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551A -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551A
KR20040040551A KR1020020068711A KR20020068711A KR20040040551A KR 20040040551 A KR20040040551 A KR 20040040551A KR 1020020068711 A KR1020020068711 A KR 1020020068711A KR 20020068711 A KR20020068711 A KR 20020068711A KR 20040040551 A KR20040040551 A KR 2004004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larity
mcu
charging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650B1 (ko
Inventor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광레저개발
김재필
김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광레저개발, 김재필, 김준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광레저개발
Priority to KR10-2002-006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6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핸드폰 배터리를 급속 충전함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단자의 극성을 자동 감별하여 충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통상의 핸드폰 충전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거치대(20)로 장착되는 배터리의 전류 방향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극성 검출부(14)와, 스위칭부(6)에서 인가되는 충전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배터리의 극성에 맞도록 출력단의 극성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극성 전환부(16)와, 상기 극성 검출부(14)의 전류 방향 검출 신호가 배터리 단자의 역배열에 해당하면 상기 극성 전환부(16)로 극성 전환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MCU(10)로 이루어져서 충전을 목적으로 장착된 배터리의 전류 방향으로 상기 극성 검출부(14)가 단자의 배열에 관련된 신호를 상기 MCU(10)로 입력하면, 상기 MCU(10)는 단자가 역배열인 때에 극성 전환부(16)를 작동시켜 상기 스위칭부(6)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압이 배터리의 단자 극성에 맞게 공급 충전되도록 한 구성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multiple hand-phone charger}
본 발명은 핸드폰의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폰의 모델 별 배터리 규격의 차이와 단자 극성의 정반 배열 등에 구애받지 않고, 단일의 장치로 충전할 수 있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의 전원은 재충전 사용이 가능하고 비교적 충전 용량이 큰 리튬배터리를 이용하고 있다. 또 한번 충전된 배터리의 사용시간은 핸드폰의 사용 전압에따르므로 초기에는 7V 대의 배터리 전압에서 최근에는 3V 대로 낮춰져 사용시간의 연장을 도모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핸드폰 배터리는 제조사별로는 물론이고, 동일 제조사의 제품일지라도 각각 제품 모델에 따라 다른 규격으로 제조되고 있어서 전용의 충전기를 이용하지 않으면 재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충전기가 비치된 장소에서만 핸드폰의 재충전을 행할 수밖에 없는 제약을 받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도심의 번화가 곳곳에 핸드폰 충전장소를 마련하여 핸드폰 사용자가 배터리 재충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규격과 단자 위치, 배열 등의 상이점이 실용화에 큰 장애로 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여러 가지 규격의 핸드폰 배터리를 한 가지 형식의 충전기로 재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56166호의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충전장치는 배터리의 단자에 접하는 부분으로 다수 분할된 단자를 배열하여 배터리 단자가 그 중의 하나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 충전을 위한 단자의 극성은 충전단자에 다이오드와 저항을 병렬로 접속시켜서 배터리의 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해 놓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단자와 접촉하게 되는 충전 단자를 다수로 분할 배열하는 구조는 부품 수가 필요 이상으로 증대되고 조립 수공 등에서 인력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비경제적이므로 신뢰성 있는 방식이라 보기 어렵다.
그 이유는 배터리의 충전 단자는 두 쌍 또는 3개접점으로 배열되어 한 쪽을 충전 단자로, 다른 쪽은 충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충전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충전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까지 외부 전류가 인가되어 배터리의 내부 회로를 손상시키게 되거나, 생각 밖으로 충전이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단자 극성의 검출 이후에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스위칭 소자로 하여 극성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턴-온 되게 함으로써 충전 전류가 인가되게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수 배열된 단자 하나에 2개의 트랜지스터가 구비되어야 하는 등, 회로 구성에서 대단히 복잡하고 소자수가 많이 필요하여 실용화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도 핸드폰용 배터리의 규격과 단자 극성의 정반 배열 등에 구애받지 않고 하나의 충전장치로 충전할 수 있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료 충전 형식으로 운영되는 무인 자동 판매 형식의 핸드폰 충전장치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1쌍의 충전 단자로 핸드폰 배터리의 단자 극성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맞춰 충전 단자의 극성을 변환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된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핸드폰 충전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거치대로 장착되는 배터리의 전류 방향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극성 검출부와, 스위칭부에서 인가되는 충전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배터리의 극성에 맞도록 출력단의 극성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극성 전환부와, 상기 극성 검출부의 전류 방향 검출 신호가 배터리 단자의 역배열에 해당하면 상기 극성 전환부로 극성 전환 명령 신호를 출력하여 항상 배터리의 단자 극성에 일치시켜 충전 전압이 인가되게 하는 MCU를 포함한 구성으로 된다.
