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078A - 웹 기반의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기반의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078A
KR20040040078A KR1020020068399A KR20020068399A KR20040040078A KR 20040040078 A KR20040040078 A KR 20040040078A KR 1020020068399 A KR1020020068399 A KR 1020020068399A KR 20020068399 A KR20020068399 A KR 20020068399A KR 20040040078 A KR20040040078 A KR 20040040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file
flash
source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왕수
최수호
김보원
Original Assignee
(주)제너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다임 filed Critical (주)제너다임
Priority to KR102002006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078A/ko
Publication of KR2004004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0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은, 각각 복수로 마련된 플래시파일소스, 이미지소스, 사운드소스, 및 텍스트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아이템 및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인터넷을 통하여 메인서버에 접속하며,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된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플래시파일소스를 선택하고,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플래시파일소스에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교체하여 플래시파일소스를 편집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편집된 플래시파일소스에 기초하여 플래시파일을 생성하는 플래시생성서버를 포함한다. 이로써, 플래시파일 제작을 위한 스크립팅 기법에 대해 전혀 모르는 일반인들도 손쉽게 플래시파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웹 기반의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Flash file producting system based on web}
본 발명은 플래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플래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는 매크로미디어(Macromedia)가 개발한 웹 에니메이션 제작도구로서, 전체화면 인터페이스, 그래픽 삽화, 그리고 단순한 상호작용 등이 수반되는 벡터(vector) 기반의 애니메이션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플래시는 이미지 상의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계단모양의 잠영 및 사운드 상에 추가된 잡음을 제거하는 앤티앨리어싱이 가능하다. 또한, 플래시에 의해 제작된 파일(이하, '플래시파일'이라 일컫는다)은 화면상에서의 확대/축소가 가능하고, 속도가 빠르며, 그래픽 표현이 부드럽기 때문에 여러 웹사이트에서 쉽게 발견된다.
이러한 플래시파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로컬(local)기반에 플래시파일을 제작하기 위한 플래시 프로그램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고품질의 플래시파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액션스크립트(ActionScript)를 사용하여야 한다.
액션스크립트는 플래시 내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팅언어(scripting language)이다. 플래시는 타임라인을 이용해서 에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액션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강력하고 풍부한 상호작용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액션스크립트를 이용하면 플래시파일 내의 시각적, 청각적 요소들을 명령어를 이용해서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명령어들 하나하나를 가리켜 액션(action)이라고 하며, 액션스크립트는 여러 액션들이 모여서 구성되는 코드(code)를 의미한다. 플래시파일 안에 액션스크립트가 사용되면 무비가 플래시 플레이어(Flash Player)로 재생될때 이 액션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실행한다.
그런데, 상기한 액션스크립트를 이용하여 플래시파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실력의 스크립팅 기법을 요구하기 때문에, 비전문가인 일반인들은 쉽게 접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래시파일을 제작하기 위한 플래시 프로그램의 가격도 비싸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플래시파일을 제작한다는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상당히 부담스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일반인이 손쉽게 플래시파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파일 제작을 위한 초보자용 편집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의한 기능편집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파일 제작을 위한 중급자용 편집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플래시파일 편집에 따른 XML문서 수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의 프로세스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의 프로세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용자 단말기 20 : ISP
30 : 인터넷 40 : 공급자 시스템
41 : 데이터베이스서버 41a : 문서저장서버
41b : 고객용 데이터서버 43 ; 메인서버
45 ; 플래시 생성서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은, 각각 복수로 마련된 플래시파일소스, 이미지소스, 사운드소스, 및 텍스트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상기 아이템 및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래시파일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상기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교체하여 상기 플래시파일소스를 편집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편집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기초하여 플래시파일을 생성하는 플래시생성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사용자이미지, 사용자사운드, 및 사용자텍스트를 저장하는 고객용데이터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고객용데이터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이미지, 상기 사용자사운드, 및 상기 사용자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인출하여 선택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추가/교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대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문서를 저장하는 문서저장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상기 아이템 중의 어느 하나가 추가/교체되는 경우, 추가/교체된 내용에 따라 상기 XML문서를 수정하며, 상기 플래시생성서버는 수정된 상기 XML문서를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XML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플래시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이용하여 편집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의 크기, 위치, 방향,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객용 데이터서버는 수정된 상기 XML문서를 저장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의 크기, 위치, 방향,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상기 고객용 데이터서버에 저장된 상기 XML문서를 재 수정한다.
