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941A -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 Google Patents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941A
KR20040038941A KR1020040023926A KR20040023926A KR20040038941A KR 20040038941 A KR20040038941 A KR 20040038941A KR 1020040023926 A KR1020040023926 A KR 1020040023926A KR 20040023926 A KR20040023926 A KR 20040023926A KR 20040038941 A KR20040038941 A KR 2004003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ap
main body
inner stopper
pouch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정민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4002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941A/ko
Publication of KR2004003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94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04Gas-blowing apparatus, e.g. for tea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8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2) 발명의 목적
종래의 스파우트는 밀폐력이 저하된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승강용 고강도 본체 밀폐용 내마개를 두어 해결하고자 한다.
(3) 발명의 구성
스파우트의 본체 상방 구부에 밀폐된 고강도 밀폐용 내마개가 뚜껑이 상향되는 과정에 들어 올려지는 방식으로 개봉되도록 설계하여, 밀폐성을 좋으면서도 개봉하는 힘은 적게 들도록 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4) 발명의 효과
개봉용이, 밀폐성 보강, 위 변조 방지

Description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omitted}
본 발명은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것으로는 본체 구부에 뚜껑에 일체로 된 내마개를 강제끼움 방식으로 밀폐를 시킨 것이 있었다.
종래 강제 끼움식 스파우트는 내마개가 본체 구부 내벽부에 삽입되는 정도가 너무 긴밀하면, 그 스파우트의 뚜껑을 여는 힘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마개는 본체 구부 내벽부에 긴히 삽입되데, 그 개봉시는 뚜껑이 상향되는 과정에 내마개를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발탈되고, 본체 구부 내벽부를 중심으로 조립 될 시도 뚜껑이 회전방식으로 하향되는 과정에 눌러지는 방식으로 조립되게 하여 적은 힘으로도 뚜껑을 여닫고, 또한 밀폐력은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물론, 일반적인 페트병 병목에 사용되는 뚜껑에서는 적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파우치 용기 사상과는 기술적 적용의 권리범위가 상이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스파우트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스파우트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요부 종단면이고,
도3은 본체에 조립된 내마개가 상승 하려고 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4,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 10: 본체
11,21: 나사산 20: 뚜껑
22: 걸림턱 30: 내마개
33: 밀폐부 32: 내마개 걸림턱
파우치 용기에 사용되는 스파우트(1)는 파우치 용기에 부착되는 본체(10)와 그 본체(10)에 조립되어 개폐되는 뚜껑(20)이 결합되데, 상기한 뚜껑(20)의 내부 상방에는 그 내부 상방에서 일정 유격이 형성되어 뚜껑(20)의 내부에서 내마개(30)가 회전하는 것과 상하 일정 거리로 이동 할 수 있도록 유격이 형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같은 상태에서 뚜껑(20)을 열게 되면 본체(10)상에서 뚜껑(20)이 일정 높이 까지는 별 저항없이 상승되다가, 최상방의 나사산(21) 또는 걸림턱(20)이 열리는 것이 일시 멈추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뚜껑(20)을 계속하여 열게 되면 나사산(21) 또는 걸림턱 등에 의해 환테(31)가 들어 올려지면서 내마개(30)가 본체(10)의 구부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이 때 내마개(30)는 본체(10)에서 이탈 되더라도 뚜껑(20)에서는 분리되지 못하고, 조립된 최초의 상태내의 한계에서 존재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는(도4) 내마개(30)가 뚜껑(20)의 걸림턱(22)에 의하여 상향되어 지는 것을 보인 것으로서, 상기 걸림턱(22)에 걸려 상향될 수 있는 내마개 걸림턱(32)을 그 대응되는 내마개(30)에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한 내마개(30)는 함몰된 형으로 밀폐부(33)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발명의 사용 시는 뚜껑(20)이 열리게 되면, 일정 높이 까지는 뚜껑(20)만이 열리고, 뚜껑(20)의 걸림턱(22)이 내마개(30)의 내마개 걸림턱(32)에 위치되면 그때부터 내마개(30)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5는 내마개(30)의 다양한 실시를 보인 것이다.
뚜껑의 내부에 든 내마개는 비교적 견고한 재질로 구성된바, 내열성 밀폐가 양호한 것과, 그리고 내마개가 수직방식으로 닫히고 열리는 관계로 개폐 시 힘이 적게 드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이 최초 열리는 과정에는 내마개가 상향되지 않기 때문에 밀폐성이 좋고, 어떤 이유로든 용기에 든 내용물을 위변조가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파우치 용기에 적용되는 스파우트는 파우치 용기에 부착되는 본체와 그 본체에 조립되는 회전방식의 개폐용 뚜껑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한 뚜껑의 내부 상방부에는 밀폐용 내마개를 조립시킴에 있어서, 상기한 내마개는 뚜껑의 내부에 일정유격이 형성된 바, 뚜껑 개봉시 일정 높이 까지는 저항을 받지 않고 상승되다가, 뚜껑의 내부에 현성된 나사산 또는 걸림턱 등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되면 뚜껑과 함께 내마개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KR1020040023926A 2004-04-02 2004-04-02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KR20040038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926A KR20040038941A (ko) 2004-04-02 2004-04-02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926A KR20040038941A (ko) 2004-04-02 2004-04-02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941A true KR20040038941A (ko) 2004-05-08

Family

ID=3733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926A KR20040038941A (ko) 2004-04-02 2004-04-02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9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304255D1 (de) Garantie-scharnierverschluss für folienversiegelte flaschen und behälter von fliessfähigen inhalten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KR20040038941A (ko) 승강용 내마개를 갖는 파우치 용기용 스파우트
KR101133425B1 (ko) 이동부재의 인출부에 의해 패킹용 고정부재를 발탈시키는뚜껑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KR20050051589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병뚜껑
JP7190302B2 (ja) 容器用栓体
KR20130005219U (ko) 용기뚜껑의 결합구조
KR20080035414A (ko) 내마개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0526153B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200265076Y1 (ko) 저장용기의 원터치캡
KR20120128738A (ko) 내용물 배출용 병뚜껑의 구부 주위 밀폐구조
KR200206827Y1 (ko) 음료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101074979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347208Y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200167208Y1 (ko) 토출용 마개
KR20080073607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340196Y1 (ko) 실리카팩킹을 구비한 용기마개
KR20080047940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작동부 구조
KR20080073610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구조
KR200295511Y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KR980008007U (ko) 용기마개의 개폐장치
KR20120119552A (ko) 회전형 작동부내에서 용기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용부세트를 갖는 병뚜껑
KR100523094B1 (ko) 병따개
KR20080077303A (ko) 내부에 밀폐부재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