여기서, 상기 극성 검출부는 배터리의 단자 극성에 대응하여 작동되는 1쌍의 포토 커플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극성 전환부는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는 1쌍 2조의 접점과, 양 접점 사이로 개재되는 1쌍의 가동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가동접점은 상기 MCU의 작동신호로 통전 여자 되는 제2 솔레노이드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1쌍 2조의 접점이 상기 양 가동접점에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에 의해 상기 극성 전환부의 출력단측 극성이 전환되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MCU에는 전류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류 값으로 배터리의 장착 여부와, 만 충전 여부를 인식하게 프로그램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충전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에 관련된 결선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에 적용 가능한 제어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6 : 스위칭부10 : MCU
14 : 극성 검출부16 : 극성 전환부
20 : 배터리 거치대22 : 전류 검출부
상술한 본 발명의 장치를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무인 자동 판매 충전기에 본 발명이 적용된 예로 도시한 회로 구성도로서, 도면 중 부호 2는 트랜스포머와 브리지 결선된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정류기이고, 부호 4는 정류된 전압을 2차 트랜스포머에 경유시켜 충전과 회로 구성부의동작에 필요한 전압으로 강압시키기 위한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방식의 정합부이다.
상기 정합부(4)에서의 2차측 출력 신호는 스위칭부(6)로 인가되는 한편, PWM 정류부(8)로도 제어를 위한 신호가 출력되고, 이 제어 신호는 MCU(10)에서 기준 전압부(12)를 거쳐 입력되는 신호와 비교된 값으로 처리되어 상기 정합부(4)의 1차측으로 피드 백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정합부(4)의 출력 전압은 항상 일정하게 정전압으로 유지된다.
상기 스위칭부(6)는 MCU(1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턴-온 되어 그 출력단으로 충전용 전압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출력단으로 송출되는 충전용 전압은 이 후의 극성 검출부(14)와 극성 전환부(16) 및 메인 스위칭부(18)를 경유하여 배터리 거치대(20)로 인가되는 것에 의해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고, 이 때 충전 전류의 일부는 전류 검출부(22)를 통해 충전 시의 전류 값이 MCU(10)로 입력되어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모니터링 된다.
한편, 상기 극성 검출부(14)는 배터리 거치대(20)에 장착된 배터리의 극성을 판별하고, 그 판별 신호를 상기 MCU(10)에 입력하게 되어 있고, 이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MCU(10)는 극성 전환부(16)를 연동/비연동 시켜서 배터리 거치대(20)로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을,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 극성에 일치시켜 주게 되어 있다.
상기 MCU(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하여 모니터 구동부(24)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고, 또 모니터 구동부(24)는 상기 MCU(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액정표시소자, 형광표시관 등의 모니터(26)를 구동시켜 현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MCU(10)에는 충전 비용의 지불 여부를 체크하는 징수수단(28)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인터페이스(30)를 경유하여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리세트부(32; watch dog)는 MCU(10)로부터 주기적으로 펄스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상기 MCU(10)로부터 입력 펄스가 중단되면 프로그램이 중지된 것으로 인식하고 리세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충전 장치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메인 스위칭부(18)는 제1 솔레노이드(S1)의 여자에 의해 연동되는 1 쌍의 가동접점(M1, M2)을 가진 릴레이로 구성된 것임을 보여 주고 있다.