여기서, 상기 플래시생성서버는 수정된 상기 XML문서를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XML문서에 기초하여 쇽웨이브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고객용데이터서버는 상기 플래시생성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플래시파일을 저장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 컴퓨터(10)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20)를 통해 인터넷(30)에 연결되며, 인터넷(30)은 사용자 컴퓨터(10)가 공급자 시스템(40)에 접속가능하도록 한다.
공급자 시스템(40)은 데이터베이스서버(41), 메인서버(43), 및 플래시 생성서버(45)를 구비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서버(41)는 문서저장서버(41a) 및 고객용 데이터서버(41b)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서버(41)는 각각 복수로 마련된 플래시파일 소스(source), 이미지 소스, 사운드 소스, 및 텍스트 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플래시파일 소스는 플래시파일을 제작하는데 기초로 삼을 수 있는 다양한 플래시파일로서, 예를 들면 떨어지는 공의 움직임을 나타낸 플래시파일, 날아가는 비누방울의 움직임을 나타낸 플래시파일, 굴러가는 공의 움직임을 나타낸 플래시파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소스는 플래시파일 소스에 추가되거나 교체될 수 있는 이미지들이다. 예컨대 떨어지는 공의 움직임을 나타낸 플래시파일에서 떨어진 공의 되튀는 방향을 나타낸 이미지들이 추가될 수 있으며, 날아가는 비누방울의 움직임을 나타낸 플래시파일에서 비누방울의 터지는 이미지들이 추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소스는 플래시파일 소스에 추가되거나 교체될 수 있는 사운드들로서, 예컨대, 공의 되튀는 소리, 배경음악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소스는 플래시파일 소스에 추가되거나 교체될 수 있는 텍스트들로서, 예컨대, 공의 되튀는 소리를 의성어로 표시한 텍스트, 명령어를 표시한 텍스트 등이 될 수 있다. 플래시파일 소스, 이미지 소스, 사운드 소스, 및 텍스트 소스는 플래시파일 제공시스템의 공급업자에 의해 수시로 업데이트되어 풍부한 소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플래시파일 제공시스템의 공급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아이템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컴퓨터에서 작성되는 문서 또는 도표 등에서 간단한 표식과 정보 표현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의 문양과 그림들의 집합인 클립아트(clip art), 한 장면에서 다른 장면으로 전환되는 경우의 연속성을 살리기 위한 장면전환효과이미지, 텍스트를 애니메이션화한 애니텍스트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은 두 가지 파일을 기초로 한다. 그 중의 하나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로 이루어진 문서파일이며, 다른 하나는 확장자가 *.swf인 쇽웨이브파일이다. 문서파일은 제작된 플래시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필요한 파일이고, 쇽웨이브 파일은 플래시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이다.
데이테베이스서버(41)에 구비된 문서저장서버(41a)는 플래시파일 소스에 대한 XML문서파일을 저장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되는 플래시파일 소스는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기 위해 swf 파일로 이루어지며, swf 파일과 함께 사용자에 의한 편집을 위해 XML문서파일이 문서저장서버(41a)에 저장된다. 이 경우,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통해 편집작업이 수행되면, 편집된 내용에 따라 XML문서파일이 수정되도록 구현된다. 수정된 XML문서파일은 고객용 데이터서버(41b)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고객용 데이터서버(41b)는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사용자 이미지, 사용자 사운드, 및 사용자 텍스트를 저장한다. 또한, 고객용 데이터서버(41b)는 편집된 내용에 대응하여 수정된 XML문서파일을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 사용자 사운드, 사용자 텍스트, 사용자 클립아트, 사용자 애니텍스트 등을 공급자 시스템(40)의 고객용 데이터서버(41b)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업로드된 사용자 이미지, 사용자 사운드, 사용자 텍스트, 사용자 클립아트, 사용자 애니텍스트 등을 교체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객용 데이터서버(41b)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사용자 인증부호에 따라 사용자를 식별하며, 식별된 사용자별로 업로드된 사용자 이미지, 사용자 사운드, 사용자 텍스트, 사용자 클립아트, 사용자 애니텍스트 등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서버(43)는 데이터베이스서버(41)에 저장된 복수의 아이템을 사용자단말기(10)에 제공하며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제공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기초하여 새로운 플래시파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제공한다. 이때, 메인서버(43)에 의해 제공되는 플래시파일 편집기는, 플래시파일의 제작에 대해 전혀 모르는 초보자를 위한 초보자용 편집기, 및 플래시파일의 제작에 대해 약간의 지식을 가진 사용자를 위한 중급자용 편집기로 분류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파일 제작을 위한 초보자용 편집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초보자용 편집기는 '마법사 에디터'로 명명한다.
