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918A -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 Google Patents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918A
KR20040040918A KR1020020069272A KR20020069272A KR20040040918A KR 20040040918 A KR20040040918 A KR 20040040918A KR 1020020069272 A KR1020020069272 A KR 1020020069272A KR 20020069272 A KR20020069272 A KR 20020069272A KR 20040040918 A KR20040040918 A KR 20040040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intake port
tumble
shaped barri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918A/ko
Publication of KR2004004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포트에 스푼형 둔턱을 추가한 형상만으로 텀블을 크게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밸브의 설치 등과 같은 부수적인 원가상승의 요인을 배제하면서도 엔진의 품질 편차를 극소화하고, 텀블의 증가로 연소 속도의 증가 및 노킹상쇄효과 등을 발생시켜 유동저항에 의한 엔진성능 저하를 상쇄하고도 남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속 전개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저/중속 전개성능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tumble intake air port of an engine}
본 발명은 엔진의 흡기포트의 형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기포트의 형상 자체만으로 엔진의 연소실로 흡입되는 공기에 텀블을 발생시켜 엔진의 연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연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생시키는 텀블(TUMBLE)의 발생 메커니즘을 보면 크게 흡기포트의 형상 자체만으로 텀블을 발생시키는 것과, 흡기포트 외부에 텀블 발생 기구를 두어 텀블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에 흡기포트의 형상에서 텀블을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이 설명되어 있는바, 도시된 바와 같은 텀블각을 두어 텀블을 발생시키는 바, 텀블각이 커질수록 텀블의 양이 커지도록 되어 있으며, 흡기포트의 출구측 하면을 높고 예리하게 깍아 그 정도에 따라 텀블의 양이 증가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텀블각의 변화와 흡기포트 출구측 하면의 형상 변화가 흡입공기의 유동저항을 발생시켜 고속 전개성능을 심각하게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흡기포트 출구측 하면의 예리한 형상은 양산시 그 형상의 변동폭이 제품마다 심하게 발생되어 엔진의 품질편차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해 텀블 발생 기구가 적용된 엔진이 도시되어 있는바, 필요시에 흡기포트 입구측의 일부를 밸브(100)로 막아 텀블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경우에도 상기 밸브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저항은 스로틀밸브가 전개된 엔진의 전개 운전시에 고속 전개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밸브 및 그 구동장치에 의해 원가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기포트의 형상만으로 텀블을 형성함으로써 부수적인 원가상승의 요인을 배제하면서도 엔진의 품질 편차를 극소화하고, 텀블의 증가로 연소 속도의 증가 및 노킹상쇄효과 등을 발생시켜 유동저항에 의한 엔진성능 저하를 상쇄하고도 남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속 전개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저/중속 전개성능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엔진 텀블 형성을 위한 흡기포트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텀블 형성을 위한 밸브가 설치된 엔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대비되는 종래의 흡기포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종래의 흡기포트와 본 발명에 의한 흡기포트의 흡기유동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본 발명의 흡기포트3; 시트부
5; 스푼형 둔턱120; 종래의 흡기포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는 흡기포트의 시트부에 인접한 흡기포트의 상측에 스푼형 둔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를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것이며,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흡기포트 형상과 대비되는 종래의 흡기포트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도 3 내지 도 6은 실제 엔진에서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알아보기 쉽게 입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흡기포트의 형상과 도 4에 도시된 흡기포트의 형상을 비교하여 보면, 흡기밸브의 시트부를 이루는 흡기포트(1)의 시트부(3)에 인접한 위치에 흡기포트 상측으로 스푼형으로 흡기포트 내측으로 돌출된 둔턱이 형성된 점이 다르다.