이 메인 스위칭부(18)는 전원이 차단되는 비가동 시에는 양 가동접점(M1, M2)이 각각 개접점(a1, a2)에 접속되어서 스위칭-오프상을 유지하게 되는 상폐형 스위치이며, 이것에 의해 전원 차단 시 배터리의 전압이 역류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전원을 투입하면 제1 솔레노이드(S1)가 통전 여자 되어 상기 양 가동접점(M1, M2)이 각각 폐접점(b1, b2)에 접속되면서 충전이 진행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켜 준다.
한편, 스위칭부(6)는 MCU(10)가 전원이 투입되었음을 감지하였을 때 송출되는 바이어스 신호에 의해 턴-온 되면서 충전용 전압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극성 검출부(14)는 상기 스위칭부(6)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1쌍의 포토 커플러(Ph1, Ph2)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들 1 쌍의 포토 커플러(Ph1, Ph2)는 각각의 출력단이 그 후단측 극성전환부(16)에 구비된 일측 접점(a10, a20)으로 각각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양 포토 커플러(Ph1, Ph2)의 입력단측은 상기 극성전환부(16)의 타측 접점(b10, b20)으로 각각 접속되는 것이며, 상기 일측 접점(a10, a20)과 타측 접점(b10, b20) 사이에는 제2 솔레노이드(S2)에 의해 연동되는 가동접점(M10, M20)이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극성 검출부(14)와 극성 전환부(16)의 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낳는다.
메인 스위칭부(18)가 스위칭-온 되면 가동접점(M1, M2)이 폐접점(b1, b2)에 접속되어 있게 되고, 극성 전환부(16)의 가동접점(M10, M20)은 일측 접점(a10, a20)과 접속되어 있게 된다. 이 때 배터리 거치대(20)로 배터리가 장착되고 그 배터리의 극성이 정방향인 때 전류 방향은 일측 접점(a10)으로 흐르게 되어 제1 포토 커플러(Ph1)가 동작하고, 그 출력신호는 MCU(10)로 입력됨으로써 상기 MCU(10)는 배터리 극성이 정방향임을 인식하고 상기 극성 전환부(16)의 현재 접점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준다.
그러나 배터리의 극성이 역방향인 때는 극성 전환부(16)에서 전류는 일측 접점(a20)으로 흐르게 되므로 제2 포토 커플러(Ph2)가 동작하여 그 출력신호를 MCU(10)로 입력시켜 배터리의 극성이 역방향임을 입력하게 된다. 이 때의 입력 신호로 상기 MCU(10)는 제2 솔레노이드(S2)를 작동시켜서 극성 전환부(16)의 가동접점(M10, M20)이 타측 접점(b10, b20)으로 접속되게 전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극성 전환 작용과 동시에 전류 검출부(22)는 배터리(20)에 남아 있는 전류 값을 MCU(10)로 입력하여 충전 가부에 관련된 신호를 입력시켜 준다.
상술한 작용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배터리 거치대(20)의 양 단자 중에 예를 들어 도면의 상방측을 X단자, 하방측을 Y단자라 한다면, 상기 X단자가 + 인 때는 배터리의 전압이 메인 스위칭부(18)의 가동접점(M1) → 폐접점(b1) → 극성 전환부(16)의 가동접점(M10) → 일측접점(a10) → 제1 포토 커플러(Ph1)의 입력단(I1) → 극성 전환부(16)의 일측접점(a20) → 가동접점(M20) → 메인 스위칭부(18)의 폐접점(b2) → 가동접점(M2) → MCU(10) → 배터리 거치대(20)의 Y단자로 이어지는 회로를 타고 흐르게 되므로, 상기 제1 포토 커플러(Ph1)의 출력신호가 MCU(10)로 입력되어 배터리 단자 정배열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다.