마법사 에디터는 메인서버(43)에 의해 제공된 다양한 플래시파일 소스 중, 임의의 플래시파일 소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컨대, 마법사 에디터의 상단에 구비된 메뉴란에서 그림효과를 클릭하면 다양한 플래시파일의 소스가 제공되며, 제공된 플래시파일의 소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래시파일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마법사 에디터는 각각 복수로 마련된 이미지 소스, 사운드 소스, 및 텍스트 소스 중에서 임의의 이미지 소스, 사운드 소스, 및 텍스트 소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이미지 소스, 사운드 소스, 및 텍스트 소스를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추가하거나 플래시파일 소스의 이미지, 사운드, 및 텍스트와 교체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컨대, 마법사 에디터의 우측 상단에 있는 '마이앨범'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추가되거나 교체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소스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제공된 이미지 소스 중의 임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플래시파일 소스에 추가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하는 과정은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의 연속된 이미지들을 배경화면으로 하고 그 배경화면들 위에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새로운 이미지를 교체하는 과정은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 중 소정의 이미지에 대해 교체 범위를 설정하고 선택된 이미지를 설정된 범위에 대체시킴으로써 구현되거나,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 중의 임의의 이미지를 선택된 이미지 소스로 대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이미지의 추가 또는 교체하는 방식은 상기한 방법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연속된 이미지들 사이에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하거나 연속된 이미지 중의 특정 이미지를 새로운 이미지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소스의 추가 또는 교체는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의 형태로 구현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복잡한 스크립팅 기법의 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플래시파일 소스를 편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텍스트를 추가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법사 에디터는 '글자효과' 메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글자효과'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텍스트 소스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제공된 텍스트 소스 중 임의의 텍스트를 선택하여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추가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 중 임의의 이미지에 대해 소정의 영역을 드래그하여 텍스트가 들어갈 영역을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마법사 에디터는 추가되거나 교체되는 텍스트의 글꼴, 모양, 색상 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텍스트 편집툴을 구비한다.
마법사 에디터에 의해 지원되는 텍스트 방식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그 중의 하나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로컬 시스템에 적용된 폰트를 독출하고, 독출된 폰트에 따라 텍스트를 지원하는 방식으로서, 이것을 다이나믹 텍스트(dynamic text)으로 명명한다. 다이나믹 텍스트 방식은 공급자 시스템(40)으로부터 별도의 텍스트 지원방식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래시파일에 텍스트를 추가/교체하는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하나의 방식은, 마법사 에디터가 사용자에게 다양한 폰트선택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공된 폰트메뉴로부터 임의의 폰트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마법사 에디터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폰트는 그래픽환경을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에 한글폰트가 채택되지 않은 경우에도 마법사 에디터에 의해 편집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텍스트 방식을 그래픽 텍스트(graphic text)라고 명명한다. 그래픽 텍스트는 텍스트의 에니메이션 효과를 지원하여 생동감있는 텍스트를 추가/교체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텍스트는 3차원 텍스트 효과를 지원하므로, 플래시파일에 입체감있는 텍스트를 추가/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사운드를 추가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법사 에디터는 '소리효과' 메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소리효과'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사운드 소스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제공된 사운드 소스 중 임의의 사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사운드는 편집된 플래시파일 소스와 함께 플래시파일 플레이어(Flash file player)에 의해 플레이된다.