상기 스푼형 둔턱(5)의 구체적인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스푼형 둔턱(5)의 전체 길이(L)는 전체 흡기포트 길이의 10%에서 20% 범위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스푼형 둔턱의 상측 끝단(A)으로부터 흡기포트의 외곽선을 따라 스푼형 둔턱(5)의 최대 돌출부(B)에 이르는 직선길이(L2)는 상기 스푼형 둔턱의 전체 길이(L)의 25%에서 35% 범위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B)는 그 돌출량(D)이 상기 스푼형 둔턱(5)의 최대 돌출부위에서의 스푼형 둔턱의 폭(W)에 대하여 15%에서 25%의 범위로 형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푼형 둔턱(5)의 전체 길이(L)는 전체 흡기포트 길이의 15%의 길이로 형성하며, 상기 스푼형 둔턱(5)의 상측 끝단(A)으로부터 흡기포트(1)의 외곽선을 따라 스푼형 둔턱(5)의 최대 돌출부(B)에 이르는 직선길이(L2)는 상기 스푼형 둔턱(5)의 전체 길이(L)의 30%의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B)는 그 돌출량(D)이 상기 스푼형 둔턱(5)의 최대 돌출부위에서의 스푼형 둔턱의 폭(W)에 대하여 20%의 범위로 한다.
한편,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B)의 폭(W2)은 상기 스푼형 둔턱(5)의 최대 돌출부위에서의 스푼형 둔턱의 폭(W)에 대하여 85%에서 95% 범위의 크기이고, 밸브의 중심선(C)이 포함된 연직면에 대한 스푼형 둔턱(5)의 중심선(C2) 각도(T)는 15도에서 25도의 범위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푼형 둔턱(5)의 최대 돌출부(B)의 폭(W2)은 상기 스푼형 둔턱(5)의 최대 돌출부위에서의 스푼형 둔턱의 폭(2)에 대하여 90% 의 크기로 형성하고, 밸브의 중심선(C)이 포함된 연직면에 대한 스푼형 둔턱(5)의 중심선(C2) 각도(T)는 20도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스푼형 둔턱(5)은 종래의 흡기포트 출구부 하측에서 별도의 공구에 의해 예리한 형상이 가공되었던 것과는 달리 실린더헤드의 주조 당시에 그 형상으로서 반영되는 것으로 별도의 가공작업이 요구되지 않고 그에 따른 품질의 편차도 거의 없어지게 된다.
도 7은 도 3에서 비교하여 도시하였던 종래의 흡기포트(120)에서 발생하는 유동의 형태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흡기포트(1)의 유동형태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흡기포트(120)에서는 흡입공기의 주 유동이 하향의 모멘텀을 가지게 되는 데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기포트(1)에서는 흡입공기의 주 유동이 상기 스푼형 둔턱(5)을 타고 흐르게 되어 기존 대비 상향의 모멘텀을 확보하게 되어 보다 향상된 텀블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하기의 표 1에서는 종래의 흡기포트(120) 대비 본 발명의 흡기포트(1)의 텀블과 Cf(Flow Coefficient) 및 최고출력의 대비가 표시되어 있는바, 상기한 바와 같은 스푼형 둔턱(5)에 의해 텀블은 약 18% 증가하게 되고 고속성능을 척도라고 할 수 있는 Cf는 본 발명의 흡기포트(1)가 약 1%정도 감소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텀블의 대폭적인 증가로 연소속도의 증가 및 노킹 상쇄 효과 등이 발생하여 최고 출력은 약 0.005% 증가하여 거의 동등한 수준을 이루고 있다.
종래의 흡기포트 본 발명 흡기포트
텀블 0.51 0.60
Cf 0.402 0.397
최대출력 61.2 61.5
한편, 저/중속 상태에서의 성능 향상을 실험에 의해 검토해보면 약 3~4%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상기와 같이 증가된 텀블이 저/중속 영역에서 엔진의 보다 효과적인 연소작용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에 비해 상기 스푼형 둔턱(5)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은 흡입공기의 속도가 고속에 비해 낮아서 크지 않게 작용함에 의한 것이다.
