송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션 전송 시점과, 순방향 전송에 대한 응답 내용을 전송하는 시점과, 임의 접속 메시지 또는 데이터 트래픽 전송 시점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을 고려할 때, 역방향 임의 접속을 위해서는 일부 부반송파를 공통채널로 할당하는 방법과 일정 시간 구간의 전체 부반송파를 임의 접속용으로 할당하는 두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일정 시간 구간을 임의 접속용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고려하면, 이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처럼 별도의 부호로 하나의 공통 채널을 할당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임의접속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프레임은 다수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은 다시 시분할 방식으로 각 시점에 반송파에 따라 전송하는 채널이 달라지게 된다. 즉,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임의접속을 위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시점과 이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을 확인하는 시점이 정해지고, 이를 고려하여 임의 접속 전송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가능한 시점을 정할 수 있다. 이 임의 접속을 위한 전송 데이터의 전송 가능한 위치를 한 프레임 내에서 여러 곳으로 정하고, 기지국의응답이 있을 경우, 응답 시점과 가까운 곳으로 전송 시점을 선택하고 전송을 indication을 이용해서 기지국에 알려주게 된다.
이를 위해,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역방향 임의접속 방식에서는 역방향 채널의 프레임 구성 방법을 다르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즉, 프레임은 다수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슬롯 구간을 패킷 길이와 같게 둔다. 각 슬롯 구간은 프레임내의 위치에 따라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과 임의 접속 프리앰블 전송 구간을 포함하는 슬롯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는 슬롯에는 메시지 전송을 알려주는 인디케이션(indication) 전송 부분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임의 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된 프레임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프레임 구간을 20ms로 정하고 한 프레임은 20개의 슬롯(uplink traffic packet)으로 구성되며, 각 슬롯은 슬롯의 프레임에서의 위치에 따라 슬롯에서 전송하는 내용이 달라진다. 짝수(#2K,K=0-9) 슬롯에서는 임의 접속을 위한 프리앰블 전송(RA_P)과 순방향 전송에 대한 응답 내용을 전송(DL응답)하는 시점, 그리고 데이터 트래픽 전송(uplink data traffic) 시점으로 구성된다. #9와 #19를 제외한 홀수(#2K+1,K=0-9) 슬롯은 역방향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한 프리앰블 전송(CQM_P)시점과, 순방향 전송에 대한 응답 내용을 전송(DL 응답)하는 시점, 그리고 데이터 트래픽 전송(uplink data traffic)시점으로 구성된다. #9와 #19의 슬롯은 역방향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한 프리앰블 전송(CQM_P) 시점과 임의접속 메시지 전송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션 전송(RA_indication) 시점과, 순방향 전송에 대한 응답 내용을 전송(DL 응답)하는 시점과, 임의 접속 메시지(RA_data) 또는 데이터 트래픽 전송(uplink data traffic)시점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9와 #19의 슬롯 두 곳에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 가능 시점을 둘 때, 임의 접속을 위한 프리앰블 전송은 uplink traffic packet #2k, k=0-9에서 이루어지고,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 가능 시점은 uplink traffic packet #9, #19에서 가능하다. 이 때 임의 접속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uplink traffic packet #9이전에 받게 되는 단말의 경우 uplink traffic packet #9의 인디케이션을 이용해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을 표시하여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임의 접속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uplink traffic packet #10에서 #18사이에 받게 되는 단말의 경우에는 uplink traffic packet #19에서 인디케이션을 이용해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임의 접속을 위한 단말(1)과 기지국(2)의 구성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역방향 임의 접속을 위한 단말(1)은 수신부(11), 송신부(12) 및 임의접속부(131)로 구성된다. 상기 임의접속부(131)는 임의 접속을 위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31)와 임의 접속을 위한 프리앰블의 전송에 관련된 자원을 결정하는 전송자원 결정부(132)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부(12)는 임의접속 관련 전송부(123)와, 채널 인코더(122), 그리고 변조부(121)로 구성된다. 상기 임의접속 관련 전송부(123)는 전송한 프리앰블에 대한기지국(2)의 응답을 확인하는 프리앰블 응답 수신부(124)와,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부(125)와, 임의 접속 프리앰블 전송을 위해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전송부(127)와 상기 기지국(2)에서의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에 따라 임의 접속 프리앰블과 메시지 중에서 전송할 것을 선택하는 전송 선택부(126)로 구성된다.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기지국(2)은 송신부(21), 수신부(22) 및 임의접속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22)는 채널 디코더(221)와 복조부(222)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부(21)는 채널 인코더(211)와 변조부(212)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임의접속부(23)는 단말(1)에서 전송한 임의 접속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부(22)에서 넘겨준 것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231)와, 상기 단말(1)에서 전송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부(22)의 복조부(222)에서 수신하여 넘겨주면 수신된 프리앰블이 무엇인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를 상기 송신부(21)로 보내는 프리앰블 처리부(232)로 구성된다.
임의 접속의 절차는 단말(1)의 임의접속 관련 전송부(123)에서 임의 접속 메시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송자원 결정부(132)에서 이를 전송할 자원, 예를 들어, 임의 접속 프리앰블 전송 시점, 전송 채널 등을 결정하면, 이를 이용하여 송신부(12)의 임의접속 관련 전송부(123)의 프리앰블 전송부(127)에서 전송할 프리앰블을 만들어서 변조부(121)를 통해 기지국(2)으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2)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주면 이를 단말(2)의 수신부(11)를 통해 받아서 상기 프리앰블 응답 수신부(124)에서 프리앰블의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프리앰블이 제대로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상기 프리앰블 응답 수신부(124)에서 판단되면 데이터 프리앰블 전송부(127), 전송 선택부(126) 및 변조부(121)를 통해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다시 전송된다. 프리앰블이 제대로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전송부(125)에서 보내온 전송 메시지를 전송 선택부(126), 채널 인코더(122) 및 변조부(121)의 순서로 통과하여 기지국(2)으로 전송한다.
도 4는 한 프레임에 다수의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이 있는 경우 인디케이션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이 uplink traffic packet #9이전에 있어서 인디케이션을 이용해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이 있음을 표시하고, uplink traffic packet #9에서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uplink traffic packet #10과 uplink traffic packet #18 사이에 프리엠블을 전송한데 대해 응답이 있어서 uplink traffic packet #19에서 indication을 이용하여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을 표시하고, 이 프리앰블에 해당되는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한 프레임에 한번의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이 있는 경우 인디케이션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이 uplink traffic packet #9 이전에는 없으므로 indication은 off이고 uplink traffic packet #9는 메시지 전송이 아닌 다른 데이터 traffic을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이 uplink traffic packet #10과 uplink traffic packet #19사이에는 있으므로 uplink traffic packet # 19에서 indication을 이용해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을 표시하고, uplink traffic packet #19를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한 프레임에 한번의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도 없는 경우에 인디케이션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uplink traffic packet #0과 uplink traffic packet #9 사이와, uplink traffic packet #10과 uplink traffic packet #19 사이 어느 경우에도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이므로, uplink traffic packet #9와 uplink traffic packet #19에서는 각각 인디케이션을 OFF시켜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이 없음을 알리고, 이를 다른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와 같은 역방향 임의 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이용되는 방식과 같은 프리앰블 전송에 대한 응답을 받은 후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는 임의 접속 방식을 구현할 수 있고,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특성으로 인해 메시지 전송 여부와 관계없이 메시지 전송의 부분을 고정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임의접속을 위한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보고 빠르게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임의 접속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에 없을 경우에는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 시점을 다른 단말이 데이터 트래픽 전송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 시점을 프레임 내의 한 곳으로 고정하는 방식보다 채널 활용이 더 효율적이다.