한편, 마법사 에디터는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 이미지 소스, 텍스트 소스, 및 사운드 소스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기능편집 메뉴를 제공한다. 도 3은 마법사 에디터에 제공된 기능편집 메뉴의 일 예로서, 이미지 편집을 나타낸 도면이다. 마법사 에디터는 이미지 편집의 경우,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추가되거나 교체될 이미지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미지가 추가되거나 교체된 플래시파일 소스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법사 에디터는 추가되거나 교체되는 이미지의 방향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미지가 추가되거나 교체된 플래시파일 소스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에도 마법사 에디터는, 플래시파일의 위치변경, 추가되거나 교체되는 이미지의 위치변경, 추가되거나 교체되는 텍스트의 크기조절, 추가되거나 교체되는 텍스트의 색상조절, 추가되거나 교체되는 텍스트의 폰트변경, 추가되거나 교체되는 사운드 간의 믹싱 등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파일 제작을 위한 중급자용 편집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중급자용 편집기는 'WYSIWYG 에디터'로 명명한다.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 에디터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텍스트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콘텐츠 개발도구로서, 창작중인 문서의 결과물이 결국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게 될 것인지를 작업 중에도 볼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은, 마법사 에디터에 비해 추가적인 기능을 위하여, WYSIWYG 에디터는 아이템 관리자, 작업공간, 레이어 관리자, 및 컨트롤 관리자를 제공한다.
아이템 관리자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의 공급자가 제공하는 아이템, 사용자가 업로드한 아이템, 및 사용자가 즐겨찾기에 등록한 아이템을 분류하여 트리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아이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템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아이템은 기능별로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및 네비게이션 아이템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아이템은 버튼, 메뉴 등의 기능에 따라 분류된 아이템으로서, WYSIWYG 에디터에 제공된 각각의 버튼, 메뉴 별로 분류된 아이템을 관리한다.
작업공간은 플래시파일 소스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하고 아이템의 크기 및 회전을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작업공간은 각각의 아이템을 정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작업공간의 기능은 마법사 에디터에 제공된 기능과 유사하지만, 마법사 에디터에 비하여 보다 많은 아이템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법사 에디터와 구별된다.
레이어 관리자는 편집된 플래시파일의 플레이되는 시간을 설정하며, 각각의 아이템의 시작 시점과 종료시점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각각의 아이템의 레이어를 다르게 설정하여 아이템 간을 시간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플래시파일 소스를 서로 믹싱할 수 있게 되며, 각각의 아이템이 복합적으로 플레이될 수 있도록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컨트롤 관리자는 각 아이템의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각각의 아이템의 크기, 위치, 색상 등의 기본적인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아이템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마법사 에디터 또는 WYSIWYG 에디터에 의해 플래시파일 소스가 편집되면, 메인서버(43)는 편집된 플래시파일 소스를 분석한다. 즉, 플래시파일 소스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 메인서버(43)는 처음에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된 플래시파일 소스와 편집된 플래시파일 소스의 크기를 비교하며, 비교된 결과에 따라 문서저장서버(41a)에 저장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대한 XML 문서를 수정한다. 또한, 처음에 선택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이미지, 텍스트, 및 사운드가 추가된 경우, 메인서버(43)는 추가된 이미지, 텍스트, 및 사운드의 경로를 XML 문서에 삽입한다. 또한, 텍스트의 글자 폰트 및 글자 크기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폰트 및 크기에 따라 XML 문서를 수정하며, 플래시파일 소스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크기에 따라 XML 문서를 수정한다.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편집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대한 XML 문서의 수정의 일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메인서버(43)에 의해 수정된 XML 문서는 고객용 데이터서버(41b)에 저장된다.
플래시 생성서버(45)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편집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기초하여 플래시파일을 생성한다. 이 경우, 플래시 생성서버(45)는 문서저장서버(41a)에 저장된 XML문서 또는 고객용 데이터서버(41b)에 저장된 XML문서를 독출하여 플래시파일을 생성한다. 즉, 플래시 생성서버(45)는 문서저장서버(41a) 또는 고객용 데이터서버(41b)에 저장된 XML문서파일을 독출하며, 독출된 XML문서파일을 쇽웨이브파일(swf 파일)로 변환한다. 쇽웨이브파일로 변환된 플래시파일은 이메일로 전송가능하며,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업로드하여 사용자의 웹 사이트를 장식할 수도 있다.