반대로 배터리(20)의 Y단자측이 - 인 때는 MCU(10) → 메인 스위칭부(18)의 가동접점(M2) → 폐접점(b2) → 극성 전환부(16)의 일측접점(a20) → 제2 포토 커플러(Ph2)의 입력단(I2) → 극성 전환부(16)의 일측 접점(a10) → 가동접점(M10) → 메인 스위칭부(18)의 폐접점(b1) → 가동접점(M1) → 배터리 거치대(20)의 X단자로 이어지는 회로를 타고 흘러 MCU(10)에는 제2 포토 커플러(Ph2)의 출력신호가 배터리 극성 역배열의 신호로써 입력되어진다.
이와 같이 MCU(10)에는 배터리 거치대(20)로 장착되는 배터리의 극성에 따라 제1 포토 커플러(Ph1) 또는 제2 포토 커플러(Ph2)의 출력신호가 입력되고, 동시에 배터리의 잔존 전류 값이 전류 검출부(22)를 통해 입력된다. 더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제2 포토 커플러(Ph2)의 출력 신호가 상기 MCU(10)로 입력될 때에 제2 솔레노이드(S2)를 동작시키도록 프로그래밍 해 놓으면, 상기 극성 전환부(16)의 양 가동접점(M10, M20)이 상기 제2 솔레노이드(S2)에 의해 연동되면서 타측 접점(b10, b20)으로 접속되어 회로의 방향이 반대로 결선되게 하는 작용을 낳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의 결과로, 제1 포토 커플러(Ph1)의 신호가 출력될 때는 제2 솔레노이드(S2)가 비작동 상태이므로 스위칭부(6)에서 출력되는 충전용 전압은 극성 전환부(16)의 일측접점(a10)과 메인 스위칭부(18)의 폐접점(b1)을 거쳐 배터리 거치대(20)의 X단자로 인가되는 상태로 충전이 진행되고, 반대로 제2 포토 커플러(Ph2)의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솔레노이드(S2)가 동작되어 양 가동접점(M10, M20)이 연동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부(6)에서 출력되는 충전용 전압은 극성 전환부(16)의 타측 접점(b20)과 메인 스위칭부(18)의 폐접점(b2) 및 MCU(10)를 경유하여 배터리 거치대(20)의 Y단자로 인가되면서 충전이 행해지게 된다.
한편, 이렇게 충전되는 전압은 전류 검출부(22)에 입력되어서 그 전류 값이 측정된다. 전류 검출부(22)는 배터리의 충전이 계속되어 발생하는 저항에 의한 전류 값의 변화를 검출하여 MCU(10)로 입력하는 것이며, 또 MCU(10)는 입력되는 전류 검출부(22)의 신호가 배터리 만 충전을 나타내는 것일 때에 스위칭부(6)로 바이어스 시키는 출력신호를 중단하여 충전이 종료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를 도 1에 도시한 무인 자동 판매 방식의 충전 장치에 적용하였을 때 MCU(10)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에 예시한 무인 자동 판매 충전 장치는 핸드폰 배터리의 전압을 4.2V로상정하였을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고 있다.
전원이 투입되면 메인 스위칭부(18)가 스위칭-온 되고, MCU(10)의 프로그램 작동이 시작된다.
MCU(10)는 모니터 구동부(24)를 동작시켜 현재의 상태를 모니터(26)로 출력되게 한다. 모니터(26)는 충전/비충전의 진행상태, 충전량, 충전 불가 등을 MCU(1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징수수단(28)으로부터 금액 지불 신호가 출력되면 MCU(10)는 모니터(26)를 통해 충전 준비를 표시한다. 다음에 이용자가 배터리 거치대(20)로 배터리를 장착하면 MCU(10)는 제1 포토 커플러(Ph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6)를 트리거 하여 턴-온 되게 하거나, 혹은 제1 포토 커플러(Ph1)는 무신호이고, 제2 포토 커플러(Ph2)에서 신호가 입력되는 때에는 제2 솔레노이드(S2)를 동작시켜 극성 전환부(16)의 회로 결선이 변환되게 함과 동시에 스위칭부(6)를 트리거 하여 턴-온 되게 한다. 그 결과로 스위칭부(6)의 충전용 전압은 배터리 거치대(20)에 장착된 배터리로 인가되어 충전이 행해짐과 동시에 전류 검출부(22)는 충전 전류의 값을 측정하여 MCU(10)로 입력하게 된다.