결국, 약간의 흡입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이를 상쇄시키고 남을 만큼의 텀블 효과를 얻어내어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포트에 스푼형 둔턱을 추가한 형상만으로 텀블을 크게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밸브의 설치 등과 같은 부수적인 원가상승의 요인을 배제하면서도 엔진의 품질 편차를 극소화하고, 텀블의 증가로 연소 속도의 증가 및 노킹상쇄효과 등을 발생시켜 유동저항에 의한 엔진성능 저하를 상쇄하고도 남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속 전개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저/중속 전개성능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흡기포트의 시트부에 인접한 흡기포트의 상측에 스푼형 둔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형 둔턱의 전체 길이는 전체 흡기포트 길이의 10%에서 20% 범위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스푼형 둔턱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흡기포트의 외곽선을 따라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에 이르는 직선길이는 상기 스푼형 둔턱의 전체 길이의 25%에서 35% 범위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는 그 돌출량이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위에서의 스푼형 둔턱의 폭에 대하여15%에서 25%의 범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형 둔턱의 전체 길이는 전체 흡기포트 길이의 15%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스푼형 둔턱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흡기포트의 외곽선을 따라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에 이르는 직선길이는 상기 스푼형 둔턱의 전체 길이의 30%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는 그 돌출량이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위에서의 스푼형 둔턱의 폭에 대하여20%의 범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의 폭은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위에서의 스푼형 둔턱의 폭에 대하여 85%에서 95% 범위의 크기이고,
    밸브의 중심선이 포함된 연직면에 대한 스푼형 둔턱의 중심선 각도는 15도에서 25도의 범위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의 폭은 상기 스푼형 둔턱의 최대 돌출부위에서의 스푼형 둔턱의 폭에 대하여 90% 의 크기이고,
    밸브의 중심선이 포함된 연직면에 대한 스푼형 둔턱의 중심선 각도는 20도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KR1020020069272A 2002-11-08 2002-11-08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KR20040040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272A KR20040040918A (ko) 2002-11-08 2002-11-08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272A KR20040040918A (ko) 2002-11-08 2002-11-08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918A true KR20040040918A (ko) 2004-05-13

Family

ID=3733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272A KR20040040918A (ko) 2002-11-08 2002-11-08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91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406U (ko) * 1976-07-07 1978-01-24
JPS5820356U (ja) * 1981-08-03 1983-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火花点火式エンジンの吸気ポ−ト構造
JPH09184424A (ja) * 1995-12-28 1997-07-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内燃機関の吸気ポートの構造
KR19980049701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와류 발생부를 구비한 직접 분사식 가솔린 엔진
KR19980055039A (ko) * 1996-12-27 1998-09-25 양재신 텀블 유동형 흡기포트를 갖는 실린더헤드 및 흡기포트 성형 방법
KR19990009023A (ko) * 1997-07-07 1999-02-05 김영귀 자동차의 가솔린 엔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406U (ko) * 1976-07-07 1978-01-24
JPS5820356U (ja) * 1981-08-03 1983-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火花点火式エンジンの吸気ポ−ト構造
JPH09184424A (ja) * 1995-12-28 1997-07-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内燃機関の吸気ポートの構造
KR19980049701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와류 발생부를 구비한 직접 분사식 가솔린 엔진
KR19980055039A (ko) * 1996-12-27 1998-09-25 양재신 텀블 유동형 흡기포트를 갖는 실린더헤드 및 흡기포트 성형 방법
KR19990009023A (ko) * 1997-07-07 1999-02-05 김영귀 자동차의 가솔린 엔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1949B1 (en) An intake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036799B2 (ja) 4ストローク内燃機関
KR100655365B1 (ko) 내연기관의 연소실 구조
EP0324249B1 (en) Combustion fluid flow intake and exhaust valves
US7434564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58636A (en) Method to reduce noise in the operation of port-controlled,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rticularly
KR20040086800A (ko) 내연 기관용 흡기 장치
KR100608181B1 (ko) 내연 기관용 흡기 장치
JP5893946B2 (ja) エンジン
US4651686A (en) High-speed, port-controlled,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crankcase scavenging
JPH09242552A (ja) 2サイクル内燃エンジン
US6945212B2 (en) Combustion chamber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40040918A (ko) 엔진의 텀블 흡기포트
US4686946A (en) Valve moving system of an overhead valve engine
US20120042858A1 (en) Combustion chamber construction for engine
EP0072551B1 (en) An intake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210222A (ja) 燃料噴射ポンプ
JP2554755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吸気装置
KR100205997B1 (ko) 엔진의 흡기 포트구조
CN109989824B (zh) 内燃机的进气结构
CN102996239B (zh) 二冲程发动机以及用于其运行的方法
EP0094084A2 (en) A helically-shaped intake por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363359B (zh) 多缸内燃机的进气装置
EP1279812A2 (en) Intake air control devic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0206740B1 (ko) 텀블 유동형 흡기포트를 갖는 실린더헤드 및 흡기포트 성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