도 6은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의 프로세스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인터넷(30)을 통하여 플래시제작툴 공급자 시스템(40)의 메인서버(43)에 접속한다(S601). 공급자 시스템(40)의 메인서버(43)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0)는 메인서버(43)으로부터 사용자 인증부호 및 사용자 데이터 저장공간을 할당받는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저장공간은 상술한 고객용 데이터서버(41b)에 포함되는 데이터 저장공간이다.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에 인증부호 및 데이터 저장공간이 할당되면, 메인서버(43)는 사용자 단말기(10)에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제공한다(S603). 메인서버(43)에 의해 제공되는 플래시파일 편집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초보자용 편집기와 중급자용 편집기가 있으며, 사용자는 제공되는 편집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인서버(43)는 데이터베이스서버(41)에 저장된 복수의 아이템을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각각의 아이템을 플래시파일 소스, 이미지 소스, 사운드 소스, 및 텍스트 소스로 분류하였지만, 이 외에도 2차원 그래픽 소스, 3차원 그래픽 소스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아이템에 제공되는 각각의 소스는 템플릿화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템플릿화된다는 것은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정형화된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메인서버(43)로부터 제공받는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플래시파일을 제작/수정한다(S605). 플래시파일을 제작/수정하는 과정은 메인서버(43)에 의해 제공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기초해 사용자가 원하는 플래시파일을 편집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플래시파일의 제작이 완료되면, 공급자 시스템(40)에 제작된 플래시파일에 대한 소정 비용을 결재한다(S607). 이때, 소정 비용에 대한 결재는 전자화폐, 이머니,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작된 플래시파일에 대한 결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메인서버(43)로부터 제작된 플래시파일을 사용자 단말기(10)로 다운받거나 공급자 시스템(40)에 구비된 고객용 데이터서버(41b)에 저장시킨다(S609).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에 다운로드된 플래시파일 또는 고객용 데이터서버(41b)에 저장된 플래시파일을 이용하여 자신의 홈페이지를 장식할 수 있으며, 이메일 등으로 타인에게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도 7은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의 프로세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인터넷(30)을 통하여 플래시제작툴 공급자 시스템(40)의 메인서버(43)에 접속한다(S701). 공급자 시스템(40)의 메인서버(43)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0)는 메인서버(43)으로부터 사용자 인증부호 및 사용자 데이터 저장공간을 할당받는다.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에 인증부호 및 데이터 저장공간이 할당되면, 메인서버(43)는 사용자 단말기(10)에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제공한다(S703).
또한, 메인서버(43)는 데이터베이스서버(41)에 저장된 복수의 아이템을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각각의 아이템을 플래시파일 소스, 이미지소스, 사운드 소스, 및 텍스트 소스로 분류하였지만, 이 외에도 2차원 그래픽 소스, 3차원 그래픽 소스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아이템에 제공되는 각각의 소스는 템플릿화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템플릿화된다는 것은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정형화된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메인서버(43)로부터 제공받는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플래시파일을 제작/수정한다(S705). 플래시파일을 제작/수정하는 과정은 메인서버(43)에 의해 제공된 플래시파일 소스에 기초해 사용자가 원하는 플래시파일을 편집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플래시파일의 제작이 완료되면, 공급자 시스템(40)에 제작된 플래시파일에 대한 소정 비용을 결재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제작한 플래시파일에 대하여 공급자 시스템(40)에 심사를 의뢰한다(S707). 공급자 시스템(40)는 심사 의뢰된 플래시파일에 대하여 객관적인 심사를 한다. 이 경우, 공급자 시스템(40)는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마련된 평가기준을 사용자들에게 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자 시스템(40)에 의한 객관적인 심사에서 통과되면(S709), 사용자는 제작된 플래시파일을 플래시파일 판매 사이트에 업로드시킨다(S711). 이 경우, 공급자 시스템(40)이 사용자들이 제작한 플래시파일들을 판매하기 위한 플래시파일 판매서버(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고, 사용자들이 심사통과된 플래시파일을 업로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제작한 플래시파일을 플래시파일 판매사이트 또는 공급자 시스템(40)에 구비된 판매서버에 업로드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자신이 제작한 플래시파일을 판매한다(S713). 이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플래시파일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자신이 제작한 플래시파일을 판매함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립팅 기법을 전혀 모르는 일반인도 손쉽게 플래시파일을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손쉽게 제작한 플래시파일을 홍보에 이용함으로써 광고의 극대화를 이룰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각각 복수로 마련된 플래시파일소스, 이미지소스, 사운드소스, 및 텍스트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상기 아이템 및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래시파일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상기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교체하여 상기 플래시파일소스를 편집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편집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기초하여 플래시파일을 생성하는 플래시생성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사용자이미지, 사용자사운드, 및 사용자텍스트를 저장하는 고객용데이터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고객용데이터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이미지, 상기 사용자사운드, 및 상기 사용자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인출하여 선택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추가/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대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문서를 저장하는 문서저장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상기 아이템 중의 어느 하나가 추가/교체되는 경우, 추가/교체된 내용에 따라 상기 XML문서를 수정하며,