MCU(10)는 스위칭부(6)를 통한 충전 전압을 4.2V로 인가하였을 때 전류 검출부(22)를 통한 전류 측정값이 50mA 이상일 때를 배터리가 장착된 것으로 판정하여 이후의 충전 제어를 행하고, 50mA 미만의 전류 값이면 만 충전된 배터리가 장착된 것으로 판정하고 배터리 장착 표시를 하지 않는다. 그 외의 에러 처리는 배터리가 과 방전되어 내부 보호회로의 작동에 의해 배터리의 출력이 0V로 되어 양 포토 커플러(Ph1, Ph2)가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배터리 내부가 쇼트 되거나 충전 거치대의 충전단자가 쇼트되어 충전전압 4.2V에서 900mA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배터리 충전이 시작되어 40초 이내로 만 충전되는 경우, 배터리의 체크 전압이 충전 전에 2.5V 이하인 경우 등은 충전 기준을 벗어난 것으로 판정하고 에러 처리하여 모니터(26)를 통해 충전 불가를 표시함과 동시에 징수한 금액을 반환하고 이용자가 배터리를 수거해 가면 장치를 충전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또, 충전 기준에 부합될 때는 충전을 진행하고 그 충전 진행율을 15분, 30분 등의 잔여 시간대로 모니터(26)에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배터리 회수 시기를 알려 준다. 충전 시간대는 전류 검출부(22)를 통해 MCU(10)로 입력되는 전류 값을 체크하여 예를 들면, 충전 전류 값이 800mA 인 때는 3분, 700mA에서는 7분, 600mA에서는 10분, 500mA에서는 15분, 400mA에서는 18분, 300mA에서는 21분, 150mA에서는 25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배터리의 충전 허용 시간은 120분 정도로 제한하여 이용자의 배터리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게 배려 할 수도 있다.
MCU(10)는 전류 검출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 값의 변화를 독출하여 만 충전 상태를 체크하고, 만 충전 시에는 모니터(26)로 충전 완료 표시를 행하고 이용자가 배터리를 회수해 갈 때까지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대기 상태에서 MCU(10)는 충전된 배터리의 전압이 3.8V 이하로 떨어지면 모니터(26)로 완전충전을 표시하고,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가 150mA 이하로 떨어지면 재충전해 두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가 이용자가 배터리를 회수해 가면 장치를리세트 시켜 1회의 충전 제어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폰 배터리의 충전 시 배터리에 남아 있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두개의 포토 커플러 중에서 해당되는 하나의 포토 커플러가 MCU에 신호를 입력하여 배터리의 극성이 체크되게 함과 동시에 MCU는 단자의 극성 전환이 요구되는 때에 제2 솔레노이드를 통전 시켜 단자의 극성을 전환시켜 주는 간단한 구성이기 때문에 핸드폰 배터리의 규격이나 단자의 위치 극성 배열 등에 구애받지 않고 1쌍의 단자만으로 모든 종류의 핸드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인용 충전 장치는 물론, 특히 무인 자동 판매 방식의 핸드폰 충전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8)

  1. 통상의 핸드폰 충전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거치대(20)로 장착되는 배터리의 전류 방향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극성 검출부(14)와, 스위칭부(6)에서 인가되는 충전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배터리의 극성에 맞도록 출력단의 극성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극성 전환부(16)와, 상기 극성 검출부(14)의 전류 방향 검출 신호가 배터리 단자의 역배열에 해당하면 상기 극성 전환부(16)로 극성 전환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MCU(10)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검출부(14)는 배터리의 단자 극성에 대응하여 작동되는 1쌍의 포토 커플러(Ph1, Ph2)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전환부(16)는 상기 스위칭부(6)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는 1쌍 2조의 접점(a10, a20, b10, b20)과, 양 접점(a10, a20, b10, b20) 사이로 개재되는 1쌍의 가동접점(M10, M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가동접점(M10, M20)은 상기 MCU(10)의 작동신호로 통전 여자 되는 제2 솔레노이드(S2)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1쌍 2조의 접점(a10, a20, b10, b20)이 상기 양 가동접점(M10, M20)에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에 의해 상기 극성 전환부(16)의 출력단측 극성이 전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U(10)는 전류 검출부(22)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 전류 값으로 배터리의 장착 여부와, 만 충전 여부를 인식하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U(10)는 배터리로부터 4.2V의 출력 전압과 150mA의 전류가 인가되는 시점을 충전 종료시점으로 설정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U(10)에는 배터리 충전 종료 후에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3.8V로 강하되면 재충전을 개시하도록 설정 입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U(10)에는 배터리의 초기 충전 시에 체크되는 배터리의 전압이 2.5V 이하인 때는 충전을 종료하도록 설정 입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U(10)에는 배터리가 만충되면 배터리의 장착 검출 표시를 행하지 않게 설정 입력??