Claims (3)

  1. 각 프레임은 다수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구간은 패킷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각 슬롯구간은 프레임 내의 위치에 따라 임의 접속 메시지 전송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과, 임의 접속 프리앰블 전송 구간을 포함하는 슬롯으로 구분되며,
    상기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는 슬롯에는 메시지 전송을 알려주는 인디케이션 전송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 구간은 20 ms이고, 각 프레임은 20개의 슬롯으로 구성되며 특정 슬롯 위치에 임의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는 프레임 내의 여러곳에 위치하며, 인디케이션 여부에 따라 임의 접속 메시지 또는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여 시스템의 처리량을 증가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KR10-2002-0070052A 2002-11-12 2002-11-12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KR100483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052A KR100483020B1 (ko) 2002-11-12 2002-11-12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052A KR100483020B1 (ko) 2002-11-12 2002-11-12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942A true KR20040041942A (ko) 2004-05-20
KR100483020B1 KR100483020B1 (ko) 2005-04-15

Family

ID=3733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052A KR100483020B1 (ko) 2002-11-12 2002-11-12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0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97B1 (ko) * 2005-12-09 2007-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전송 프레임 구성방법과 그를 이용한 동기 획득 장치
KR100754840B1 (ko) * 2005-03-21 2007-09-04 사우스이스트 유니버시티 직교주파수 다중분할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주파수 동기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840B1 (ko) * 2005-03-21 2007-09-04 사우스이스트 유니버시티 직교주파수 다중분할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주파수 동기화 방법
KR100746997B1 (ko) * 2005-12-09 2007-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전송 프레임 구성방법과 그를 이용한 동기 획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020B1 (ko)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801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반의 버스트한 패킷 데이터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92825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U20053104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acket data symb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448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369301B2 (en) OFDM/OFDMA frame structure for communication systems
KR101139170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9420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demapping modulation symbo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60115293A (ko) Ofdma 방식의 시스템에서 채널의 구성 및 운용 방법과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40004592A (ko) 전기 통신망을 통한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시스템에서의다중 액세스 및 다중 전송을 위한 방법
WO2009031801A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ing repetition coding
KR10146757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자원 할당방법
KR20040110904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기지국 구분을 위한 파일럿 채널 전용 서브 캐리어 할당장치 및 방법
EP2466765A2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a reference signal
KR10137790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을 위한 데이터 전송방법
KR100483020B1 (ko)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임의 접속을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KR101792505B1 (ko) 복수의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1203869B1 (ko) 다양한 대역폭 능력의 단말기 지원을 위한 다중 반송파전송 방식
KR100913871B1 (ko) 직교주파수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배치 방법 및 장치
KR20050079392A (ko) Ofdm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