    상기 플래시생성서버는 수정된 상기 XML문서를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XML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플래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이용하여 편집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의 크기, 위치, 방향,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데이터서버는 수정된 상기 XML문서를 저장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사용자달말기에 의해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의 크기, 위치, 방향,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상기 고객용데이터서버에 저장된 상기 XML문서를 재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생성서버는 수정된 상기 XML문서를 독출하여 쇽웨이브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데이터서버는 상기 플래시생성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플래시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KR1020020068399A 2002-11-06 2002-11-06 웹 기반의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KR20040040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399A KR20040040078A (ko) 2002-11-06 2002-11-06 웹 기반의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399A KR20040040078A (ko) 2002-11-06 2002-11-06 웹 기반의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078A true KR20040040078A (ko) 2004-05-12

Family

ID=3733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399A KR20040040078A (ko) 2002-11-06 2002-11-06 웹 기반의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07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003B1 (ko) * 2006-01-21 2007-05-25 (주)퓨전정보기술 플래시애니메이션 제작 장치
KR100814078B1 (ko) * 2006-03-27 2008-03-14 주식회사 모비더스 플래시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이동 기기 및 이미지 편집방법
WO2009048790A3 (en) * 2007-10-10 2009-06-11 Microsoft Corp Template based method for creating video advertisements
KR101008494B1 (ko) * 2008-06-17 2011-01-14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사용자 저작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36235B1 (ko) * 2010-10-08 2011-05-20 씨아이씨라이프(주) 애니메이션 형식의 콘텐츠 수정 단말기, 애니메이션 형식의 콘텐츠 수정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 매체
KR101107743B1 (ko) * 2008-11-11 2012-01-20 (주)스튜디오애니멀 플래시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러그 인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003B1 (ko) * 2006-01-21 2007-05-25 (주)퓨전정보기술 플래시애니메이션 제작 장치
KR100814078B1 (ko) * 2006-03-27 2008-03-14 주식회사 모비더스 플래시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이동 기기 및 이미지 편집방법
WO2009048790A3 (en) * 2007-10-10 2009-06-11 Microsoft Corp Template based method for creating video advertisements
KR101008494B1 (ko) * 2008-06-17 2011-01-14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사용자 저작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07743B1 (ko) * 2008-11-11 2012-01-20 (주)스튜디오애니멀 플래시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러그 인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036235B1 (ko) * 2010-10-08 2011-05-20 씨아이씨라이프(주) 애니메이션 형식의 콘텐츠 수정 단말기, 애니메이션 형식의 콘텐츠 수정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4798A1 (en) Interactive Menu Elements in a Virtual Three-Dimensional Space
US8937620B1 (en)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on and control of story animation
US6313835B1 (en) Simplified on-line preparation of dynamic web sites
Quint Scalable vector graphics
Forlizzi et al. The kinedit system: affective messages using dynamic texts
US2013024606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Animated Video Content with a Spoken Language Segment
CN101986249A (zh) 使用手势对象控制计算机的方法及相应的计算机系统
Leete Microsoft Expression Blend Bible
US201801368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imensional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digital media integration
KR20040040078A (ko) 웹 기반의 플래시파일 제작시스템
US11928319B1 (en) Interactive canvas tool for multimodal personalized content generation
JP2019532385A (ja) 仮想現実シーケンスを構成又は修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構成方法、及びそのシーケンスを読み取るためのシステム
US202400550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data-driven videos
Reinhardt et al. ADOBE FLASH CS3 PROFESSIONAL BIBLE (With CD)
Neff et al. Layered performance animation with correlation maps
JP2010191634A (ja) 動画作成プログラム、動画作成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動画再生プログラム
Langley et al. OpenLayers 3. x Cookbook
Ciesla et al. Working in Ren’Py, Twine, and TyranoBuilder
Stocks Sexy web design: Creating interfaces that work
Ciesla et al. Deeper Down the Dungeon
Budd et al. Web standards creativity: Innovations in Web design with XHTML, CSS, and DOM scripting
US2014010916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d distributing three dimensional video productions from digitally recorded personal event files
Perkins Flash Professional CS5 Bible
Nguyen Building restaurant website for business use: Case Miyabi Sushi restaurant in Kokkola
Lowery Dreamweaver CS3 bi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