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KR10-2002-0068711A 2002-11-07 2002-11-07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KR10049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11A KR100491650B1 (ko) 2002-11-07 2002-11-07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11A KR100491650B1 (ko) 2002-11-07 2002-11-07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283U Division KR200304126Y1 (ko) 2002-11-07 2002-11-07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551A true KR20040040551A (ko) 2004-05-13
KR100491650B1 KR100491650B1 (ko) 2005-05-27

Family

ID=3733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711A KR100491650B1 (ko) 2002-11-07 2002-11-07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6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64B1 (ko) * 2009-12-22 2012-01-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장치가 구비된 더블 링바인더
KR101702039B1 (ko) 2015-08-07 2017-02-02 김태훈 포터블 배터리 충전기
WO2017026577A1 (ko) * 2015-08-07 2017-02-16 김태훈 포터블 배터리 충전기
KR20210037889A (ko) * 2019-09-30 2021-04-07 (주)시큐라인 자동 배터리 충전기에서 충전용 배터리의 극성 판별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757B1 (ko) 2017-06-14 2022-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센서의 전극을 이용한 충전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997A (ko) * 2001-08-03 2001-11-09 강동우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64B1 (ko) * 2009-12-22 2012-01-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장치가 구비된 더블 링바인더
KR101702039B1 (ko) 2015-08-07 2017-02-02 김태훈 포터블 배터리 충전기
WO2017026577A1 (ko) * 2015-08-07 2017-02-16 김태훈 포터블 배터리 충전기
KR20210037889A (ko) * 2019-09-30 2021-04-07 (주)시큐라인 자동 배터리 충전기에서 충전용 배터리의 극성 판별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650B1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0426B2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power tool, battery pack for electric power tool, and battery charger for electric power tool
JP3428015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CN1658469B (zh) 电池组、电池保护处理装置及其启动控制方法
US20030141845A1 (en) High frequency battery charg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010011883A1 (en) Battery pack
US20100013442A1 (en) Charging system, electronic circuit device including secondary cell, and power supply device for charging
JP4232990B1 (ja) 電池パック
US20120098495A1 (en) Battery charging system having multiple charging modes
WO1994009527A1 (en) Battery pack
US20070080663A1 (en) Portable charger with a rechargeable back-up battery
JP2003259560A (ja) 充電回路
KR20130114619A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2502556C (en) High frequency battery charg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07110820A (ja) パック電池
KR100491650B1 (ko)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KR200304126Y1 (ko) 다기종 핸드폰 충전장치
EP1381138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harging function
JPH10154026A (ja) 電池内蔵式電子機器
CN201054506Y (zh) 一种能够在接与不接外部电源时给手持设备供电或充电的电子配件
JPH10271692A (ja) 充電装置
KR20030095548A (ko) 휴대폰 배터리팩에 내장되는 충전회로
KR20030072027A (ko) 충전 및 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JP2002320333A (ja) 充電機能付き電子機器
CN113541259A (zh) 充电方法及系统
CN113541258A (zh) 充放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